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권 미생물 관주 처리된 분화용 시클라멘 로즈위드아이의 광원에 따른 화색에 비교분석

        김유선 ( Yoo Sun Kim ),최스란 ( Sue Ran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이어 근권 미생물이 처리된 시클라멘의 광원에 따른 화색(花色, flower color)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유용미생물이 화색에 쓰이는 활용범위를 넓히고자 하였다. 식물선정은 재배방법이 용이하고, 시장성이 우수한 미디엄품종으로 시클라멘(Cyclamen)을 선정하였고 이 식물에 활용성이 좋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용미생물인 광합성세균(Photosynthetic bacterium), 바실러스균(Bacillus subtilis),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을 5가지의 각기 다른 배율로 처리하였다. 그리고 식물의 꽃잎을 측색기(X-rite Eye-One Pro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데이터를 얻은 후, 주광(D50)을 기준광으로 하여 일반가정에서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3가지 조명(Incandescent Illuminant A, Cool White Fluorescent-F2, TL85-F10) 아래에서 꽃잎의 색채가 어떻게 시각적으로 나타나는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생물 처리 시 광원의 따른 화색은 광합성균 처리를 한 시클라멘에서는 꽃잎의 채도가 높은 경우 고농도에서 명확한 화색을 보였다. 또 바실러스균을 처리한 시클라멘에서는 다른 미생물 처리한 시클라멘에 비해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는 화색의 변화를 보였다. 또 유산균 처리한 시클라멘에서는 화색이 너무 밝거나 어둡게 변화한 것이 관찰되었다. 이처럼 미생물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볼 수 있지만 주광D50과의 색차값은 광합성세균, 바실러스균, 유산균 모두 F2광원에서 제일 큰 차이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A광원, F11광원 순으로 주광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화색 조절 시 미생물을 활용한다면 경제적으로나 상품성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yclamen flower color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microorganism. However, flower color of lower chroma showed no difference by type of light. On the other hand, flower color of high chroma differed by type of light source in the high concentration group. This result can be applied economically in a highly marketable produ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croorganisms on flower color.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d changes in Cyclamen flower color upon treatment with rhizosphere microorganisms under light sources. Cyclamen flowers were treated with five types of photosynthetic bacteria and Lactobacillus plantarum. The color of floral leaves was analyzed under three types of light (Incandescent Illuminant A, Cool White Fluorescent-F2, TL85-F10) on the basis of key light (D50). Color of floral leaves was measured as spectrum data by a X-rite Eye-One Pro spectrophotomet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flower color by lights applied microorganism is different by type of microorganism. But a flower color of lower chroma has no difference by type of lights. On the other hands, a flower color of high chroma has different by type of lights in high concentration group. This result is expected to utilize this research as a economic value for a high marketable product.

      • KCI등재후보

        헤어리베치 꽃색의 유전

        구자환,한옥규,손범영,이진석,김정태,김대욱,이유영,김민태,문중경,황종진,김충국,백성범,권영업 한국육종학회 2013 한국육종학회지 Vol.45 No.3

        헤어리베치의 꽃색 중 보라색, 분홍색, 백색의 유전 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보라색 꽃 품종(청풍보라), 분홍색 꽃 품종(Mamecho) 그리고 백색 꽃 품종(HV-Kw1) 상호 간에 교잡하여 잡종 2세대(F2)에서 꽃색 분리 비율을 조사하고, 또한 분홍색과 연분홍색 사이의 유전 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연분홍색 꽃 품종(HV-Mp1)과 분홍색 꽃 품종(Mamecho)을 교잡하여 F2에서 꽃색 분리 비율을 조사한 결과 백색/보라색 조합과, 보라색/분홍색 조합에서 보라색은 백색과 분홍색에 대해 3 : 1의 비율로 분리하였고, 연분홍색/분홍색 조합에서 분홍색 3, 연분홍색 1의 비율로 분리하였으나, 백색/분홍색 조합의 F2 집단에서는 보라색 9, 분홍색 3, 백색 4의 비율로 분리하였다. 이러한 헤어리베치 꽃색 유전분리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사용된 품종들의 보라색, 분홍색, 그리고 백색 꽃은 서로 다른 두 쌍의 유전자 열성상위 작용에 의해 발현되며, 연분홍색은 분홍색에 대하여 단일 열성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헤어리베치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lower color of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was observed individually in F2 of crosses among violet, white, pink flower varieties, and between pale pink and pink flower varietie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useful gene as source of colored flower. F2 segregation mode of flower color between cross of white/violet was fitted to 3 violet : 1 white, and same segregation ratio of 3 violet : 1 pink was found in F2 of cross of violet/pink flower variety. Also, F2 segregation of flower color between cross of pale pink/pink flower variety was fitted to 3 violet : 1 white. When white flower was crossed with pink flower, flower color in F2 population segregated into 9 violet : 3 pink : 4 whit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ndicated that flower color of parental varieties was controlled by recessive epistatic interactions of two genes, and pale pink flower color was recessive to the pink color of the parental variety. This flower color inheritance may be used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breeding of hairy vetch variety.

