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야카 연구의 회고(回顧)와 전망(展望)

        후지와라다카오 ( Takao Fujiwara ) 조선사연구회 2016 조선사연구 Vol.25 No.-

        임진왜란·정유재란에 등장하는 사야카(沙也可)(김충선)에 대한 연구의 역사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1945년에 종료된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그것과, 다른 하나는 1945년(일본의 민주화와 한국의 식민지체제로부터의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그것이다. 제2차 대전이전은 일본제국주의를 최고로 생각하는 정부 아래, 여러 문화 및 제도를 통제 하에 두었다. 수백 년 전, 사야카의 자손들에 의해 발간된 『모하당문집慕夏堂文集』, 혹은 모하당(사야카)의 시문·유문은 당시의 식민지주의적 학자나 저널리스트, 정치가에 의해 모조리 비판되었다. 그러나 당시 식민지체제 측인 한 명의 역사가가 조선왕조의 기록(『조선왕조실록< 선조30·11월 기유조>』)과 사야카의 자손의 가계 기록(『혼서婚書<숭정崇禎3·경오12월>』)을 조사하여, 마침내 사아카가 일본군으로부터 투항한 (항왜)장군으로서 역사적으로 존재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논문을 1933년에 발표하였다. 1946년 이후, 모든 것에 걸쳐 사야카에 대해 자유롭게 논할 수 있게 되었다. 1970냔대, 역사적 근거를 무시한 역사소설가가 아전인수격으로 사야카가 소총부대 출신이라 왜곡하여 작품을 발표했다. 그러나 일본의 역사전문가들은 일본 출진기와 조선왕조(실록) 자료로 분석했을 때, 사야카가 히고(구마모토현)의 지방무사로, 아소신을 섬기는 아소 씨 일족 출신이라는 설을 1990년 즈음부터 주장하기 시작했다. 한국의 역사전문가(2005년) 또한 그에 동조하기 시작했다. The history of study on Sayaka is divided into two periods. One is the period before 1945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other is the Period after 1945 (Japanesee Democratization Period & Since Kreas`s Liberation from Japan). Before the Second World War, all the press, culture and organizations were under the control of the Japanesed colonial government. A bout the hundred years ago. Mofadan Bunshu or the anthology of Mofadan which had been published by Sayaka`s descents was criticized by all the Japanese colonial scholars, politicians and journalists. However, a Japanese colonial historian investigated the record of Chosen Dynasty and the family history of Sayaka`s descendants. Finally he proved the Sayaka, a general called a runaway soldier, had really existed to history and published his paper about him in 1933. Some Japanese journalists studying the Chosen history have paid attention to General Sayaka since 1970. There were some novelists who wrote novels about Sayaka`s unique life, too. The Japanese Historical document, Sayaka is estimated to have come from “Saiga Teppo Shu” of the armed group with guns by some ones. Some novelists and journalists lay emphasis on the fact that pronaunciation of Sayaka [sayaka] and Saiga[saigga] is very similar. So in Korea, Sayaka is believed to have come from “Saiga Teppo Shu” or the armed group with guns by some ones. But because there are lack of sources about the theory, some scholars have criticized such bias now. Year by year the results of study on Sayaka have been increased. In this paper some new data including various comments of sholars and novel about Sayaka were found and added for.

