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이터 시각화의 사용자 선호도 분석: 분포 시각화 방식을 중심으로

        김하늘,김성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1

        Data visualization helps people quickly recognize and remember data insights through visual elements, therefore, the scope of data visualization is diversifying. As interest in data visualization increases, it is exposed to the general public through not only news articles, but also the medical field as personal data are represented through visualizations. To provide the proper data insights, we need to provide effective visualizations for your users. In this research,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user's data visualization preference to investigate the user's perception of data visualization.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by measuring the relative and objective preference of data visualization using 5 visualizations and 4 tasks by limiting the visualization of the distribution visualization method. The results of user's visualization preference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separately for each visualization and each task.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reviewed, and accordingly, the appropriate direction of data visualization was suggested and discussed. 데이터 시각화는 사람들에게 시각적 요소를 통해 데이터 인사이트를 빠르게 인지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데이터 시각화의 활용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다. 데이터 시각화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뉴스와 기사뿐만 아니라, 의료 분야에서도 데이터 시각화를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올바른 데이터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를 위한 적합한 시각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자의 데이터 시각화 선호도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분포 시각화 방식의 시각화를 한정하여 5개의 시각화와 4개의 Task를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의 상대적, 객관적인 선호도를 측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얻어진 사용자의 시각화 선호도 결과를 각 시각화별, Task별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고찰하고 이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의 적합한 사용 방향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의 데이터 시각화와 디자인 연구 - '스마트시티 데이터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 화면 구현을 중심으로 -

        김진영 ( Kim Jin Young ),이희준 ( Lee Hee Jun ),김홍준 ( Kim Hong Joon ),김재헌 ( Kim Jae Hu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6 No.-

        데이터는 4차 산업시대의 핵심연료이자 원유이다. 데이터의 가치와 잠재력은 아직 다 측정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확장되고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 시각화는 시각화를 통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데이터간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매우 강력한 도구이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이상적인 데이터 시각화는 데이터 과학과 시각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융·복합적으로 요구한다. 본 연구는 주요 개념인 스마트시티, 대시보드, 데이터 시각화의 정의와 의미를 살펴보고, 유사 개념인 정보 디자인, 정보 시각화, 인포그래픽을 비교하여 데이터 시각화가 갖는 데이터와 정보로서의 의미에 대해 함께 고찰한다.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의 데이터 시각화와 디자인 연구를 위하여 데스크 리서치 및 전문가 참여를 통해 시각화 모델 설계를 하고 3차 전문가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가 갖는 실시간성이 디자인 요소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고, 도출된 7가지 연구결과를 데이터 시각화 디자인 모델로 구축하여 실제 스마트시티 대시보드 화면에 적용하였다. 차트 표현 목적 4가지(비교, 분포, 패턴, 관계)에 시간 요소를 추가하여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기준을 도출하고, 스마트시티 대시보드 화면이 갖는 데이터 시각화의 ‘시간성’에 주목하였다. 선행 연구의 내용을 계승하면서, 실무적 적용을 이끌고, 스마트시티가 가지고 있는 다학제적 성격을 고려하여 여러 분야의 다양한 연구와 시선을 고찰, ‘스마트시티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가 갖는 ’실시간성‘을 사용자 경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점에서 대시보드 화면에 적용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Data is an important subset of the fourth industrial age. The value and potential of the data has not yet been fully discovered, and is still under development. Data visualization is a very powerful tool that effectively understands data through visualization and intuitivel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data. It is a representative method of supporting decision making. Ideal data visualization requires a fusion and a combination of understanding of data science and visual design.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smart city, dashboard, and data visualization, which are major concepts, and compares information design,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infographic, which are similar concepts, to examine the meaning of data visualization and information. For the data visualization and design research of real-time analysis dashboard, visualization model design is conducted through desk research and expert participation, and third expert analysis i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al-time analysis dashboards were examined how the real-time properties could be connected to design elements, and the 7 results of the study were constructed as a data visualization design model and applied to the actual smart city dashboard screen. The time factor was added to the four purposes of chart expression (comparison, distribution, pattern, relationship) to derive the standard for data visualization and pay attention to the 'timeness' of data visualization of smart city dashboard. In the course of inheriting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studies, it is meaningful that it led the practical application, considered various studies and gazes in various fields considering the multi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Smart City, and applied 'real-timeness' of 'Smart City Real-time Analysis Dashboard' to the dashboard screen from the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perspective.