      • KCI등재

        Conjoint 분석을 통한 주요 절화류의 소비 예측 분석

        임진희(Jin Hee Lim),심명선(Myung Syun Shim),서지연(Ji Yeon Seo),백이화(Yi Hwa Baek)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5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주요 절화류에 대한 구매행동과 인식을 파악하여 시장을 예측하고, 소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전문 리서치 기관에 대행하여 실시하였고, 주요 절화류를 대상을 조사를 하여 컨조인트 및 군집분석을 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장미의 경우는 선택 속성별 중요도는 가격과 절화수명이 비슷하게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화색, 화형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각 속성별 부분가치를 보면, 가격은 1000원, 꽃의 형태는 군집1의 남성의 경우만 빼고 여성 군집 2,3,4,5,6,7의 경우 모두 스프레이 형태의 장미를 선호하였다. 꽃의 절화수명에 대한 중요도는 높은 수준을 보여 모든 군집에서 7-8일로 나타났고 화색은 빨강색을 가장 선호하였다. 국화의 경우 선택속성별 중요도는 화색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절화수명, 화형, 가격 순으로 분석되었다. 부분가치를 보면 가격은 1000원, 화형은 스탠다드, 절화수명은 16-20일, 화색은 노란색이 가장 높았다. 백합의 경우 선택속성별 중요도는 화형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절화수명, 가격, 화색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부분가치를 보면, 가격은 2000원, 화형은 대형을, 절화수명은 4-7일, 화색은 노란색이 가장 높았다. 주요 절화(장미, 국화, 백합)을 대상으로 컨조인트 분석 결과, 장미의 경우 가격과 절화수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국화는 절화수명과 화색, 백합은 화형과 절화수명으로 나타났다. 주요 절화 모두 공통적으로 절화수명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조사를 통해 주요 절화류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상품을 기획 생산하여 화훼류 소비 활성화 방안을 위한 기초조사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consumption of floriculture plants by researching preferences of consumers for the main types of cut flowers. We analyzed the results of surveys, carried out by a company, that were largely about roses, chrysanthemums, and lilies. After departmentalizing consumers into groups and analyzing the results through conjoint and cluster analysis, we found that consumers showed a higher rate of use based on price and vase life than on flower color and flower shape in roses. The groups of rose consumers preferred a price of 1000 won, spray type flower shape, vase life of 7-8 days, and red flower color. In chrysanthemums, consumers showed higher rate of use for flower color than for vase life, flower shape, and price. The groups of chrysanthemum consumers preferred a price of 1000 won, standard flower shape, 16-20 days vase life, and yellow flower color. In lilies, consumers showed higher use rate for flower shape than vase life, price, and flower color. Lily consumers preferred a price of 2000 won, large flower shape, 4-7 days vase life, and yellow flower color. Thus, the major cut flowers (rose, chrysanthemum, and lily) all showed highest use rates in for vase life.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interests. They also emphasize that we should plan and create market-oriented and consumer-oriented products to improve the consumption of floriculture plants.

