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문헌에 나타난 거문고의 명칭에 대한 연구

        정하운 ( Ha Un Jung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Geomungo, a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was called baekakjijang (meaning the best musical instrument of all) or as the collective name for string instruments. It was produced in Goguryeo, and Geumdo, the theory and techniques of geomungo, was accomplished in Unified Silla. Classical scholars of Goryeo and Joseon praised its unique aspects as an essential instrument to cultivate their mind. It played various roles for a long time. However, due to its impracticality and difficult playing techniques, its status is falling. The record of geomungo is in Chapter Hyeongeum, ``Akji`` of Samguksagii, and volume 7 of Akhaguebeom has it recorded as Hyeongeumi. Chinese musical ideas about geum in classical literatures represent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It tells that Chinese ideas influenced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players. Considering that the word geum include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s and gayageum and that another name for geum was geumungo, it was deducted that significant parts of intangible values of geomungo were introduced from China. In Samguksagi, it was explained to have been created by remodeling chilhyeongeum, but Japanese scholars argue that it originated from wagonghu. Also, scholars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discussing that wagonghu of Wei and Qin era found in Chinese musical academic circles is the origin of geomungo. Korean scholars consider geum in ancient tomb murals which is assumed to be a similar instrument before the introduction of chilhyeongeum as hyeongeum, but Jananese scholars are disagreeing because they consider it as wagonghu. Even some Korean scholars believe that is is geomungo. Beside geomungo, geum and goto, the Bible has a record of a western string instrument that is interpreted as geomungo. It tells that similar looking string instruments were interpreted or translated as geomungo from the ancient times until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 Japanese Rule Era. Another name for geum or names of musical instruments related with certain players were introdueced with the ideas of geum to replace geomungo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Aesthetic elements and ideas of playing geum were succeeded by geomungo players. It seems that Korean classical scholars selected ``geomungo`` as a collective name for geum, seul, geomungo and other similar instruments and adopted the concept with Chinese musical ideas. Geum was introduced in the 11th year of King Yejong, Goryeo (1116) and was used with seul in music for Confucian ceremonies, and its techniques were stopped at the end of Korean Empire Period. Gayageum and seul are similar in that the right hand and the both hands fingers except that they have different numbers and sizes of strings. However, geum and geomungo have different structures and techniques. Literatures include sentences explaining that materials and parts of geum, seul, geomungo and such are royal foxglove tree and silk strings, of geum are hui and jul and of seul are juhyeon and ju. However, it is hard to find uses of anjok, gwae and suldae which are names of parts of geomungo. Famous geums have contexts of history. Along with dignity and talents of producers and backgrounds and ideas of the period, they symbolizes or metaphorizes contexts of classical literatures to be involved with the ideas of geomungo. Traces of famous geum players left in classical literatures were reborn as geomungo ideas of Korean classical scholars. Musical and literary ideas from surfaces or belows of masters and famous songs of famous geums and words and phrases showing other aesthetic senses were used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hysically or chemically. Joseon scholars considered geomungo as the tool of manners and cultures. Therefore, it can be deducted that they would have possessed one essentially and that there would have been many players. The instruments played by Mulgyeja and Master Baekgyeol seemed to be a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not geomungo or gayageum considering their living periods. Also, geum in the story about Sameumgap recoreded in Samgukyusa is sure a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not geomungo considering the times of introductions of geomungo and gayageum. Because musical ideas of geum, seul and geomungo were mixedly used in such literatures, accurate names of geum, seul and geomungo became confused. Also, because geomungo was used as the collective name for string instruments, western string instruments were interpreted as geomungo, and even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s before introductions of geomungo and gayageum are all interpreted as geomungo.

