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도산서원(陶山書院) 노비의 혼인과 가족

        김영나 ( Kim Young Na ) 한국서원학회 2018 한국서원학보 Vol.6 No.-

        본 논문은 陶山書院의 고문서 중 17세기의 院贖案 1건, 18세기의 奴婢案 9건과 身貢案 2건을 통해 노비의 혼인과 가족, 거주 지역을 밝히고자 하였다. 도산서원 노비의 혼인에서 서원노와 서원비의 혼인이 가장 많이 나온다. 이는 서원의 입장에서 가장 손쉬운 혼인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노와 良女의 혼인이다. 이는 서원에서 노비의 수를 늘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비와 私奴와 노와 私婢의 혼인도 많이 나오는데, 비와 사노의 소생은 서원의 소유가 되었고, 노와 사비의 소생은 노비안에 나오지 않는다. 이외에도 班奴婢·私奴婢·寺奴婢·驛奴婢·內奴婢·다른 서원 노비·買得奴婢·贖納婢 등과의 혼인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혼인 관계에서 공통적인 특징은 비의 경우는 어떠한 혼인 대상과 혼인하든지 그 소생은 반드시 서원의 소유가 되었지만, 노의 경우는 혼인 대상에 따라 그 소생이 서원의 소유가 될 수도, 아닐 수도 있었다. 서원에서는 노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혼인 방식을 강구하였고, 그 중 가장 큰 성과는 노와 양녀의 혼인으로 인한 소생이었다. 도산서원 노비의 가족은 보통 한 지역에서 대대로 거주하는 경우가 많아서 가족의 해체나 분열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대부분 비를 중심으로 노비안에 가족을 기재하였다. 노의 경우는 양녀와 혼인하여 낳은 소생들이 주로 기재되었고, 노와 寺婢, 노와 私婢 등의 혼인에서 태어난 소생은 나오지 않는다. 도산서원 노비의 거주 지역은 주로 경상도 북부 지역과 동해안이고, 경상도 남부 지역과 충청도 강원도에도 도산서원 노비가 나온다. 특히 예안과 안동의 경우, 그 안의 거의 전 지역에 노비가 거주하였다. 또한 관청이나 사찰에 거주하는 특별한 경우도 있었는데. 여기에 거주하는 노비들은 도산서원에 신공을 납부하지 않았을 것이다. 도산서원은 예안과 안동 일대에서도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고 예안에서 멀리 떨어진 강원도나 충청도의 노비에게 신공을 거둘 수 있을 정도의 영향력이 있었을 것이다. 지금까지 18세기의 도산서원 노비의 혼인과 가족관계, 거주 지역을 살펴보았다. 자료의 한계로 인해 미비한 부분은 19세기의 노비안들을 함께 분석해본다면 도산서원에 속한 노비의 존재양상을 더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marital and familial forms, as well as the residential areas of slaves through the ancient documents of the Dosan Seowon, including a 17th century government slave register, nine 18th century slave registers, and two labor remission fee registers. Marriages between female seowon slaves and male seowon slaves were the most common form of marriage found among Dosan Seowon slaves, since it was the most convenient way for the seowon to increase the number of slaves in their possession. The second most common were marriages between male slaves and freeborn commoner women. Similarly, these types of marriages were actively encouraged by the seowon to increase the number of slaves. There were also many instances of marriages between female (seowon-owned) slaves and privately-owned male slaves, and male (seowon-owned) slaves and privately owned female slaves. The offspring of the former were claimed by the seowon; while the ownerships of those of the latter are not mentioned in the slave registers of the seowon. The registers also record marriages that involve privately-owned slaves, government-owned slaves, post station slaves, slaves owned by the royal family, slaves owned by other seowons, acquired slaves, escape from the slaves etc. A common tendency found among the various forms of marriage is that the offspring of a female slave that belonged to the Dosan Seowon were also owned by the seowon, regardless of the groom; while the offspring of the seowon’s male slave could or could not be owned by the seowon, depending on the bride. The seowon sought ways to increase the number of its slaves. The most effective among these were marrying its male slaves with freeborn commoner women. Most slaves owned by the Dosan Seowon had resided in fixed areas for many generations. Thus, dismantled or divided families were rare among the Dosan Seowon slaves. In most cases, slave families were recorded on the slave register, centering around the female slave. With male slaves, the register mostly records the offspring between male slaves and freeborn commoner women. Those between male slaves and government- or privately-owned slaves are not mentioned. The slaves owned by the Dosan Seowon mostly resided in the Northern regions of Gyeonsang and the East Coast the Southern regions of Gyeonsang and Chungcheong, and even Gangwon. In particular, Dosan Seowon slaves resided in all areas of Yean and Andong. There were also exceptional cases where they lived in government offices or temples. These slaves most likely did not pay labor remission fees to the Dosan Seowon. The Seowon possessed influence over the areas surrounding Yean and Andong. We can also conjecture that their influence stretched to other regions in Gangwon and Chuncheong, far from Yean, that would have enabled them to collect labor remission fees from the slaves residing in these areas. This paper has thus explored the marital and familial relationships, and residential areas of the Dosan Seowon slaves. We believe that the limitations of this paper resulting from lack of data can be resolved by including an analysis of slave registers in the 19th century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lives of slaves that belonged to the Dosan Seowon.

