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人間硏究에 있어서 陰陽과 四象과 五行의 관계

        임정기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51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the “Xi ci zhuan (繫辭傳)” and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the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 Explained (太極圖說)”. Specifically, it is a task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seasons and the Five Elements (五行),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Yin-Yang (陰陽) and the Five Ele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seasons and the Five Elements was established in the “Chun Qiu Fan Lu (春秋繁露)”.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seasons and the Five Elements was made possibl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nzhī (干支) and the four seas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nzhī (干支) and the Five Elements. The 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seasons and the Five Elements is a new interpretation of each worl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seasons and the Five Elements in the "Chun Qiu Fan Lu (春秋繁露)" has its basis in T'ien (天). Thus, the position of the Five Elements was increased, and the four seasons were explained by the Five Elements being connected to T'ien. As a result, there could be the establishment of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 Explained (太極圖說)”. The Five Elements and ten celestial stems (十干) and twelve earthly branches (十二支) are described in one differentiation process for the first time in Ch’ing dynasty. 본 연구는 『주역』 「계사전」의 분화과정과 『太極圖說』의 분화과정 사이의 숫자상의 불일치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四時와 오행의 관계, 음양과 오행의 관계를 밝히는 작업이었다. 四時와 오행의 관계는 『春秋繁露』에 이르러 분화과정 속에 자리매김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오행이 四時와 관계를 갖게 된 것은, 干支와 四時의 관계, 干支와 오행의 관계 속에서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四時와 오행의 관계정립은 각각의 세계의 새로운 해석이기도 하고, 각각의 세계의 변화이기도 했다. 오행의 세계는 계절의 요소를 받아들이고, 여기서 그 이전의 오행의 순서에 대한 견해가 변모하여, 오행상생의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갔다. 四時의 세계는 四時의 변화나 구조가 오행의 상생이론이나 오행의 배당에 의해서 이해되고, 十干이나 十二支까지 氣의 흐름 속에서 설명이 가능하게 되었다. 『春秋繁露』의 분화과정 속에 자리매김한 四時와 오행의 관계는 그 근거를 천에 두고 있다. 이렇게 오행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점차 오행에 힘이 실리고, 四時는 오행이 아니면 설명할 수 없게 되었다. 오행의 근거를 천에 둠으로 해서, 四時와 관계없이, 천으로부터 바로 오행으로의 분화를 이야기할 수도 있게 되었다. 그 결과로 『太極圖說』의 분화과정의 성립이 있을 수 있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분화과정 사이의 숫자상의 불일치는 오행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의해서인데, 청대의 『자평진전』에 이르러, 근본존재에서 十二支까지의 자연과 인간을 설명하는 요소들이 하나의 분화과정 속에서 설명되게 되었다.