      • KCI등재

        고전문헌에 나타난 거문고의 명칭에 대한 연구

        정하운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우리의 전통악기 중 하나인 <거문고>는 <백악지장(百樂之丈)>으로, 또는 현악기의 통칭으로 불리면서 고구려에서 제작, 통일신라의 <금도(琴道)>를 이루었고, 고려와 조선 선비들의 수양을 위한 필수품으로서 독창적인 이면(裏面)에 대해 찬사를 받아가며 오랜 세월 광범위한 영역에서 다양한 역할을 해왔으나, 실용성의 여부와 연주방식의 어려움으로 그 위상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거문고(玄琴)>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 「악지」의 <현금(玄琴)>조에 있고, 『악학궤범』의 권지 칠에도 <현금(玄琴)>이라고 기록되어져 있다. 고전문헌 안에서 중국의 <금(琴)>에 대한 음악사상이 <거문고>의 음악사상을 대신하고 있는 걸로 보아 <거문고연주자>의 음악정신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확인된다. <금>의 표기가 <재래현악기>와 <가야금>을 포함하고 있는 점과 <금>의 이칭이 <거문고>의 이름으로 사용된 점에서 <거문고>의 무형적 가치 중 상당한 부분이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에서는 <칠현금>을 개조하여 만들었다고 했으나, 일본학자들은 <와공후>임을 주장하고 있으며, 중국 음악학계에서 밝혀진 <위진시대 와공후>가 <거문고>의 전신(前身)이라는 해석이 한·중·일 학자들 간에 논의되고 있다. <칠현금>의 전래 전에 유사한 악기로 추정되는 고분벽화의 <금>을 <현금>으로 보는 국내학자와 <와공후>로 보는 일본학자의 의견대립이 있고, <거문고>로 주장하는 국내학자들도 견해의 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거문고(玄琴)>·<금(琴)>·<고토(こと: 琴)> 외에 성경(Bible)에서도<거문고>로 해석된 서양 현악기의 기록이 발견되고 있어, 이미 고대에서부터 구한말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체형이 비슷한 현악기는 <거문고>로 해석 또는 번역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금>의 이칭이나 특정 연주가와 관련되어있는 악기이름이 <금>의 사상과 함께 수입되어져 우리 고전문헌 안에서 <거문고>를 대신했으며, <금>의 연주에서 비롯된 미학적 요소와 사상들을 <거문고연주가>들은 답습하게 되었고, 우리의 선비들은 <금>·<슬(瑟)>·<거문고> 등을 통칭하는 의미로 <거문고>를 설정하여 중국의 음악사상과 함께 수용한 것으로 판단이 된다. <금>은 고려 예종 11년(1116)때 들어와 <문묘제례악>에 <슬>과 함께 쓰이다가 한말(韓末)에 주법(奏法)이 끊어졌다. <가야금>과 <슬>은 각각 오른손과 양손 손가락으로 뜯는 점, 줄(絃)의 수와 크기만 다를 뿐, 별 차이가 없는데, <금>과 <거문고>는 구조와 <탄주(彈奏)>형태에서 차이가 있다. 문헌의 내용에 <금>·<슬>·<거문고> 등의 재료나 부품은 오동나무·명주실과 <금>의 <휘(徽)>·<줄(絃)>, <슬>의 <주현(朱絃)>·<주(柱)> 등이 있으며, <거문고>의 부품명인 <안족(雁足)>·<괘(棵)>·<술대(匙)>에 대한 표기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명금(名琴)들은 고사(故事)의 내용을 갖추고 있어, 제작자의 품격·재능, 당시대의 배경·사상 등을 이면(裏面)에 동반하여 고전문헌상의 내용을 상징과 은유로 견인하면서 <거문고>의 사상에 관여하고 있다. <금>의 명인들이 고전문헌에 남긴 체취는 우리 선비들의 <거문고사상>으로 재탄생하였다. 명금, 금의 명인, 명곡 등의 표면 또는 이면(裏面)으로부터 취한 음악적·문학적 사상과 그 외의 미의식을 내재한 어휘나 문구들은 우리의 고전문헌에 유입되어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투영되어졌다. <거문고>를 예악과 수양의 도구로 생각했던 ... “Geomungo”, a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was called baekakjijang (meaning the best musical instrument of all) or as the collective name for string instruments. It was produced in Goguryeo, and Geumdo, the theory and techniques of geomungo, was accomplished in Unified Silla. Classical scholars of Goryeo and Joseon praised its unique aspects as an essential instrument to cultivate their mind. It played various roles for a long time. However, due to its impracticality and difficult playing techniques, its status is falling. The record of geomungo is in Chapter Hyeongeum, ‘Akji’ of Samguksagii, and volume 7 of Akhaguebeom has it recorded as Hyeongeumi. Chinese musical ideas about geum in classical literatures represent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It tells that Chinese ideas influenced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players. Considering that the word geum include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s and gayageum and that another name for geum was geumungo, it was deducted that significant parts of intangible values of geomungo were introduced from China. In Samguksagi, it was explained to have been created by remodeling chilhyeongeum, but Japanese scholars argue that it originated from wagonghu. Also, scholars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discussing that wagonghu of Wei and Qin era found in Chinese musical academic circles is the origin of geomungo. Korean scholars consider geum in ancient tomb murals which is assumed to be a similar instrument before the introduction of chilhyeongeum as hyeongeum, but Jananese scholars are disagreeing because they consider it as wagonghu. Even some Korean scholars believe that is is geomungo. Beside geomungo, geum and goto, the Bible has a record of a western string instrument that is interpreted as geomungo. It tells that similar looking string instruments were interpreted or translated as geomungo from the ancient times until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 Japanese Rule Era. Another name for geum or names of musical instruments related with certain players were introdueced with the ideas of geum to replace geomungo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Aesthetic elements and ideas of playing geum were succeeded by geomungo players. It seems that Korean classical scholars selected ‘geomungo’ as a collective name for geum, seul, geomungo and other similar instruments and adopted the concept with Chinese musical ideas. Geum was introduced in the 11th year of King Yejong, Goryeo (1116) and was used with seul in music for Confucian ceremonies, and its techniques were stopped at the end of Korean Empire Period. Gayageum and seul are similar in that the right hand and the both hands fingers except that they have different numbers and sizes of strings. However, geum and geomungo have different structures and techniques. Literatures include sentences explaining that materials and parts of geum, seul, geomungo and such are royal foxglove tree and silk strings, of geum are hui and jul and of seul are juhyeon and ju. However, it is hard to find uses of anjok, gwae and suldae which are names of parts of geomungo. Famous geums have contexts of history. Along with dignity and talents of producers and backgrounds and ideas of the period, they symbolizes or metaphorizes contexts of classical literatures to be involved with the ideas of geomungo. Traces of famous geum players left in classical literatures were reborn as geomungo ideas of Korean classical scholars. Musical and literary ideas from surfaces or belows of masters and famous songs of famous geums and words and phrases showing other aesthetic senses were used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hysically or chemically. Joseon scholars considered geomungo as the tool of manners and cultures. Therefore, it can be deducted that they would have possessed one essentially and that there would have been many players. The instruments played by Mulgyeja and Master Baekgyeol seemed to be a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not geomungo or g...

      • KCI등재

        거문고의 악도(樂道)

        임수철(Lim Soo-Chea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2

        거문고는 조선시대 사대부 계층의 교양 필수 악기였다. 물론 그것은 오락이나 음악으로서 목적도 있었지만, 궁극적인 목적은 심신 수양이었다. 그래서 거문고를 잘 탈 수 있는 능력은 기예가 아니라 인품이라고 했다. 거문고는 고구려 시대에 중국의 금(琴)을 참고하여 제작된 악기였는데, 그 후 통일 신라, 고려,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가장 한국적인 악기로 토착화되었고, 지금도 중요한 전통 국악기 중의 하나가 되었다. 거문고는 음악의미적 · 예술적인면보다는 사상적인면에 더 초점을 맞춘 악기이기 때문에 음향학적으로도 그렇게 설계되고 제작되었다. 거문고의 가장 핵심이 되는사상은 유가(儒家) 사상으로서, 그것은 한 마디로 유음(遺音)을 통한 덕음(德音)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다. 거문고는 정악(正樂)이라는 음악 형태로 활용되었기 때문에 발현(撥絃)의 방식으로 연주되며, 음역이 낮고, 느리며 가락에 꾸밈이 적다. 거문고 음악이 근세에 이르러서는 민간 계층에게까지 폭 넓게 수용되면서 거문고 산조 음악이 탄생된다. 산조는 한국의 전통 샤머니즘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음악이다. 이러한 산조는 음악적인 애(哀)를 통한 속된 마음의 정화를 추구하기 때문에 애잔한 계면조(界面調) 가락이 중심이 된다. 뿐만 아니라 거문고 음악에는 희성(希聲)을 추구하는 도가(道家) 사상의 특징도 들어있다. 오늘날 우리 음악계는 서양음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서양음악은 바로크시대 이후 지나칠 정도로 기법과 기능 중심의 음악으로 치달았기 때문에 그것은 인격 수양을 위한 음악이 아니라 음악 기법을 위한 음악이 되었고, 그 결과 서양의 현대 클래식 음악은 대중들의 정서에서 점점 더 멀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는 음악의 서구화가 곧 음악의 선진화라는 오리엔탈리즘적인 음악 사상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의 이러한 서구 편향적인 음악 상황에서 거문고가 갖는 의미는 참으로 크다. 오늘날 한국 음악계가 안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데 하나의 중요한 단서를 거문고의 사상과 음악을 통해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본고에서는 거문고의 악도를 중심으로 새로운 길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Geomungo was the essential refinement musical instrument of the nobility class in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geomungo was entertainment or music itself, but the ultimate purpose was to pursue. Therefore, the ability to play geomungo well was not technique but personality. Geomungo was the musical instrument that was produced with reference Chin (琴) of China during the Goguryeo period. However, through united Silla, Goryeo and Joseon period, it became to be naturalized as the most Korean musical instrument, and it becam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until now. Geomungo was the musical instrument that focused on the ideological aspect rather than aesthetic or artistic aspects of music. It was designed and produced in that way in the acoustics. The most essential idea at the geomungo is the thought of Confucianism. That is, it could be the fulfillment of virtuous music (德音) through reserved music (遺音). Geomungo was applied through the musical form of court music [正樂, upright and elegant music]. Therefore, geomungo is slowly played in the way to strum or pluck strings, has lower register and has less graceful notes in melodies. In modern times, the music of geomungo was accepted widely to civilian class, and then geomungo sanjo music was born. Sanjo is the music that reflects Korean traditional shamanism actively. This sanjo is the music that pursue the purification of sophisticated mind through musical elegy[哀]. Therefore, the plaintive(sad) gyemyeonjo melody becomes the center of sanjo music. In addition, geomungo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ought of Taoism (道家) that pursues rare music. Today, Western music is the mainstream in our music field. However, Western music has focused on techniques and skills to a fault since the baroque era. Therefore, it became the music for musical techniques not the music for men, and as results of that, modern classical music in the West has drifted farther and farther apart from the sentiment of people. In these situations, Western composers turn their gaze on the Oriental thoughts and Oriental traditional music. However, Korean people still do not get out of the Oriental musical thought that westernization of music is the advancement of music. So the meaning of geomungo is really significant in this situation. One of the important clue to settle many problems that Korean musical field has in present could be found in the thought and music of geomungo. This study suggests th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by means of musical that is the true way of Musical Logos of geomungo.