      • KCI등재

        국화 꽃색 변경을 위한 플라보노이드 대사공학

        김다혜,박상규,박보라,이종렬,임선형 한국육종학회 2018 한국육종학회지 Vol.50 No.4

        In ornamental crops, the color and shape of flowers are one of the important traits. Generally, flower colors are determined by accumulating pigments such as carotenoids, flavonoids, and betalains. Among them, flavonoids are responsible for broad ranges of colors. Chrysanthemums are one of the most popular ornamental crops in the world, and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change their flower color. In chrysanthemum flowers, cyanidin-based anthocyanin confers pink or red color, whereas terpenoid-based carotenoids are mainly responsible for yellow and green colors. However, blue colored chrysanthemums do not occur in nature. To date, there have been attempts to obtain blue or violet-colored chrysanthemum flower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novel gene for accumulating delphinidin-based anthocyanins, while other studies have reported changing endogenous metabolites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flavonoid biosynthesis. Since various transcription factors a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flavonoid biosynthesi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not only the structural genes, but also the transcription factors required for the modification of flavonoid-based flower color.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flavonoid biosynthetic pathway and its regulation, and review previous studies on the change in flower color through modification of flavonoid biosynthesis. This effort could be an important milestone in successfully achieving the modification of chrysanthemum flower color by means of plant biotechnology.

      • KCI등재

        사계절 꽃 이미지의 색채 특성 분석

        박서희(Park Seo-hee),최경실(Choi Gyeong-sil)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4

        본 연구는 환경 색의 일부 요소인 계절 꽃의 색채 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계절 꽃의 색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계절마다 꽃 이미지들이 어떻게 다르게 보일 수 있는지에 대해 유추해보고, 계절 꽃 색을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계절 꽃의 색채 데이터들은 시즌마다 계절의 변화에 민감한 패션, 섬유, 제품, 인테리어 디자인 등의 전략적인 마케팅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연구 과정 중, 분석도구로 적용된 GOG (Gain-Offset-Gamma) 모델은 입력하는 색채 데이터 값과 웹상에 재현되는 색채 값의 오차를 산정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웹 이미지 컬러 분석에 적합한 프로그램이다. 총 3가지 실험 과정 - 색채 분석, 육안 관찰, 디지털 디스플레이 특성화 ? 을 거친 결과, 계절마다 꽃 잎의 색상, 채도, 명도, 톤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계절 색의 차이점은 분야를 넘어서 계절의 영향을 받는 여러 디자인 분야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이유는 이러한 계절 색의 변화가 결국 그 자연 환경에 사는 사람들의 선호 색과 연상 색 등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olor of seasonal flowers, which is one of the elements in the environmental colors. The bases to utilize the colors of seasonal flowers will be established by inferring ‘how the flower images would look different dependent on the season’, through the analysis of seasonal flowers color characteristics. The color data of seasonal flowers can be used as strategic marketing data in the industries such as fashion, textile, commodities and interior design, which industries are sensitive to the change of season. In addition, the process of reducing the data error through the color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digital color was employed in the suggestion of more accurate and efficient methodology for the color management. The GOG (Gain-Offset-Gamma) model applied in this research as the analyzing tool is the program which estimates the color value errors between the input color data and colors expressed on the Web. The program is compatible program in the analysis of Web image colors. Three experiments were done for the color analysis, bare-eye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digital display. It was possible to learn from the results that the colors, chroma, brightness and tones are all different dependent on the season. It is expected that such difference in the seasonal colors will be helpful to various design areas affected by season beyond its area. The reason is that the change in such seasonal colors will eventually give impact to the preferred colors and associated colors of people living in that natural environment.

      • Enhancing Flower Color through Simultaneous Expression of the <i>B-peru</i> and <i>mPAP1</i> Transcription Factors under Control of a Flower-Specific Promoter

        Kim, Da-Hye,Park, Sangkyu,Lee, Jong-Yeol,Ha, Sun-Hwa,Lim, Sun-Hyung MDPI AG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Vol.19 No.1