      • KCI등재

        “겨울왕국2”에 나타난 4원소 정령의 기호작용과 서사구조의 연구

        변민주 ( Byun¸ Min-ju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본 연구는 “겨울왕국2”에 나타난 4원소의 정령을 기호이론에 적용한 서사적 규칙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를 통해서 기호적 특성과 기능, 서사적 구조의 연결성을 밝혀내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신화나 고전소설에서 4 원소 또는 5행은 주인공이 영웅이 되기 위해 넘어야 할 중요한 통과의례의 과정을 밝혀 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겨울왕국2”에 나타난 4원소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그레마스의 모델을 통해서 서사의 구조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함께 "겨울왕국2"에 나타난 4원소 정령의 상징적 의미와 함께 서사적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4대정령의 서사적 규칙은 발신자 루나드왕의 행위로 인해서 정령은 항상 분노로 가득차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영웅인 엘사 또는 안나의 영웅적인 행위로 인해서 숲의 저주가 풀려나면서, 평화를 맞이하게 되는 서사구조의 공통점이 있다. 이렇듯 본 애니메이션에서는 4대 정령의 캐릭터를 통해서 기호적 특성과 서사적 구조로 밝혀내고 있다. 본 연구는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서 심볼적 요소의 캐릭터와 더불어서 아이콘적 캐릭터, 인덱스적 요소의 캐릭터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캐릭터들의 역할과 기호학적인 의미가 서사적인 규칙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서 “겨울왕국2”에 나타난 4원소는 영웅의 통과의례를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적인 의미라고 할 수 있으며, 고전의 서사구조를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가 서사의 구조를 지향하는 연구뿐만 아니라 캐릭터의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디자인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narrative rules that apply the four-element spirits shown in "Frozen 2" to symbol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nnectivity of symbolic characteristics, functions, and narrative structures through animation characters. In addition, in myths and classic novels, the fourth element or fifth line attempts to uncover the important passage ritual process that the protagonist must overcome to become a hero. This study seeks to derive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 through the model of Algirdas Julien Greimas to analyze the four elements shown in “Frozen 2” in a semiotics way.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narrative structure along with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pirit of the four elements in “Frozen 2”. The narrative rule of the Four Spirits is that the Spirit is always filled with anger because of the actions of the sender King Lunard. But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narrative structure, which faces peace, as the curse of the forest is released by hero Elsa or Anna's heroic deeds. As such, this animation reveals symbolic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structure through the characters of the four spirit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s of symbolic elements, iconographic characters, index elements, in addition to the characters of symbolic elements through a semantic approach. Through this, we could see that the roles and semiotics of characters can have a lot of influence on narrative rules. In addition, the four elements shown in "Frozen 2" in this study are an important symbolic meaning to represent the rite of passage of heroes, and are aimed at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classic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not only research toward the structure of narrative but also the study of communication design through the symbolic approach of characters.

      • KCI등재

        한국사회의 예언문화로서 타로 4원소의 ‘바람[風]’과 명리학 오행의 ‘목(木)’의 비교

        김태희 ( Kim Taehee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타로 4원소와 명리학 오행은 그 발전 과정이 비슷하다. 그리고 타로 4원소의 ‘바람[風]’과 명리학 오행의 ‘목(木)’도 둘 다 생명력을 띤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현재까지는 자연의 순환을 통해서 4원소와 오행이 결정되고 이를 통해 인간의 운명이 정해져있다고 알려져 있다. 만약 ‘바람[風]’과 ‘목(木)’이 똑같은 원소에 뿌리로 두고 있다면 그 사상을 이해하는 게 보다 수월하다. 이에 따라 타로 4원소 중 ‘바람[風]’과 명리학 오행의 ‘목(木)’의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바람[風]’과 ‘목(木)’이 생명체라는 것을 통해 결국 점술(占術)은 인간의 삶의 주체성을 갖고 운명을 개척하기 위해 만들어진 학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바람[風]’과 ‘목(木)’의 유사점은 크게 10가지로 정리할 수 있고, 차이점은 크게 8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대체로 유사점은 원소 그 자체의 고유의 특질이라면, 차이점은 원소를 보면서 느끼는 감정이나 관념이 많다. 이러한 점에서 ‘바람[風]’과 ‘목(木)’은 서로 비슷한 특질이나 상태를 보고 만들어졌다가 점점 분화되었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명리학에서 오행이 존재하기 전에 사시(四時)라는 개념이 있었는데, 이 사시가 타로의 4원소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비교 연구해 본다면 동서양의 예언문화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Four elements of Tarot and the Five elements of Myeongli Science are similar. And the ‘Wind’ of the Four elements of Tarot and the ‘Tree’ of the Five elements of Myeongli Science are common in the point that they both have a life force. Through the fact that the ‘Wind’ and the ‘Tree’ are lives, finally I could know that the divination was the science developed for a human to have a identity of life and pioneer the destiny. The similarity between the ‘Wind’ and the ‘Tree’ could be classified largely as 10,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could be as 8. If the similarity are mostly the innate characteristic of the elements themselves, many of the difference are the emotions or thoughts gained while watching these elements. In this point, it is presumed that the ‘Wind’ and the ‘Tree’ were developed based on similar characteristics or states and then gradually divided. And there was a concept of the four times before the existence of the Five elements in Myeongli Science, if we compare and study what similarity and difference this four times has with the Four elements of Tarot, it could contribute much to the development of the prophecy culture of the art of divination in the East and the West.

