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전문헌에 나타난 거문고의 명칭에 대한 연구 = Study of Names of Geomungo in Classical Litera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73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의 전통악기 중 하나인 <거문고>는 <백악지장(百樂之丈)>으로, 또는 현악기의 통칭으로 불리면서 고구려에서 제작, 통일신라의 <금도(琴道)>를 이루었고, 고려와 조선 선비...

      우리의 전통악기 중 하나인 <거문고>는 <백악지장(百樂之丈)>으로, 또는 현악기의 통칭으로 불리면서 고구려에서 제작, 통일신라의 <금도(琴道)>를 이루었고, 고려와 조선 선비들의 수양을 위한 필수품으로서 독창적인 이면(裏面)에 대해 찬사를 받아가며 오랜 세월 광범위한 영역에서 다양한 역할을 해왔으나, 실용성의 여부와 연주방식의 어려움으로 그 위상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거문고(玄琴)>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 「악지」의 <현금(玄琴)>조에 있고, 『악학궤범』의 권지 칠에도 <현금(玄琴)>이라고 기록되어져 있다. 고전문헌 안에서 중국의 <금(琴)>에 대한 음악사상이 <거문고>의 음악사상을 대신하고 있는 걸로 보아 <거문고연주자>의 음악정신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확인된다.
      <금>의 표기가 <재래현악기>와 <가야금>을 포함하고 있는 점과 <금>의 이칭이 <거문고>의 이름으로 사용된 점에서 <거문고>의 무형적 가치 중 상당한 부분이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국사기』에서는 <칠현금>을 개조하여 만들었다고 했으나, 일본학자들은 <와공후>임을 주장하고 있으며, 중국 음악학계에서 밝혀진 <위진시대 와공후>가 <거문고>의 전신(前身)이라는 해석이 한·중·일 학자들 간에 논의되고 있다. <칠현금>의 전래 전에 유사한 악기로 추정되는 고분벽화의 <금>을 <현금>으로 보는 국내학자와 <와공후>로 보는 일본학자의 의견대립이 있고, <거문고>로 주장하는 국내학자들도 견해의 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거문고(玄琴)>·<금(琴)>·<고토(こと: 琴)> 외에 성경(Bible)에서도<거문고>로 해석된 서양 현악기의 기록이 발견되고 있어, 이미 고대에서부터 구한말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체형이 비슷한 현악기는 <거문고>로 해석 또는 번역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금>의 이칭이나 특정 연주가와 관련되어있는 악기이름이 <금>의 사상과 함께 수입되어져 우리 고전문헌 안에서 <거문고>를 대신했으며, <금>의 연주에서 비롯된 미학적 요소와 사상들을 <거문고연주가>들은 답습하게 되었고, 우리의 선비들은 <금>·<슬(瑟)>·<거문고> 등을 통칭하는 의미로 <거문고>를 설정하여 중국의 음악사상과 함께 수용한 것으로 판단이 된다.
      <금>은 고려 예종 11년(1116)때 들어와 <문묘제례악>에 <슬>과 함께 쓰이다가 한말(韓末)에 주법(奏法)이 끊어졌다. <가야금>과 <슬>은 각각 오른손과 양손 손가락으로 뜯는 점, 줄(絃)의 수와 크기만 다를 뿐, 별 차이가 없는데, <금>과 <거문고>는 구조와 <탄주(彈奏)>형태에서 차이가 있다. 문헌의 내용에 <금>·<슬>·<거문고> 등의 재료나 부품은 오동나무·명주실과 <금>의 <휘(徽)>·<줄(絃)>, <슬>의 <주현(朱絃)>·<주(柱)> 등이 있으며, <거문고>의 부품명인 <안족(雁足)>·<괘(棵)>·<술대(匙)>에 대한 표기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명금(名琴)들은 고사(故事)의 내용을 갖추고 있어, 제작자의 품격·재능, 당시대의 배경·사상 등을 이면(裏面)에 동반하여 고전문헌상의 내용을 상징과 은유로 견인하면서 <거문고>의 사상에 관여하고 있다. <금>의 명인들이 고전문헌에 남긴 체취는 우리 선비들의 <거문고사상>으로 재탄생하였다. 명금, 금의 명인, 명곡 등의 표면 또는 이면(裏面)으로부터 취한 음악적·문학적 사상과 그 외의 미의식을 내재한 어휘나 문구들은 우리의 고전문헌에 유입되어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투영되어졌다.
      <거문고>를 예악과 수양의 도구로 생각했던 ...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omungo”, a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was called baekakjijang (meaning the best musical instrument of all) or as the collective name for string instruments. It was produced in Goguryeo, and Geumdo, the theory and techniques of geomu...