      • KCI등재

        군집화 기반의 관계형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시각적 문법

        한지애(Han, Ji A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3

        본 연구는 데이터의 즉각적 인지를 돕는 시각화 패턴으로서 ‘시각적 문법’을 개발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은 복합성이 높은 관계형 데이터의 시각화를 위한 ‘시각적 문법’(Visual Grammar)’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보 공학, 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정보디자인 분야에서의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문헌 연구와 웹 브라우저 기반의 D3.js(Data-Driven Documents)의 236개의 라이브러리 사례 조사를 실시하여 관계형 데이터의 시각화를 위한 ‘시각적 문법’체계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문법’을 위한 데이터 시각화의 군집 유형을 정보 공학분야에서 데이터 시각화 과정에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토대로 크게 밀도 기반군집 유형과 계층 기반 군집유형으로 제안하였다. 둘째, 관계형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시각적 문법’의 요소로서 네 가지 시각화 속성, ‘데이터 군집’, ‘연결’, ‘결합’, ‘부착’과 세 가지 데이터 변수와 일곱 가지 시각 변수(색상, 모양, 크기, 방향, 질감, 값, 위치)를 도출하였다. 셋째, 시각화 속성에 따라 시각적 문법과 시각화 원리로 게슈탈트 법칙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공학과 정보 디자인의 심도 있는 연계 연구의 필요성과 데이터 시각화의 표준화를 위한 ‘시각적 문법’의 발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3.js의 사례를 중심으로 시각화 원리를 제시하는 데 그쳤으나 향후 관계형 데이터의 시각적 문법을 구체화하고, 다른 유형의 데이터의 시각적 문법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started to develop ‘visual grammar’ as a visualization pattern that allows users to perceive data immediately,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s "visual grammar" for visualization of highly complex relational data. In order to propose "visual grammar," literature study on data visualization in the fields of information engineering, data mining, machine learning, and information design, and a case study of 236 libraries of D3.js (Data-Driven Documents) based on a web browser were conducted. In order to visualize relational data, a "visual grammar" system was proposed. The results and co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lustering type of data visualization for "visual grammar" is largely proposed as the density-based clustering type and the hierarchy-based clustering type by the clustering algorithm in the data visualization proces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engineering. Second, as a component of "visual grammar" for relational data visualization, four visualization attributes, ‘Data cluster’, ‘Connection’, ‘Linkage’, ‘Attachment’, and three data variables (Quantitative Variable, Category Variable, Sequence Variable) and seven visual variables (color, shape, size, direction, texture, value, location). Third,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visualization, the Gestalt law was applied as the visual grammar and visualization princip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in-depth linkage research between information engineering and information design and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visual grammar" for standardization of data visualization were discovered. In this study, only the visualization principle was presented based on the case of D3.js (Data-Driven Documents). However, in the future, visual grammar of relational data will be specified through verification of visualization techniques and principles, and visual grammar of other types of data will be proposed.