      • KCI등재

        Composite Behaviour of Textile Reinforced Reactive Powder Concrete Sandwich Façade Elements

        Mathias Flansbjer,Natalie Williams Portal,Daniel Vennetti,Urs Mueller 한국콘크리트학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 Vol.12 No.7

        Within the EC funded project smart elements for sustainable building envelopes, carbon textile reinforcement was incorporated into reactive powder concrete, namely textile reinforced reactive powder concrete (TRRPC), to additionally improve the post-cracking behaviour of the cementitious matrix. This high-performance composite material was included as outer and inner façade panels in prefabricated and non-load bearing sandwich elements along with low density foamed concrete (FC) and glass fibre reinforced polymer continuous connecting devices. Experiment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FEA) were applied to characteriz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sandwich elements. The mechanical behaviour of the individual materials, components and large-scale elements were quantified. Four-point bending tests were performed on large-scale TRRPC-FC sandwich element beams to quantify the flexural capacity, level of composite action, resulting deformation, crack propagation and failure mechanisms. Optical measurements based on digital image correlation were taken simultaneously to enable a detailed analysis of the underlying composite action. The structural behaviour of the developed elements was found to be highly dependent on the stiffness and strength of the connectors to ensure composite action between the two TRRPC panels. As for the FEA, the applied modelling approach was found to accurately describe the stiffness of the sandwich elements at lower load levels, while describing the stiffness in a conservative manner after the occurrence of connector failure mechanisms.

      • KCI등재

        4원소 중 바람(風) 심상의 시치유적 해석

        손민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Poem-therapeutic Interpretation of the Image of AirAmong Four ElementsMinjeong S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ay attention to the value of the theory of poem therapy that promotes indirect healing of internal affect and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n healing of anxiety, and also to perform a research utilizing the image of air as a medium of therapy by interpreting its meanings in the poetics of four elements. To achieve this purpose, after summarizing the symptoms of anxiety and the image of air which is one of four elements of poetics as the background theory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this study discussed anxiety in the psychoanalytic perspective of psychology. Especially, viewing that the poem therapy would be useful as a defense mechanism against anxiety, the poem-therapeutic process was schematized for establishing the theory of poem therapy. After that, applying the diagram contents showing the poem-therapeutic process in seven poems by Korean lyric poets, this study considered the interpretation of the image of air in the therapeutic perspective and cognitive/behavioral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etic ego’s cognition of agony is an element of healing. Second, the image of air changes an unconsciously-automated behavior to an cognitive behavior, which contributes to healing. Third, the mimesis using the image of air is effective on poem therapy for people lacking in an ability to write poem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discussing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poem therapy with the image of air.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of not performing an empirical research, so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 follow-up research utilizing the statistical analysis in the future. Key Words: Image of Air, Four Elements, Poem Therapy, Anxiety, Cognitive Behavior 4원소 중 바람(風) 심상의 시치유적 해석손 민 정*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불안감의 치유에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와 내면 정서의 간접적인 치유를 도모하는 시치유론의 가치에 주목하고 4원소 중 바람 심상의 치유의미를 해석하여 치유의 매개체로 활용하는 연구를 시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불안증세와 4원소 시론(詩論) 중 바람 심상을 배경 이론으로써 개괄한 후 심리학과 정신분석학 관점의 불안증을 논하였는데, 특히 시치유가 불안증의 방어기제에 유용하다고 보고 시치유론의 확립을 위해 시치유 과정을 도표화하였다. 이어서 한국 서정 시인들의 시 7편에 시치유 과정의 도표 내용을 적용하여 바람의 심상에 의한 치유관점의 해석과 인지적・행동적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 내용: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적 자아의 고뇌 요인에 대한 인지는 치유의 요소이다. 둘째, 바람 심상은 무의식적으로 자동화된 행동을 인지적 행동으로 전환하여 치유에 기여한다. 셋째, 바람 심상을 활용한 미메시스도 시작 능력이 결여한 이의 시치유에 있어 유효하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바람 심상에 의한 시치유적 해석론과 적용을 논한 의의가 있으나 실증적 연구를 시행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니 추후, 통계분석적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어: 바람 심상, 4원소, 시치유, 불안증, 인지행동 □ 접수일: 2022년 5월 10일, 수정일: 2022년 7월 18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학과 박사과정수료(상담심리전공)(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Dongbang Culture Univ., Email: capricorn75-@naver.com)