      • KCI등재

        일반논문 : 고구려 거문고 연구 재검토

        최헌 ( Heon Choi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2

        거문고는 고구려에서 기원한 악기로 고구려 멸망 이후에도 선비등 지식층의 애호 악기가 되어 ‘百樂之丈’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거문고의 우리 음악문화에서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하겠는데, 이 악기의 기원이 외래의 臥공후라는 것을 넘어 고구려의 거문고 자체가 부정되고 臥공후만을 인정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이에 대한 한국 학자들의 반대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고구려의 거문과와 관련된 연구는 여러 학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되었는데, 그 연구 주제는 주로 王山嶽의 거문고 제작설을 인정하고,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거문고류 현악기의 정체를 밝히는 것에 집중되어 있었다. 결국 초기에 부정되던 거문고 臥공후 기원설은 임겸삼의 주장대로 고구려 거문고가 모두 부정되는 것이 아니고, 왕산악이 晉의 臥공후를 개조하여 거문고를 만들었다는 臥공후 기원설을 인정하고 그 시기가 언제인가에 연구의 초점을 둔 연구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여럿의 거문고류 현악기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그 내용은 조금씩 달랐다. 이들을 비교하고 고구려 고분벽화의 거문고류 악기를 다시 검토해본 결과 8개의 고구려 고분에 나타나는 10개의 고구려 거문고류 현악기는 단순히 琴, 箏, 築, 臥공후, 거문고로 단정 짓기 쉽지 않았다. 조금씩 그 형태와 연주자세, 괘와 술대의 유무, 줄의 수 등의 차이가 있는 것은 고분벽화의 정밀 묘사의 부정확성을 떠나서, 악기의 본질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고 또 그 내용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그 명칭을 琴, 箏, 築, 臥공후, 거문고라기 보다는 琴류, 箏류, 築류, 臥공후류, 거문고류라 해야할 것으로 보았다. 이는 이들 악기와 고구려 고분벽화의 거문고류 악기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연유된 생각인데, 이는 고구려에서 거문고가 정착되기 전에는 다양한 거문고류 현악기가 연주되었음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또 『삼국사기』의 王山嶽 거문고 제적설에 너무 경도되어 있는 것도 문제로 보았는데, 그것은 고조선의 公無渡河歌, 즉 공후引에 등장하는 공후, 즉 臥공후를 고려한다면 『삼국사기』의 王山嶽 거문고 제작설은 믿기 어려우며, 고구려보다 더 이전 시기부터 거문고류의 현악기를 연주해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공무도하가와 비슷한 시기라 할 수 있는 기원전 3-4세기의 악기로 新疆지역에서 공후가 발굴되었는데, 이 시기에는 이 지역이 중국에 속한 곳이 아니었다. 중국에서는 중국의 공후는 외래 악기가 분명하고, 중국에 전래된 이후 琴, 瑟, 箏 등 악기의 영향으로 臥공후가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으며, 李娜, 「臥공후起源考」, 『천뢰-천진음악학원보(http://www.zgyysxw.com/)』, 2010-07-28. 그 시기는 魏晉시대의 고분에 괘가 있는 臥공후류 악기의 그림과 토용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빨라도 漢代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즉, 중국에서는 아직 공후가 전래되기 전에 이미 고조선에는 공후가 있었다고 볼 수 있고, 그 전래 과정은 중국을 거치지 않았을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또 臥공후가 외래의 세워 연주하는 하프류의 공후를 뉘여 연주하는 악기로 개조한 중국의 악기로 주장하는 것도 부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즉 중국에 臥공후가 생기기 이전 또는 그와 비슷한 시기에 이미 고조선에 臥공후가 있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거문고의 기원이 된다는 臥공후의 發生地는 혹시 古朝鮮은 아닐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볼 수 있겠다. 설혹 漢 武帝 때 공후(臥공후)가 만들어 졌다는 설이 사실이고 이에 따라 뉘여타는 공후, 臥공후가 漢代에 만들어졌다는 것을 인정하더라도, 『삼국사기』의 王山嶽 거문고 제작이 晉에서 전래된 臥공후를 개조한 것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古朝鮮에 이미 臥공후로 추정되는 공후가 있었으므로 고구려 사람들이 晉에서 전래된 七絃琴(臥공후?)을 몰랐을리 없기 때문이다. 또 이 七絃琴이 중국 전통의 琴이라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고조선과 고구려는 漢의 문화와 교류가 많아서 漢의 鼓吹가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나고 있으므로, 漢의 琴 역시 이미 수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晉에서 전래된 七絃琴이 琴이더라도 고구려 사람들이 그 연주법을 몰랐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하여 생각해보면 거문고를 굳이 晉에서 전래된 七絃琴을 개조하여 만들었다는 것을 신뢰하기 어렵다. 앞에서 살핀 여러가지 상황으로 보아 고구려의 거문고는 琴이든 臥공후든 중국에서 전래된 악기를 개조해서 만들었다기 보다는 고조선에서부터 내려오던 거문고류 현악기를 개량하여 만들었다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다만 琴이든 중국에서 만들어진 공후든 혹은 箏 瑟 築 등의 악기가 고구려에 전래되었다면 이들이 거문고 창제에 참조되었다고 이해하는 것이 좋을것 같다. 그러나 거문고 창제의 원형을 굳이 외래 악기에서 찾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고구려 전래의 거문고류 현악기가 있었고 이를 토대로 외래의 현악기를 참조하여 거문고를 창제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좀 더 많은 자료를 찾아 연구해야 확실하게 밝힐 수 있는 문제라 하겠으나, 적어도 『삼국사기』의 王山嶽 거문고 제작설은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새로운 관점에서의 고구려 거문고를 보는 시각을 갖춰야 할 것이다. The Geomungo(거문고) is a instrument of Gogureoy(高句麗). The instrument had covered a lot of Korea, so it have become a important musical instrument in Korea. Hayasi Genjo(林謙三), Japanese scholar, had maintained his opinion that the Geomungo of Gogureoy is the Wagonghu(臥공후), and the Geomungo was formed later, the record of Kimbusik, wrighter of the History of Three Kingdom(三國史記), was incredible. Lee-Hyegu refuted his hypothesis because the introduction on the Wagonghu of Japan have been inaccurate. Since then, many scholars of Korea have studed on the Geomungo of Gogureoy. But their study of the Geomungo was inclined to the topic, relation of the Geomungo and the Wagonghu, or the Wagonghu, the origin of the Geomungo. And They have thought that the record of Kimbusik’s was truth. Kimbusik had recorded that Wangsanak(王山岳) had made the Geomungo from the Chilheoyn-Geum(七絃琴, Seven stringed Zither. 古琴). But the Geomungo was different from Geum(琴), but similar to Wagonghu. Many ancient tomb have been unearthed in the old land of Gogureoy, and the were many tomb painting of Gogureoy Geomungo. They were many different style, the form, the size, the number of strings and the position of the musician. So I think that many various type of the Geomungo had been exsited in Gogureoy, they had become a prestyle of the Geomungo. The Geomungo was originated from the Wagonghu, its form was similar to the Geomungo. The many scholars considered that it is truth, the Wagonghu was handed down from China, and was spreded to Japan. But there were the Wagonghu in the early Joseon(古朝鮮), The song of the early Joseon, Gongmudohaga(公無渡河歌). The song was accompanied by the Wagonghu. We can read off, at the Song, the Wagonghu had exsisted in the early Joseon. So I think cautiously on that point, the Wagonghu of the Early Joseon was old than that of China, and thd Geomungo of Gogureoy was originated from the Wagonghu of the Early Joseon.

