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velopment of a Buddhistic Death Education Program in Public Education

        문현공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24 No.-

        This article will explore the development of Buddhistic death education that could be practiced in the sphere of public education. I will examine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as a possible response to recent social phenomena in South Korea, i.e., the high suicide rate (especially among teenagers) the lowered quality of life and the collapse of public education. Consequently, I will examine the emergence and growing interest in thanatology, studies of death and dying, along with a brief assessment of the current trend in death education. This article will also discuss how Buddhist thoughts on death could be includ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will argue the need for hav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anatology, death education and Buddhist studies. Lastly, I will explore ‘the design of a Buddhistic death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be practiced in the sphere of public education. Furthermore, if Buddhism’s concept of the mindfulness of death can be combined with thanatology, death education and a social scientific methodology, we could see the possibility of a new method of death education.

      • KCI등재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강선보,이동윤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s about death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death Education in Korea. This paper investigates ground of death education and introduces specific school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On this context, The paper find three implications on death education in Korea. First, the teacher in charge have an ability of teaching about death for the operating of curriculum on death education. Therefore teacher training program on death education that must be established. Second, death education designed by committee of preparation for death education that the committee should guarantee participation of main agents on education. Third, the specialist of various fields are able to participates when constructing of curriculum on death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죽음교육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죽음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구하는 데 있다. 먼저 미국의 죽음교육에서는 죽음교육의 배경에 대해 탐구하고, 이어 미국의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실제로 운영되었던 죽음교육프로그램에 대하여 상세하게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미국의 죽음교육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교육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담당교사가 교육과 연수를 통해 죽음교육프로그램을 운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 둘째, 죽음교육은 교육의 주체들이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죽음교육준비위원회를 바탕으로 기획되어야 한다. 셋째, 죽음교육과정을 구성할 때에는 죽음교육의 다학문적 기반을 고려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참여시켜야 한다.

      • KCI등재

        실존철학의 죽음이해와 죽음교육의 의의

        신교남 ( Shin Kyona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실존 철학자인 니체와 하이데거의 죽음에 대한 관점을 고찰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죽음 교육의 의미를 논의하는 것이다. 니체는 삶의 완성으로서의 죽음을 강조하였고 하이데거는 본래적 삶 회복으로의 죽음을 주장한다. 죽음교육의 의미는 다음 4개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살 예방 교육은 철학적으로 고찰되어야 한다. 실존적 죽음교육은 자살예방교육을 위한 심층적 교육 배경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 둘째, 죽음교육은 공존적 실존교육일 수 있으며, 개별적 실존교육의 발전된 형태일 수 있다. 셋째, 죽음교육은 비연속적 교육의 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교육을 받음으로 인하여 궁극적으로 우리가 전인적으로 성장하고 결단과 책임을 통하여 실존교육의 정상으로 인도되기 때문이다. 넷째, 인간은 죽음을 통해 삶을 성찰하기 때문에, 죽음은 인간에게 전환점이다. 죽음교육은 일반교육에 새로운 지평을 여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세상을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게 하는 바탕을 제공해 준다. 결론적으로,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죽음교육은 인간에게, 무엇이 될 것인가 아닌,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성찰적 의미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istential philosophers, Nietzsche’s and Heidegger’s, perspectives of death and discuss the meanings of death education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death. Nietzsche emphasized death as the completion of life, whereas Heidegger insisted that death was the recovery of authentic life. Four topics of death education are discussed. First,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philosophically reviewed. Existential death education is an appropriate starting point for a deeper educational background of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econd, death education can be coexistential education, which could realize a higher degree of education than individual existential education. Third, death education can be an alternative education to noncontinuous education a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to enable people to grow holistically and lead them to the top of existential life through resoluteness and responsibility. Fourth, as human beings reflect on their lives through death, death is undoubtedly a turning point therefore, death education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r education by opening up new horizons inspiring people to see the worl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conclusion, in terms of existential points of view, death education can teach, a reflective meaning of how to live, not what to be.