      • KCI등재

        오행(五行)의 원시적 배속과 상호관계 - 『좌전(左傳)』과 『국어(國語)』를 중심으로 -

        윤무학 ( Yun Mu Hak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6 No.-

        본문에서는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춘추전국”시대의 대표적 문헌에 반영된 “오행”의 원시적 배속과 상호관계를 검토하였다. 첫째, 춘추시대 음양과 오행의 관계는 기본적으로 시간과 공간, 하늘과 땅이라는 두 가지 대비되면서 동시에 상호 연계되는 범주의 특징을 담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문헌에 따라 “五方”(공간)과 “四時”(시간)는 “天”(음양)과 연계되기도 하고 “地”(오행)와 연계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후대 음양과 오행의 결합의 단서로 평가할 수 있다. 둘째, 춘추시대 오행의 배속은 『상서』 「홍범」에 보이는 내용과 비교할 때 내용과 형식면에서 구체화되고 있으며, 전국시대 『관자』나 『여씨춘추』에 보이는 오행 배속의 거의 모든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오행 배속이 인체의 “左右”, “六疾”, “五臟”에도 연계되고 있어서 후대 『黃帝內經』 성립의 단서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할 만하다. 셋째, 춘추시대 오행의 상호관계에서 명시적으로 모든 용어가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후대의 이른바 “生數”, “相生”, “相勝”(相克) 관계가 모두 함축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정치적 제도에서의 조화로운 상호관계와 전쟁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 고정된 상호관계를 부정하는 경향도 보이고 있다. 이것은 만물 분류의 범주 및 상호관계가 시간과 공간에 따라 대체되거나 우열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요컨대 춘추시대의 오행 배속과 상호관계에 대한 자료에 반영된 일관된 특징은 정치나 전쟁과 같은 현실적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유가를 비롯한 전국시대 제자백가의 天人관계론에 직간접인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paper,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primitive assignment and interrelationships of the five elements reflected in the representative literature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ere review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basically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wo contrasting and interconnected categories: time and space, and sky and earth. Interestingly, according to the literature, “five directions” (space) and “four times” (time) are associated with "heaven" (yin and yang) or “earth” (five elements). This can be evaluated as a clue to the combination of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Second, the distribution of the five element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is materialized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when compared with the content shown in “Shangseo Hongbeom”, and it contains almost everything refiected in Guanzi and Lushichunqiu. In particular, since the distribution of the five elements is also linked to the “right and left”, “disease” and “five organs” of the human body, it is worthy of evaluation as providing a cl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ater “Huandi Neijing” Third, although not all terms are explicitly shown in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five element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so-called “creation order”, “intergrowh”, and “mutual decrease” relationships of later generations are all implied. In addition, there is a tendency to deny harmonious mutual relations in political institutions and fixed mutual relations in special situations such as war. This suggests that the categories and interrelationships of the classification of all things can be replaced or superior and inferior according to time and space. In short, the consistent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 data on the distribution and interrelationships of the five element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came from realistic needs such as politics and war. This is thought to have had a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the “Theory of Relations between Heaven and Humanity” of the Hundred Schools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including Confucianism.

