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빙 페어에 있어서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

        남가림,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Background and Purpose)As consumers’ interest in the living market has increased, Living Fairs have emerged that cater to co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space in their lives' style. Companies participating in Living Fairs display their images through the space in an activ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n addition, Living Fairs’participants introduce the current interior design and lifestyle trends to the visitors. Living Fair has a lot of input to boost the market through communication space between consumers and living brands. Starting with "Seoul Living Design Fair," which was first held in 1994, several Living Fairs are now held in various exhibition spaces such as KINTEX, COEX, and SETEC. Living Fairs are held every year in showrooms in various regions to revitalize the living market,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he number of visitors who come to the fair may be increased. The fair space is a representative “show design” space, a single site with thousands of booths in which exhibitions are held by many companies. In this study, an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index is created for Living Fairs, as well as the functions of the fair. The exhibition design guidelines' study has began. (Method) Since we would like to study the Living Fair and the exhibition design system applied to the space, we will start wit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Living Fair space and conduct a case study on the type of fair stand to which the exhibition design is applied. In this study, after conducting a data survey on the function and role, operation briefing, and guidelines of fair space, the domestic Living Fair cases are distinguished by personality and go through a process of materializ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drawn earlier, it is found that Living Fairs provide a suitable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system for effective communication spaces. (Results) This study analyzes the marketing process and operation guidelines before, during, and after Living Fairs. Cases are selected, divided into the components of operation, marketing, and design, and analyzed, allowing the establishment of an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index. The evaluation index classifies elements that occur throughout the course of a fair.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necessity of forming an evaluation index for exhibition design in Living Fairs. (Conclusions) This study establishes exhibition design guidelines which suited to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Living Fairs. These guidelines can be used for the Living Fairs which will be held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리빙 시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생활 속의 공간에 관심을 가지고 리빙 페어에 참관객으로 방문하기 시작하였다. 리빙 페어에 참여한 기업들은 소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기업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뿐만 아니라 당해의 인테리어 디자인 트렌드를 소개하고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다. 공간에 참여한 ‘리빙 브랜드’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 리빙 시장의 활성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1994년 처음 개최된 ‘서울 리빙 디자인페어’를 시작으로 킨텍스, 코엑스, 세텍 등의 다양한 박람회 공간에서 여러 리빙 페어가 개최되고 있다. 리빙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서 매년 다양한 지역의 전시장에서 리빙 페어가 열리고 있지만, 페어 공간 내에 참가 업체의 참가율과 참관객들의 방문율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페어 공간은 많은 기업들이 전시를 개최하여 하나의 현장에서 수천 개의 부스가 들어서므로 가장 대표적인 ‘전시 디자인’의 공간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리빙 페어에 있어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에 따라 리빙 페어의 기능/역할 등 배경, 취지에 적합한 전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해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리빙 페어와 그 공간에 적용된 전시 디자인 체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므로 리빙 페어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작으로 전시 디자인이 적용된 페어 스탠드 유형에 관해 사례 조사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페어 공간의 기능 및 역할, 운영 브리핑, 가이드라인에 대한 자료 조사를 한 후, 국내의 리빙 페어 사례들을 성격 별로 구분하고 유형화 과정을 거친다. 앞서 도출했던 이론적 고찰들을 토대로 리빙 페어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되는 적합한 전시 디자인 전시 디자인 평가 체계를 도출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빙 페어 전·중·후 과정 중에 페어 마케팅 프로세스 및 운영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분석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앞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사례를 선정하여 운영, 마케팅, 디자인의 구성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를 구축하였다. 평가 지표는 페어의 모든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요소들을 분류하여 구성된다. 그리하여 리빙 페어에 있어서 전시 디자인의 평가 지표를 형성하는 것에 필요성을 증명한다. (결론) 이는 리빙 페어의 배경과 취지에 맞는 전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추후에 개최될 리빙 페어들에 재참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시 디자인 방법 연구