      • KCI등재

        죽음교육의 교육철학적 의미

        金泰希 韓國宗敎敎育學會 2002 宗敎敎育學硏究 Vol.15 No.-

        일반적으로 죽음교육의 논의는 인간의 생물학적 죽음 차원에만 한정짓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죽음교육을 대안이 없는 추락체험을 동반하는 거대한 ‘죽음이미지 증후군’으로서 인식하며, 이런 통찰이 기초가 될 때만이 죽음교육은 홀리스틱한 교육을 살릴 수 있는 지평임을 논한 시론이다. 다시 말하여, 이 글은 근대의 시각에서 매몰된 죽음교육의 지평을 새롭게 드러내고, 근대교육이 가정하는 전제로부터 탈주의 지평으로서 죽음교육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죽음의 지평은 어떠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성찰하는가라는 교육의 해석학적 지평이다. 이러한 ‘죽음의 해석학’은 근대교육을 근대 안에서 바라보는 동시에 근대교육 밖으로 탈주하게 하는 유일한 원점이다. 따라서 죽음교육은 근대문명의 ‘안티테제’로서 교육현실에 대한 사유의 혁명적 전환을 도모하는 관점에 서 있다. 이 탈주의 시공간이야말로 근대에서 금기로 경계지은 성찰의 공감지대이며, 제로섬의 무한경쟁으로부터 인류의 연대로 향할 수 있는 가능성의 지평이다. 이 글의 목적은 근대교육의 구도에 내재되어 있는 근본적 한계성 즉 금기의 공간으로 가리워지고 사장시키는 죽음교육의 세계를 교육의 본질적인 관점으로 현시하는데 있다. 근대에서 죽음은 패배와 소멸의 이미지이며, 이 구도의 이탈 자체는 우리에게 엄청난 공포와 불안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근대교육의 지평은 금기의 영역으로 벗어날 수 없도록 경계지우며, 아이들을 한 방향으로 몰아가는 것이다. 그러나 죽음은 인류역사상 죽음을 넘어서는 세계를 통해 성스러움을 도약하는 고뇌와 성찰의 공간이다. 근대교육의 구도에서 죽음교육의 현시는 우리로 하여금 근원적으로 중요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새로운 초점을 제시할 수 있다. 죽음교육은 공교육을 새로이 자리매김하는 의미로서 작위적 문명으로부터 인간의 원형성을 찾아나아가는 교육의 본질적 의미를 복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죽음에 관련한 논의의 중요성은 교육이 소수의 성공자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오히려 교육은 죽음의 위기에서 수많은 도약을 발견하는 관점에 서 있다. 죽음의 세계는 근대에서 금기된 시공간이지만, 그 세계는 수많은 역사와 소외된 아이들의 세계를 살려나아가는 교육의 새로운 지평인 것이다. In general, death education is discussed only to the extent of the biological death of human beings. However, this study affirms the death education as a huge 'death image syndrome', an unavoidable experience of falling. This insight becoming the base, the death education will be a crucial factor for the holistic education. This paper proposed a new era of death education which has been forgotten from the modern viewpoint. In addition, it examined the meaning of 'education of death', which plays a role of a new starting out of the modern education. The scope of death is defined by how it is viewed and understood. This 'interpretation of death' makes the modern education understood within the scope of the modern time, and at the same time, makes it escape from the modern education itself. Accordingly, education on death is an 'antithesis‘ of the modern civilization and innovates ideas on educational reality. This transformative time and space is the shared area of contemplation which has been a forbidden boundary in the modern time. It is a new area of possibility towards the human history of infinite competition. Death Education has been forbidden and buried as a fundamental limit of the modern education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education on death from the viewpoint of fundamental education. Death is an image of failure and disappearance in the modern time, and the deviation of this structure causes enormous horror and anxiety. In this regard, the scope of the modern education cannot include the forbidden area, driving children only one direction. However, death is a boundary of anguish and contemplation from which a human being overcomes the reality of death and leaps into the sacred world. The realization of death education in the structure of modern education will provide us with an important focus where we can explore a fundamentally important meaning of education. Death Education settles a new area of public education, and restores the original meaning of education, exploring the original humanity out of the artificial civilization.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iscussion on death is that education is not conducted just for a few success-makers. Rather, education is to find out numerous ways to overcome the crisis of death. The world of death is a forbidden area in the modern time, but it is a new starting area of education that can give opportunities of life for numerous children isolated from the human history.

