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레기-치유’를 위한 문학 윤리

        우찬제 문학과환경학회 2020 문학과 환경 Vol.19 No.2

        In solving the problem of the garbage the ethics of the people is as important as the political endeavors or technological innovations. If we can produce less garbage, rather than struggling how to dispose of or recycle the produced garbage, the economic and ecological benefits would be enormous. Among the many ways to approach the issue of the ethics of the people, the literary approach is culturally meaningful and has proved powerful in promoting ethical consciousness. In this paper, I’d like to discuss ethical ideas that some works of the Korean writers present to solve the problem of garbage in three aspects. First, Korean writers articulate the ethics of “life without waste” and the importance of controlling excessive desires. They criticize the surplus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capitalist society, which causes enormous amount of unnecessary garbage. They think we can reduce the garbage by controlling our desire, the very source of this “surplus” culture, which is in line with the ethics of traditional Buddhism. Secondly, they propose a new perspective that garbage is not an object to be disposed but an object to be cured. This approach gives us a new insight by allowing us to see garbage from the point view of garbage. Thirdly, they present a new ecological attitude toward garbage based on the Korea’s traditional idea of the unity of heaven�earth-humankind. If people practice this idea of symbiotic and circulatory life, garbage would be reduced dramatically. The ethics of “garbage healing” is a viable ethic for our “old future.”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나 과학기술적 해법 못지않게 시민 윤리가 중요하다. 발생된 쓰레기를 재활용하거나 처리하는 문제 이전에 쓰레기를 덜 배출하게 된다면, 경제적 생태적 측면에서 이득이 크기 때문이다. 쓰레기를 감량하기 위한 시민 윤리는 여러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지만, 그 중 문학 상상력을 통한 접근 방안은 문화적으로 의미심장하다. 문학 작품이 시민의 덕성을 함양하는데 유의미하다는 것은 이미오래 전부터 논의되었다. 본고에서는 한국문학 작품에 나타난 상상력이 쓰레기 문제 해결에 어떤 윤리적 메시지를 주고 있는가를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했다. 첫째, 한국문학은 욕망의 조절과 ‘낭비 없는 삶’의 윤리에 대한 관심을 표명한다. 자본주의 전개 이후잉여 생산, 잉여 소비, 잉여 소유로 인해 쓰레기가 과잉 생산되는 경향에 있으므로, 잉여의 원동력인 욕망을 조절해 낭비를 줄이면 쓰레기를 줄일 수 있다는 생각이다. 이는 전통적 불교 생태학의 윤리와도 통한다. 둘째, 한국문학은 쓰레기가 폐기의 대상이 아니라치유의 대상이라는 윤리를 제안한다. 인간의 관점에서 쓰레기를 사유하지 않고, 쓰레기의 관점에서 상상하여 치유되고 재활용될 수 있다는 상상력을 펼친다. 이는 쓰레기 재활용 정책 홍보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공유 가치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는 문학 윤리이다. 셋째, 심층적으로는 한국의 전통적 사유인 천-지-인 합일 사상에 입각한 쓰레기 다시 바라보기의 윤리이다. 생태적으로 순환하고 공생하는 환경에서라면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거나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쓰레기-치유’의 문학 윤리는 ‘오래된 미래’의 윤리이기도 하다.

      • KCI등재

        발효소멸기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 및 악취제거

        고래현,이강형,유진수,송홍규,Koh, Rae-Hyun,Lee, Kang-Hyoung,Yoo, Jin-Soo,Song, Hong-Gyu 한국미생물학회 2006 미생물학회지 Vol.42 No.4