      • KCI등재

        居昌 道山書院 營建에 대한 고찰

        강민구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3

        Dosan Seowon was the representative seowon of Geochang, which had been bestowed a tablet from the king. But after it was destroyed by the abolition ordinance of Daewongun, it is difficult to find even the remains. Due to the destruction of seowon and the historical confusion, most of the materials of Dosan Seowon appear to have been destroyed. Based on the extant materials, the construction of Dosan Seowon was proposed by Mun-yui[文緯, 1554~1631], a representative figure of Geochang in the mid-Joseon period. In the 「Sanjedong Ibwonchanggyu(山際洞立院創規)」, Mun-yui declared that it was the desire of the local people to build a shrine for commemorating their morals, because there was a remain where Kim Goeng-pil(金宏弼) and Jeong Yeo-chang(鄭汝昌) met and studied at the edge of Mt. Odae[Mt. Odo] in Geochang. According to 「Sanjedong Ibwonchanggyu」, it seems that public opinion on the establishment of a seowon was gathered at that time and it was in the stage just before the groundbreaking. However, since the word ‘Sa[祠]’ is used instead of ‘Seowon[書院]’, it seems that the size of the seowon was not considered from the beginning. The record that most clearly organize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Dosan Seowon was the 「Dosanseowon Geonyeong Jeonmalgi(道山書院營建顚末記)」 written in January 1680 by Choi Yun-jeong(崔胤貞). According to this record, at least 26 years have passed since Mun-yui proposed to establish the seowon, and in 1656(the 7th year of King Hyojong), the seowon was built under the initiative of Kim Ik-gyeon(金益堅). At this time, the site was selected, and the composition of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procurement related to the construction were also determined, also Jo Jeong-rip(曺挺立) was appointed as the director. The location of the seowon was to the south of Mt. Doksan(禿山), and there was a person who donated building materials, so first of all, about 10 compartments of Jeongokcheong(典穀廳) were able to be built. However, the Chungcheong-do provincial governor Seo Pil-won(徐必遠) informed the excessive construction and negative effect of seowon, and an ordinance was issued to build a seowon that accepted it, and construction was halted until 1660. After that, in 1660, in the year of King Hyeonjong’s enthronement, the request for the establishment of seowon and the bestowal of tablet was approved, and construction resumed. In 1661, Kim Goeng-pil, Jeong Yeo-chang and Jeong-on were enshrined. At this time, 4 compartments of Jaesa(齋舍) were built, but the lecture hall was not built, so it did not have a complete appearance as a seowon. In 1662, a tablet called ‘Dosan Seowon(道山書院)’ was bestowed from the king. The lecture hall began to be built in 1664, and was completed in 1667, taking the form of a seowon in name and reality. The construction of Dosan Seowon was a long-cherished project for the local residents of Geochang, which took about 40 years from the proposal of Mun-yui to the completion. 도산서원은 거창을 대표하는 사액 서원인데 대원군의 철폐령으로 훼철된 후 현재는 그 遺址조차 찾기 힘들게 되었다. 서원 훼철로 도산서원 관련 자료는 대부분 逸失되었다. 현전 자료를 토대로 본다면, 도산서원의 건립은 조선 중기 거창의 대표적 인물인 文緯[1554~1631]에 의하여 제창되었다. 문위는 「山際洞立院創規」에서 거창 鰲戴山[오도산] 자락에는 金宏弼과 鄭汝昌이 만나 강학한 유적이 있기에 그들의 도의를 기리기 위해 사원을 창건하는 일이 지역민의 염원임을 천명하였다. 「산제동입원창규」에 의하면 당시 서원 설립에 대한 여론이 수렴되어 기공 단계 직전에 있었다. 다만 ‘書院’ 대신 ‘祠’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으니, 처음부터 서원의 규모를 생각했던 것은 아닌 듯하다. 도산서원 건립 과정을 가장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기록은 崔胤貞이 1680년 1월에 작성한 「道山書院營建顚末記」이다. 이 기록에 의하면, 문위가 서원 창건을 발의한 뒤로 최소 26년이 경과된 1656년(효종 7)에 金益堅의 주도로 서원이 기공되었다. 이때 터를 잡고 공사와 관련된 인적 구성과 물적 조달도 획정하였으며 원장으로 曺挺立을 추대하였다. 서원의 위치는 禿山 남쪽이었으며, 건축 자재를 희사한 사람이 있었기에 우선 典穀廳 10여 칸을 지을 수 있었다. 그러나 마침 충청도 관찰사 徐必遠이 서원 남설과 폐단을 啓請하였고, 그것을 수용한 서원 건립 인가령이 발령되어 1660년까지 공사가 중단되었다. 이후 1660년 현종 즉위년에 서원 창립과 사액 요청이 승인되어 공사가 속개되었고, 1661년 김굉필․정여창․정온을 추향하였다. 이때 齋舍 4칸을 지었으나 강당을 짓지 못하였으니, 서원으로서의 온전한 모습을 갖추지는 못하였다. 1662년 ‘道山書院’이라는 편액이 내려와 사액이 완료되었다. 1664년에 강당을 짓기 시작하여 1667년에 준공되어 명실상부한 서원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도산서원 건립은 문위의 발의로부터 준공까지 무려 약 40년이 걸린 거창 지역민의 숙원 사업이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도산서원 원장의 구성과 그 특징