      •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정서,인지,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지은 ( Ji Eun Park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9 사회복지실천 Vol.8 No.-

        인간의 죽음태도(death attitude)는 개인에 따라 다르며, 시대와 사건에 따라 다른 의미가 부여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사회에서는 대체로 죽음에 대해 거부하고 부정하려는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죽음을 준비한다는 의식 또한 낮은 수준이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죽음을 맞이하며 특히, 인간의 발달단계상 노년기를 보내는 노인들에게 죽음(death)은 생애의 마지막 중요한 과제임에도 죽음준비는 매우 낯선 행위로 여겨지고 있다. 지금까지 죽음과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죽음에 대한 불안, 공포를 중점적으로 현재 노인들의 죽음의 태도를 연구해 왔던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죽음에 대한 태도를 정서적 불안, 인지적 수용, 행동적 반응의 세 요소로 구분하고 Corr(1995)가 제시한 정서적 차원, 인지적 차원, 행동적 차원의 지표에 따라 죽음의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시는 노인들 중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나누어 유사 실험 설계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입 이후 정서적 불안 정도는 감소하였고 인지적인 수용 정도는 증가하였으며 긍정적인 행동적 반응이 나타났다. 이처럼 노년기의 죽음에 대한 사고는 임박한 문제로 죽음의 문제에 있어 교육을 통해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수용할 때 정서적인 불안이 감소하며 실질적인 행동적 준비가 가능한 것을 도출하여 낼 수 있다. 그러므로 노년기에 죽음준비 교육은 죽음의 태도에 다각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죽음준비가 보편화되어 적극적으로 죽음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Earlier research related to death has mostly studied focused on the anxiety and fear of death among the elderly. This study, however, divided the attitudes toward death into three categories: emotional anxiety, cognitive acceptance, and behavioral reac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index of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levels of Corr(1995). The death education program introduced in this study is intended to observe the attitude of anxiety, acceptance and behavioral reaction to death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By choo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of the type 1 of quasi-experimental design as the research method, subjects a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20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in a senior welfare center.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ersion 12.0). Analyses of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ANCOVA were m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paired t-test to test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death education for the elderly was that emotional anxiety was decreased, cognitive acceptance was increased, and positive behavioral reaction was shown.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es observed that the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anxiety, cognitive acceptance and behavioral reaction was a negative correlation, that is, the more cognitive acceptance was increased, the more emotional anxiety toward death was decreased. The study showed that cognitive acceptance toward death occurs as a behavioral reaction. Based on this study, practical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eath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and conducted at multilateral levels that combine the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aspects of human beings and the value that Corr(1995) has suggested. Second, after sufficient verification of whether the instructors are qualified or not, death education should proceed focused on the feedback from the death education program, the instructor`s life, the lives of their clients and this feedback will guide instruction. Third, programs that reflect on current life situations while ruminating on the meaning of the past, even though death education is focused on the preparation for the death, should be included. Fourth, a following study on the change of the attitude toward death among the elderly will be needed to monitor the continuance of the effect of death education. Fifth, social workers need to accept the problems of life and death actively, and to have practical prepar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death education. Sixth, while combining multi-discipline studies with the experiences learned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in practice and within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death education programs for each generation and family including couples or couple with children should be practiced systematically.