        음식물쓰레기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 발효소멸기를 제작하고 유기물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들을 접종하여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과 악취제거능을 조사하였다. 먼저 Bacillus subtilis (cellulase 생성), Bacillus cereus (amylase 생성), Sphingobacterium faecium (protease 생성)를 분리하여 효소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각각 최대 153, 219, 412 unit/ml의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간헐적 통기시의 감량효율을 검토한 결과 15일 후 접종시료가 약 11%, 비접종시료가 3.4%의 분해율을 나타내었다. 간헐전 통기시 pH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처리효율이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통기시키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 효율을 측정한 결과 간헐적 통기에서의 처리 효율에 비해 약 10% 정도 분해율이 증가했고, 교반기 내부의 pH가 5$\sim$7 수준에서 유지되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가장 적합한 조건을 찾기 위해 pH와 온도를 조절하면서 분해효율을 조사한 결과 pH 7, $30^{\circ}C$에서 15일 후 가장 우수한 35%의 분해효율을 나타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해 biofilter를 제작, 장착함으로써 제어하고자 하였다. 황 화합물을 산화시키는 홍색비유황세균을 함유한 biofilter를 장착함으로써 5$\sim$6배 정도로 복합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었으며, 악취 원인물질 중 중요한 황 화합물인 methylmercaptan은 213 ${\mu}g/L$에서 158.6 ${\mu}g/L$으로, hydrogen sulfide 또한 2473.8 ${\mu}g/L$에서 1262 ${\mu}g/L$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음식물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 및 악취제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미생물자원의 확보 측면에서도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Disposal of food garbage in most large cities is very troublesome task. To date, microbiological treatment has been received an attention as a garbage decomposition process. In this study, the inoculation effect of some cellulase, amylase and protease-producing bacteria and photosynthetic bacteria on food garbage treatment was examined. They were added into a treatment reactor specially designed in this study together with food garbage and incubated in various conditions for 15 days and the removals of food garbage and foul smell produced during the treatment were analyzed. Average decomposition percentages of the inoculated food garbage in treatment reactor were 11 and 18.8% under intermittent aeration (once in a day) and continuous aeration conditions (2 L/min), respectively, and these were higher than removal percentages in the corresponding uninoculated reactors,3.4 and 13.8%. Optimal pH and temperature for food garbage decomposition by inoculated bacteria were pH 7.0 and $30^{\circ}C$. Maximal decomposition percentage in the inoculated food garbage was 35% under the optimal condition (pH 7, $30^{\circ}C$, and continuous aeration). The malodor compounds generated from food garbage treatment such as complex foul smell and sulfur compounds were effectively reduced about 84% and 25.5%, respectively, with a biofilter composed of purple nonsulfur bacteria trapped in sponge. This decomposing capability of food garbage by these bacteria can be utilized for the rapid and efficient treatment of food garbage.

      • KCI등재

        부피 예측을 통한 IoT기반 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문미경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7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3 No.1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기술은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이 사람의 도움 없이 새로 정보를 주고받으 며, 사람들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현재 각 구역마다 이루어지고 있는 쓰레기 수거는 쓰레기 수거차가 정 기적으로 순환하여 쓰레기를 수거한다. 이런 경우, 어떤 구역에는 수거차 적재량의 반도 안차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고, 또 다른 구역에서는 수거차 적재량보다 초과되어 모든 쓰레기를 한 번에 수거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거용 쓰레기 배출량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이를 실현한 제품 및 관리 시스 템의 개발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쓰레기 부피 예측은 IoT기술을 활용하여 쓰레기 부피를 실시간 측정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 값을 대시보드를 통해 가시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구역별 쓰레기 발생량을 예측하고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IoT기술이 거리의 위생을 지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allows devices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exchange information without human intervention, and to provide useful services to people. Currently, garbage trucks are regularly dispatched to collect garbage. In such a case, garbage may be less than half of the garbage collection capacity in some area, and garbage may be exceeded in another area so that garbage trucks can not collect all at once.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amount of garbage to be collected and describe the development contents of the product and management system. The prediction of garbage volume was made possible by using IoT technology to measure the volume of garbage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measurement values are visibly displayed through the dashboard, so that the amount of garbage generated can be predicted and managed. This will allow IoT technology to help keep street hygiene.