        우인수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3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3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약 300년 동안의 도산서원 원장의 구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특징을 살핀 것이다. 도산서원 원장직은 서원을 대표하면서 서원과 관련한모든 일에 대한 책임을 지는 자리였다. 서원을 대표하는 존재이기에 학식과 덕망을 갖출 것이 요구되었고, 일단 선출된 이후에는 그 권위를 인정받았다. 도산서원의 원임안과 각종 고문서를 주 자료로 이용하고 그 외 사서와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선후기 300년을 100년 단위로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특징을분석할 수 있었다. 총 463명의 원장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몇 가지 특징을 시기별로 밝힐 수 있었다. 먼저 원장의 수와 재임 기간의 변화를 살필 수 있었다. 18세기에는 원장의 수가 급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17세기와 비교하면 약 3배 이상 증가한 규모였다. 19세기에도 그러한 상황은 유지 확대되었다. 원장의 수에 반비례하여 재임 기간은 짧아졌다. 17세기에 2년 남짓이었던 원장의 평균 재임기간은 18세기와19세기에는 각각 5.4개월과 5.3개월로 짧아졌다. 이러한 현상은 원장 수를 늘려서 우호세력을 확대하려는 의도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다음은 원장의 거주지 분포에서도 상당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7세기의 원장은 거의 모두 예안 지역 거주자였는데 18세기에는 그 비율이 56.6 %로 급격히 줄었다가 19세기에는 68%로 다시 늘어난 추세를 보였다. 18세기에는 안동을 위시한 경상도 북부 여러 지역 출신을 원장에 임명하였기 때문이다. 19 세기에 예안 출신이 다시 약간 증가한 것은 예안의 독점구조가 더 강화된 것이라기보다 예안의 진성이씨 집안에서 맡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 반영된 것이었다. 원장의 성씨별 분포 비교도 의미 있는 변화의 양상을 설명해줄 수 있는 주요한 잣대였다. 17세기 원장은 예안현의 유력 성씨인 광산김씨, 진성이씨, 봉화금씨순으로 많았으며, 세 성씨의 합이 전체의 약 82%를 차지하고 있었다. 18세기 원장 구성은 진성이씨와 광산김씨의 순으로 비중이 바뀌었으며, 세 성씨의 합은 약54%에 그쳐서 세 성씨의 독점 구조가 상당히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세기의 경우는 진성이씨의 비중이 월등히 높아져서 약 64%를 차지하였다. 진성이씨가 감당할 수밖에 없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원장 자리의 일부를 예안현의 수령이 감당한 것도 19세기에 나타난 특징이었다. 도산서원 원장에 취임할 당시의 경력에 대한 분석에서도 변화의 양상을 살필 수있었다. 17세기에는 전직 관료 출신 비중이 17세기에는 약 40%를 차지하였고, 18 세기에는 약 62%로 크게 늘었다가 19세기에는 약 32%로 급격히 줄어든 모습을보였다. 상대적으로 유학의 비중은 세 시기에 각각 34%, 27%, 58%로 변화하는모습을 보였다. 주변 지역의 명망가를 원장으로 영입하여 서원을 유지하려한 18세기의 모습과 원장 선임에 어려움이 있었던 19세기의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도산서원은 시대적 변화에 비교적 잘 대응하면서 운영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대응 과정의 어려움을 원장 구성의 분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의 결과 나타난 여러 특징들은 바로 도산서원 역사의 생생한 모습인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ds of Dosan Seowon, a private Confucian academy, by analyzing those who served as the head of the academy over the past three hundred yea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head represented the academy and took responsibility for all of the affairs related with the academy. As he represented the academy, he was required to be equipped with knowledge and virtue suitable for the position and was given authority once elected. This study used Woniman(院任案) and a variety of old manuscripts as main materials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and materials. The researcher divided the three hundred years of the late Joseon era into three one-century periods, then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ds of the Dosan Seowon in each period. Through the analysis of 463 heads of the academy, the following results were acquired. To begin with, the number of the heads of Dosan Seowon and their service durations were examined. In the 18th century, their number increased sharply, about three times that of the figure in the 17th century. This trend continued and accelerated in the 19th century. Meanwhile, the service durations of the heads shortened, forming a negative association with the number of the heads. In the 17th century, an average service duration reached two years. But the figure decreased to 5.4 and 5.3 months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respectively. This was related to the intention to increase those who were favorable to the academy by producing more of them. Nex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the head's residential district. In the 17th century, almost all heads of Dosan Seowon were the residents of Yean(禮安), but in the 18th century, the proportion of the heads from Yean dropped sharply to 56 percent. The figure, however, rose slightly to 68 percent in the 19th century. In the 18th century, those from Andong(安東) and other districts in the northern Gyeongsang region were appointed as the head of the academy. The sight increase of the heads from Yean in the 19th century reflected the reality in which one from the Jinseong Lee clan had to take the position not the enhanced dominance of those from Yean in the position. The family names of the heads turned out to be an important yardstick of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ds of Dosan Seowon. Of the heads of the academy in the 17th century, ones from the Gwangsan Kim clan took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ones from the Jinseong Lee clan and the Bongwha Geum clan. Those from the three influential clans in Yean-hyeon accounted for about 82 percent of the entire heads in the 17th century. In the 18th century, however, the Jinseong Lee clan produced more heads than the Gwangsan Kim clan, and the heads from the three clans accounted for about 54 percent, showing the dominance of three clans had weakened. In the 19th century, the proportion of the heads from the Jinseong Lee clan surged, recording about 64 percent. This reflected the reality in which ones from the Jinseong Lee clan had taken the position. Another characteristic that newly appeared in the 19th century is that the governor of the Yean-hyeon played part of the role of the head of the academy. It is appraised that Dosan Seowon was well managed, responding relatively well to generational change. This study looked into the difficulty with managing the academy amid those chang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the heads.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heads found from the analysis represent the vivid history of the academy.

