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MZ 세계평화공원 내 UN 제5사무국 유치에 대한 고찰

        정시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 간의 긴장완화를 위해 지금부터 실현가능한 방법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DMZ 세계평화공원 내 UN 제5사무국의 유치를 위한 가능한 방법을 찾고자 한다. DMZ는 6·25전쟁 말에 UN군과 북한에 의해 설정됐다. 평화공원은 접경보호지역에서 평화와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평화조성의 중요한 수단이다. 박대통령은 취임 초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2013.5.8)과 독일에서의 핵안보정상회담과 드레스덴 선언(2014.3.28)에서도 남북한과 UN이 함께 DMZ 세계평화공원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DMZ 세계평화공원이 설립된다면 남북한 문제의 긴장완화와 신뢰구축으로 세계평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DMZ 세계평화공원과 병행하여 ‘UN 제5사무국’이 설립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대북 경제지원 사업과 설득에 의한 관계개선, 둘째, 국제사회에 대한 UN 제5사무국 유치를 위한 외교력 필요, 셋째, DMZ 관련 사업을 종합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대통령 혹은 국무총리 직속으로 된 컨트롤타워의 설치 등이다. 현재 경기도의 파주, 강원도의 철원, 연천, 고성 등이 DMZ 세계평화공원 유치 경쟁에 나서고 있다. 통일부는 후보지 조사 결과와 추가 연구용역 등을 바탕으로 DMZ 세계평화공원 기본계획을 마련할 예정이지만 남북관계 상황을 고려해 조심스럽게 움직일 전망이다. 남북관계는 지금부터라도 생태적·경제적 이익을 넘어 긴장완화와 신뢰구축으로 남북 간의 위기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a possibility of inducing the 5th UN office in the Korean DMZ world peace park. The Korean DMZ is a geographical region that was established at the end of the Korean War (27 July 1953) according to the Armistice Agreement between the United Nations Forces (UNF) and North Korea. Peace park ha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peace and cooperation in a boundary areas. President Park strongly expressed a strong interest to establish DMZ world peace park with the United Nations at the Nuclear Security Summit and Dresden Declaration (28 March 2014,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House and Senate Joint (08 May 2013). DMZ world peace park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laxation and confidence to enhanc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inducement of the 5th UN office with DMZ world peace park requires the following three improvements. First, we may introduce the New Village Movement ODA projects to North Korea. Second, we may play a role using a diplomatic skill in emphasizing a necessity of the 5th UN office in DMZ. Third, a control tower should be established under the direction supervison of President or the Prime Minister which can hold a comprehensively control of the DMZ-related businesses. One city in Gyeonggido (Paju) and three cities in Gangwondo (Cheolwon, Yeonchun, and Goseong) now compete with each other to host the DMZ world peace park. The Department of Unification in Korea is going to develop a plan to determine candidate regions considering the current condition of South-North relations. Beyond ecological and economic profit,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hould be also resolved by advancing the level of trust.

      •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방향

        김영봉 ( Kim Young Bong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19 접경지역통일연구 Vol.3 No.1