      “Geomungo”, a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was called baekakjijang (meaning the best musical instrument of all) or as the collective name for string instruments. It was produced in Goguryeo, and Geumdo, the theory and techniques of geomungo, was accomplished in Unified Silla. Classical scholars of Goryeo and Joseon praised its unique aspects as an essential instrument to cultivate their mind. It played various roles for a long time. However, due to its impracticality and difficult playing techniques, its status is falling. The record of geomungo is in Chapter Hyeongeum, ‘Akji’ of Samguksagii, and volume 7 of Akhaguebeom has it recorded as Hyeongeumi. Chinese musical ideas about geum in classical literatures represent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It tells that Chinese ideas influenced the musical ideas of geomungo players. Considering that the word geum include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s and gayageum and that another name for geum was geumungo, it was deducted that significant parts of intangible values of geomungo were introduced from China. In Samguksagi, it was explained to have been created by remodeling chilhyeongeum, but Japanese scholars argue that it originated from wagonghu. Also, scholars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discussing that wagonghu of Wei and Qin era found in Chinese musical academic circles is the origin of geomungo. Korean scholars consider geum in ancient tomb murals which is assumed to be a similar instrument before the introduction of chilhyeongeum as hyeongeum, but Jananese scholars are disagreeing because they consider it as wagonghu. Even some Korean scholars believe that is is geomungo. Beside geomungo, geum and goto, the Bible has a record of a western string instrument that is interpreted as geomungo. It tells that similar looking string instruments were interpreted or translated as geomungo from the ancient times until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 Japanese Rule Era. Another name for geum or names of musical instruments related with certain players were introdueced with the ideas of geum to replace geomungo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Aesthetic elements and ideas of playing geum were succeeded by geomungo players. It seems that Korean classical scholars selected ‘geomungo’ as a collective name for geum, seul, geomungo and other similar instruments and adopted the concept with Chinese musical ideas. Geum was introduced in the 11th year of King Yejong, Goryeo (1116) and was used with seul in music for Confucian ceremonies, and its techniques were stopped at the end of Korean Empire Period. Gayageum and seul are similar in that the right hand and the both hands fingers except that they have different numbers and sizes of strings. However, geum and geomungo have different structures and techniques. Literatures include sentences explaining that materials and parts of geum, seul, geomungo and such are royal foxglove tree and silk strings, of geum are hui and jul and of seul are juhyeon and ju. However, it is hard to find uses of anjok, gwae and suldae which are names of parts of geomungo. Famous geums have contexts of history. Along with dignity and talents of producers and backgrounds and ideas of the period, they symbolizes or metaphorizes contexts of classical literatures to be involved with the ideas of geomungo. Traces of famous geum players left in classical literatures were reborn as geomungo ideas of Korean classical scholars. Musical and literary ideas from surfaces or belows of masters and famous songs of famous geums and words and phrases showing other aesthetic senses were used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hysically or chemically. Joseon scholars considered geomungo as the tool of manners and cultures. Therefore, it can be deducted that they would have possessed one essentially and that there would have been many players. The instruments played by Mulgyeja and Master Baekgyeol seemed to be a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 not geomungo or 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조, "홍재전서"

      2 권상하, "한수재선생문집"

      3 송방송, "한국음악사 연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93

      4 "한국 민속의 세계 6-민속예술·공예"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5 김성혜, "한국 고대음악의 연구의 검토Ⅰ" 한국음악사학회 11 : 1993

      6 한흥섭, "한국 고대 음악사상" 예문서원 2007

      7 김성일, "학봉속집"

      8 조익, "포저집"

      9 성대중, "청성잡기"

      10 송방송, "증보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1 정조, "홍재전서"

      2 권상하, "한수재선생문집"

      3 송방송, "한국음악사 연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93

      4 "한국 민속의 세계 6-민속예술·공예"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5 김성혜, "한국 고대음악의 연구의 검토Ⅰ" 한국음악사학회 11 : 1993

      6 한흥섭, "한국 고대 음악사상" 예문서원 2007

      7 김성일, "학봉속집"

      8 조익, "포저집"

      9 성대중, "청성잡기"

      10 송방송, "증보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11 이유원, "임하필기"

      12 김안로, "용천담적기"

      13 성현, "용재총화"

      14 박지원, "연암집"

      15 아가페큰글성경편찬위원회, "아가페 큰글성경" 아가페서원

      16 안정복, "순암선생문집"

      17 洪貴達, "속동문선"

      18 허침, "속동문선"

      19 이익, "성호사설"

      20 허균, "성소부부고"

      21 권필, "석주집, 海東雜錄"

      22 신흠, "상촌선생집"

      23 金富軾, "삼국사기(三國史記)"

      24 김세렴, "사상록(槎上錄)"

      25 서거정, "사가시집"

      26 이색, "목은시고"

      27 안정복, "동사강목(東史綱目)"

      28 설순, "동문선"

      29 유숙, "동문선"

      30 우천계, "동문선"

      31 姜碩德, "동문선"

      32 이규보, "동국이상국전집"

      33 홍대용, "담헌서(湛軒書)"

      34 장유, "계곡선생집"

      35 최립, "간이집"

      36 이곡, "가정집"

      37 "韓國音樂硏究" 韓國音樂學會 1981

      38 韓明熙, "韓國 音樂美의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4

      39 成百曉, "詩經"

      40 정약용, "茶山詩文集"

      41 김창업, "老稼齋集"

      42 성중엄, "續東文選"

      43 朴堧, "樂學軌範"

      44 장사훈, "國樂總論" 正音社 1976

      45 일연, "三國遺事"

      46 일연, "三國遺事"

      47 金富軾, "三國史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6 1.43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