      • KCI등재

        대도시 음시물쓰레기 재활용 방안 평가

        홍상표,Hong, Sang Pyo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999 환경영향평가 Vol.8 No.1

        Community residents are tend to evade waste treatment facilities such as waste landfills, waste incinerators. Therefore, decision-makers of waste management are concerned about the reduction and recycling of food garbage. As a treatment alternative of food garbage which consists of 30% of municipal waste, producing compost and feed stuff from food garbage is environmentally amenable. I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food garbage are putrid and high moisturized, methods of landfilling and incineration for food garbage are environmentally inadequate.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ood garbage recycling, separate discharge, establishment of collection system, securing of market for compost and feed stuff manufactured from food garbage, and tax and financial incentives for food garbage recycling facilities are necessary.

      •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Countermeasures of the Risk of "City Besieged by Garbage" in China’s Capital Cities

        Chen JingRui,Cui Jing,Chen A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7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학술대회 Vol.2017 No.12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hinese is under the risk of "city besieged by garbage", although the local government introduced the relevant policies to work out this problem ,the risk of "city besieged by garbage" should be taken seriously with the status of city population continue to accumulate. This research choose 31 provincial capital of China as sample, using multidimensional spatial data software identify the number and size of informal landfill space around the sample, gets the index of "trash stock index". On this basis, establish the index system of the risk of "city besieged by garbage" to identify risks for 31 provincial capital of China, according to ranking and status give suggestion for government and improve garbage disposal issues.

      • KCI등재

        가정의 음식물찌꺼기 분리수거 방안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 연구

        신항식(Hang-Sik Shin),황응주(Eung-Ju Hwang) 유기성자원학회 1998 유기물자원화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의 음식물찌꺼기 분리 수거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질적으로 분리 수거의 주체가 될 각 가정의 배출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분리 수거에 대한 의식과 성향을 조사하였다. 설문 응답자들의 음식물찌꺼기 보관/배출/수거 주기에 대한 의견을 종합하면 음식물찌꺼기로 인한 냄새 발생등을 최소하기 위해서는 매일 음식물찌꺼기를 버려야 하지만 자주 버리는 것으로 인한 번거로움도 있으므로 집안에서 2-3일간의 음식물찌꺼기를 현행 종량제 봉투와는 크기가 다른 비닐 봉투 등 별도의 음식물찌꺼기 용기에 모아 두었다 집밖의 분리 수거통에 배출하면 수거하는 쪽에서는 매일 분리 수거통에 모아진 음식물찌꺼기를 수거해가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리고 이때 사용되는 보관 및 배출 용기는 크기를 이틀 발생분(1. 87L ,약 2L) 또는 3일 발생분 (2.8L,약 3L) 의 두가지로 제작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음식물찌꺼기의 보관 및 배출에 적당한 용기는 비닐 봉투가 좋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비닐 봉투는 일회용이라는 점이 응답자들의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봉투의 적정 가격에 대한 조사결과 전용 봉투의 가격은싸게 하면 분리수거에 효과가 있겠으나 발생량 감소에는 그 효과가 미지수이며 비싸게 하면 발생량 감소에 효과있는 반면 분리수거에는 역효과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안으로서 봉투를 2가지 형태로 판매하는 방식이 제시되었다. To suggest the separate collection system of garbage in household. people’s disposition was evaluated. It was indicated that garbage be collected daily to minimize the odor which was major nuisance from garbage. However. most people wanted to discharge garbage in two or three days interval. as they did not prefer frequent handling. 80. proper size of garbage container was determined as two to three days capacity. In contrast with it. it was major opinion that dicharged garbage should be collected everyday by local government to eliminate the outdoor pol1ution. Plastic bag was the most popular container. as it could be used instant1y. Price of the bag affected on the efficiency of reduction and separate collection of garbage. Low price increased the separate collection and decreased the reduction. while high price introduced the opposite result. 80. the dual price system was suggested to enhance both objectives.