        <P>Flower color is a main target for flower breeding. A transgenic approach for flower color modification requires a transgene and a flower-specific promoter. Here, we expressed the <I>B-peru</I> gene encoding a basic helix loop helix (bHLH) transcription factor (TF) together with the <I>mPAP1</I> gene encoding an R2R3 MYB TF to enhance flower color in tobacco (<I>Nicotiana tabacum</I> L.), using the tobacco <I>anthocyanidin synthase</I> (<I>ANS</I>) promoter (PANS) to drive flower-specific expression. The transgenic tobacco plants grew normally and produced either dark pink (PANSBP_DP) or dark red (PANSBP_DR) flowers. 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five structural genes in the flavonoid biosynthetic pathway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PANSBP_DP and PANSBP_DR lines, compared with the non-transformed (NT) control. Interestingly, the expression of two regulatory genes constituting the active MYB-bHLH-WD40 repeat (WDR) (MBW) complex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ANSBP_DR plants but not in the PANSBP_DP plants. Total flavonol and anthocyanin abundance correlated with flower color, with an increase of 1.6–43.2 fold in the PANSBP_DP plants and 2.0–124.2 fold in the PANSBP_DR plants. Our results indicate that combinatorial expression of <I>B-peru</I> and <I>mPAP1</I> genes under control of the <I>ANS</I> promoter can be a useful strategy for intensifying flower color without growth retardation<B>.</B></P>

      • 한국 야생 붓꽃과의 안토시아니딘 조성과 화색발현

        현광자,김규원 영남대학교 자원문제연구소 1998 資源問題硏究 Vol.17 No.-

        Eight species of Korean wild Iridaceae, whose flower colors were distributed from red to purple, were investigate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anthocyanidin composition, co-pigment and petal pH on flower color expression and evolution. Flower colors showed red, pale red purple, purple and pale blue purple. Iridaceae flowers were contained the six kinds of anthocyanidins : delphinidin, cyanidin, pelargonidin, petunidin, malvidin and peonidin in flowers, but flower color expression was absent in the one or six combination of these anthocyanidins. Major anthocyanidins were mainly hydroxylated anthocyanidins, whereas minor anthocyanidins were hydroxylated or methylated anthocyanidins. Major and minor anthocyanidins were pelargonidin and delphinidin in red flowers, were malvidin and petunidin in pale red purple flowers, and were delphinidin and petunidin in purple and pale blue purple flowers, respectively. Species which contained flavone were three and flavonol was not found in Korean wild Iridaceae. Petal pH was narrow, ranging 5.1~6.0. Thus co-pigment and petal pH did not affected expres-sion of flower color. Anthocyanidin combinations were diverse in the more evoluted species. Anthocyanidins, therefore, were assumed to be very important in the expression of flower color and evolution of Korean wild Iridaceae.