      • KCI등재

        공간형 콘텐츠로서 도산서당 활용에 대한 시론

        전성건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5 No.-

        본 논문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1)의 도산서당을 ‘공간형 콘텐츠’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도산서당은 도산서원이 마련 된 뒤부터 부속건물의 위상으로 평가절하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도산서당은 그 자체로 퇴계의 교육철학이 구현되어 있는 공간이자, 소이연(所以然)으로서의 자연적 질서와 소당연(所當 然)으로서의 인문적 질서가 통합되어 있는 건축공간으로 이른바 ‘공간형 콘텐츠’를형성하고 있는 곳이다. 공간형 콘텐츠는 “문화적 소재가 구체적으로 가공되어 ‘공간’이라는 미디어에 체화한 무형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논문은 도산서당이라는 문화적소재가 구체적으로 가공되어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라는 미디어로써의 ‘공간’에 구체화되어 있는 유교문화자원을 공간형 콘텐츠 관점에서 살펴보려는 것이다. 도산서당은 순임금과 도연명의 자연관과 인간관을 함께 담아내려는 퇴계의 천인합일 사상에서 마련된 공간이고, 자연과 인간이 일상을 공유하며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이며, 솔개가 날고 물고기가 뛰어오르는 세계, 즉 천리가 유행하는 것을 체인할 수있는 공간이다. 퇴계 자신의 병약한 몸을 다스릴 수 있는 유식(遊息)의 공간이자, 자연을 공부의 대상으로 삼고자 했던 장수(藏修)의 공간이었던 것이다. 도산서당으로 가는 길에서 만날 수 있는 군자마을, 한국국학진흥원, 월천서당, 퇴계종택, 용수사 등은 도산서당 둘레길을 형성할 수 있고, 도산의 풍수는 낙천(樂天)을 느낄 수 있게 해주며, 도산 앞 낙천(洛川)은 해양 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곳이 될수 있다. 메타버스를 통한 도산서당을 포함한 도산서원의 가상세계를 통해 안동으로의 관광인원의 유입을 유도할 수도 있다. 그때 공간형 콘텐츠로서의 도산서당은안동문화의 상징으로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Toegye Lee Hwang's Dosan Seodang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contents. Dosan Seodang has been devalued as an auxiliary building since Dosan Seowon Confucian Academy was established. However, Dosan Seodang itself is a place where Toegye's educational philosophy is embodied, that is, it forms a so-called "space-type contents" called an architectural space. Space-type Contents can be said to be "an intangible result of cultural materials being specifically processed and embodied in the media called 'space'." In short, this paper aims to think about the intangible results embodied in the "space" as a media called "Dosan Seowon-gil 154, Dosan-myeon, Andong-si, Gyeongsangbuk-do." Gunja Village, the Korea Institute of Korean Studies, Wolcheon Seodang, Toegye Jongtaek, and Yongsu Temple, which can be met on the way to Dosan Seodang, can form Dosan Seodang Dulle-gil, the feng shui (Wind-water) of Dosan allows you to feel optimistic, and Nak Stream in front of Dosan can be a place where you can enjoy marine leisure sports. It may be possible to induce the influx of tourists to Andong through the virtual world of Dosan Seowon Confucian Academy, including Dosan Seodang through the metaverse. At that time, Dosan Seodang as a Space-type contents should be prepared as a symbol of Andong culture.