      • KCI등재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단순존재효과, 친환경 태도, 그리고 자의식의 역할

        김담율,김종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presence of another person and an individual's eco-friendly attitude on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to promote eco-friendly behavior. The situation was set with two conditions: being alone and being with another pers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sence of another person and eco-friendly attitudes was analyzed to confirm how social influence due to the presence of others affects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Additionall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presence of another person and the influence of eco-friendly attitudes on garbage separation are mediated by self-consciousness. Self-consciousness was divided into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was higher under the condition of being with anyone than under the condition of being alone, and the higher the eco-friendly attitude was, the higher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was.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sence of another person and the eco-friendly attitud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under the condition of high eco-friendly attitude. However, under conditions with low eco-friendly attitudes, being with another person showed a higher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than being alone.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sciousness,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found to mediate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of another person on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was found to mediate the influence of eco-friendly attitude on the intention to separate garbage.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social influence on individual eco-friendly behavior, and the reason could be found in the individual's public self-consciousness. However, it was found that an individual's eco-friendly attitude was more important than the social influence, such as the presence of another person. This is why the effect of social influence is insignificant for individuals with a strong eco-friendly attitude. Therefore, to strengthen an individual's eco-friendly attitud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ovide education o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friendly behavior.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타인의 단순존재효과와 개인의 친환경 태도가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타인의 단순존재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상황을 혼자 있는 조건과 타인이 있는 조건으로 구분하였다. 타인의 존재 여부가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면 개인의 친환경 태도와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타인의 존재 여부와 개인의 친환경 태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타인의 존재 여부와 개인의 친환경 태도가 쓰레기 분리수거에 미치는 영향력이 개인의 자의식에 의해서 매개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자의식은 공적 자의식과 사적 자의식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는 혼자 있는 조건보다 타인이 있는 조건에서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를 높은 수준으로 나타냈고 개인의 친환경 태도가 강할수록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가 높아졌다. 그리고 타인의 존재 여부와 개인의 친환경 태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친환경 태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타인의 존재 여부에 따라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친환경 태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혼자 있는 조건보다 타인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의식에 관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공적 자의식은 타인의 존재 여부가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적 자의식은 타인의 존재 여부가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타인의 단순존재효과가 소비자의 쓰레기 분리수거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그 이유를 개인의 공적 자의식에서 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타인의 단순존재효과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개인의 친환경 태도임을 알 수 있었다. 친환경 태도가 강한 개인에게는 타인의 단순존재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비자에게 환경오염 문제와 친환경 행동 실천 방안에 대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개인의 친환경 태도를 높일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위한 적응형 가비지 컬렉션 정책

        한규태(Gyu Tae Han),김성조(Sung J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5

        제자리 덮어쓰기가 불가능하고 블록의 지움 횟수가 제한되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저장매체로 사용하기 위해서 지움 횟수 평준화를 지원하는 다양한 가비지 컬렉션 정책들이 연구되고 있다. 기존정책들은 지움 횟수 평준화를 지원하기 위해 가비지 컬렉션이 수행될 때마다 전체 블록에 대해 지움 대상블록을 선정하기 위한 클리닉 지표를 구하는 연산을 수행하여야 하고 이 연산들은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가비지 컬렉션 정책은 지움 횟수의 분산(variance)과 블록들의 최대 지움 횟수에 따라 변경되는 임계값을 이용하여 전체 블록에 대한 클리닉 지표를 구하는 연산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지움 횟수 평준화를 제공한다. 가비지 컬렉션 시 분산이 임계값 보다 작을 때는 Greedy 정책을 이용하여 지움 비용을 최소화하고, 분산이 임계값 보다 클 때는 최대 지움 횟수를 가진 블록을 지움 대상에서 제외하여 지움 횟수를 평준화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으로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 하였을 때, 블록들의 지움 횟수가 지움 횟수 상한에 가까워질수록 블록들의 지움 횟수 표준 편차가 0에 근접하며, 기존의 지움 횟수 평준화를 지원하는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두 배 이상 빠른 가비지 컬렉션 속도를 보였다. In order to utilize NAND flash memory as storage media which does not allow update-in-place and limits the number of block erase count, various garbage collection policies supporting wear-leveling have been investigated. Conventional garbage collection policies require cleaning-index calculation for the entire blocks to choose a block to be garbage-collected to support wear-leveling whenever a garbage collection is required, which results in performance degradation of system. This paper proposes a garbage collection policy which supports wear-leveling using a threshold value, which is in fact a variance of erase counts and by the maximum erase count of all blocks, without calculating the cleaning-index. During garbage collection, the erase cost is minimized by using the Greedy Policy if the variance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It achieves wear-leveling by excluding the block with the largest erase count from erase target blocks if the variance is larger than threshold value. The proposed scheme shows that a standard deviation approaches to zero as the erase count of blocks approaches to its upper limit and the measured speed of garbage collection is two times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schemes.