      • KCI등재후보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논하는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의 과제

        곽혜원 ( Hye Won Kwak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9 No.-

        사상 초유의 COVID-19 팬데믹(pandemic) 사태가 대한민국을 위시하여 전 지구촌에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몰고 왔다. 그동안 인류 역사는 질병의 원인을 밝혀내고 치료함으로 생명 연장을 이룩한 경이로운 여정이었는데, COVID-19 사태로 인해 인간이 죽음이라는 절대적 한계에 직면한 유한한 존재임을 재차 실감하게 된 것이다. 지난 2년간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돌입하면서 죽음에 대한 불안이 사람들의 폐부 깊숙이 각인됨으로써, 생전에 죽음을 성찰하고 준비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다. 그동안 삶과 죽음(生死)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기류가 변화의 조짐을 보여 왔는데, COVID-19 사태가 결정적 분기점이 되어 죽음을 공론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강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 분위기와 달리, 한국 교계와 신학계에서는 삶과 죽음을 성찰하는 생사학 및 생사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조차 제기되지 않는 현실이다. 우리나라에는 무수히 많은 신학대학이 있지만, 죽음을 앞둔 임종자를 위한 영적 돌봄을 가르치는 강좌나 사역 프로그램이 개설된 곳이 거의 전무하다. 설사 신학수업의 교과과정에 죽음에 관한 강좌가 있다고 해도 주로 예전적 측면에서 장례식 집례에 대한 전문지식을 제공하는 일에 치우친 경우가 많고, 죽음의 실체가 과연 무엇인지, 죽음을 앞둔 이를 어떻게 영적으로 돌봐야 하는지, 특히 죽음 앞에서 불안해하는 임종자가 복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어떻게 준비시켜야 하는지에 대해 강의하는 교과목이 개설된 적이 없다. 그렇지 않아도 오늘날 목회자는 임종과 죽음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른채 목회자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많은 목회자는 죽음을 앞둔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영적인 돌봄은 물론, 성도들에게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존엄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법에 대해 가르쳐야 할 중차대한 소임을 잘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연유로 인해 한국기독교계에서 생사학 및 생사교육이 사회의 다른 일반 공동체에서보다 훨씬 뒤처질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죽음의 질이 타종교인이나 비종교인보다 더 열악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러므로 생사교육이 긴급하게 요청되는 그룹은 목회자 및 신학자들이라 아니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필자는 성경에 기반하여 삶과 죽음을 논하는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에 천착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봉착하여 생사학 및 생사교육이 한국 사회에 정착하지 못하는 현실,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 정립의 필요성,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의 지향점인 삶의 존엄·죽음의 존엄·인간의 존엄,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이 감당해야 할 과제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생사학 및 생사교육을 교회교육과 학교교육, 평생교육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정착시킴으로써 죽음을 생애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야 할 과업으로 독려할 뿐만 아니라, 존엄한 삶-존엄한 죽음-존엄한 사회를 진작시키는 데 동기부여하고자 한다. The unprecedented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fear of death to the entire world. In the meantime, human history has been a remarkable process of prolonging life by discovering the cause of disease and treating it. However, due to the COVID-19 crisis, we have come to realize once again that humans are finite beings facing the absolute limit of death. With the advent of the global pandemic era over the past two years,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that people should reflect on and prepare for death while living by feeling great anxiety about death. Until now, the atmosphere of our society surrounding life and death has shown signs of change, and the COVID-19 incident has become a decisive turning point, and the argument that death should be publicized has gained strong persuasion. However, unlike the current atmosphere, the Korean church does not even raise awareness about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which reflect on life and death. Although there are many seminaries in Korea, few have offered courses or ministry programs that teach spiritual care for those who are about to die. Even if there is a course on death in the curriculum of the theology class, it is often biased toward providing specialized knowledge about funeral service from the liturgical aspect, and what is the reality of death and how to spiritually learn about the person who is about to die. There has never been a course that lectures on how to take care, especially how to prepare a dying person who is anxious before death to face a blessed death. Even so, many pastors today become pastors without knowing anything about death. As a result, many pastors are unable to fulfill their important role of providing spiritual care for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s well as teaching believers how to die with dignity while maintaining their Christian identity. For this reason, there is concern that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in Korean Christianity will lag far behind other areas of society, and that the quality of death for Christians will be worse than those of other religions and non-religious people. Therefore, the groups urgently requesting life-and-death education are pastors and theologians. In this problematic situation, I became proficient in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that discuss life-and-death based on the Bible. This thesis discusses the reality that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death education cannot settle in Korean society in the face of a global pandemic, the justification for establishing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death education, and the dignity of life and death, which is the goal of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I would like to discuss the challenges that Christian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must face. Through this, life-and-death studies and life-and-death education ar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at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thereby encouraging death as a task to be accomplished throughout the life cycle, as well as promoting a dignified life - dignified death - dignified society. want to motivate.