      • KCI등재

        『악학궤범』 거문고 산형 분석-평조와 계면조를 중심으로-

        이숙희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7 No.-

        본고에서는 『악학궤범』의 악조 이론을 보다 구체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속악 칠조(칠지)는 칠율 칠지형이라는 전제 하에 거문고 속악 칠조(칠지)의 기본음(궁)과 그 구성음 그리고 그에 따른 거문고 조현법을 밝혔다. 거문고 산형의 속악 칠조(칠지)의 기본음(궁)은 일지 협종, 이지 중려, 삼지 임종, 사지(횡지) 이칙, 오지(우조) 무역, 육지(팔팔조) 청황종, 칠지(막막조) 청태주로 나타났다. 이에따른 구성음은 평조는 일지 夾ㆍ仲ㆍ(林)ㆍ夷ㆍ無ㆍ潢ㆍ(汰), 이지 仲ㆍ林ㆍ(南)ㆍ無ㆍ潢ㆍ汰ㆍ(姑), 삼지 林ㆍ南ㆍ(應)ㆍ潢ㆍ汰ㆍ姑ㆍ(蕤), 사지(횡지) 夷ㆍ無ㆍ(潢)ㆍ汏ㆍ浹ㆍ仲ㆍ(林), 오지(우조) 無ㆍ潢ㆍ(汰)ㆍ浹ㆍ仲ㆍ林ㆍ(南), 육지(팔팔조) 潢ㆍ汰ㆍ(姑)ㆍ仲ㆍ林ㆍ南ㆍ(應), 칠지(막막조) 汰ㆍ姑ㆍ(仲)ㆍ林ㆍ南ㆍ應ㆍ(潢)이다. 계면조는 일지 夾ㆍ(仲)ㆍ蕤ㆍ夷ㆍ無ㆍ(潢)ㆍ汏, 이지 仲ㆍ(林)ㆍ夷ㆍ無ㆍ潢ㆍ(汰)ㆍ浹, 삼지 林ㆍ(南)ㆍ無ㆍ潢ㆍ汰ㆍ(姑)ㆍ仲, 사지(횡지) 夷ㆍ(無)ㆍ應ㆍ汏ㆍ浹ㆍ(仲)ㆍ蕤, 오지(우조) 無ㆍ(潢)ㆍ汏ㆍ浹ㆍ仲ㆍ(林)ㆍ夷, 육지(팔팔조) 潢ㆍ(汰)ㆍ浹ㆍ仲ㆍ林ㆍ(南)ㆍ無, 칠지(막막조) 汰ㆍ(姑)ㆍ蕤ㆍ林ㆍ南ㆍ(應)ㆍ汏이다. 평조와 계면조 칠조(칠지)의 구성음은 『악학궤범』 권1의 60조도를 기준으로 확인했는데, 『악학궤범』 거문고의 평조 혹은 계면조 산형의 음이 60조도의 구성음과 일치해도, 산형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동일한 기본음(궁)을 가진 계면조나 평조의 구성음이 60조도의 구성음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일지의 계면조, 사지(횡지)의 계면조, 칠지(막막조)의 평조가 그 예인데, 이러한 불일치가 생기는 이유는 거문고 산형의 율보가 공척보를 기준으로 두 음씩 결합, 제시된 경우가 있고, 이것이 오조궁과 대응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았다. 평조와 계면조는 5음계이지만, 거문고 산형의 속악 칠조(칠지)는 변궁․변치를 포함한 7음계를 기준으로 도례되어 있다. 평조와 계면조의 음정이 같지 않고, 5음계와 7음계의 음정이 서로 다른데, 거문고 괘는 대체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 거문고 실제와 속악 칠지(칠조)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고 보았다. 또 공척보는 合․四․一․上․勾․尺․工․凡의 여덟 자로 12율을 지시하나, 거문고 산형의 율보는 공척보를 기준으로 하되, 황/대ㆍ태/협ㆍ고/중ㆍ유/임/이ㆍ남/무ㆍ응의 일곱 단위로 구분되어 있었다. 그리고 거문고 괘의 실제 음고와 관계없이 공척보 기준으로 12율 사청성을 반복 도례해 놓았기 때문에 이 또한 거문고 실제와 일치하지 않는 점임을 알 수 있었다. 속악 칠조(칠지)의 기본음(궁)은 일곱 종류이지만, 거문고 조현법은 여덟 종류이다. 사지(횡지)는 낙시조에도 포함되고 우조(웃조)에도 포함되는데, 음계는 동일하지만, 낙시조와 우조(웃조)의 조현법은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은 거문고 속악 칠조(칠지) 기본음(궁)을 포함한 구성음을 바탕으로 『악학궤범』 거문고 조현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낙시조 일지는 무현ㆍ기괘청ㆍ괘상청ㆍ유현 夾, 대현 夷, 문현 無이다. 이지는 무현ㆍ기괘청ㆍ괘상청ㆍ유현 仲, 대현 無, 문현 黃이다. 삼지는 무현ㆍ기괘청ㆍ괘상청ㆍ유현 林, 대현 黃, 문현 太이다. 사지(횡지)는 무현ㆍ기괘청ㆍ괘상청ㆍ유현 夷, 대현 大, 문현 夾이다. 우조(웃조) 사지(횡지) 무현ㆍ기괘청ㆍ대현ㆍ문현 夷, 괘상청ㆍ유현 夾이다. 오지(우조)는 무현ㆍ기괘청ㆍ대현ㆍ문현 無, 괘상청ㆍ유현 仲이다. 육지(팔팔조)는 무현ㆍ기괘청ㆍ대현ㆍ문현은 黃, 괘상청ㆍ유현은 林이다. 칠지(막막조)는 무현ㆍ기괘청ㆍ대현ㆍ문현은 太, 괘상청ㆍ유현은 南이다. 다만 칠지(막막조)의 기본음(궁)은 汰인데, 『악학궤범』 칠지(막막조) 거문고 산형에는 太로 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육지(팔팔조)도 기본음(궁)은 潢이지만, 조현은 黃으로 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Under the goal of specifying the tone theories of Akhakgwebeom(樂學軌範)further by figuring out the basic notes(Gungs, 宮) of Sokak Chiljo(七調, Chilji七指) in the Geomungo Pyeongjo(平調) and Gyemyeonjo(界面調) Sanhyeongs(散形) in the book,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basic notes(Gungs) of Sokak(俗樂) Chiljo(Chilji) in the Geomungo, their component sounds, and resulting Johyeon techniques for the Geomungo based on a premise that Sokak Chiljo(Chilji) were Chilyul(七律) Chiljihyeong(七指形). The basic notes(Gungs) of Sokak Chiljo(Chilji) in the Geomungo Sanhyeong were Ilji(一指) Hyeopjong(夾鍾), Iji(二指) Jungryeo(仲呂), Samji(三指) Imjong(林鍾), Saji(四指, Hoingji橫指) Ichik(夷則), Oji(五指) Muyeok(無射), Yukji(六指) Cheonghwangjong(淸黃鍾), and Chilji(七指) Cheongtaeju(靑太簇). The basic note(Gung) of Chilji(Makmakjo) is 汰, but it is marked as 太 in the Chilji(Makmakjo) Geomungo Sanhyeong of Akhakgwebeom, which suggests that the basic note(Gung) of Yukji(Palpaljo) is 潢 and that it is marked as 黃 in Johyeon. When there was an agreement between the notes of Pyeongjo or Gyemyeonjo Sanhyeong and the component notes of 60 Jodo(調圖) in Akhakgwebeom, no match could be found between the component notes of Gyemyeonjo or Pyeongjo with the same basic notes(Gungs) not found in Sanhyeong and those of 60 Jodos in some cases. Good examples of this are Gyemyeonjo of Ilji, Gyemyeonjo of Saji(Hoingji), and Pyeongjo of Chilji(Makmakjo). This disagreement happens because the Yulbo of Geomungo Sanhyeong is presented in combinations of two notes according to Gongcheokbo and because they correspond to Ojogung. Even though Pyeongjo and Gyemyeonjo are in a pentatonic scale, the Sokak Chiljo(Chilji) of Geomungo Sanhyeong has Dorye(圖例) according to a heptatonic scale including Byeongung and Byeonchi. Tunes are different between Pyeongjo and Gyemyeonjo and between a pentatonic and heptatonic scale, but the Geomungo Goaes(棵) are arranged at a regular interva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no agreement between the practice of the Geomungo and the theory of Sokak Chilji(Chiljo) in some parts. Gongcheokbo gives instructions for 12 Yuls(律) with eight letters including 合․四․一․上․勾․尺․工 and 凡. The Yulbo(律譜) of Geomungo Sanhyeong is based on Gongcheokbo(工尺譜) and is divided in seven units including Hwang(黃)/Dae(大)․Tae(太)/Hyeop(夾)․Go(姑)/Jung(仲)․Yu(蕤)/Im(林)/Yi(夷)․Nam(南)/Mu(無)․Eung(應). There is the repeating Dorye of 12 Yul Sacheongseong(四淸聲) according to Gongcheokbo regardless of the actual pitch of Geomungo Goaes, which is another part of disagreement with the actual practice of the Geomungo. There are seven basic notes(Gungs) of Sokak Chiljo(Chilji), but there are eight Johyeon(調絃) techniques for the Geomungo. Saji(Hoingji) is included both in Naksijo(樂時調) and Woojo(羽調, Wootjo). Despite the same scale, there are differences in Johyeon techniques between Naksijo and Woojo(Wootjo). The present study arranged the Geomungo Johyeon techniques in Akhakgwebeom based on the component sounds including the basic notes(Gungs) of Geomungo Sokak Chiljo(Chilji) as follows: Naksijo Ilji is 夾 for Muhyeon(武絃), Gigoaecheong(岐棵淸), Goaesangcheong(棵上淸) and Yuhyeon(遊絃), 夷 for Daehyeon(大絃), and 無 for Munhyeon(文絃). Iji is 仲 for Muhyeon, Gigoaecheong, Goaesangcheong and Yuhyeon, 無 for Daehyeon, and 黃 for Munhyeon. Samji is 林 for Muhyeon, Gigoaecheong, Goaesangcheong and Yuhyeon, 黃 for Daehyeon, and 太 for Munhyeon. Saji(Hoingji) is for Muhyeon, Gigoaecheong, Goaesangcheong and Yuhyeon, 大 for Daehyeon, and 夾 for Munhyeon. Woojo(Wootjo) Saji(Hoingji) is 夷 for Muhyeon, Gigoaecheong, Daehyeon, and Munhyeon and 夾 for Goaesangcheong and Yuhyeon. Oji(Woojo) is 無 for Muhyeon, Gigoaecheong, Daehyeon, and Munhyeon and 仲 for Goaesangcheong and Yuhyeon. Yukji(Palpaljo) is 黃 for Muhyeon, Gigoaecheong, Daehyeon, and Munhyeon and 林 for Goaesangcheong and Yuhyeon. Chilji(Makmakjo) is 太 for Muhyeon, Gigoaecheong, Daehyeon, and Munhyeon and 南 for Goaesangcheong and Yuhyeon.