        김영욱 ( Youngwook Kim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페어는 제품 판매를 주목적으로 탄생한 장터의 한 개념이다 (Song, 2006, p14). 이러한 페어는 급격한 네트워크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의 제품 정보 습득과 인식을 높여 매출을 증대시키는 전시로 변화했으며, 세일즈 마케팅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시 디자인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관람객의 눈길을 끄는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기업의 궁극적 목적인 브랜드 인식 확대와 매출 증대를 모색하고자 체험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경험 가치를 감성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사고 전환 프로그램이 전시 공간에서 활용되는 것이 그 사례이다. 페어에 참가하는 기업이 성공적 페어 마케팅 결과를 도출하도록 전시 디자인 측면에서 관람객의 인식 전환과 참여 유도를 위한 디자인 점검 요소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고려 사항을 제안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및 범위) 분석 모델은 전시 공간의 동선과 마케팅 프로그램이 상호작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페어 사례 중 소비자 접근을 고려한 공간 구조와 참여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해외 페어 사례를 선정하였다. 또한 사례 선정과 연구는 본 연구자가 실제 전시 운영요원의 일원으로 참여했던 전시 운영 사례와 더불어 연구자가 직접 참관했던 페어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가지 공간 구조 사례를 공간 개요, 공간 특성, 디자인 개성, 브랜드 인식 총 4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을 통해 전시 디자인은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 5가지 요소의 조화를 통해 관람객 참여를 이끌어내고, 이는 성공적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궁극적 목적인 브랜드 인식을 완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초대 요소와 참여 요소가 혼재되어 상호작용을 일으키고 인식의 과정을 만든다는 것에 대해 전시디자인이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구체화 하고, 페어 마케팅의 전략적 장점과 가치를 도출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페어 참가 기업의 전략적 목적을 내재한 전시 디자인의 유형에 따라 잠재 고객과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촉발 시키고 이는 브랜드인식과 매출 증대로 이어지는 상호작용이 발생함을 증명하였다. (결론) 전시 디자인은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표현 방법으로써 관람객의 프로그램 커뮤니티 참여를 돕고 인식의 전환점을 만드는 중요 요소임을 보여주었으며, 성공적 전시 디자인을 위해 페어의 목적, 예산, 통일성, 운영, 사후 개선에 대한 점검 요소와 고려할 요건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페어에 참가하는 기업의 전시 공간 디자인 전략 수립에 있어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 바란다. The notion of a fair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selling products (Song, 2006, p. 14). According to the change into a radical network society, it has been converted into “exhibitions” augmenting sales by improving the customers` level of acquiring and recognizing product information. As part of the sales marketing program, the fair has caught audience`s eyes with various methods of expression, including taking advantage of exhibition design. For example, the thought diversion program is utilized for exhibition spaces, which is progressed by companies emotionally delivering brand experience value to customers through experience marketing in an effort to improve brand awareness and sales. In order to yield successful marketing results for companies participating in fairs, I have initiated research to suggest a design inspecting point and communication factors by which the participation and the conversion of spectators can be induced. (Method)I selected a series of international fairs containing space structures in favor of customers` approach and the constituents of the participation program as analysis models among cases of fairs creating a synergy effect by the interaction of exhibition space flow and the marketing program. In addition, the selection of cases and this research are based on my experience in operating an exhibition and the fairs that I attended in person. In light of a customer`s approach, I assorted six space structure cases into four subsections: space outline, space peculiarity, design characteristics, and brand awareness. (Results)By analyzing cases, it was found that exhibition designs attract the participation of spectators through the harmony of five factors including sense, emotion, awareness, behavior, and relationship. This sets forth the outcome that successful fair marketing communication can complete brand awareness,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Invitation factors and participation factors are intermingled. In terms of the interaction of those factors and creating awareness, exhibition design materializes fair marketing communication and generates the strategic advantage and values of fair marketing. According to the sorts of exhibition designs containing the strategic purposes of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fairs, it accelerates marketing communication with potential customers, which leads to specific interactions and an increase of sales and brand awareness. (Conclusions)Exhibition design is a way of expressing fair marketing communication. It helps spectators engage in the program community and represents itself a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a watershed of awareness conversion. In addition, it gives rise to the result regarding inspection and consideration factors for the aim of fairs, budget, uniformity, operation, and post-management. I hope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will be utilized as fundamental research materials to establish strategies for exhibition space design at fairs.