      • KCI등재

        유아죽음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서현 ( Hyun Seo ),김영보 ( Young Bo Kim ),박미자 ( Mi Ja Par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유아죽음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유아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유아죽음교육에 대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G시, J도, K도, N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23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유아죽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2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유아죽음교육에 대해 대부분 들어본 적이 없었으나 유아죽음교육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죽음개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대체적으로 높았고, 죽음교육의 목표, 교수·학습 내용, 죽음교육 활동 계획 시 유아가 죽음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만 5세를 중심으로 년 1~2회, 이야기나누기나 동화, 역할놀이를 통한 죽음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교사연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죽음교육의 평가 시 교사들은 유아의 발달 단계와 유아의 이해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유아죽음 교육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는 유아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유아죽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children`s death education, to secure basic materials of children`s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to provide direction of teachers` education on children`s death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23 kindergartens and 300 children`s home teachers in G city, J Province, K Province and N city.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composed of 24 question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children`s death education. From the study, researchers found that most of teachers have not heard of children`s death education. However, they perceived the necessity of it.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death concept was high, and they emphasized the understanding and positive thought of children on death when they planned purpose of death education,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death education activities. Additionally, they proposed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story sharing, fairy tales, and role playing focusing on 5 year old children. The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eachers` training dealing with both theory and practices. Finally, teachers thought the development stage and children`s understanding level important in the evaluation of death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researchers would need to develop children`s teaching program proposing various strategies to utilize children`s death education educationally and emphasize that teachers should have paradigm shift on children`s death education.

      • KCI등재후보

        청소년들의 죽음에 대한 의식과 종교교육

        李在永 韓國宗敎敎育學會 2004 宗敎敎育學硏究 Vol.19 No.-

        죽음의 문제는 짧의 문제와 상관성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은 죽음에 대하여 화제로 삼는 것을 금기시해왔다. 보다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삶을 살기 위해서 죽음 대비교육은 중요한 일이다. 특히 미래의 삶을 대비해 가는 청소년들의 인생관과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죽음 대비교육은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를 위해 조사한 바로는 우리나라 학교 교육이나 종교교육에서 청소년들을 위한 죽음 대비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죽음 대비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에게는 죽음 현장에 참여하거나 임종이나 시신을 보는 일도 차단되었다. 죽음대비 교육이 삶을 위한 교육이라면, 청소년들에게 죽음대비 교육은 절실하게 요구된다. 청소년들에게 바른 생사관, 죽음에 직면한 사람을 돕는 교육, 생명의 소중함과 자살 예방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그들의 인생관과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청소년 죽음대비 교육을 위해서 우리나라 중· 고등학교 도덕이나 윤리, 그리고 종립학교에서 교재로 택하고 있는 종교 과목에서 죽음에 대한 대비교육을 다루어야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죽음에 대한 의식을 조사해서 바람직한 죽음 대비 종교교육의 구조와 방향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Life is inevitably related to death. Yet Koreans have considered it a taboo to talk about death. To lead a more meaningful and valuable life, it is very important to receive preparatory death education. Preparatory death education can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 youth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ir views of life and value systems. A survey conducted for this study reveals that Korean schools provide virtually no curriculum for the preparatory death education for the youths. The youths are not even allowed to watch death scenes or dead bodies, let alone the preparatory death education. Since the preparatory death education is in fact an education to lead a better life,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the youths with the preparatory death education. Preparatory death education or education for suicide prevention will help the youths appreciate the value of life, establish proper views of life and death, and learn how to aid people facing deaths. To properly conduct preparatory death education for the youths, it should be dealt with in the ethics cours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and in the religious courses of various missionary schools. This study conducted an investigation of the youths' perception of death in an attempt to provide a proper direction for preparatory death education.