      • KCI등재

        박물관에서 나타나는 데이터시각화 활용 사례 연구

        김민정,정희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data visualization utilization in museums (including exhibition), and to study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data visualization display in museums. The method of research consists of theoretical exploration centered on academic journals and books and case analysis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online data. Two cases of data visualization are collected in Korea through field research and five overseas through online websites.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 display and the visualization elements of the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data visualization is defined as representation and presentation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data. In addition, modern museums are being transformed from collection-oriented to visitor-oriented, and therefore various high-tech and media representing the fourth industry are being used to share information or messages with visitors and help them understand the exhibi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visualization displayed in the museum are as follows. First, the museum’s display of data visualization is used as a tool to understand complex data like excessive information effectively and efficiently for the viewer. Second, although the style of exhibition depends on the display object of the museum,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oriented implementation exhibition of experiencebased is stronger when the data visualization display is mainly utilized. In particular, the interactive data visualization screen occurs the visitors to navigate data on their own and provides a function to help them easily grasp the entire context of the exhibition in the macro view. Finally, data visualization targeting a large number of visitors in an open space can easily achieve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and, in addition, generate interest and effectively draw immersion from the audience. As this study, recent museums are focusing on participation-oriented embodiments and complex forms of exhibition audience beyond objects-only displays, and data visualization is being used educationally for more systematic message delivery beyond data art. Although this research is limited in a qualitative study of data visualization in museum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a basic study to identify and spread the possibility of using data visualization. 본 연구는 국내외 박물관(전시관 포함)에서 데이터시각화 활용 동향을 살펴보고, 박물관에서의 데이터시각화 전시 경향과 특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학술지와 도서 중심의 이론적 탐색과 온라인 자료를 통한 국내외 사례분석으로 구성된다. 데이터시각화 전시사례는 국내 2건, 해외 5건으로국내는 현장답사, 해외는 웹사이트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박물관 전시 특성과 데이터의 시각화 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데이터시각화는 데이터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재현과 표현으로 정의된다. 아울러 현대 박물관은 소장품 위주에서 관람객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따라서 관람객과의 정보나 메시지를 함께 나누기 위해 4차 산업을대표하는 첨단기술과 매체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박물관에서 전시되는 데이터시각화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의 데이터시각화 전시는복잡한 데이터, 즉 과다한 정보를 관람객에게 효과적, 효율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한 도구이자, 체험을 기반으로 한 상호작용 전시 자체로써 사용된다. 둘째, 박물관의 전시 대상에 따라 전시의 형태가 구별되지만, 데이터시각화 전시가 주로 활용된 경우는 체험기반의개념 지향적 구현전시의 특징이 더 강하다. 특히 인터랙티브 데이터시각화 스크린은 관람객이 전시 대상에대한 데이터를 스스로 선택하여 탐색할 가능성을 열어주고 거시적으로는 전시의 전체적인 맥락을 손쉽게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개방된공간에서 다수의 방문자를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시각화는 전시의 목적을 손쉽게 달성할 수 있으며, 더불어관객의 흥미를 유발하고 몰입을 효과적으로 끌어낼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최근의 박물관은개체만을 보여주는 물품 지향적 개념전시를 벗어나관람객 참여 중심의 구현전시 형태 또는 복합적인 전시 형태가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데이터시각화의 활용은 체험과 몰입을 통한 정보 전달 도구로 활용되고있다. 본 연구는 박물관의 데이터시각화에 관한 질적연구라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데이터시각화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확산하는 기초연구가 되길기대한다.

      • KCI등재

        빅데이터를 위한 정보디자인의 시각화 방법 및 표현 연구

        이지선 ( Ji Su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3

        최근 기술의 진보로 인한 데이터의 급격한 증가는 빅데이터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빅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인 정보디자인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정보디자인은 스토리텔링 형식의 그래픽이 주류를 이루는 인포 그래픽 상태에 머무르고 있는 상태이다. 방대한 데이터를 다루는 빅데이터의 시각화를 접근해야 할지에 대한 논의는 아직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에 적합한 정보디자인 영역에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시각 표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선, 데이터 시각화, 정보 시각화, 정보디자인과 인포그래픽 정의 분석을 통하여 빅데이터 시각화의 영역이 정보디자인의 시각화 범위와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후, 빅데이터 시각화 사례 분석이 정보 카테고리의 세 가지인 정보형, 설득형, 통합형 메시지 관점에서 이루어졌고, 이 사례분석을 통하여 세부적인 시각화 방법을 연구 하였다. 이 사례분석에서는 각각 어떠한 시각화 방법으로 진행되었는지, 시각화에서 중요한 점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무엇보다 중요한 데이터를 어떻게 다루고, 어떠한 관점에서 정보로 표현하는가에 대한 부분을 중점으로 연구하였다 분석된 내용 결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도로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세 가지 빅데이터 시각화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가지는 빅데이터 분야에서 데이터를 표현하고 전달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에 대한 결과를 공유한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flood of information from rapidly growing technologies and the Internet is cultivating an interest in the information design of big data visualizations. However, information design in the country still remains a level of infographics that focus primarily on graphics storytelling styles. This study researches which areas of information design are most appropriate for visualizing big data sets and analyzes which visual expression is suitable for big data visualization. First, through analyzing the definition of data visualization,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infographics, this study focused on visualization methods of big data within information design. Second, the case studies of big data visualization were conducted in three categories of information - informed, persuasive, and integrated message. In the case studies focusing on detailed methods of visualization, this study explored visualization methods for each project and the requirements for big data visualization.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is study are how data is analyzed and what is the appropriate visualization for this particular data. For confirming the case studies results, three visualizations were developed. These visualizations used data from Open OASIS, the open public data provided by the Korean Expressway Corpor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hare results about effective processes and visualization methods for large amount of data in communicating big data sets.