      • KCI등재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장에서 사인시스템 디자인에 관한 연구 -미니멀리즘 속성을 중심으로-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연구배경 및 목적) 국제박람회장은 국제경영활동을 위해 각국의 기업들이 참여하여 참관객들에게 효과적으로 홍보하고, 글로벌 마켓의 동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등 다양한 교류활동이 이루어지는 역동적 장場이다. 이곳에서 사인디자인은 일시적인 기간과 한정된 장소에서 방문 목적에 따라 원활한 활동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므로 특수 목적 장소인 국제가구박람회장 사인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여 의의와 필요한 차별화디자인 특성을 추출하고, 향후 국제박람회장의 사인디자인 방향 및 전략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태리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장의 사인디자인을 범위로 선정하여, 첫째, 사인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여 의의와 특성을 추출하고, 둘째, 건축미학적 관점(미니멀리즘)에서의 해석을 통해 연구의 차별성을 제시하고 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셋째, 박람회장에서 4개의 영역을 선정하여 사례조사를 한다. 최종적으로는 특수 목적 기능을 갖고 있는 국제가구박람회장과 사인커뮤니케이션간의 상관성을 정의한다. 그리고 앞으로의 디자인 방향성과 전략을 제안한다. (결과) 사인디자인의 5가지 종류種類 중 사용 빈도가 높은 것은 유도와 안내 그리고 실명 중심으로 나타났다. 구성요소로서 문자(가독성), 색채(시인성)는 선정된 4곳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픽토그램(해독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냈다. 그리고 미니멀리즘의 특성에서는 4곳에서 ‘사물의 본성(단순성)’과 ‘최소한의 매개(최소성)’ 특성이 매우 높은 분포로 나타났으며, ‘실제적 체험(직관성)’도 중요한 특성으로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장 사인디자인의 속성을 기능적 측면에서 3속성(가독성, 시인성, 해독성) 그리고 미니멀리즘의 3특성(단순성, 최소성, 직관성) 총 6가지를 도출하여,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추출된 6가지 특성들은 박람회장의 사인디자인에서 핵심적인 요소로서, 그 특성이 사인디자인에서 유의미한 요소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장의 사인디자인에 관한 의미와 확장성 있는 디자인 전략(사용자 체험을 위한 최소성)을 정의할 수 있었다. 앞으로 본 연구의 내용이 향후 커넥티드환경 하에 국제박람회장과 각종 박람회장에서의 사인디자인 프로그램 계획 시에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ternational fairs are dynamic venues where various companies from different countries come together to launch promotional campaigns, connect with clients, and collect information on current global market trends. Here, sign designs serve the function of providing smooth support for activities taking place for temporary periods and at limited locations. They vary depending on visits’ purposes. According to this n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t signs found at international exhibition sites and to analyze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evolving course of signage designs, and concludes by recommending strategies that can be implemented in future international fairs. (Method)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analysis was derived from qualitative research, specifically using the Milan International Furniture Fair in Italy as a case study. First, the study identifies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signage designs using a theoretical approach. Second, it presents the study’s distinguishing factor; namely, interpreting signage designs from an architectural perspective of minimalism. Third, the study further examines other examples, using four different international exhibition fairs as additional case studies. Finally,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igns serving a special purpose and function at international fair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ir communication) is explored in order to propose a future course and strategy for signage designs. (Results) Among the five types of signage designs, it was conclude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designs were those that focused on guidance, guides, and hall names.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design components, character (reliability) and color (visibility) received the most focus amongst the four sites selected as case studies. However, pictograms (a measure of decidability), showed relatively low distribution. The characteristic of minimalism exhibited very high distribution throughout the four sites. This was evaluated in terms of the nature of objects (simplicity) and minimal mediation (minimality). Actual experience (intuition) also turned out to be a highly important factor.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different types of signage designs by investigating a total of six attributes implemented at the Milan International Furniture Fair in Italy. These included the three attributes of signage design (readability, visibility, and decidability) and three attributes of minimalism (simplicity, minimality, and intuitiveness). These six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the key elements in signage designs for exhibition sites, and added significant elements in creating a positive visitor experience. Through this research and exploration, the study was able to define the effects of signage design on the success of the Milan International Furniture Fair. Using that information allowed for an expandable design strategy. Ultimately, the result is a compilation of data provid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planning effective signage systems for international exhibition sites in the future.

      • 국내 공간디자인 관련 전시회의 주제 분석을 통한 디자인 트렌드 변화 연구

        이수민(Lee, Soo-Min),김은빈(Kim, Eun-Bin),박수연(Park, Soo-Yeon),김영주(Kim, Young-Jo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design tre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hemes and the contents of the major spatial design exhibition in Korea - Kyung Hyang Housing Fair and Seoul Living Design Fair- based on the periodical issues in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from 1986 to 2013. Content analysi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Periodical information about each exhibition was collected through the online search and supplementary materials such as guidebook were added for content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Since t980s, there was an increased need and interest for housing and interior design and the 1st Kyung Hyang Housing Fair was opened in 1986. In 1990s, design quality improvement was emphasized based on the issues of IMF and shoddy and fault construction such as collapse of Sam Poong department store. Due to the broad dissemination of internet, globalization, and emergence of diverse household type, demand for housing and interior design was diversified after 2000s. Additionally, the global concepts associated with sustainability, energy saving, and green growth were influenced to spatial design field. Lately, interaction design is rapidly developing due to proliferation of SNS and smart mobile equipment. Meanwhile, there is a continuing trend for emotional design in recent years.