      • KCI등재

        종교교육의 텍스트로서 죽음 동화와 죽음의 의미

        이은경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기독교교육논총 Vol.51 N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topic of death as an elementary subject of religious education, which has been regarded as negligible, especially in the area of faith education or religiou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will select some of Children’s stories with regard to death, find the death motif in them and explore the meaning of death as one of the subjects of religious education. Korea Church has had its imbalanced focus upon the indoctrination of church dogma. Religious education or faith education has been criticised in that it does not reach at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t being deep within human mind or at any praxis to change one’s life. Thus, it has not much dealt with the subjects such as ‘death’ and ‘mourning.’ However, the subject of death is a very important elementary topic in religious education as well as general education. Taking death as the subject of religious education does not mean any doctrinal or theological approach to life and death, but it rather mean an exploration of an integral or multidisciplinary possibility of religious education motivating sympathetic understandings of sorrow and mourning. In this context, death education may be called education for the completion of life. The four selected children’s stories with regard to death show the motif of meaningful death with regard to religious education. First of all, I Will Be With You (original tile: Ente, Tod und Tulpe) by Wolf Erlbruch and I Am Death (original tile: Jeg er Døden) by Elisabeth Helland Larsen disclose the very everydayness of death, which is very close to us and interferes our today. In Scab on the Knee (original tile: La Croȗte) by Charlotte Moundlic, the main character ‘I’ shows the life process of overcoming the sorrow and longing for Mom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the scab on the knee was healed. Finally, The Most Wonderful Funeral in the World (original tile: Alla döna små djur) by Ulf Nilsson playfully describes the funerals of animals by three children who gradually understand and experience death. The four children’s stories of death reveal the meaning of death as the subject of religions education. First, they show a possibility of reflection on life. Children can grasp the sense of the wholeness of life through the topic of death,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gain the power to overcome troubles and hardships in their present. Second, death may be understood as the completion of life. For Christians, death is not the end of life but its completion and thus a form of life. In this sense, death becomes the goal of our life as one of factors in life. Last, children have their right to experience death. By participating in funeral, children can reduce the fear and anxiety from death and nurture their sympathetic attitude when they feel sympathy with other’s sorrow. In short, death education is none other than one for life. Especially, death education through children’s story offers chance to reflect upon religious question by enabling them to in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ces of characters in the stories, and, in so doing, to imagine their hearts.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신앙교육, 종교교육의 영역에서 소홀히 다루어져온 ‘죽음’을 종교교육의 요체적 주제로서 다루고자 한다. 이것을 위해 죽음과 관련된 동화들을 선택한 후, 각각의 동화들이 갖고 있는 죽음의 모티브를 찾아내고, 종교교육의 주제로서 죽음이 지닌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신앙교육, 종교교육의 영역에서 교리교육적인 면에 치우쳐 왔다. 그리고 이런 까닭에 종교교육 혹은 신앙교육을 통해 인간의 내면 깊은 곳에 있는 초월적 존재에 대한 체험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자신의 삶을 바꾸는 실천으로 나아가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고, ‘죽음’, ‘애도’ 등과 같은 특정 주제들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아왔다. 그러나 ‘죽음’이라고 하는 것은 종교교육의 영역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일반교육의 영역에서도 중요한 요체적(要諦的) 주제 중 하나다. 그리고 죽음을 종교교육의 주제로 삼는다는 것은 생(生)과 사(死)에 대한 ‘교리적’ 혹은 ‘신학적’ 접근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슬픔과 애도의 ‘공감적’ 이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통합적, 통섭적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죽음교육은 ‘삶의 완성’을 위한 교육이라 불리기도 한다. 죽음과 관련해서 선별된 네 편의 동화는 종교교육의 측면에서 의미 있는 죽음의 모티브들을 드러낸다. 먼저 『내가 함께 있을게』와 『나는 죽음이에요』는 우리와 가까이 있으면서 우리의 오늘에 간섭하는 ‘죽음의 일상성’을 드러내며, 『무릎딱지』는 주인공 ‘나’의 무릎에 생긴 딱지가 아물어 가는 과정을 통해 엄마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을 극복해 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세상에서 가장 멋진 장례식』은 세 어린이가 동물들의 장례식을 치러주면서 점점 죽음을 이해하고, 죽음을 경험하는 과정을 유쾌하게 보여 주고 있다. 이 네 편의 죽음 동화를 통해 종교교육의 주제로서 죽음이 가진 의미를 짚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삶에 대한 성찰의 가능성으로, 어린이들은 죽음을 통해 삶의 전체성 감각을 회복하고,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현재의 어려움과 시련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얻기도 한다. 둘째는 죽음을 삶의 완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독교인에게 죽음은 삶의 끝이 아니라, 완성이며 삶의 한 형식이다. 그래서 죽음은 삶의 한 구성요소로서 우리 생의 목표가 된다. 마지막은 어린이들도 죽음을 경험할 권리가 있다는 사실이다. 어린이들도 장례의식에 참여함으로써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슬픔에 감정이입함으로써 공감능력을 키울 수 있다. 한 마디로 죽음교육은 삶을 위한 교육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동화를 통한 죽음교육은 어린이들이 동화 속 주인공의 경험에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상상함으로써, 종교적 물음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KCI등재