      • KCI등재

        인터랙티브 데이터시각화에서 스토리텔링의 시각적 표현 요소 연구

        김민정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While growing interest in data-driven storytelling visualizations, research on data visualization and storytelling from a communication design perspective was needed. Thus, this study pointed out the relationship and concept of data visualization and storytelling, summarized the visual elements of storytelling in data visualization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and collected and analyzed 26 cases of visualizations based on data journalism. As a result, the storytelling of data visualization consists of two types. From a micro perspective, raw data is represented by visual elements such as graph, diagrams, and illustrations, and from a macro-perspective, visual elements designed are integrated, reconstructed and delivered on slides-like screens, giving the reader a message and receiving feedback. After all, storytelling in data visualization is a key element that can enhance a user’s cognitive ability, memory and persuasion. Thus, depending o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expression of data visualization, users can experience or receive messages of data by strengthening their navigation activities or emphasizing communication. The storytelling representation elements of data visualization were summarized as ‘narrative structure, layout style, navigation process, interaction feedback, dynamic transition of text and visual elements, and degree of user intervention’. Journalist-based data visualizations aimed at delivering news were mostly linear, with the most common use of scrolls on documentation screen and steps in the form of slide show. It was also noted that there were many dynamic changes in text and visuals. Above all, the degree of user engagement was different regardless of the narrative structure. Depending on the interaction, some visualization may simply show moving images, while others may allow users to choose their own menus. Above all, there were also visualizations where users could enter individual data values and get the desired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cademically summar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ta visualization and storytelling and explored the visual expression elements of storytelling. It is expected that data visualization education is essentially needed in the field of design education and how to express effective storytelling that can increase user immersion. 데이터 중심의 스토리텔링 시각화에 관한 관심이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관점에서데이터시각화와 스토리텔링의 관계와 특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데이터시각화와 스토리텔링의 관계와 개념을 짚어보고, 선행연구 분석을통해 데이터시각화에서 나타나는 스토리텔링의 표현요소들을 정리하여, 데이터 저널리즘 기반의 26개 사례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데이터시각화의스토리텔링은 두 가지 유형으로 정리된다. 미시적 관점에서는 원데이터를 그래프, 다이어그램, 일러스트레이션 등과 같은 시각요소로 재현하는 것이고, 거시적관점에서는 재현된 시각요소들을 의사소통을 위해 슬라이드와 같은 화면 위에 체계적으로 재구성하여 독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피드백 받는 모든 과정을의미한다. 결국, 데이터시각화에서의 스토리텔링은 사용자의 인지능력 및 기억력, 그리고 설득을 위한 핵심요소이다. 따라서 데이터시각화의 서술 구조와 표현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탐색활동을 강화하거나 소통을강조하여 데이터의 메시지를 경험하거나 전달받을 수있다. 데이터시각화의 스토리텔링 표현 요소는 ‘서사구조, 레이아웃, 내비게이션 과정, 인터랙션 피드백, 텍스트 및 시각요소들의 동적 변환, 그리고 사용자의개입 정도’로 정리되었다. 뉴스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저널리즘 기반의 데이터시각화는 대부분 선형적 구조를 취하고 있었으며, 도큐먼트 화면을 바탕으로 스크롤과 슬라이드 쇼 형식의 스텝 기능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인터랙티브 데이터시각화답게 텍스트와 시각요소들의 동적 변환이 많이 적용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상호작용에 따라 단순히 움직이는이미지를 보여주는 예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메뉴를선택할 수 있는 시각화도 있다. 무엇보다 사용자가 직접 개별적인 데이터 값을 입력하고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시각화도 있었다. 본 연구는 데이터시각화와 스토리텔링의 관계를 학술적으로 정리하고, 스토리텔링의 시각적 표현 요소들을 탐구하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디자인교육에서 데이터시각화 교육의 필요성과 사용자의 몰입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스토리텔링 표현 방법에 대한 고찰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텍스트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MVC 프레임워크