        DMZ는 정전협정에 의해 설정된 완충지대로 남북한 군대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한 지역이다. DMZ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논의는 지난 70년대 초부터 남북한과 국제사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한반도 중앙지대에 설치된 DMZ를 중심으로 하고, 주변 남북한 접경지역의 역사·문화자원과 우수한 생태계를 연계한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의 기본 방향은 정전협정에 의해 설정된 DMZ의 전체지역을 세계평화공원으로 이용한다는 전제하에 출발하였다. 따라서 한반도 중앙지대를 가로지른 DMZ의 지리적 특성과 자연환경 그리고 역사적 상징성을 중시하여 권역을 나누었다.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후보지 선정의 기본방향은 남북한 평화의 창출과 자연환경의 보전 그리고 역사·문화자원의 보존에 중점을 두고 선정하였다. 특히, 생태자원이 우수하며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역사적 유적과 문화자원이 소재한 지역, 남북이 상호 접근하기에 편리하고 기반시설과 중심성 등을 중점으로 하여 기준을 설정하였다. DMZ 세계평화공원 추진전략은 우선, 남북한 평화와 화합의 상징성이 가장 높은 지역부터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시작하고, 점차 남북한의 평화와 화합 그리고 교류협력이 활성화됨에 따라 지역별로 특성 있게 확대해 나아가도록 계획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특성별 핵심권역은 서해연안권역, 서부권역, 중부권역, 동부권역으로 구분하였다. 각권역내 DMZ 핵심지역을 중심으로 동서와 남북으로 확대하여 나아가 최종적으로 DMZ 전체면적을 세계평화공원으로 조성하도록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MZ World Peace Park, centering on DMZ and its surrounding Border Areas of the two Koreas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link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the excellent ecosystems in the region. The basic direction of the DMZ World Peace Park crea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entire DMZ region set up by the Armistice Agreement will be designated as the park. Therefore, we divided the region by focusing on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na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symbolism of DMZ which traverses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Selection of candidate sites for DMZ World Peace Park was conducted in a manner that envisions ushering in peace between the two Koreas, conserv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d safeguard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particular, preferences were given to such areas endowed with excellent ecological resources and rich biodiversity, boasting historical heritage and cultural resources, having convenient access from both sides, being close to infrastructure, and/or taking on the role of local centers before the division of Korea. Strategies for creating the DMZ World Peace Park are as follows. The first sites of the Park are established in the sites where the symbolism of peace and harmony between the two Koreas are the most apparent. Then the Park is gradually expanded to adjacent areas as the peace and harmony of the two Koreas are enhanced and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stimulated. Accordingly, four core regions are designated as west coast region, western region, central region, and eastern region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The initial Park sites in each region are expanded from east to west, from south to north, centering on the core regions, which ultimately converts the entire DMZ into the World Peace Park.

      • KCI등재
      • KCI등재후보

        DMZ 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공간디자인 정책방안

        한정엽 ( Jung Yeob H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8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박 대통령은 2013년 미국의 상*하 양원 합동연설에서 “DMZ에 세계평화공원을 만들고 싶다.”고 천명하였다. 이에 정부와 지방정부는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에 대한 다양한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DMZ 평화공원 조성에 따라 DMZ일원 생태환경보호를 조건으로 세계평화의 상징인 동시에 지역경제에도 이익이 될 수 있는 공간디자인 관점에서 디자인정책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이에 DMZ 관련문헌연구를 통하여 문제, 조건, 활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DMZ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국내 외 사례를 네오, 에코투어리즘으로 분별하여 사례를 살펴보고 시간적, 공간적, 디자인적 조성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결과)시간적 단계별 계획으로 1단계 테마별 평화공원 조성 후보지 배후시설 확충, 2단계 UN 관리 평화공원조성, 3단계 남북 DMZ 관련 공간 및 시설 연결통합화를 제시하였다. 공간적 접근방안으로 수직, 수평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공간디자인 조성방안으로, DMZ일원에 거버넌스 차원의 남과 북을 아우르는 DMZ평화벨트 조성을 제안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Park Gun-Hye, stated her standpoint saying, "I want to make the demilitarized zone into a world peace park" in the speech delivered to the House and Senate of the United States in 2013. In this regar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f Korea are suggesting various policies to create a DMZ world peace park.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ot only the DMZ world peace park to protect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zone as a symbol of the world peace but also the policy plan to contribute to the local economy from the space design perspective. (Metho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problems, conditions and applications through the DMZ related studies was considered carefully. And temporal, spatial and design alternatives are suggested taking in conside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the peaceful use of the DMZ and categorizing them into Neo and ecotourism.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solutions by stages; 1st stage: The selection of the most suitable palace by categories and securing the related infrastructures, 2nd stage: The creation of the peace park under the control of the United Nations, 3rd stage: The suggestion of the connection and integration of space and facilities between 2 Koreas(South & North) which means the creation of the DMZ peace belt that governs South and North as a policy plan in the space design.