        청소년 죽음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중,고등학생의 죽음관을 중심으로-

        정재걸 ( Jae Geol Jung ),이현지 ( Hyun Ji Lee ),이승연 ( Sung Yean Lee ),백진호 ( Jin Ho Ba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중등교육연구 Vol.61 No.3

        1960년대, 미국이 처음으로 죽음교육을 학교 현장에 도입한 이래, 유럽, 일본 등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는 죽음교육의 교육적 의미에 주목하고 이를 시행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왔다. 우리나라도 2000년대에 들어 죽음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자살, 존속살인 등, 생명의 가치를 훼손하는 반인륜적 범죄의 증가가 생명의 존엄성을 재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동시에 우리의 학교 교육을 반성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죽음 자체에 대한 철학적 고찰과 더불어 죽음교육을 인성교육의 일환으로 보고 그 의의를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도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죽음교육은 여전히 학교 현장에 도입되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우리 교육의 척박한 현실 때문이기도 하지만 실제로 현장에서 시행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여전히 개발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글 역시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다만 그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청소년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죽음교육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해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우리의 교육현실에 적합한 죽음교육의 형태를 전망하고자 한 것이다. United States firstly introduced death education in school in 1960s. Since then, many countries including Europe countries and Japan have paid attention to the meaning of death education and operated diverse death education programmes. In Korea, concerns to death education has increased since 2000s. Crimes against humanity occurred and they provided chances to reflect the school education. Finally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But in spite of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it has not been introduced to school education. The main reason is that death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students has not been developed yet. This paper is a basic work for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rogram. For the purpose, in this paper, the views of deaths of Korean adolescents and the problems of the views have been analysed, and the proper type of death education in Korea has been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