      • 조선 초 승역(僧役) 관련 상직(賞職) 연구

        김선경 ( Kim Seongyeong ) 조선사연구회 2024 조선사연구 Vol.33 No.-

        조선 초기의 불교 정책은 국가의 기반을 견고하게 하고자 하는 일환으로써 불교계의 인적, 물적 자원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활용하였다. 이에 불교계의 대표적인 인적자원이라 할 수 있는 승(僧)을 국가가 주관하는 대형 공사에 동원하였다. 국가는 이러한 대규모 공사에 승을 동원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그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였다. 대표적으로 의식(衣食) 제공, 상직(賞職) 수여, 도첩(度牒) 지급 등이 있다. 특히 도첩이 승도 동원의 대가로 지급되고 이후 그에 대한 문제들이 나타나자 상직으로 도첩을 대신하자는 건의가 올라오는데 이때 선사(禪師), 대선사(大禪師) 등의 고위 승계가 공사에 참여한 대가로서 그것도 많은 양의 수가 한꺼번에 상직으로 지급되기도 하였다. 조선 초기 승의 공식적 신분 증서라 할 수 있는 도첩이라는 것은 까다로운 자격 기준과 복잡한 절차 그리고 경제력까지 뒷받침되어야 획득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렇게 받은 도첩은 바로 공식적으로 국역을 면제받을 수 있는 수단이 되었다. 또한, 도승의 금지 대상 그리고 위반자에 대한 처벌에 그 관련자의 처벌까지 도승조에 상세히 규정지어 놓았다는 것 또한 앞서 언급한 국역과의 관련성 때문에 국가는 승의 규정을 까다롭게 설정하여 승을 통제하고 관리하였던 것이다. 한편으로 신분적인 관점에서 승을 천인에 속하는 무격(巫覡)과 같은 존재나 부류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는 앞서 조선 초기 도첩을 발급받는 일련의 과정만 살펴보더라도 승(僧)과 무격은 다른 부류임을 알 수 있다. 태조는 2년 8월부터 전국의 백성들을 모아 신도건설과 관련한 공사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당시는 고려 말 사회적 혼란이 가중된 상황에서 백성들을 지속해서 국가 공사에 동원하는 것은 국가의 입장에서도 부담스러웠을 것으로 민력을 대신할 대체 집단으로서 승려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국가의 입장에서는 엄청난 민력이 소모되는 대규모 공사에 영선(營繕) 관련 전문 기술을 소유하고 있으면서 농업에는 종사하지 않는 승을 동원하는 것이 백성들의 생계를 보전하면서도 신도건설 또한 무리 없이 완성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조처였을 것이다. 이에 국가는 신도건설과 각종 공사에 승을 동원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다양하게 지급하였다. 그중 도첩은 앞서 설명했듯이 까다로운 자격기준과 복잡한 절차 그리고 경제력까지 뒷받침되어야 획득할 수 있었다. 그러한 도첩이 국가의 대대적인 공사에 승도를 동원한 대가로 지급이 되었다는 것이 주목된다. 승의 입장에서 도첩을 소지한다는 것은 공식적으로 국역을 면제 받을 수 있도록 보장받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국가의 측면에서 볼 때 도첩의 지급은 국가가 운용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의 감소를 의미한다. 그런데도 세종은 왜 도첩을 승도 동원의 대가로 선택한 것인가에 대해 두 가지의 방향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바로 백성의 수고를 덜어 주기 위한 것과 무도첩승을 인적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특히 국가의 측면에서는 무도첩승들을 모두 추쇄하여 국역에 종사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었겠으나 흩어지고 숨어 사는 수많은 무도첩승들을 모두 다 환속시켜 역을 부과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았다는 것을 그 당시에도 인식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도첩이라도 주어서 민력을 대신하게 하여 그 힘을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라는 세종과 성종의 의도가 특히 주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은거한 승려들을 불러들일 수 있는 수단이 바로 도첩이었다고 볼 수 있다. 정리하면 불교계의 대대적 정비 이후 전국에 흩어진 무도첩승들은 셀 수 없이 많았을 것이고 이들을 현실적으로 모두 환속시키기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으로 무도첩승들을 국가가 일정 기간 동원하여 그 대가로 도첩을 주는 조처가 백성의 수고는 덜면서 이들을 구제하는 이중의 효과를 볼 수 있는 동시에 기술을 가진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측면에서의 조처였다고 할 수 있다. The Buddhist polici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intended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and directly or indirectly utilized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Buddhist community. Thus, monk(seung,僧), a representative human resource of the Buddhist community, was mobilized for large scale state construc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太祖) and King Taejong(太宗), monks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capital. An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世宗), monks(seung,僧) participated in various state construction. The state mobilized monk for the construction and compensated him in various ways. Examples include the provision of food and clothing(衣食), the award of monk officials(sangjik,賞職), and the payment of the buddhist monk's certificate(docheop,度牒). In particular, the issue arose after the buddhist monk's certificate(docheop,度牒) was paid in return for the mobilization of the ascendancy. Therefore, there is a suggestion to replace the monk's certificate(docheop,度牒) with monk officials(sangjik,賞職). At that time, a large number of high ranking officials, including the Seonsa(禪師), Daeseonsa(大禪師) in the construction, and a large number of them were paid to monk officials(sangjik,賞職) at once. According to the Doseungjo(度僧條) by Gyeong-je-yuk-jeon(經濟六典) and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the official certificate of status monk(seung,僧)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obtained only when strict qualification standards, complicated procedures, and economic power were supported. However, the change occurred when such the buddhist monk's certificate (docheop,度牒) was given in return for participating in the nation's construction. For monks(seung,僧), possessing a axe means being officially exempted from national service.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ate, the payment of the monk's certificate(docheop,度牒) means a reduction in the human resources that the state can operate. Nevertheless, King Sejong(世宗) chose the monk's certificate(docheop,度牒) as a reward for the mobilization of monks(seung,僧) in order to save the people's hard work and to use the martial a monk without a certificate as a human resource. It was practically not easy to charge a station service to a large number of monks(seung,僧) hiding without a monk certificate(docheop,度牒).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it would be more efficient to give monk's certificate (docheop,度牒) to monks and mobilize them for construction on behalf of the people. Meanwhile, this measure, which provides the monk's certificate (docheop,度牒) of monks(seung,僧) in charge of national construction, was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Taepyeonggwan(太平館), which resulted in a surge of monks(seung,僧) participating in the construction. However, when the government was forced to carry out various national projects in the early days, it would have been inevitable to mobilize monk(seung,僧) as a way to ease the people's power and facilitate the construction. Because of this, the monk's certificate(docheop,度牒) was used as a means, but the station service was reduced became more serious. The government must have agonized over the fact that it could not suspend various ongoing construction projects just because these problems were growing. The government would have been troubled. As a result of the agony, it can be thought that he might have considered a monk officials(sangjik,賞職) instead of the buddhist monk's certificate(do-cheop,度牒). In oth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untry, it was impossible to continue to pay the buddhist monk's certificate(docheop,度牒) with a huge problem of loss of national service(gukyeok,國役).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