        최광선(Kwang Sun Choi),정교성(Kyo Sung Jeong),김수동(Soo Dong Kim)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4 지능정보연구 Vol.20 No.2

        As the importance of big data and related technologies continues to grow in the industry, it has become highlighted to visualize results of processing and analyzing big data. Visualization of data delivers people effectiveness and clarity for understanding the result of analyzing. By the way, visualization has a role as the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that supports communications between people and analysis systems. Usually to mak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easier, these GUI parts should be loosely coupled from the parts of processing and analyzing data. And also to implement a loosely coupled architecture, it is necessary to adopt design patterns such as MVC (Model-View-Controller) which is designed for minimizing coupling between UI part and data processing part. On the other hand, big data can be classified as structured data and unstructured data. The visualization of structured data is relatively easy to unstructured data. For all that, as it has been spread out that the people utilize and analyze unstructured data, they usually develop the visualization system only for each project to overcome the limitation traditional visualization system for structured data. Furthermore, for text data which covers a huge part of unstructured data, visualization of data is more difficult. It results from the complexity of technology for analyzing text data as like linguistic analysis, text min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so on. And also those technologies are not standardized. This situation makes it more difficult to reuse the visualization system of a project to other projects. We assume that the reason is lack of commonality design of visualization system considering to expanse it to other system. In our research, we suggest a common information model for visualizing text data and propose a comprehensive and reusable framework, TexVizu, for visualizing text data. At first, we survey representative researches in text visualization era. And also we identify common elements for text visualization and common patterns among various cases of its. And then we review and analyze elements and patterns with three different viewpoints as structural viewpoint, interactive viewpoint, and semantic viewpoint. And then we design an integrated model of text data which represent elements for visualization. The structural viewpoint is for identifying structural element from various text documents as like title, author, body, and so on. The interactive viewpoint is for identifying the types of rela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text documents as like post, comment, reply and so on. The semantic viewpoint is for identifying semantic elements which extracted from analyzing text data linguistically and are represented as tags for classifying types of entity as like people, place or location, time, event and so on. After then we extract and choose common requirements for visualizing text data. The requirements are categorized as four types which are structure information, content information, relation information, trend information. Each type of requirements comprised with required visualization techniques, data and goal (what to know). These requirements are common and key requirement for design a framework which keep that a visualization system are loosely coupled from data processing or analyzing system. Finally we designed a common text visualization framework, TexVizu which is reusable and expansible for various visualization projects by collaborating with various Text Data Loader and Analytical Text Data Visualizer via common interfaces as like ITextDataLoader and IATDProvider. And also TexVisu is comprised with Analytical Text Data Model, Analytical Text Data Storage and Analytical Text Data Controller. In this framework, external components are the specifications of required interfaces for collaborating with this framework. As an experiment, we also adopt this framework into two text visualization systems as like a social opinion mining s