      • KCI등재

        근대 원소 개념의 형성 과정 : 중등 과학교과에 나타난 원소의 과학사적 고찰을 위한 제언

        김연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중등과학교과서 해설(수학, 과학, 기술 가정)’가운데 8학년 과학교과의 ‘물질의 구성’ 과정의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특히 근대 원소 개념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 결과 원소는 물질을 다루는 화학 분야의 중요 용어로, 그 자체가 인류가 자연의 변화과정에 주목하면서부터 함께 탐구의 중요 주제였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시대에 따라 자연에 대한 탐구 방식과 주제가 달랐으므로 원소의 의미 역시 시대마다 달랐다. 원소의 개념이 지금 사용하는 의미와 유사하게 구성된 것은 18세기 말, 19세기 초 이후에야 비롯된 일이다. 즉 오늘날 원소가 화학적 방법을 통해서 더 이상 간단하게 분리되지 않는 순수한 물질로 통용되기 위해 고대와 중세를 지배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든 물질에 포함된 기본 요소라는 의미를 벗어나야 했고, 그 이후 덧붙여진 연금술의 신비로운 힘이나 유황과 수은에 대한 과도한 집착을 탈피해야 했으며, 연소, 금속의 녹스는 현상인 하소, 생명체의 호흡과 관련된다고 설명된 플로지스톤을 거부해야 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원소로 받아들여졌던 칼로릭과도 결별해야 했던 것이다. 이런 원소가 내포하는 의미 변화는 과학 탐구 활동에서 주요한 지적 배경을 이루는 자연관의 변화와 과학 연구 방법의 변천과 궤를 같이 했다. 근대적 의미의 원소 개념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과학혁명기 전후에 제기된 유물론적인 기계적 철학(mechanical philosophy)의 수용과 물질 연구의 방법으로 분석적, 정량적 실험이 물질 연구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일이 선행되어야 했다. 하지만 이런 일이 순탄하고 평이하게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이와 같이 근대 원소 개념 형성 과정에는 자연관과 과학연구 수행 방법의 변화가 혼재되어 있는데, 이를 정리해 설명하는 일은 학생들이 원소를 좀 더 명쾌하게 이해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물질 조성과 물질 자체를 탐구하는 분야인 화학과의 거리감을 좁히는 일이기도 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meaning of “elements” came to be established in the way we understand them today. While “elements” is a terminology which cannot be overlooked in chemistry that deals with materials, it did not come into use only until the modern times. Elements became an important theme once humanity began to focus attention on the changing processes of nature. The meaning of “elements” differed greatly from what it has come to mean today: it had different meanings throughout the ages, and it is only since the 19th century that it has come to have the meaning that prevails today. In order for the modern concept of “elements” to be established -- that is, pure material that cannot be separated down to any simpler matter through chemical methods -- it had to be disassociated from the Aristotelian basic element that was to be found in all matter. In the process, it became associated and disassociated with various meanings, such as, “mystic power,” “non-ponderable matter,” or “phlogiston,” that came to be formed under the different views of nature that came into prominence at different times. The constitution of elements in the concept it is today was preceded by the establishment of materialistic practices of mechanical philosophy and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and quantitative experiments as the means to understand the nature. This study traces the course of conceptual change “elements” have undergone since the Renaissance, when the interest in material change by human intervention emerged as an important part of the endeavour for knowledge untill the moment it came to be established in its modern meaning in the 19th century. In the course of this research, we re-affirm that elements were understood differently in different eras, reflecting the varying views of nature and material of the times. At the same time, we clarify the meaning of elements as we use the term today.

      • KCI등재

        Four-beam Interference Optical System for Laser Micro- structuring Using Picosecond Laser

        Jiwhan Noh,Jaehoon Lee,Dongsig Shin,손현기,서정,Jeongseok Oh 한국광학회 2009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13 No.1

        A four beam interference optical system for laser micro structuring using a pulse laser was demonstrated. The four beam interference optical system using a pulse laser(picosecond laser) can fabricate micro structure on mold material(NAK80) directly. Micro structure on the polymer can be reproduced economically by injection molding of the micro structure on the mold material. The four beam interference optical system was composed by the DOE(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two lenses. The laser intensity distribution of four beam interference was explained by an interference optics point of view and by the image optics point of view. We revealed that both views showed the same result. The laser power distribution of a 1 μm peak pattern was made by the four beam interference optical system and measured by the objective lens and CCD. A 1 μm pitch dot pattern on the mold material was fabricated and measured by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KCI등재