      • KCI등재

        서울리빙디자인페어에 나타난 생활공간디자인 변화 경향 분석 -1994∼2018년간 데이터를 중심으로-

        박현옥,이종숙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8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nds of interior design through the contents and themes of Seoul Living Design Fair from 1994 to 2018. The method of research is analysis of contents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rends and the articles of Living Design Fai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ends concept shown in the previous research are the high-tech designs and the modern trends in 1990's, the sustainable design consider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2000's and the return to traditional & minimal trend in 2010's. Second, the trends of the Living Design Fair in five stages are the introduction period, the settlement period, the reflection period and the prosperity period, and now the new communication period. Finally, It is diversified into modern-natural in the introduction period, hybrid, natural, traditional and eco-zen in the settling period, and it has appeared evenly from the reflection period. In the prosperity period and communication period, th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s widening, and it can be seen that digilog-self design tendency to perform their own space is prominen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living space design will show a variety of products that support a design that reflects their individual needs, and furniture and convertible tools that can easily bring about space changes like simple recipes.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A`도시 국제디자인페어 사례연구 - 행사기획을 중심으로 -

        김정희 ( Kim Jung-h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9 No.-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기획전문가들의 회의를 통해 기획전략을 수립하던 방식에서 좀 더 차별화된 행사기획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사용자(시민, 방문객) 중심의 행사기획의 필요성에 의해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먼저 참고문헌고찰을 통해 서비스디자인 개념을 정의하고 개선사례 도출을 위해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서비스를 경험한 이해관계자와 방문객을 대상으로 인터뷰(FGI)와 고객여정지도를 진행하여 불만요소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문가 그룹의 브레인스토밍과 어피니티다이어그램을 통해 터치포인트별 경험가치를 측정하고 가중치별로 분석하여 차별화된 행사기획 결과를 도출하였다. 디자인 작품 관람의 경험이 많지 않은 `A`도시 시민들에게 디자인 작품 관람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고 참여 및 체험의 경험을 통해 디자인에 대한 시민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콘텐츠 중심 기획이 아닌 사람(시민, 방문객)을 중심으로 한 관별 주제선정과 각 관의 주제에 맞는 콘텐츠를 구성하였고,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와 각 나라 전문 디자이너와 예비디자이너들의 작품(28개국 500여점)을 소개하는 콘텐츠를 확대하였다. 이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경험을 토대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A`도시 특성에 맞춘 기획으로 타 국제디자인 페어의 기업 상품홍보 및 마케팅이 주축이 되는 디자인 상품 위주의 행사와 차별되는 것으로 기획한 점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more differentiated event planning rather than established by the meeting of the existing planning experts.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we used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for event planning centered on users(citizens, visitors). First, service design concept was defined through reference literature review and service design process and methodology were applied to derive improvement cases. we derived the results of differentiated event planning through conducting a interview and customer journey map for stakeholder and visitors who experienced the service and identifying the complaints and problems and measuring the experience value per touch point, and analyzing the value of importance conducted by expert group. we made a different subject per zone and content that fits with each subject for zone base on people (citizens, visitors) not for contents. Also we expanded the content that participates citizen, professional designers and preliminary designers of each country. (500 works in 28 countries) This is different from the design product-oriented event, which is led by promotion and marketing of corporate product of other international design fai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event planning that provides easy access for `A` city citizens who have little experience in design works and raises citizen`s understanding of design through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 KCI등재