      • KCI등재

        安德文의 三山書院 位相鼎立과 그 의미

        최석기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40 No.-

        This paper focuses on Ahn Deok-mun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Seowon in Uiryeong, Gyeongsangwoodo in the 18th century and his combining the science of Yeongnam Jwado and Woodo by worshiping three masters, that is, Hoijae, Toigye, and Nammyeong. Ahn placed importance of body and mind cultivation and maintained his academic tendency of practicing it in daily life, which was based on Nammyeong’s practice-centric academic style. Instead of learning under certain master, Ahn tried to emulate three masters representing Yeongnam and combine their science and virtuous acts. In an attempt to practice what he sought after, he commissioned a painter to paint Oksan, Dosan, and Deoksan Seowon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the three masters, respectively. He would turn the painting titled Samsanseowondo into a folding screen, set it up at Jungdang, and admire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all the time. He also tried to experience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first-hand by visiting their respective Seowons. He would carry Samsanseowondo and Samsandomyeong on his way to Oksan and Dosan Seowon and stop by renowned scholars during his journey to show them Samsanseowondo and ask for their comments. The scholars of Toigye School in Gyeongsang Jwado mostly agreed on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Seowon thanks to his efforts. In the process, he put Deokcheon Seowon, which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Nammyeong in Gyeongsang Woodo where study was in stagnation, on the equal status as Dosan and Oksan Seowon, which were the headquarters of Yeongnam School. He also made people reconsider Nammyeong as a moralist on the same level as Hoijae and Toigye. Those efforts made by him led to the commendation of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as well as Samsan Seowon and the increased recognition that the three masters should be admired and respected together who turned Yeongnam into Churojihyang. The old academic style of observing the editorials only written by the disciples that studied under certain masters was replaced with a new study of integration to inherit the sciences of the three masters as one. The scholars of Gyeongsang Woodo especially sought after the study of integration, engaged in active academic exchanges in the following years regardless of partisan and academic parties, and built a foundation for the revival of study. It is the significance of Ahn admiring and respecting the three masters together as well as Samsan Seowon. 이 글은 18세기 경상우도 의령에 살던 安德文이 三山書院이라는 명칭과 위상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 晦齋ㆍ退溪ㆍ南冥 세 선생을 나란히 追崇하고 表章한 것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 것이다. 안덕문은 심성수양을 중시하며 일상에서 이를 실천하는 학문성향을 견지하였는데, 이는 그가 살던 지역에 전승된 남명의 실천적 학풍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그는 어느 특정 스승에게 나아가 수학하지 않고 영남을 대표하는 세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사숙하여 융합하려 하였다. 그는 이를 실천하기 위해 畵工에게 명하여 세 선생을 제향하는 玉山書院ㆍ陶山書院ㆍ德山書院을 그려 오게 해서 三山書院圖를 병풍으로 만들어 中堂에 펼쳐놓고 늘 세 선생의 학덕을 흠모하였다. 그는 또 삼산서원을 직접 찾아가 세 선생의 학덕을 몸소 체험하려 하였는데, 그가 살던 지역의 덕산서원은 전에 찾아간 적이 있었으므로 가보지 못한 경상좌도의 옥산서원과 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는 삼산서원도ㆍ三山圖銘 등을 준비해 가지고 옥산서원ㆍ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였으며, 도중에 저명한 학자들을 방문하여 삼산서원도 등을 보여주며 논평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그의 노력에 의해 경상좌도 퇴계학파 학자들도 삼산서원이라는 명칭과 위상에 대해 동의하였다. 그럼으로써 그가 살고 있던 경상우도의 덕산서원을 조선후기 영남학파의 본산으로 인식된 경상좌도의 도산서원ㆍ옥산서원과 동등한 지위에 올려놓는 성과를 이룩했으며, 덕산서원에 제향된 남명을 회재ㆍ퇴계와 같은 반열의 도학자로 재인식하게 했다. 안덕문의 이러한 노력을 통해 三山書院 및 세 선생의 학덕이 나란히 表章되었으며, 영남을 鄒魯之鄕으로 만든 이 세 선생을 함께 존모해야 한다는 인식을 제고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특정 문하의 師說만을 준수하는 학풍에서 벗어나 세 선생의 학문을 하나로 아울러 계승하고자 하는 새로운 융합의 학문을 제시하게 되었다. 특히 경상우도 학자들은 이런 융합의 학문을 지향해 그 다음 시대 당색과 학파에 구애되지 않고 활발히 학술교류를 하여 학문이 울흥하는 터전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안덕문이 삼산서원의 위상을 정립하고 세 선생을 나란히 추숭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17~19세기 도산서원 고문서에 나타난 노비의 성격