      • KCI등재

        쓰레기 처리 제도의 변화와 소비 대중의 기억 문화 (1) -‘종량제 봉투’를 소재로 한 소설을 중심으로-

        임태훈 ( Lim Taehun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1 사이 Vol.30 No.-

        이 연구는 쓰레기 처리 제도의 변화와 소비 대중의 기억 문화가 구성되는 원리를 밝히고, 그 변화상을 반영한 동시대 소설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문제에 접근하려면, 주거 환경과 에너지 소비 구조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쓰레기 문화사의 변동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 서울올림픽 이후 1990년대 초에 이르는 동안에, LPG와 LNG 등의 대체 에너지 난방구조로의 전환이 이뤄지면서 연탄 쓰레기가 빠르게 감소했다. 에너지 소비 구조의 변화만이 아니라 새로운 폐기물 처리 정책인 쓰레기 종량제를 가능케 한 전환점이었다. 1990년부터 1996년까지 매년 10만 호씩 건설된 아파트 역시 새로운 에너지 소비 구조와 쓰레기 정책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던 주거 환경이었다. 변화된 주거 환경은 새로운 계급 의식과 소비 대중의 기억 문화 변동으로 이어진다. 쓰레기는 더럽다는 이유만으로 버려지지 않는다. 이것들은 사생활의 가장 내밀한 기록인 동시에 누구도 기억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분류된다. 소비자가 규격 종량제 봉투를 산다는 것 역시 합법적으로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잊혀질 권리’를 취득하는 일이다. 쓰레기봉투의 불투명한 표면은 내용물의 시각정보(signal)를 뭉개고, 개개의 쓰레기봉투는 ‘수거(분리수거, 처리시설 반입)’와 ‘처리(소각, 매립, 압축포장)’ 과정에 적합하도록 기준화된 양적 단위(module)로 취급된다. 공공행정에서 관리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이란 배출자의 ‘외부화된 기억’을 익명화하고 눈에 띄지 않도록 처리해서, 일상적 망각이 반복적으로 완수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이 된다. 이 연구에서 중심적으로 다루는 하성란의 「곰팡이꽃」(1998)은 쓰레기 종량제시행 원년인 1995년이 배경이다. 아파트, 쓰레기, 기억 문화의 상관관계를 고찰할 텍스트로 더할 나위 없이 소중한 소설이다. 하성란의 「옆집 여자」(1999)와 삼풍백화점 사고를 다룬 황지우 희곡 「물질적 남자」(2003)도 같은 주제 의식에서 살펴보려 한다. 「곰팡이꽃」의 남자는 의식(儀式)의 마지막 단계마다 규격 종량제 봉투에 쓰레기를 쓸어 담고, 쓰레기 처리 행정과 집단적 기억상실증의 원활한 작동에 복무한다. 그의 쓰레기 탐닉이 계속될 수 있는 것도, 집 안으로 끌어들인 쓰레기를 언제라도 공식적인 시스템으로 되돌려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웃의 외부화된 기억을 수집하지만, 자신이 더 많이 알고 남은 그렇지 않다는 정보 비대칭의 위치에 있으므로, 자신의 ‘쓰레기’가 온전히 ‘처리’될 수 있다는 믿음을 유지한다.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의 순환이 멈추지 않는 한, 쓰레기 배출이 멈추는 일도 없다. 정보 비대칭을 유지할 기회 역시 계속 생긴다. 따라서 그는 결단코 이 시스템의 중단이나 해체를 원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시스템과 내밀하게 합일되길 원한다. 쓰레기를 배출할 때만큼은 소비 대중 일반과 이 남자 사이에 차이점이 없다. 그들 모두에게 필요한 것은 의식에서 기억과 망각을 편집해내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hanges in the garbage disposal system and the principles of the consumer public’s memory culture and explain the relationship with contemporary novels that reflect the changes. To approach this problem, changes in the history of waste cultur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energy consumption structure, should be reviewed together. During the early 1990s after the Seoul Olympics, briquette waste quickly decreased as the transition to alternative energy heating structures such as LPG and LNG took place. It was not only a change in the energy consumption structure, but also a turning point in enabling the new waste disposal policy, the waste disposal system. Apartments, which were constructed 100,000 units per year from 1990 to 1996, were also residential environments where new energy consumption structures and waste policies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he changed residential environment leads to a new class consciousness and a shift in the consumer population’s memory culture. Ha Sung-ran’s “The Mould Flower” (1998), which is mainly dealt with in this study, is set in 1995, the first year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garbage collection system. It is a novel that is perfectly precious as a text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apartment, trash, and memory culture. Ha Sung-ran’s “The Woman Next Door” (1999) and Hwang Ji-woo’s play “Material Man” (2003), which deals with Sampoong Department Store accidents, will also be examined in the same theme consciousness. The man of “The Mould Flower” sweeps garbage into standard standard standard plastic garbage bags at every last stage of the ceremony, and serves in the smooth operation of garbage disposal administration and collective amnesia. His indulgence in trash can continue because he can return the garbage he has drawn into the house to the official system at any time. It collects externalized memories of its neighbors, but maintains the belief that its “trash” can be completely “treated” because it is in a position of asymmetry in information that it knows more and does not remain so. Unless the cycle of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stops, there will be no stopping of waste discharges. Opportunities to maintain information asymmetry also continue. Therefore, he is determined not to stop or dismantle the system. Rather, I want to integrate with this system in detail.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sumer public and this man when discharging garbage. What they all need is a device that edits memory and forgetfulness from consciousness.