        국내 가구디자인 공모전의 방향성 모색에 관한 연구 - 일본 ‘아사히카와 국제 가구디자인 공모전’을 중심으로 -

        윤여항 ( Yoon Yeoh-ha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오늘날 디자인 공모전은 기업의 수요와 맞물려 우수한 디자인을 발굴하여 궁극적으로 수익창출에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기업경쟁력을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두고 개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의 국내 가구디자인 공모전의 상황 진단을 통한 분석으로 지속 가능한 가구공모전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 2개의 국내 가구디자인 공모전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어 해외의 선행(先行) 사례로 이웃 일본의 성공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우리의 가구산업을 개선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국내 정서와 여건에 맞는 가구디자인 공모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2000년 이후 국내에서 10년 이상 개최된 대표적 가구디자인 공모전인 ‘경기가구 우수디자인 공모전’과 ‘GaGu 디자인 공모전’을 구체적인 사례로 들었다. 또한 해외 사례로 일본 북해도의 아사히카와(旭川) 시에서 매3년마다 개최되고 있는 ‘아사히카와 국제 가구디자인 공모전(IFDA)’을 분석하였다. IFDA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4회에 걸쳐 논자가 직접심사에 참여해서 구체적으로 경험했던 내용으로 실증적인 사례 연구가 되었다. 이를 통해서 공모전의 수상작이 향후 가구업체와 연결되어 제품화가 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지속 가능한 국내 가구디자인 공모전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Today, the design competitions are held for the purpose of creating the corporate profits and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by discovering the excellent designs. This study sought for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competitions by diagnos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domestic furniture design competitions. As the representative cas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wo domestic furniture design competitions were researched, and then a successful case of Japan was analyzed as the foreign preceding ca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asures of furniture design competition suitable for the domestic sentiment and conditions. Especially, 'GaGu Design Competition' and 'Gyeonggi Furniture Design Contest' held for more than ten years in Korea since 2000 were used as the cases. As a foreign case, 'The International Furniture Design Fair Asahikawa(IFDA)' held in Asahikawa of Hokkaido, Japan was analyzed. The writer participated in the screening of IFDA four times, and the empirical cas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experiential content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sought for the methods to commercialize the prize-winning works of competitions in the connection with furniture companies in the future, and also suggested the measures for the sustainable furniture design competitions of Korea.

      • KCI등재

        3D 프린팅 신기술 등장에 따른 패션디자인 보호를 위한 저작권법의 재조명

        김도경,정혜련 한국경영법률학회 2020 經營法律 Vol.30 No.2

        3D printing technology, digital manufacturing technology, is bringing in creative fashion products and clothing that show “the art of transcending fashion” that differentiate fashion industry products from conven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ies with original and surreal designs, forms and materials. Due to these new technological changes, the fashion industry ecosystem is changing from “manufacturing” to “design”. In addition, if we keep in mind that the development and growth engine of the fashion industry is innovative design, it will be important to motivate designers to continuously develop and create such designs. In Korea, fashion design can be protected by trademark law,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law(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law), design protection law and copyright law. However, trademark law and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law cannot be regarded as a direct protection of fashion design because it does not protect the design itself. The design protection law protects the design itself, but due to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the registration process, there is a practical problem of a legal protection measure for fashion products that have a short fashion cycle. Furthermore, in the era of 3D printing new technology, the concept of cyclical fashion will be discarded because it is a digital manufacturing technology that enables rapid molding, so the law that can most effectively protect creative design will be copyright law. However, if the popularization of 3D printing allows individual consumers to manufacture fashion products and clothing in the near future, the problem of design infringement will increase. There is a problem that copyright law still lies in the blind spot of copyright protection in evaluating useful articles such as clothing from a reductionist point of view which is judged only as a useful and utilitarian on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physical and conceptual separability’, which is a requirement for copyrighted works of applied art. In-depth discussion of the separability criteria requires a paradigm shift starting from the recognition that fashion design is a “creation”. If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protection of fashion design expands in the future, it would be desirable to establish and resolve the “fair use” judgment criteria suitable for fashion products in order to balance it and solve the concerns of overprotection. 디지털 제조 기술인 3D 프린팅 기술로 인해 패션산업의 제품들을 독창적이고 초현실적인 디자인, 형태, 소재 등으로 기존의 제조기술과는 차별화된 “패션을 넘어선 예술의 경지”를 보여주는 창작적 패션제품, 의류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적 변화로 패션산업 생태계는 “제조” 중심에서 “디자인”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패션산업의 발전 및 성장 동력은 참신하고 획기적인 디자인이라는 점을 유념한다면, 이와 같은 디자인을 지속적으로 개발 및 창작하고자 하는 유인동기가 중요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패션디자인은 상표법,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부정경쟁방지법), 디자인보호법, 저작권법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상표법, 부정경쟁방지법은 디자인 그 자체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패션디자인의 직접적인 보호방안이라고 보기 어려우며, 디자인보호법은 디자인 자체를 보호하나 등록절차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의 문제 때문에 유행의 순환주기가 짧은 패션제품에는 비경제적인 법적 보호방안이라는 현실적 문제가 있다. 나아가 3D 프린팅 신기술 시대에는 신속한 조형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제조기술이기에 순환적 유행의 개념이 폐기될 것이므로 창작적 디자인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법제는 저작권법이 될 것이다. 그러나 3D 프린팅의 상용화로 머지않은 미래에 소비자 개개인이 직접 패션제품 및 의류를 제조할 수 있게 되면 디자인 침해문제가 더욱 증가할 것이지만 저작권법은 여전히 “오직 실용적‧기능적인 것으로만 판단하려는 환원론적(reductionistic) 관점”에서 의복 등의 실용품을 평가하기에 저작권 보호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응용미술저작물이 보호를 받기 위한 요건인 ‘물리적, 관념적 분리가능성’ 에 대한 개념을 확실하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최근 미 연방대법원의 Star Athletica, L.L.C. v. Varsity Brands, Inc. 사건판결에서 정립한 분리가능성 기준을 참조하여 우리나라 법 실정에 맞는 추가적인 논의를 진행하되 그 시작을 패션디자인이 “창작물”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 향후 ‘분리가능성’의 요건이 완화되어 패션디자인의 저작권 보호 가능성이 확대된다면, 이와 균형을 맞추고 과보호의 우려를 해소시키기 위해 패션제품에 적합한 “공정이용” 판단기준을 정립하여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Negotiation Model of Design Optimization Profit Distribution with Fairness Concerns in Construction Projects