      • KCI등재

        거문고 괘율에 관한 조사 및 괘율 분석을 위한 수학적 모형 개발

        신현용 한국국악학회 2014 한국음악연구 Vol.55 No.-

        거문고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악기 중 하나라고 할 수 있고, 괘는 거문고의 중요한 특징이다. 이 연구는 거문고 괘율에 관하여 조사하고, 조사된 자료에 근거하여 괘율을 분석할 수 있는 수학적 모형을 개발한다. 실제로 이 연구는 평균율에 기반을 둔 수학적 모형을 제안하고, 그 모형을 적용하여 조선중기, 근대, 그리고 현대 거문고의 괘율에 관한 변천을 살핀다. 조사 자료와 분석 결과를 근거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다. 1. 거문고에서 괘를 배치할 때 괘율에 관한한 모두가 준수하는 원칙은 없다. 거문고 제작자는 연주자의 취향과 요구를 고려하여 연주자와 논의 후 거문고를 제작하지만, 연주자의 특별한 요구가 없으면 제작자 스스로가 관례적으로 설정한 괘율을 적용한다. 2. 거문고의 괘율로서 (13,2), (14,2) 또는 (16,2)-모형을 검토할 수 있다. 실제로 조선중기 거문고의 괘율은 (16,2)-모형을 따르고, 근대 거문고 괘율은 (14,2)-모형을 따르며, 현대의 거문고는 (13,2)-모형을 따른다. 이로부터 거문고의 괘율은 현대 서양음악의 기본 조율체계인 평균율((12,2)-평균율)에 가까운 방향으로 점점 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오래된 거문고의 제작 연대를 조사할 때, 괘율에 관한 수학모형은 연대 추정을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4. 괘율이 평균율적 수학모형에 근거하면 연주 시 조옮김이 용이하다. 5. 오래된 거문고일수록 괘 사이의 간격이 촘촘하다. 6. 현대 거문고는 조선 시대의 거문고가 낼 수 있던 음보다 더 많은 음을 낼 수 있다. Geomungo is one of the important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of Korea. Gwae is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geomungo. This research is to survey on gwaeyul of geomungo and to develop a mathematical model for analysis of gwaeyul. In fact, the model is based on the surveyed data and it makes it possible to classify geomungo chronically. Based on the data and the results of research, we claim the following: 1. There is no specific regulation for positions of gwae. To manufacture the geomungo, the manufacturer usually discusses the size of geomungo and the positions of gwae with the player. If there is no special requirement from the player, the manufacturer follows his(her) own tradition. 2. The (13,2), (14,2), and (16,2)-model seem to be reasonable models for gwaeyul of geomungo. In fact, gwaeyul of middle period of Chosun follows (16,2)-model, gwaeyul of the last period of Chosun follows (14,2)-model, and gwaeyul of recent ages follows (13,2)-model. From this fact, we know that gwaeyul is gradually approaching the equal temperament((12,2)-model). 3. In order to estimate the date of manufacturing of old aged geomungo, mathematical model can supply useful information. 4. If gwaeyul is based on the mathematical model, music can be easily transposed during playing geomungo. 5. The more aged geomungo is, the narrower the intervals among gwaes are. 6. Compared with geomungo of the Chosun Dynasty, recent geomungo can produce more tones.