      • KCI등재

        ISVS: 대화형 스트리밍 데이터 시각화 시스템

        선동한,최경륜,황수찬,백중환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8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4 No.2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real-time processing and the visualization of a large stream data. However, in the existing studies, the changes which occurred in the input stream structure, in the data to be visualized, and in the processing methods, can not be reflected in visualization in real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ractive Streaming Data Visualization System, ISVS, which provides visualization capabilities of streaming data covering collection and processing capabilities of visualized data. ISVS makes it easy for users to interactively express various visualization-relevant requirements of modulating input stream structures, filtering streams to be visualized, creating and modifying visualization functions. ISVS reflects them in real time.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ISVS using the distributed streaming system. We show that it is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real-time visualization processing by applying it to a stereo sound technology based video streaming service. 최근, 대량의 스트림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처리와 그 결과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기존 연구는 입력 스트림 구조의 변경이나, 시각화할 데이터와 그 처리방식의 변경 등을 실시간으로 시각화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트림 데이터의 시각화 기능과 시각화를 위한 데이터의 수집 및 처리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대화형 스트림 시각화 시스템, ISVS(Interactive Streaming Data Visualization System) 를 제안한다. ISVS는 입력 스트림 구조 변경, 시각화할 스트림의 필터링, 시각화 함수의 생성, 수정 등 시각화에관련된 다양한 요구사항을 사용자가 쉽게 대화식으로 표현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시각화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분산 스트리밍 시스템을 이용한 ISVS 시스템의 구현과 이 시스템을 입체음향 기술 기반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다양한 시각화 처리가 가능함을 보였다.

      • KCI등재

        네오물질적 데이터와 데이터 시각화의 물질성 - 뮌, 팀보이드, 레픽 아나돌의 작품을 중심으로 -

        조성현,목진요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3

        Backgroun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the era of big data/smart data, data visualization, which collects and analyzes data and presents it visually so that users can easily understand it, has become an vital task. There is a growing need to redefine data, which has been classified as immaterial, as neomaterial, and to recognize that it is on the borderline of a process where physical or material reality is being established and overlapped in earnest. Metho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artistic data visualization works as one of the phenomena of the overlap of virtuality and reality, as well as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contemporary convergence between art and technology, this paper takes the following approaches: Firstly, it will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formulation of the term neomateriality proposed by Christiane Paul and the New Aesthetic proposed by British artist James Bridle and the core of their discourse. Secondly, it will analyze works from Korean media artist collective Mioon, TeamVoid, and international artist Refik Anadol who work in the form of data visualization. It will study the way these works approach the data as neomaterial and apply the discourse generated by Christian Paul to their works. Result This research analyzes Korean media artists collective Mioon and TeamVoid and international media artist Refik Anadol that regarded datas in the form of neomaterials as art. It finds points of connection and validation in their work through James Bridle and Christian Paul’s concepts. Through the analysis of Mioon's Art Solaris (2016-2019), TeamVoid's Over the Air (2018) and Log (2020), and Refik Anadol's Seoul Hammong (2020), which took the form of data visualization, we examined and found evidence of the ways in which the artists approach and visualize data. Through this analysis, the research confirms that artistic practices that meet the conditions of neomateriality transform code into the material framework of objects, thus in digital art, thevisual outcomes of artworks are derived from code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Conclusion By attempting to interpret different layers of data, the artist and artist collectives analyzed in this study demonstrate that data visualization is not only an essential methodology for expressing socially embedded contexts, but also an opportunity to bring about changes in behavior. Thus, it attempts to read thoughts, behaviors, and social phenomena, iterating on the separation and unification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based on data. Essentially, by facilitating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world, artists' creative practice can be construed as an act that seeks to reach the essence of data and data visualization. In the current 21st century, these insights reveal the potential for artistic production connected to the data that dominates us and our society, connecting and overlapping with the contemporary period. 연구배경 빅 데이터/스마트 데이터 사회로의 전환 과정에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가 중요한 과제로 자리 잡았다. 비물질적인 것으로 분류되어왔던 데이터(data)의 물질성 혹은 물리적 현실이 자리 잡고 중첩되어 가는 경계선상에 서 있음을 인식하는 체계 전반의 재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연구방법 데이터 시각화 창작 행위를 세계(현실) 중첩에 대한 현상 중 하나로 인식하고 동시대 예술과 기술 결합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예술・사회적 의미 부여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론을 취한다. 첫째, 크리스티안 폴(Christiane Paul)이 제시한 네오물질성(neomateriality)이라는 용어, 그리고 영국의 아티스트 제임스 브리들(James Bridle)이 제안한 신미학(New Aesthetic)의 정립 배경과 그들이 주장하는 담론의 핵심을 이해한다. 둘째, 이어 데이터 시각화형식을 취하는 국내・외의 미디어 아티스트 작가 및 그룹(뮌, 팀보이드, 레픽 아나돌) 선정하여, 그들의 창작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네오물질로 존재하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식과 전략을 살펴보고, 크리스티안 폴이 생성한 논의를 적용한다. 연구결과 데이터의 물질성에 주목하는 미디어 아티스트 중 국내 미디어 아티스트 그룹 뮌과 팀보이드, 해외 미디어 아티스트 레픽 아나돌을 분석하였고, 크리스티안 폴, 제임스 브리들의 논의를 통해 그들 작업의 당위성을 찾았다. 데이터 시각화 형식을 취하는 뮌의 작업 <아트 솔라리스>(2016-2019), 팀보이드의 작업 <Over the Air>(2018), <Log>(2020), 레픽 아나돌의 <서울 해몽>(2020-2021) 분석을 통해 창작자들이 데이터에 접근하고 시각화로 구현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그 근거를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네오물질성의 조건에 부합하는 예술적 실천은 코드를 객체의 물질적 프레임워크로 전환함으로써 디지털 예술에서 예술작품의 시각적 결과는 코드와 수학적 표현으로부터 파생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창작자 및 창작 그룹들은 서로 다른 층위에 속한 데이터의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데이터 시각화는 사회의 함축된 맥락을 표출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론임과 동시에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에 기반한 생산과 소비의 분리와 일치를 반복하며, 생각, 행동, 그리고 사회 현상을 읽기를 시도한다. 본질적으로 세계에 대한 더 정확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예술가들의 창작 행위는 데이터와 데이터 시각화의 본질에 닿기를 추구하는 행위로 규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21세기 현재, 오늘날의 동시대와 연결되고 중첩되어 우리 혹은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데이터와 연결된 예술 창작물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질병데이터 기반의 지리공간 데이터시각화 표현에 관한 고찰