      • KCI등재

        국화 수출 확대를 위한 일본 소비자의 상품 선호도 분석

        임진희(Jin Hee Lim),서지연(Ji Yeon Seo),심명선(Myung Syun Shim)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 소비자들의 국화 구매 특성을 조사하여 기호에 맞는 국화 제품을 생산하고 한국산 국화의 수출을 확대하는데 있다. 2차례에 걸친 설문 조사를 일본에 소재한 전문 리서치 기관에 대행하여 실시하였고, 불단용 국화와 캐주얼 플라워를 대상으로 조사를 하여 컨조인트 및 군집분석을 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캐주얼 플라워의 경우 화색, 화형, 포장형태 순으로 높은 효용치를 보여주었고, 흰색겹꽃 형태의 국화로만 포장된 상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 캐주얼 플라워는 모든 군집에 대하여 화색과 화형이 상대적으로 높은 효용치를 보여주었다. 다만 60대 전업주부, 고졸, 연소득 300만엔, 소도시에 거주하는 군집1과 40대 전업주부, 고졸, 연소득 300만엔, 소도시에 거주하는 군집2의 고객인 경우에는 화색보다 화형에 높은 효용치를 보여주었고, 50대 전업주부, 고졸, 600만엔대연소득, 소도시에 거주하는 군집3의 고객은 화형보다 화색에 높은 효용치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군집별로 고객군을 구분하여 신상품 개발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매 특성을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40대 및 50대는 홑꽃에 다른 품목(또는 품종)의 꽃과 함께 포장한 것, 60대는 겹꽃의 국화 단일품목으로만 포장한 상품을 선호하였다. 화색의 경우 50대 및 60대는 흰색과 노란색 국화, 40대는 분홍색과 노란색 국화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캐주얼 플라워의 경우 소비자 연령대별로 화형과 화색 등의 속성에서 뚜렷한 구매차이가 보여졌으며, 이를 고려한 국화수출상품 개발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불단용 국화는 화형, 화색, 가격 순으로 높은 효용치를 보여주었으며 298엔의 노란색 폼폰 형태 상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단용 국화를 군집 분석한 결과 모든 군집이 화형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효용치를 보여주었다. 구매특성 분석에 의하면 30-40대 전업주부, 고졸, 연소득 300만엔 미만, 소도시에 거주하는 군집1과 20대 전업주부, 대졸, 연소득 300만엔 미만, 소도시에서 생활하는 군집2의 고객은 가격에 매우 민감한 반면에 50대 전업주부,고졸, 연소득 300만엔 미만, 소도시에 거주하는 군집3은 가격에 둔감한 특성을 보였다. 구매특성을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30-50대는 흰색과 분홍색의 꽃, 20대는 노란색과 분홍색의 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형은 연령대별로 50대는 아네모네, 30-40대는 겹꽃, 20대는 폼폰형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30-40대가 선호하는 흰색의 겹꽃과 20대가 선호하는 노란색의 폼폰형 상품에 대해서는 저가의 전략이 필요한 반면 50대가 선호하는 흰색 아네모네형 상품에 대해서는 고가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수출시장 조사를 통한 맞춤형 상품 개발과 홍보 강화가 무엇보다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exportation strategy by surveying on preference of Japanese consumers on cut chrysanthemum exported. The survey was conducted two times by a local survey company in Japan, and the surveys were conducted largely on chrysanthemums for casual flowers and the altar. After departmentalizing Japanese consumers per groups the result were analyzed through conjoint and cluster methods, flower colors and shape were used relatively higher rate for selection criteria of flowers in every group in the case of casual flowers. Group 1 comprised of 60 year-old housewives who reside in a small city with high school diploma and annual income less than 300 million yen, and group 2 of 40 year-old housewives who are small city residents with high school diplomas and annual income of 300 million yen show higher rate of use in flower shape than colors. Another group 3 whose members are 50 year-old housewives, small city residents with high school diplomas and annual income of 600 million yen showed higher rate of use colors than the shape for selection criteria of flowers.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ges of the consumers showed a pronounced tendency. The 40-50 year-old housewives preferred single flowers packed with other flowers, and the 60 year-old housewives double flowers packed with only chrysanthemums. In flower color, the 50-60 year-old housewives preferred white and yellow flowers, and the 40 year-old housewives pink and yellow flowers. Therefore, there are needs for development strategy of new products considering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flower shape and color according to the ages of consumer. After analyzing the chrysanthemums for altar by departmentalization of Japanese consumers, every group showed relative higher rate of use for flower shape for selection criteria of flow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group 1 which is comprised of 30-40 year-old housewives who reside in small city with high school diplomas and income less than 300 million yen, and the group 2 of 20 year-old housewives who reside in small city with college diplomas and annual income less than 300 million yen. They are very sensitive to the price of the products while the group 3 of 50 year-old housewives who reside in small city with high school diplomas and annual income less than 300 million yen are insensitive to the price. The 30-50 year-old housewives preferred white and pink flowers, and the 20 year-old housewives yellow and pink flowers. In flower shape, the 50 year-old housewives preferred anemone shape, the 30-40 year-old housewives double shape, and the 20 year-old housewives pompon shapes. Therefore, the white, double flowers for the 30-40 year-old housewives and the yellow, pompon flowers for the 20 year-old housewives are needed to be created at the lowest cost, while the white, anemone flowers are needed to created at higher cost with high quality. In light of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we should understand the types of purchasing products through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Japanese consumers. Also we should plan, create market-oriented and consumer-oriented products, and should export them in order to expand more exportation.

      • KCI등재

        진청색의 동시개화성 절화 용담품종 ‘스카이호프’ 육성

        서종택,류승열,권영석,장석우,최창학,성문석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1 No.1