        등매개변수 사변형요소를 적용한 유한요소해석법

        이승현(Seung-Hyun Lee),한진태(Jin-Tae H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본 연구에서는 상용 해석프로그램에서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지반공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쉽고 직관적인 해석 프로그램 개발의 일환으로 계산의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요소를 채택한 유한요소법을 정식화 하고 해석과정을 프로그램화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계산과정에 있어서의 신뢰성 확인을 위해 두 가지 예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고 결과분석을 해 보았는데 첫 번째 예는 등방구속압이 요소에 작용하는 경우이고 나머지 예는 전단응력이 요소의 측면에 작용하는 경우이다. 유한요소를 구성하는 요소로는 등매개변수 사변형 요소를 채택하였는데 요소내의 변위는 요소의 절점변위와 형상함수로 표현된다. 전체좌표(global coordinate)에 의한 미분계수로 표현되는 변형률을 얻기 위해 자코비언과 자연좌표(natural coordinate)를 이용하는 계산과정을 코딩하였다. 요소의 강성행렬을 정의하는 이중적분식을 수치적분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4점 가우스 구적법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계산과정 검증을 위해 등방구속압이 작용하는 요소에 대한 해석을 수행한 결과 요소내의 네 개의 가우스점과 요소 중앙에 대해 계산된 응력값이 등방구속압과 일치됨을 알 수 있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계산과정 검증을 위해 전단응력이 작용하는 요소에 대한 해석을 수행한 결과 요소내에 발생되는 횡방향응력 및 연직응력이 위치에 따라 변화됨을 알 수 있었으며 외력에 대한 발생응력의 크기 및 분포양상이 합리적임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overcome shortcomings of commercial analysis program for solving certain geotechnical problems, finite element method adopting isoparametric quadrilateral element was selected as a tool for analyzing soil behavior and calculating process was programmed. Two examples were considered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One of the two examples is the case of acting isotropic confining pressure on finite element and the other is the case of acting shear stress on the sides of the finite element. Isoparametric quadrilateral element was considered as the finite element and displacements in the element can be expressed by node displacements and shape functions in the considered element. Calculating process for determining strain which is defined by derivatives using global coordinates was coded using the Jacobian and the natural coordinates. Four point Gauss rule was adopted to convert double integral which defines stiffness of the element into numerical integration. As a result of executing analysis of the finite element under isotropic confining pressure, calculated stress corresponding to four Gauss points and center of the element were equal to the confining pressur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for the element under shear stress, horizontal stresses and vertical stresses were varied with positions in the element and the magnitude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tresses were thought to be rational.

      • KCI등재

        4원소를 모티브로 한 헤어아트 연구: 물, 불, 공기, 흙을 중심으로

        안은수,진용미 한국미용학회 2023 한국미용학회지 Vol.29 No.4

        Humans have long been interested in exploring what fundamental materials make up the world, and tried to understand the world by discovering what are essential substances that make up all things. Therefore this research produced four up-style hair art works of water, fire, air and earth, inspired by four elements. In order to express fluidity and liquidity of water, Work 1 consists of hair art with contrasting soft and rough textures. In order to express flaming quality of fire, Work 2 consists of hair art with contrasting expressions of gentle warmth, intense heat from rising flames, and the element of death. In order to express dynamic properties of air, Work 3 consists of hair art with contrasting aspect of rising and falling. In order to express sturdiness of earth, Work 4 consists of hair art with contrasting qualities such as stability of resting and losing sense of directions. Researching works through these four elements reveal various materials and topics, that can become infinite source of inspiration. Hence, it’s necessary to view creative works from diverse perspectives, not limited to certain topics. Future studies on hair art could focus on further exploring various materials and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