      • KCI등재

        琴譜 소재 영산회상 상령산․중령산 악조의 변화

        박희정 국립국악원 2019 국악원논문집 Vol.39 No.-

        Currently, there are many studies on and various opinions about key and mode in the Gyemyoun-jo scale of Yeongsanhoesa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a logical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is the tonality of Yeongsanhoesang and the cause of the change in Gyemyoun-jo scale from the appearance of tae (㑀) by focusing on Yeongsanhoesang’ Sangyeonsan & Jungyeonsan in Geomungo’s old manuscripts. The scales of Gyemyoun-jo of old manuscripts can be divided into the Ounbo before and after the Ounbo. Since the Ounbo, tae (㑀) has appeared in the current Yeongsanhoesang, including old manuscript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for Geomungo. Geomungo’s tuning method of the Isusamsanjae geumbo and the Hangeumsinbo which corresponds to the method of the Yanggeumsinbo, and old manuscript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fter the Ounbo, and Geomungo’s tuning method in the present correspond to Geomungo’s tuning method in the Ojuyeonmunjangjeonsango. However, the more fundamental reason for change is that the only two tuning methods are unified by the Ojuyeonmunjangjeonsango. This change in Geomungo’s tuning method is due to the appearance of tae (㑀) in the Gyemyeonjo scale. Ultimately, the convergence of Geomungo’s tuning method into one allowed the two Gyemyeonjo scales to also become one scales. Finally, the tonality of Yeongsanhoesang can not be said to be pyeongjo simply because tae (㑀) appeared. The tae (㑀) in the Yeongsanhoesang indeed attributed to the change in Geomungo’s tuning method. Pyungjohoesang, which currently moves Yeongsanhoesang down 4 degrees, is Imjong Gyemyeonjo, but it does not match the usual Imjong Gyemyeonjo scale. Once looked closely, it can be said that Pyungjohoesang is also Imjong Gyemyeonjo transferred by Hwangjong Gyemyeonjo because Yeongsanhoesang's Hwangjong Gyemyeonjo scale hwang·tae·jung·im·mu (僙·㑀·㑖·㑣·㒇), which has also seen changes, the scale is in fact down 4 degrees as it is. 본 연구는 현재 영산회상의 계면조에 대한 여러 이견에 대하여 고악보에 나타난 영산회상의 상령산과 중령산을 중심으로 ‘㑀’가 나타나면서 계면조 음계가 변화된 시기와 그 원인을 밝혀 영산회상의 악조가 무엇인가에 대한 논리적인 해답을 얻는 것이 그 목적이다. 고악보에 나타난 계면조의 음계는 『어은보』이전과 이후의 계면조로 구분할 수 있다. 『어은보』이전의 영산회상 악보 중 가장 오래된 『이수삼산재금보』는 僙·俠·㑖·㑣·㒇의 초기 계면조 음계를 갖추고 있었고 18세기 초 『한금신보』는 俠이 탈락된 僙·㑖·㑣·(㒇)의 3음 또는 4음 음계의 계면조라 할 수 있으나, 『어은보』이후부터 19, 20세기의 琴譜를 비롯한 현재의 영산회상에 ‘㑀’가 나타나면서 그 음계는 僙·㑀·㑖·㑣·㒇로 변하였다. 현재 최초의 중령산에 해당하는 『어은보』 영산회상갑탄의 출현음은 㑖·㑣·㒇·黃·太이며 이후 『유예지』를 비롯한 19, 20세기의 琴譜와 현재 중령산의 출현음은 이와 같다. 이러한 출현음만 보면 일견 중려평조로 보일 수 있으나 이는 궁의 체제를 잘못 이해한 것으로, 중려궁이라면 조현법상 모든 개방현이 중려궁에 해당하는 조현법으로 바뀌었을 때 성립되는 것이다. 또, 가곡의 경우를 보더라도 괘법의 이동이 악조의 변화와는 무관함을 알 수 있다. 『어은보』이후 변조에 의한 거문고 조현법에 변화가 있었고 이로 인해 계면조 음계에 㑀가 나타나게 되었는데 중령산의 경우는 이와 동시에 괘법의 이동으로 음역이 확대된 것이다. 또, 『어은보』의 영산회상갑탄에서 ‘갑탄’은 ‘곱놀이’라 하여 넓은 음역으로 올려서 연주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중령산 이하 7괘법의 곡은 음역이 확대되어 음이 높아졌을 뿐 영산회상의 음계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거문고 조현법은 시기적으로 보면 『어은보』 이전의 『이수삼산재금보』와 『한금신보』의 거문고 조현법은 『양금신보』의 조현법에 해당되며, 『어은보』이후 19, 20세기의 琴譜와 현재의 거문고 조현법은 『오주연문장전산고』의 거문고 조현법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보다더 근본적인 이유는 『악학궤범』7지 이후 거문고 조현법의 감소로 인하여 『양금신보』때에는 임종궁과 황종궁 조현법만 남게 되었고, 『오주연문장전산고』에 이르러 이 두 조현법이 하나로 통일되었다. 이러한 거문고 조현법의 변화는 계면조 음계에 㑀가 나타나는 원인이 되었기 때문이다. 『양금신보』의 평조(임종궁)와 우조(황종궁) 거문고 조현법이 『오주연문장전산고』의 거문고 조현법으로 통일된 것은 『악학궤범』에 의한 변조의 원리가 그 바탕이 된다. 계면조의 경우 평조인 임종계면조와 우조인 황종계면조는 변조에 의한 관계이며 문현과 무현을 제외한 유현과 대현 그리고 괘상·괘하청의 조율은 모두 같다. 이후 『오주연문장전산고』의 거문고 조현법은 이 두 조현법의 문현과 무현의 조현법을 통일하게 되면서 하나의 단일화된 거문고 조현법이 형성되었으며 계면조 음계 또한 두 계면조 음계가 하나의 음계가 되었다. 즉, 임종계면조의 음계인 㣩·㣳·僙·㑀·㑖과 황종계면조인 僙·㑖·㑣·㒇가 겹쳐져 하나의 계면조 음계가 되면서 㑀가 나타나는 僙·㑀·㑖·㑣·㒇의 변화된 계면조 음계를 이루게 되었다. 그러므로 영산회상의 악조를 단순히 㑀가 나타났다는 이유로 평조화되었다고 할 수 없으며 영산회상에 나타 ...