        김영나 ( Kim Youngna ) 조선사연구회 2024 조선사연구 Vol.33 No.-

        본 논문은 17~19세기 도산서원 노비와 연관이 있는 각종 고문서를 통해 서원노비의 실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도산서원 노비의 정보가 적혀 있는 노비안 등의 자료와, 노비안에 있는 노비들을 다른 고문서와 함께 비교·분석해본다면 서원노비의 성격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서원에서는 서원의 경제적 기반 중 하나인 서원노비의 관리가 중요하였기 때문에 노비를 매매하는 구체적인 이유 및 이와 관련한 내용을 담은 관련 문서들을 행정 절차대로 남겼고, 노비 사망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사망 이유를 밝혔다. 원노가 양역이나 군역을 부담하는 경우 서원에서는 소송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보통 증거 자료로 노비안을 제시하였고, 원노의 어머니가 원비라는 것을 밝혔다. 이렇게 하면 원노는 양역이나 군역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러나 원노의 어머니를 제시하지 못하거나 문서에 이름이 다르게 기재되었을 경우에는 양역이나 군역을 계속 맡았다. 서원노비를 역노비나 사노비로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러한 경우 소송으로 이어졌는데, 여러 기관이나 개인의 이해 관계, 서원이 지역 사회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에 의해 소송 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다. 지금까지 서원노비의 다양한 모습들을 노비 매매와 노비의 사망을 통한 서원의 노비 관리, 원노의 양역·군역 부담에 대한 서원의 대응, 서원노비의 소속 문제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례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서원노비의 성격을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Seowon slave through various ancient documents related to the slaves of Dosan Seowon in the 17th and 19th centuries. In Seowon, the management of Seowon slaves, one of the economic foundations of Seowon, was important, so the specific reasons for buying and selling slaves and related documents were followed by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the specific reasons for death of slaves were also revealed. If male Seowon slaves(院奴) the Yangyeok(良役) or Military service, Seowon tried to resolve it through a lawsuit. Usually, slaves were presented as evidence, and male Seowon slaves' mother revealed that male Seowon slaves' mother was female Seowon slaves(院婢). In this way, male Seowon slaves was able to escape from the Yangyeok(良役) or Military service. However, if male Seowon slaves' mother could not be presented and the name was written differently in the document, he continued to serve as a foster or military officer. The Seowon slave belongs to Seowon, but there were also people who claimed to be Station slaves(驛奴婢) or private slaves(私奴婢). In this case, it led to a lawsuit, and the outcome of the lawsuit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terests of various institutions or individuals, and the influence of seowon in the local community. So far, various aspects of Seowon slaves have been examined through the sale of slaves and the management of Seowon slaves through the death of slaves, Seowon's response to the burden of male Seowon slaves' discharge and military service, and the issue of belonging to Seowon slaves. If these case studies are continuously conducted, the characteristics of Seowon slaves can be identified in various ways.