      • KCI등재

        DMZ 평화적 이용의 세계화 전략: 세계평화공원화・ 국제관광자원화를 중심으로

        김정훈,김지동 한국동북아학회 2014 한국동북아논총 Vol.19 No.1

        ‘Peaceful use of DMZ’ has been discussed for over 40 years, but it has not been realized. It is found that most of limiting factors for ‘peaceful use of DMZ’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re caused by North Korea such as conflict between North and South, negative effect on military first politics in North Korea, facilitation of opening of society in North Korea, absence of business for economic interests within DMZ.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globalization strategy of ‘peaceful use of DMZ’ in order to get over these limiting factors. Globalization of DMZ which US and China are participating will become the way to mitigate the conflicts between South and North through mediating role as well as encourage North Korea to become the member of international society. Creation of ‘DMZ international peace park’ revealed by President Park, Geun Hye, president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seeking the globalization strategy in DMZ. However, if ‘DMZ international peace park’ is promoted as a single project, it is difficult to induce the cooperation of North Korea. Thus, it is desirable to be in connection with ‘international tourism business’ that may encourage North Korea to participate. In addition, the military guarantee measures should be required. As the part of it, deployment of UN military force is required to manage and control DMZ and operational arms control should be promoted such as operation of military Limited Deployment Zone (LDZ) and setting limited deployment line for long range artillery power. Globalization strategy of peaceful use of DMZ will greatly contribute to establish stability and unification basis as well as promote the peace in Northeast Asia. ‘DMZ 평화적 이용’은 지금까지 40여 년 이상 논의되어 왔지만 실현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남북 간 ‘DMZ 평화적 이용’의 한계요인은 남북대립과 갈등, 북한의 선군정치에 대한 부정적 영향, 북한사회의 개방 촉진, DMZ 내 경제이익 사업 부재 등 대부분 북한체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한계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DMZ 평화적 이용’의 세계화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미중이 참여하는 DMZ 세계화는 중재역할을 통해 남북 간 갈등을 완화시킴은 물론 북한을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길이 될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밝힌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은 DMZ에서 세계화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그러나 ‘DMZ 세계평화공원’을 단일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북한의 협력을 유도하기 어려울 것인 바, 북한에게 경제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국제관광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MZ 세계평화공원’은 세계화 차원에서 국제회의 장소인 국제평화관 건립과 유엔기구를 유치, 그리고 남북화해와 협력을 위한 만남의 광장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제관광사업’은 북한의 이익만을 고려한 금강산 단일지역보다는 남북한이 공동이익 추구가 가능한 남북한 접경지역을 왕래하는 관광거점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군사적 보장조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 일환으로 DMZ 관리 및 통제를 위한 유엔군의 파견이 요구되며, 군사력 배치제한지대(LDZ) 운용 및 장사정포 배치제한선 설정 등 운용적 군비통제가 추진되어야 한다. 이러한 DMZ 평화적 이용의 세계화 전략은 한반도 안정과 통일기반 구축은 물론 동북아의 평화를 촉진시키는 데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평화의 존재론적 의미와 구축 전략: 한반도 "DMZ평화" 구상을 중심으로

        장영권 ( Young Kwon Ja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5 통일과 평화 Vol.7 No.1