      • KCI등재후보

        고전문학 : 거문고의 음향에 대한 비유적 심상 -고전문헌의 내용을 중심으로-

        정하운 ( Ha Un Ju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3 漢城語文學 Vol.32 No.-

        물소리에 비유한 경우에서는 물계자의 일화가 그 효시라고 볼 수 있으며, 다양하고 세분된 정서로 표현되어 문장을 이끌고 있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 거문고와 물소리의 시청각적 맑음을 통해 마음의 정화를 꾀하거나, 자신의 처지를 반영하기도 하고, 의인화된 표현도 발견되고 있다. 바람소리에 비유한 경우에서는, 바람·자연과 사물과 거문고에 부딪히는 소리 등을 표현하여 작가 자신도 자연과 일체가 되고 싶은 심회도 드러내 보이고 있다. 바람과 물소리에 비유한 경우 중에는, 거문고 소리는 맑고 그윽하다고 하였으며, 소리가 옛 뜻에 부합되면, 심신이 맑아지고 가볍게 여겨진다고 하고 있다. 사람 목소리에 비유한 경우에서는, 글 읽는 소리와 목소리의 억양을 거문고 소리에 비유하기도 하였다. 기타의 경우에서는, 시상에 풍경화를 그리기 위한 경우와 현악기의 공명이 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한편, 청각적 감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의성어가 연상되게 하고, 음악외적 이면을 심화하여 표현하기도 하고, 거문고의 음향과는 거리가 먼의성어로 표현하기도 했다. 그리고 자연과 거문고 울림의 추구하는 바가 상통하고 있음을 표현한 점도 발견되고 있다. 백결선생의 방아 찧는 곡조를 연주했다는 고사를 인용한 문장도 있다. 또 자연의 음향이 어느 악기연주보다도 심신이 맑고 깨끗해진다고 하였다. 이는, 거문고 울림이 자연의 소리에 가까워야 된다는 경지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정신성이 부여되지 않은 연주는 불필요한 연주로 표현한 경우도 있다. When compared to the sound of water the anecdote of general Mulgyeja can be seen as the prototype, the point that it leads the sentence through expression with varied and fine-grained emotion has been confirmed. Through audiovisual serenity of Geomungo and water sound it is designed to seek the purification of the heart, and to reflect their plight, and their anthropomorphic representations have been found. When compared to the sound of the wind, through expression of sounds resulting from the wind`s crashing into the nature and objects with Geomungo the artist himself also wishes to show his own emotion to be united with the nature. Among when compared to the wind and the sound of water, the Geomungo sound was said to be clear and graceful, when the sound meets the old intention, the mind and body has been considered to be clear and light. When compared to the human voice, the text reading voice and voice intonation have been also compared to the sound of Geomungo. In other cases, the case to draw the landscape in a poem image and the resonance of strings varies depending on the place are highlighted. On the other hand,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auditory impressions has reminded us of onomatopoeia, the hidden side out of the music has been also intensified and expressed, and it has been often represented in onomatopoeia far from the sound of Geomungo. In addition the point has been found that the nature and resonance of Geomungo have something in common to seek. There is also an excerpt of the sentence to quote the anecdote that the teacher Baekgyeol was playing the tune to beat rice in a mortar. In addition, the natural sound has been said to make our mind and body clearer and cleaner than playing any other musical instrument. This seems to be seen to reflect the ground that the sound of Geomungo has to be near the sound of the nature. And the performance spiritually not granted has been also expressed as unnecessary one in some cases.