      • KCI등재

        『청대일기』를 통해 본 권상일의 서원활동

        이수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민족문화논총 Vol.62 No.-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won Sang-il’s Seowon activity based on 『Cheongdaeilgi』. Although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on Seowon, it is not enough to investigate the detailed aspects of Seowon in local societies or the Seowon activities of local Sarim in the local societies. 『Cheongdaeilgi』 is equipped with conditions for a case study as it has crucial contents to figure out the detailed Seowon activities of Gwon Sang-il, one of the scholars representing Yeongnam(嶺南) in the former 18th century, in Sangju(尙州). Gwon Sang-il is a bureaucrat and scholar representing the 18th-century Sangju and even Yeongnam Namin(嶺南南人) well. Although he passed the Gwageo(科擧) exam at the age of 32 and entered the government, he read books in the countryside instead of being in public office to make ways for younger men. In Sangju where Hyangron(鄕論) was divided into Nam・No(南人・老論), he conducted positive educational activities mainly in Geunam Seowon(近嵒書院) and Donam Seowon(道南書院), the Namin-line Seowon(南人系 書院). Gwon Sang-il’s Seowon activities were gradually extended to not only Sangju but Seowon in Andong, the center of the Namin line, too. We can assume the status of Gwon Sang-il in Yeongnam with the fact that he was inducted into the head of the two Seowon, Dosan(陶山書院) and Deokcheon(德川書院), representing the left and right provinces of Gyeongsang. In his entire life, Gwon Sang-il did aggressive educational activities mainly in the two Seowon, Geunam and Donam Seowon, and Seowon education he conducted was not for Gwageo but about Ganghak(講學). This implies that he followed Toegye(退溪)’s Seowon-ron(書院論) that studying in Seowon should be ‘Wigijihak(爲己之學)’. Gwon Sang-il’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recorded as Ganghak activities which Lee Sang-jeong(李象靖) led in Andong(安東) Yeogang Seeowon(廬江書院) and also Ganghak activities representing the 18th-century Yeongnam Seowon. 본 논문은 『청대일기』를 중심으로 권상일의 서원활동을 검토하였다. 서원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향촌사회에 있어서 서원의 구체적인 실상 및 재지사림들의 향촌사회 내 서원활동 등에 대한 해명은 미흡한 실정이다. 『청대일기』는 18세기 전반 영남을 대표하는 학자인 권상일의 상주지역 내에서의 서원활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사례연구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권상일은 18세기 상주지역 나아가 영남남인을 대표하는 관료이자 학자였다. 그는 32세에 과거에 합격하여 출사하였지만, 관직 생활보다는 향촌에서 독서하면서 후진을 양성하는데 힘을 쏟았다. 그는 南・老로 향론이 분열된 상주지역에서 남인계 서원인 近巖書院과 道南書院을 중심으로 활발한 교육활동을 하였다. 권상일의 서원활동은 점차 상주지역을 넘어 남인계의 중심인 안동권의 서원으로 확대되어 나갔다. 권상일의 영남 내 위상은 그가 경상좌・우도를 대표하는 도산・덕천 두 서원의 원장으로 추대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권상일은 평생 동안 근암・도남서원 두 서원을 중심으로 활발한 교육활동을 하였는데, 그가 행한 서원교육은 과거공부가 아닌 강학이 중심이었다. 이는 서원에서의 공부는 ‘위기지학’이여야 한다는 퇴계 서원론을 계승해야 한다는 뜻이 담겨져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은 권상일의 교육활동은 이상정이 주도한 안동 廬江書院에서의 강학활동과 더불어 18세기 영남 서원의 대표적인 강학활동으로 기록되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서원(書院) 강학(講學) 관련 자료의 유형과 특징