        평화가 중간에 파기되지 않고 지속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를 위해서는 ‘평화의 존재적 의미’에 따라 접근할 필요가 있다. 평화의 존재론적 의미란 평화가 실질적으로 존재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조건이나 상태가 충족된 것을 의미한다. 평화는 존재론적으로 생태평화, 경제평화, 문화평화, 정군평화 등 네 가지의 조건으로 이루어졌다. DMZ는 한반도 평화를 여는 문이다. 이 문을 열기 위해서는 평화의 존재론적 의미에 따라 평화를 회복, 유지,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한반도 평화가 중간에 파기되지 않고 지속되기 위해서는 평화의 존재론적 조건인 생태평화, 경제평화, 문화평화, 정군평화 등 영역별로 구분하여 평화복합체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한은 그동안 한반도 DMZ 평화를 위해서 북한에 다양한 평화구상을 제안해 왔다. 그러나 북한은 이를 거부해 왔다. 남북한 간에는 현재 개성공단 사업만 명맥이 유지될 뿐 다른 사업은 전면 중단됐다. 최근의 남북한 관계로 보아 조만간에 관계가 개선, 회복될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가운데 박근혜정부가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제안하고, 이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성공 여부는 미지수다. ‘평화를 원하거든 평화를 준비하라’ 박근혜 정부가 DMZ 세계평화공원을 성공적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평화의 존재론적 의미에 따라 평화복합체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 즉 평화협력이 가장 용이하고 남북한이 절실히 필요한 생태평화에서부터 시작해서 경제평화, 문화평화, 정군평화를 단계적, 선순환적으로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How should we sustain peace, and prevent it from being destroyed on the midwa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on peace in the way of ``the ontological meaning of peace.`` The ontological meaning of peace is sustainable conditions or states of peace, satisfied to guarantee the practical existence of peace. Ontologically, peace consists of four conditions: ecological peace, economic peace, cultural peace, and political-military peace. DMZ could be a gate opening th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o open this gate, it is needed to recover, maintain, and establish the peace in accordance with the ontological meaning of peace. In particular, to make th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sustainable and to prevent it being destroyed on the midway, it is desirable to pursue ``the peace complexes`` consisting of four categories of the ontological conditions of peace: ecological peace, economic peace, cultural peace, and political-military peace. To this day, South Korea has proposed diverse peace initiatives to North Korea in order for DMZ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North has resisted them. Meanwhile, between the two Koreas only Gaes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is barely surviving, but other projects were all shut down. Given the rec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it is hard to expect that the relationship would be improved and recovered in the near future. In this circumstance, Park Geun-Hye government has made a proposal of creating DMZ World Peace Park for th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ried to make it realized. However, the realization of this project is yet to be known. ``If you want peace, prepare for peace.`` To realize the success of DMZ World Peace Park, Park Geun-Hye government is required to come up with a strategy of ``peace complex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ntological meaning of peac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start with ecological peace, which is the most urgent and easiest way for peac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n build economic peace, cultural peace, and political-military peace in a stepwise way and a virtuous circle.

      • KCI등재

        DMZ세계평화공원 조성방안에 대한 연구

        이세영 ( Lee Se Young ) 미래군사학회 2023 한국군사학논총 Vol.12 No.1

        한반도는 전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으로 남한과 북한이 분단된 상태에서 끊임없는 갈등과 대립상태를 보여 오고 있다. 이는 단순히 남한과 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라 동북아와 세계 안보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리고 2022년 4월 24일에 시작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켜보면서 분단 상태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할 경우에 언제라도 한반도에서도 전쟁과 같은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교훈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한반도의 안보불안 상태를 해소하고 항구적인 평화구축을 위한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안의 하나로 DMZ일대에 세계평화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 방안은 박근혜 정부 당시 한반도평화프로세스 구현차원에서 북한의 비협조로 진행되지 못한 사례가 있다. 박근혜 정부는 DMZ내에 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방안은 현실적으로 북한의 협조가 없으면 실현되기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DMZ내와 DMZ일대의 남쪽지역에 평화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동시에 고려하여 제시하는 논문이다. 공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국민들의 인식이 중요한 점을 고려하여 공원조성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공원조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이 향후 DMZ일대에 세계적인 평화공원조성을 통한 한반도와 세계평화 구축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Korean Peninsula is the only divided country in the world, and has been in constant conflict and confrontation wi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ivided. This is not just a matter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ut has a profound impact on Northeast Asia and global security. Watching the Russia-Ukraine War, which began on April 24, 2022, I learned a lesson that if the division was not properly managed, I could be in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a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t any time. Considering these points, it is necessary to devise measures to resolve the security in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stablish a permanent peace. As one of these measures, it is possible to consider creating a world peace park in the DMZ area. There is a case in which this plan could not be carried out due to North Korea's non-cooperation in implementing the peace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ark Geun Hye government. The Park Geun Hye government proposed creating a park in the DMZ. However, the plan had a problem that could not be realized without North Korea's cooperation. Therefore, this paper is a paper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and presents a plan to create a peace park in the DMZ and the southern area of the DMZ. In order to create a park, the will of the government is important, but above all, considering that the public's perception is important, I would like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public's perception survey on park construction and present a plan to create a park based on this. I hope that this paper will help buil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world through the creation of a global peace park around the DMZ in the future