      • KCI등재

        예악 사상과 인성 계발에 관한 소고

        윤병천 한국국악학회 2014 한국음악연구 Vol.56 No.-

        한국 전통음악이 한국 음악계 전체에 차지하는 위치는 아주 미비하다는 것은 누구나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현실은 단순히 한국 전통음악이 우리의 것이기 때문에 서양음악보다 우위를 차지해야 한다는 민족적 감성에 기인하는 논리로서는 돌파구를 찾기 어렵다. 오히려 보다 근본적으로 그동안 음악 교육에 있어서 한국 전통 음악이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과 역할이 제대로 연구되지 못했던 현실을 지적하면서, 인성의 계발과 인간성의 회복이 어느 때보다도 더 요구되는 이 시대에 대한 응답으로서 한국전통음악의 새로운 가치와 역할을 찾아내는 일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일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인은 이러한 문제의식의 발로에서 인격의 완성과 인성의 계발에 있어서 한국전통 음악의 철학사상, 즉 예악사상의 가능성을 송대(宋代)의 성리학서인『심경부주(心經附註)』를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특히, 인격 완성에 있어서 백악지장(百樂之丈)으로서 중요하게 여겨졌던 금의 특징과 우리 인성관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오늘날 금의 특성이 인성 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가능성을 지녔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학에 있어서 ‘수신’은 모든 학문의 근본이 된다. 유학이 제시하는 여러 가지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이 있다 하더라도, 인간의 본성은 본래 맑고 고요하다는 것이 주류적 입장이다. 하지만 유학의 많은 학자들이 제기하는 문제는 바로 사람의 본성이 본래 맑고 고요하다 하더라도 마음은 맑을 때가 적고 어지러울 때가 많으므로 수신의 학문을 통하여 군자로서의 인격을 다스리고 기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때 ‘예악은 잠시라도 수신을 떠날 수 없는 것’은 근본적인 수신의 학문이자 방법이었다. “삼대(三代)의 임금은 그 세자를 가르치는 것을 반드시 예와 악으로 했다.”고 하는 것이나 예악이 입덕(入德)의 문호라고 여겼던 것은 바로 예악과 인성의 다스림이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가져왔던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일 것이다. 인성의 계발과 완성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마음의 고요를 기르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앞에서 제기한 것처럼 그 마음의 고요가 욕심의 발로에 따라 세상에서 부딪치는 수많은 경계에 따라서 요동한다는 것이 문제이다. 따라서 인성을 다스리는데 있어서 고요와 움직임의 그 마음의 미묘한 상태를 잘 인식하고, 깨지고 흐트러지기 쉬운 마음을 어떻게 하면 잘 다스리는가가 그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도에 잠심해 있다가 문득문득 다른 생각에 끌려가는 것, 이것이 기(氣)인데, 인격의 완성에 있어서 바로 제멋대로 흘러가는 이러한 기질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어떻게 다스리는가가 관건이다. 그리고 유학에서는 그 마음의 동과 정 사이에 마음을 잘 다스리는 것을 경(敬)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그러한 ‘경’을 기르는데 있어서 수많은 악기 중에서도 왜 오직 금 즉 거문고만이 악기 중의 으뜸이라 하여 수많은 선비들에게 연주되어 왔을까? 그에 대한 답으로 바로 금이 인간의 흐트러지기 쉬운 기질을 변화시키고 그 기질을 순하게 길들이는데 아주 적합하였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금의 악기의 핵심은 “무성(無聲)에서 한번 소리가 울리고 여운이 끊겨 느직하게 연주하는 사이 사이는 정(靜)을 기를 수 있는 것이 된다.”는데 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인성을 다스리는데 있어서 금에 주목해야하는 이유이다. 경(敬)의 공부가 주로 정(靜)할 때 이루어졌다. 하지만 문제의 핵심은 동정(動靜)을 일관(一貫)하는 경(敬)공부를, 동(動)할 때에도 간단(間斷)없이 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인데, 바로 금(琴)의 연주를 통해서 경의 수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던 것이다. 백악지장으로 불려왔던 금(琴)의 원리를 교육에 적용하면 이것이 곧 성학(聖學)으로서 인격도야로 활용되었던 금의 비밀을 밝히는 것이 될 뿐만 아니라, 오늘날 음악교육 전반에 있어서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는 일이 되지 않을까. 보다 실용적인 응용의 방법과 연구는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본다. When we consider the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Korea, it is difficult to deny the truth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neglected and has even been the subject of discrimination. This is particularly true in the field of education. Under these difficult circumstances, we cannot simply solve this problem through an emotional appeal to love and respect “our Korean music” as Koreans. Instead, I would like to highlight the lack of research and study that deal with the potential role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could play in education. Moreover, I believe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can provide the solution to many of our society’s contemporary problems, which are caused by a loss of humanity. This study originated from my strong belief that the study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an provide new ideas and a new perspective on how to cultivate humanity in Korean society. In this paper, I call attention to the central problem fac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n Korea while at the same time providing an explanation of the philosophical basi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particular, I focus on the cultivation of human na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Ye-ak[禮樂] in the book of Simgyeongbuju[心經附註]. In this study, I also highlight the important link between the geomungo, which has been considered the core instrument among all traditional instruments, and the cultivation of human nature and humanity. In the philosophy of Confucianism, Ye-ak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tool in the study and practice of the cultivation of human nature. Although there are many perspectives on how to view human nature in Confucianism, the “main stream” view of human nature is that the nature of all humans is originally calm and tranquil. However, many academics have argued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original calm and tranquil nature of our mind because of the mind’s characteristic of being easily distracted by outer or internal stimuli. That is why, in Confucianism, the cultivation of the original human nature is regarded as the highest pursuit and the practice of music is the main method used to cultivate our original human nature. In Confucian philosophy, the contemplation of Ye-ak is regarded as the main path to the cultivation of humanity. For example, the kings of the Yaoshun [堯舜] dynasty selected Ye-ak as one of the main subjects to be taught to their princes. It has been said that music is the gateway to the practice of virtue. This may be an example of the close link between music and humanity. In the cultivation of humanity, the key issue is how to cultivate calmness and tranquility in a human mind which is easily distracted by outer or internal stimuli. This is why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two characteristic sides of the human mind: calmness and fluctuation. In Confucius philosophy, the concept of Gi[氣] contains a natural tendency toward flowing movement. Particularly, the main characteristic is that calm mind flows easily to distracted thoughts. Changing the tendency of a fluctuating mind into a calm and stable state of mind is the key point in the cultivation of humanity. In Confucianism, the name for the practice of maintaining a calm and stable state of mind is called gyeong[敬]. Why is it that only the geomungo[琴] has been used in the practice of gyeong, and why is it called “the core instrument among all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geomungo has a special characteristic that is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the mind: a sound that arrises from silence, and then soon fades away, leaving only a remaining sense of calm and composed sound. This sound is followed by another sound, which again fades out in the same way. In between these sounds, with the slow change from sound to silence guided by the gentle plucking of the geomungo, our minds become naturally calm and composed. This is the reason why we should take note of the importance of the geomungo. The practice of gyeong can be naturally accomplished through the practice of playing or listening to the geomungo. When it comes to the cultivation of the mind, the critical moment is when our mind first shows a tendency toward distraction and fluctuation. If we apply the principle of geomungo to education we can not only discover the secret of the geomungo as the foremost instrument used in the cultivation of human nature, but also open new possibilities for applying these principles to the education of music in Korea. I also hope that this idea will serve as a platform from which studies of greater depth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music education may be undertaken.

      • KCI등재

        거문고 병창의 아동 전통음악 참여 동기에 대한 콘텐츠 활용방안 고찰 - 적벽가 中 새타령의 노래 선율과 거문고 선율의 연주 구조를 중심으로 -

        곽미정,이진경,황석영,조영일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5 No.2

        이 논문에서는 거문고 병창의 아동 전통음악 참여동기에 대한 콘텐츠 활용방안 고찰을 적벽가 중 새타령의 노래선율과 거문고 선율의 연주구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통상적으로 노래선율과 반주선율의 관계에 있어서 거문고의 역할은 노래선율의 반주 역할 외에도 장단, 지휘의 기능을 할 뿐 아니라 노래의 선율을 강조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야금병창에서 가야금의 역할과 동일하게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야금 병창과 달리 거문고 병창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쾌동에 이어 김영재에게 전해지는 것은 3곡밖에 되지는 않으나 최영훈이 남도 민요와 판소리의 새로운 레퍼토리로 거문고 병창을 했다는 것은 거문고 병창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거문고 병창이 성악양식의 한 장르로 활성화될 뿐 아니라 전통음악의 전수를 위한 아동의 전통음악 참여동기에 대한 콘텐츠로도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전통음악의 전수를 위하여 남도 민요와 판소리 뿐만 아니라 경기민요와 서도소리 등의 다양한 노래 선율과 창법에 맞춰 거문고 연주의 주법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이를 아동의 전통음악 참여동기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방안은 향후 거문고의 문화적 가치를 함양하고 후손에게 예술적 문화전승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라 사료된다. 이에 본 논문이 거문고의 세대 간 문화전수 및 콘텐츠 개발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In this paper, the study on the use of contents for children's traditional music participation motivation in Geomungo Byeongchang has been focused on the performance structure of the singing melody and the lyric of the saetaryeong among the red-walled streets. Usually, Geomungo's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ng melody and anti-mainstream rate is not only to play the role of accompaniment, but also to emphasize the melody of songs as well as to play the role of rhythm and direction.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ayageum is playing the same role as the gayageum in the Gayageum Byeongchang. Unlike Gayageum bars, however, Geomungo bars are not activated. There are only three songs to be passed on to Kim Young-jae following Sinheung-dong, but the fact that Choi Young-hoon had a military funeral for Geomungo with a new repertoire of Namdo folk songs and pansori shows new possibilities for Geomungo Byeongchang. For the transfer of traditional music,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methods of playing Geomungo in accordance with various singing melodies and singing styles such as Gyeonggi folk songs and Seodo sori, as well as continuous content development research on how to use it as a child'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raditional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