        김자운 ( Kim Ja-w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8 No.-

        이 연구는 소수, 도산, 도동, 옥산, 돈암서원 등 5개 서원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서원 강학(講學)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유형화하고 서원별 강학의 특징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학 자료를 분류하기 위한 타당한 분류 기준을 확립하고, 자료의 내용과 성격에 따라 크게 규약류·강학 시행 기록·강학 의례·강학 재정 관련 기록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규약류 자료를 통해서는 학파, 당파별 원규의 계승과 절목에 나타난 원규의 변용, 서적의 간행과 유통이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학 시행 기록 중강안류 자료를 통해서는 참여자의 규모와 소임 및 고강성적, 일기류 자료에서는 강학의 절차와 시행 방법 및 서원에서의 하루 일과, 강록류 자료에서는 통독 시 토론 방법과 문답의 수준, 토론 시 훈장의 역할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강학 의례에서는 정읍례나 상읍례의 정식적 의례 외에도 경독, 개접례, 파접례, 지례(贄禮), 수창시 등 관습적 의례를 살펴보았다. 넷째, 강학 재정 관련 자료를 통해서는 조선 후기 각 서원의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양사청, 강학계 등 강학 전담 재정기구를 설치하여 강학 개설을 시도하고자 했던 각 서원의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강학 의례 중 ‘지례’는 조선시대 관학에는 없었던 ‘택사(擇師)’의 교육적 의미, 근대교육이 결한 사제관계의 교육적 함의를 드러내며, 상읍례와 정읍례를 통해서는 도덕적 마음과 관계의 훈련이 의례를 통해 어떻게 훈련되고 내면화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원 강학의 마지막 절차가 시험이나 평가가 아니라 각자 강학에서 얻은 교육의 성과를 나누고 공유하는 수창시로 갈무리된다는 사실은, ‘이택지력(麗澤之力)’을 실현하는 교육공동체로서 서원의 의미를 잘 보여준다. 이 같은 서원 강학 의례의 교육적 의미는 관계에 대한 훈련의 문제가 매우 절실한 현대 교육에 하나의 대안으로서 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o classify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an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rchi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osu-Seowon, Dosan-Seowon, Dodong-Seowon, Oksan-Seowon, Donam-Seowon.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nature of the archives, I divided educational archives into four types: the record of rules of Seowon education, the record of actual education, the record of ritual, and the record of financial. First, through the record of rules, I have identified how the rules are passed down and changed from Seowon to Seowon and impact of book publishing and distribution on changes in Seowon Curriculum. Secondly, through the record of educational practice, I have examined the siz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eowon education, the role of officers,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education, the daily routine in Seowon, the methods of discussion and questions in lectures, and the role of teachers in discussions etc. Third, through the record of rituals, I examined customary rituals such as Gyeongdok(敬讀), the rites for opening class(開接禮) and the last class(罷接禮), and the rites for Master-Disciple Relationshipe(贄禮) in addition to official rites such as Jeongeuprye(庭揖禮) and Sangeuprye(相揖禮). Fourth, through the record of financial, we could see howthe late Joseon Seowon tried to continue the education by setting up a financial institution dedicated to education despite severe financial difficultie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 typification method of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that have been attemp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odel for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However, this needs to be supplemented and discussed further. In addition, if a methodology can be developed to collect a wide range of materials that have been scattered over various materials through the classification and typification of the materials, it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 of Seowon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배향 인물 영정의 현상적 접근

        오수원(吳壽元),권혁중(權赫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portraits of enshrined characters in the World Heritage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and to identify the role and status of the portraits of each Seowon at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Seowon was in charge of Neo-Confucianism education and served as a ritual for the enshrined person. The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y, which was added to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2019, is home to nine portraits of Ahn-hyang(安珦, 1243-1306) and Joo Se-bung(周世鵬, 1495-1554) in Sosu-seowon, Namgye-seowon, Oksan-seowon, Dosan-seowon, Piram-seowon, Piram-seowon, Dodong-seowon, Gyeongsan-Seowon, and Donam-seowon. Namgye-seowon only houses the portrait of Jeong Yeo-chang(鄭汝昌, 1450-1540), and Choi Chi-won(崔致遠, 857-?) in Museong-seowon. In all Seowon, rituals are held according to strict procedures, and in Seowon, where portraits are enshrined, rituals are held by serving portraits along with memorial tablets. Given that Sosu-seowon, who received the Bestowal of Title Boards for the first time, is being held as an example, it is hoped that Seowons necessity will be recognized even in a Confucian academy without portraits in the future.

      • KCI등재

        도산서원 천연대의 문학적 형상과 경관 의미

        김선영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4 한국학논집 Vol.- No.94

        This paper examines the literary and landscape meanings of Cheonyeon-dae(天淵臺), focusing on poetry works related to Cheonyeon-dae at Dosan-seowon.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Cheonyeon-dae was that it was built before Dosan-seodang and changed its name from Changrang-dae to Cheonyeon-dae, and scholars from the Joseon Dynasty who visited Dosan left numerous poems that revealed individual memories and emotions that they had shared directly or indirectly based on their experiences in Cheonyeon. Cheonyeon-dae was built as a Changrang-dae(containing Lee Hwang(李滉)'s will to source), but it was expanded to the area where he expressed his Taoist will and completed as a physical and literary space. It can be seen that related poetry works not only embody the experience of learning the state of active footfall by paying attention to the implications of nature, but also embody the action of the mind through the stage of learning the essence of fuel economy medicine. It compares the inspiration from Cheonyeon to wind and moon, embodying Taoist entertain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he searched for the reality of Toegye Simbeop, which pursued a world of essence that broke away from Cheonyeon and was active, and agonized over the succession of Taoism. As a result, it was understood that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recognized the body of all things in heaven and earth in Cheonyeon, expressed the action of the mind expressed by learning the body as a Taoist entertainment, and considered the academic practice of Taoism based on the succession of Toegye(退溪) Shimbeop(心法). Therefore, Cheonyeon is a top-notch literary landscape with natural arithmetic, humanities, and excellent literature. In the future,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comprehensive study of the landscape of Dosan Seowon through contrast work with other spaces in the area of Dosan-Seow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