      • KCI등재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법적 기초

        이효원 ( Hyo Won Lee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대학교 法學 Vol.55 No.1

        남북한이 분단된 이후 비무장지대(DMZ)는 국제적 냉전과 남북관계의 군사적 긴장과 갈등을 상징하여 왔다. DMZ에 세계평화공원을 조성하는 것은 평화통일을 지향하는 우리 헌법에도 부합하며, 군사정전협정의 규범력을 제고시켜 국제사회의 협조를 강화하는 한편, 통일한국의 환경·문화적 가치를 실현하는 수단이 된다. DMZ에 대하여는 국제법으로서 군사정전협정이 적용되어 군사정전위원회가 관할권을 가지며, 국내법으로는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이 군사적 목적을 위해 적용되고 있다. 남북한 사이에는 교류협력사업을 위해서 부분적으로 남북합의서가 체결되어 있다. 그러나 DMZ에 세계평화공원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법제도적 장애를 제거하고, 생태적 보존과 평화적 이용을 위한 법제도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세계평화공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DMZ의 사업부지에 관한 관할권 또는 관리권을 확보해야 한다. 사업부지에 대한 토지소유권을 확정하고 이를 국유화하는 것도 필요하며, 지뢰 등 군사시설도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제거해야 한다. 또한 세계평화공원에 대한 남북합의서를 체결하고 그 법적 구속력을 확보해야 한다. 세계평화공원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그 법적 근거와 지원을 마련하는 특별법도 제정해야 할 것이다. The Demilitarized Zone in Korean Peninsular (DMZ) has been the symbol of military tension and conflict in the world and two Koreas. It could correspond with constitutional principle in pursuit of peaceful unification to make World Peace Park in DMZ. This can enforce international co operations and realize environmental and cultural virtues of unified Korea. According to international law, the Military Armistice Agreement on Korean Peninsular applies to DMZ and the committee for Military Armistice has jurisdiction over DMZ. The southern area of Military Demarcation Line is regulated by the Protection Law for Military Bases and Installations. Furthermore, some agreements are concluded for trades and co oper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Nevertheless, in order to construct sustainable and effective World Peace Park in DMZ, it is required to get rid of legal obstacles and establish legal infrastructure for ecological preservation and peaceful use of World Peace Park in DMZ. At first, we have to get legal jurisdiction or superintendence on the site of DMZ for the World Peace Park. The ownership for the site of DMZ has to be secured by the government for the World Peace Park. The military installations including mines should be removed for security in on environment-friendly way. In addition, South and North Korea have to conclude some agreements for World Peace Park in DMZ and have these agreements get to be effective. Lastly, the special law should be prepared for positive support for World Peace Park in DMZ.

      • 역대정부의 DMZ 평화적 이용정책의 전개와 향후과제

        김강녕 ( Kim Kang-nyeong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20 접경지역통일연구 Vol.4 No.2

        과거정부의 DMZ 정책은 경색된 남북관계와 DMZ 일대에서의 군사적 긴장 속에서 선언적 수준에서 끝났다. 하지만 DMZ 평화적 이용에 대한 역대정부의 노력이 멈추지 않은 결과, 현 문재인정부에 이르기까지 발전적으로 계승되어 온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의‘DMZ 국제평화지대’구상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동력화의 일환으로 2019년 유엔총회연설을 통해 제기되고 2020년 신년사를 통해 재차 강조되어 모색·추진되고 있다.‘ DMZ 국제평화지대’구축을 위해서는 투트랙 접근(① 국제적 평화생태문화지대, ② 판문점-개성 평화경제협력지대)이 요구되며, 향후과제로는 ① DMZ 국제평화지대화 구상 구체화 및 이행, ② DMZ 국제평화지대화 추진기반 조성 및 강화, ③ DMZ의 평화적 이용관련 국민체감효과 제고, ④ 북한 호응 및 국제사회협력 유도를 위한 과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동안 역대정부가 추진해 온 DMZ 평화적 이용정책을 취장보단(取長補短)하여 DMZ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을 지속적으로 구현해 나가야 할 것이다. DMZ policy of the past government ended at a declarative level due to the strained conflic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ith military tensions around the DMZ. But the previous governments’ efforts to use the DMZ peacefully did not stop. As a result, it has been passed on to the current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 initiative of president Moon Jae-in’s “DMZ International Peace Zone” was raised through 2019 UN General Assembly speech as part of the dynamics of the peace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having been promoted since being emphasized again through the New Year’s Day in 2020. A two-track approach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DMZ International Peace Zone: ① International Peace Ecology and Culture Zone, ② Panmunjom- Kaesong Peace and Economic Cooperation Zone. Their future tasks include ① the real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DMZ’s plan to become an international peace zone, ② the creation and strengthening of the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the DMZ’s international peace zone, ③ enhancing the public’s sense of peaceful use of the DMZ, and ④ inducing North Korea’s respons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We should all do our best to ensure that the DMZ international peace zone initiative can be continuously and steadily implemented by taking advantage of the DMZ peaceful use policy that has been pursued by the previous governments, by supplementing its shortcomings.