        A new Gentiana spp. cultivar ‘Skyhope’ was bred by crossing between ‘Jinbu-4 line’ with violet blue (VB 95B) colored petals and ‘Jinbu-1 line’ with violet blue (VB 93B) petals in 2000 year. The superior line of ‘0013-9’ was selected in Daegwallyeong from 2001 to 2003 year, and growth and flower characterization were conducted from 2004 to 2007 year in field of Daegwallyeong and Jinbu of Pyeongchang, Gangwon-do, Namwon, Jeollabuk-do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do. The flower showed violet blue (VB 96A) color at opening, the petal of flower have not spot and flower stem color was purple. Flowers was opening at the same time from bottom to upside. Plant height was 68.1 cm, and number of flower stems per plant was 5.3 ea., number of flower node per stem is 5.9 ea., and Number of flowers per stem was 32.2 ea.. The flowering of ‘Skyhope’ cultivar was bloomed from the middle of July in Daegwallyeong and the later of July in Jinbu, Pyeongchang, Kangwon-do and the early of July in Namwon, Jeollabuk-do and the later of July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do. ‘Skyhope’ cultivar can be used for cut flower. Key words - Breeding, Cut flower, Flower color, Flowering, Selection 용담 신품종 ‘스카이호프(Skyhope)’는 청색 꽃을 가진 가진Jinbu-1와 Jinbu-4호를 2000년에 교배하여 선발하였다. 화색은 진한 청색(VB 96A)으로 ‘횡계1호(VB96B)’보다 진했으며, 꽃잎에 반점이 없다. 꽃대 줄기는 자주색을 띠며 잎 모양은 피침형이다. 꽃은 밤에 반폐쇄형이고 위와 아래에서 거의 동시 개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초장은 68.1 cm 정도이고, 화경수도 5.3 개로 적었으며, 화단수와 화수는 각각 5.9개, 32.2개로 나타났다. 개화는 7월 상순부터 하순까지 하였으며, 전 지역에서 ‘횡계1호’보다 15-20일 정도 빠르게 피었다.

      • KCI등재

        식용꽃의 색상과 영양성분의 관계 연구

        최지은 ( Choi Ji Eun ),박찬혁 ( Park Chan Hyuk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7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7 No.-

        식용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영양성분 분석을 통해 기능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 영양성분을 기준으로 일부 식용꽃의 함량을 분석하거나, 일부 식용꽃의 성분분석이 주를 이루는 등 단편적 분석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영양성분들의 관계나 식용꽃들 사이의 유사성을 입체적으로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와 색상의 식용꽃과 영양성분들의 관계를 세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주성분분석을 활용하여 다양한 영양성분들의 상관관계를 통해 식용꽃들의 주요 기능을 식별하였다. 다음으로 쌍도분석을 통해 식용꽃과 영양성분들의 입체적인 관계를 시각화하였고, 군집분석으로 식용꽃의 색상과 영양성분들 사이의 관계와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프리뮬라는 항암성분이 우수하고 금어초는 항산화성분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빨간색 프리뮬라는 항암과 항산화성분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좋은 분포를 보였다. 한편 프리뮬라를 제외한 팬지와 비올라, 금어초, 한련화, 금잔화의 경우, 같은 종류의 꽃 보다는 비슷한 색상의 꽃들 사이에서의 영양성분이 유사했다. 또한 노란색 계열은 항산화성분을, 보라색 계열은 항암성분을 많이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식용꽃과 영양성분에 대한 새로운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색상과 영양 성분의 관계와 유사성을 새로운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s people`s interest in edible flowers increases, studies to prove the functions through analysis of nutritional elements have been continued. However, most of the studies analyze contents of some edible flowers based on specific nutritional elements, or analyze their elements, staying in fragmentary analysis. Therefore, it is not easy to judge the relations of each nutritional elements or the similarity of edible flowers. In this study, the relations between edible flowers of various kinds and colors and nutritional elements were analyzed with three methods. First, the study distinguished major functions of edible flowers through correlation of various nutritional elements. Next, through pair analysis, the dimensional relations between edible flowers and nutritional elements were visualized, and through group analysis, the relations and similarity between colors of edible flowers and nutritional elements were identified.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 primula is an excellent cancer-fighting property, and a snapdragon has a good anti-oxidative component. Especially, a red primula showed overall good distribution in both cancer-fighting property and anti-oxidative component. Meanwhile, pansy, viola, snapdragon, garden nasturtium and marigold except primula showed similarity of nutritional elements among similar colors instead of same kinds of flowers. In addition, yellow color flowers mostly have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purple color flowers have cancer-fighting elem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ed a new analysis method on edible flowers and nutritional elements. Especiall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the relations and similarity of colors and nutritional elements in new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