        김민정((Kim, Min Ju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관점에서 질병 데이터 기반의 지리공간 데이터시각화의 표현방법을 고찰하는 것이다. 지리공간 데이터시각화 유형을 탐구하기 위해, 1) 지리공간 데이터시각화의 출현 과정과 표현 유형을 알아보고, 2) 코로나-19 관련 국내외 사이트 8개를 수집 및 분석하여, 3) 질병 데이터시각화 표현 방안을 제안하다. 연구결과, 지리공간 데이터시각화는 공간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량적, 정성적 데이터의 관계와 패턴 등을 시각적 자료로 변환하여 지도 위에 제시한 매체로 정의된다. 질병 데이터시각화의 목적은 질병의 확산상태, 그리고 유행 경로 및 변화 추이 를 인식하여, 질병의 확산을 막는 것이다. 국내외 사례를 분석해본 결과, 국내의 경우에는 확진자의 동선 파악을 중요시하는 한편, 해외 사례는 대부분 국내의 상황을 비교한 경우가 많으며, 지도 이외의 챠트를 사용하여 정량적 데이터 표현을 보완하였다. 질병과 건강에 관한 데이터시각화는 결국 인본주의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질병데이터 시각화에 관한 구체적인 사용자 경험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geospatial data visualization based on disease data from a design perspective. In order to explore the geospatial data visualization type, 1)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process and expression types of geospatial data visualization, 2) to collect and analyze 8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bsites related about Coronavirus disease, and 3) to propose a method to express disease data visualization. As a result, geospatial data visualization is defined as the medium presented on the map by conver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relationships and patterns obtained from space into visual data. The goal of visualizing disease data is to prevent the spread of disease by recognizing the state of spread of disease and the trend and change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data visualization in domestic regards the route of confirmed patients as important, while most of international data visualization for disease data have compared the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 and supplemented quantitative data expression using charts other than maps. Since data visualization of disease and health has humanistic values, it is necessary to study specific user experience design guidelines for visualization of disease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