        An Xiaowei,Li Huimin,Omoleye Ojuri,Wang Zhuofu,Ding Jiyong 대한토목학회 2018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2 No.7

        Design optimization is an effective strategy to reduce construction project costs. This study focuses on the benefit of designoptimization, which should be allocated to the designer. Furthermore, the distribution ratio can be determined through negotiation. Inline with this view, this paper initially analyzed the benefits of engineering design optimization and the basic mechanism of itsdistribution. Second, we established the negotiation model of design optimization profit distribution by considering the fairnessconcern behavior of subjects. Finally, we set up the following three experimental scenarios: the designer solely has fairness concernbehavior, the owner exclusively has fairness concern behavior, and both negotiators have fairness concern behavior. From theengineering projects perspectives, we further analyzed the effects of the fairness concerns of both negotiators in terms of engineeringdesign optimization and negotiation performance using negotiation simulation experiments. Our experimental scenarios results showthat the appropriate behavior of fairness concerns by the two negotiators is valuable in improving their own advantages. However,excessive attention to the behaviors of fairness concerns by the two negotiators may lead to an increase in the negotiation cycle,which is not beneficial in attaining optimiz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references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 KCI등재

        동일인 지정제도: 정량적 기준과 정성적 기준의 비판적 검토

        강상엽 ( Sang Yop Kang ) 한국경제법학회 2021 경제법연구 Vol.20 No.2

        ‘동일인’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과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 집단 규제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인 지정제도를 조망하고 관련 실무 사항을 살펴본다. 현행 동일인지정제도에 의하면, 어떤 자가 정량적 기준과 정성적 기준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면 동일인으로 지정된다. 본 논문은 현행 제도를 비판하고 그 개선방안을 입증책임의 문제와 함께 제시한다. 현행 법령의 정성적 기준에 대한 내용은 일반적이고 추상적이어서, 어떠한 구체적인 상황에서 ‘지배적 영향력’(혹은 ‘사실상 지배력’)을 기업집단에 대하여 행사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지 못한다. 본 논문은 정성적 기준을 구성하는 11가지 판단요소를 소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요인이 기업집단 내부에서 어떻게 동일인 후보자의 영향력을 강화하거나 약화하는 지에 대하여 논증하여, 동일인 지정과 관련된 정성적 기준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립하는 분석의 틀을 제시한다. ‘The same pers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concerning the corporate-group regulation by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and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Until recently, however, few studies have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this concept and the relevant issues. This article examines ‘the same-person’ designation system and related practical matters. According to the current ‘same-person’ designation system, if a person meets either quantitative or qualitative standard, the person is designated as ‘the same person.’ This article criticizes the current designation system and provides suggestions to improve the designation system based on the ‘burden of proof.’ The contents of the qualitative standard of the current designation system are general and abstract. Thus, the qualitative standard does not explain under what specific circumstances ‘the same person’ exerts a ‘dominant influence’ (or ‘de facto control’) over a corporate group. This article introduces the 11 judgment factors constituting the qualitative standard and reviews them in detail. In addition, by demonstrating how these factors strengthen or weaken the influence of the same-person candidate within a corporate group, this article presents an analytical framework that more specifically establishes the qualitative standard related to the ‘same-person’ desig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