      • KCI등재후보

        박근혜 정부의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정책의 함의

        정시구 ( Si Gu Jeong ) 대한정치학회 2015 大韓政治學會報 Vol.23 No.3

        본 연구는 박근혜 정부의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정책의 함의를 모색하였다는 점 에 의의가 있다. DMZ 세계평화공원은 접경보호지역에서 평화와 협력을 촉진하기 위 한 평화적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초의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 (2013.5.8)에서부터 남북한의 평화를 위해 남북한과 UN이 함께하여 DMZ 세계평화 공원의 건설을 주장하였다. 남북한 문제의 긴장완화를 위해서는 남북한이 공동으로 하는 사업이 증가해야 하며 세계가 지원할 수 있는 것이 신뢰구축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위기 조성으로 박근혜 정 부에서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북한을 대화의 장으 로 끌어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의 대북정책은 정권에 따라 많은 변화를 가져왔 는데 전략적으로 일관된 정책이 필요하다. 첫째, 북한에 대한 경제지원 사업에 의한 설득, 둘째, ‘UN 제5사무국’과 같은 국제기구 유치에 의한 선진국의 개발참여, 셋째, DMZ지역의 3단계 구분에 의한 생태계 보존이다. 마지막으로 DMZ 관련 사업을 종 합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대통령 혹은 국무총리 직속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현재 DMZ 세계평화공원 유치 경쟁에 나서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경기도에서의 파주와 고양이, 강원도에서의 철원, 연천, 고성 등이 있다. 상호 장단점을 잘 고려하여 남북한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함으로써 국제적 관심을 얻을 수 있도록 해야 될것이다. 이제는 남북한은 이념적 대립에서 벗어나야 한다. 통일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만들기 위해서는 신뢰구축에 바탕을 두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DMZ world peace park in Park Geun-hye government. DMZ Peace Park can be described as peaceful means to promote the peace and cooperation in border protect areas. President Park Geun-hye have revealed to establish DMZ world peace park with the United Nations at the Nuclear Security Summit and Dresden Declaration(28. 3. 2014), and the United States House and Senate Joint(8. 5. 2013). In order to reduce the tension in the South and North Korea,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jointed business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and to build the confidence that UN can supports. Such as atmosphere, To succeed DMZ Peace Park of Park Geun-hye government will have to first pull North Korea as a chapter of the dialogue. Until now, South Korea``s policy for North Korea have been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South Korea``s regime, but now is needed strategically a consistent policy. First, it persuaded by the economic support program for the North Korea, Second, The development participation of the advanced countries by attract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5th UN office, Third, The ecosystem preservation is due to the three-step classification of DMZ area. Finally, the control tower of the President or the Prime Minister is needed to control generally the DMZ-related business. Currently Gyeonggi Province``s Paju, Gangwon Province``s Cheolwon, Yeonchun, and Goseong are scrambling to attract DMZ World Peace Park. Recently, Gyeonggi Province``s Goyang also has announce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By taking into account the mutu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South and North Korea will be able to choose the most efficient way to get international attention. Now the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moveaway from a ideological confrontation. In order to create a plan that could be unified, we will be based on a confidence buil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