      • KCI등재

        자동 쓰레기 집하 시설용 종량제 봉투 인식 장치 설계 및 제작

        김계국(Gye-Kuk Kim),서창옥(Chang-Ok Se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9

        현대 사회는 환경에 대한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다. 특히 먹거리가 풍부해지면서 음식물 쓰레기량이 더욱 늘고 있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를 줄이기 위해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여, 쓰레기를 정해진 양만큼 버리도록 하고 있어 연간 배출되는 쓰레기량을 줄이고 있다. 하지만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쓰레기 봉투에 음식물또는 일반쓰레기를 넣어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문에서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인식장치는 종량제 봉투를 인식함과 동시에 봉투의 재사용을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 인식장치는 쓰레기 자동 집하장치에 적용될수 있으며 인식오차율은 1% 내로 정확성을 얻었다. Today many people are greatly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Especially increasing affluent of food causes a great amount of food waste. To handle this effectively, we now have a lot of problems of disposing garbage all over the world. In Korea, in order to reduce this garbage, we should use a standard plastic garbage bag in which we have to throw away our garbage. So it has an effect on significantly reducing the waste amount every year. Now, there are a lot of cases that residents use several times a standard plastic garbage ba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cognition device preventing the re-cycling of a standard plastic garbage bag. As a result, we obtain 1% error 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