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창의적 성격 특성과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행동 특성의 관계: 가족기능성과 온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장성희 ( Sung Hee Jang ),손상희 ( Sang Hee Son ),손희정 ( Hee Jung S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창의적 성격 특성, 가족기능성, 온정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창의적 행동 특성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이러한 내·외적 요인들이 어떠한 구조적 관계에 있는가를 알아보고, 그 변인들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창의적 행동 특성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경북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세∼5세 유아-부모 231조(남아 129명, 여아 102명)로 693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창의적 성격 특성 검사, 가족기능성 검사, 온정적 양육태도 검사, 그리고 유아의 창의적 사고 검사(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TCT)와 유아용 창의적 행동 특성 검사를 실시하고, SPSS 20.0 프로그램과 AMO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부모의 창의적 성격 특성, 가족기능성, 온정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창의적 행동 특성 간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쪽모두의 경우 부모의 창의적 성격 특성의 수준에 따라 유아의 창의적 사고가 더 큰 영향을 받으며, 가족기능성의 만족도에 따라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 creative personality, the family function, warmth of patently behavior affecting the infant``s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behavior, and the possible correlations among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se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1 pairs of parents and their young children(129 boys and 102 girls) between the ages of three to five years and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Daegu and Gyungpook Province. Parent Creative Personality Scale, Family Function Scale, Warmth Parenting Behavior Scale, Creative Thinking and Infant Creative Behavior Scale, and several statistical procedures were administered to 231 young children.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using the SPSS PC 20.0 and AMOS 20.0 program.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Parent``s creative personality, family function and warmth of parenting behavior had a positive correlations with creative thinking and behavior of their children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nner. Seco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llustrated that parent``s creative personality, family function, and warmth of parenting behavior had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the you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behavior. More specifically, creative personality of parent and warmth of parenting behavior had direct effects on the creative thinking of infants in both groups. However, the creative personality of a paren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creative behavior on the young children in both groups, whether the subject was a mother or a father. Third, for both parent groups, family function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infant creative behavior.

      • KCI등재

        상사의 코칭이 부하직원들의 창의적 행동 제고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직무만족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정식 한국기업경영학회 2022 기업경영연구 Vol.29 No.1

        As it has been proven that coaching within an organiz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in various dimensions, the need for more extensive research is being raised, but empirical studies on coaching are relatively lacking.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which organizations are demanding more creative behavior due to the recent transition to the 4th revolution era, it is judged that it is very timely to study the effect of coaching on creative behavior.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various studies on coaching within the organization that have been previously studied, if we explore the mechanism by which coaching of the superior affects the creative behavior of subordinates,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influence of coaching on creative behavior.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coaching to be conducted more effectively by identifying the paths leading to successful creative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focused on factors such as self-efficacy,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s a path through which coaching can influence creative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coaching within the organization on the creative behavior of employees, and to explore specific mechanisms from coaching to creative behavior.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clearly show whether coaching within an organization can be extended to creative behavior as an area that can have an impact,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areas t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so that coaching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In this study, the mechanism of supervisor's coaching on employees' creative behavior was explored and empirically investigated. To this end,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is, research hypotheses and models were present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data obtained through a questionnaire conducted on employees in the company was used,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coaching by the super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employees, and in tur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increased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improve creative behavior.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coaching affects creative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coaching by the boss direct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eative behavior of the members. These research results empirically demonstrated that coaching by superiors not only positively affects members' self-efficacy,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but also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members' creative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corporate management can be present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aching of the superior is not only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task performance, but a useful interven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various aspects of subordinate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uggests that boss coaching can be actively used to induce creative behavior and can be an important tool that can be usefully used to improve self-efficacy and resilience. Next, it shows that coaching in the workplace can be an important factor worthy of being professional. There is still a lack of understanding of coaching in the business field, and there is a tendency to think that coaching is something that can be done naturally without much effort. Considering that it is an important means and can be a means that can als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education program and utilize an operating system to enable systematic coaching of managers in the workplace. It is also judged that it is desirable to ...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코칭이 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메커니즘을 탐색하고 구체적인 경로를 규명해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된 문헌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가설과 모형을 제시하였다. 실증분석은 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된 설문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상사의 코칭은 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제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순차적으로 자기효능 감과 회복탄력성은 직무만족을 높여줬으며, 직무만족은 창의적 행동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코칭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그리고 직무만족을 거쳐서 간접적으로 유의하게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사의 코칭은 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에 직접적으로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상사의 코칭은 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이 창의적 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 KCI등재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위의 관계에서 창의적 조직풍토의 매개효과

        박선형,임성범,이승연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For this, research question is established as follows. How structural relations are going on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Through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here are some findings whether schools' creative environment factors do mediating role in making relationship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 climate. This study indicates the result as follows. First,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to construct schools' creative environment of the organization. So,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 climate can be well constructed based on the level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cond,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has a positive effect of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is rated higher when there are many organizational climate factors promoting creativity, in other words, less hindering factor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is fully mediated by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This means that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having great impact to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with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Therefore, this study addresses that, for revitalizing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the role of principal which can make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more appropriate to revitalize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has to be handled more importantly tha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tself. 제4차 산업혁명시대 도래로 대변되는 급변하는 상황과 환경적 불확실성에 직면하여 세계 각국은 무엇보다도 창의적 우수 인재양성을 위한 혁신적인 교육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선행조건으로서 교사의 창의적 교수역량 제고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즉, 교사는 학교 조직운영의 성공과 교육과정 실행의 완결성 제고에 있어서 실질적인 주체적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변혁적 리더십을 고려하고, 매개변인으로 창의적 조직풍토를 설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위를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조직 내 요인으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교의 창의적 조직풍토에 관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효과를 가진다. 특히, 조직 환경적 요인으로서 학교의 창의적 조직풍토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위 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서울 및 수도권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교사 440명에게 설문을 배포하여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창의적 조직풍토가 매개변수로 개입된 상태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교수행위의 직접적 관계는 성립되지 않았으며, 창의적 조직풍토는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교수행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국 후난성 예술디자인학과 대학생의 자아상태와 창의적 행동 간의 내적⋅외적 동기의 매개효과

        장효홍,고영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rt design in Hunan Province of China, how personality traits and ‘internal and external motive’ influencing creative behavior relate to creative behavior is explored. And I would like to explore whether internal and external motive serve as partial or complete parameters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creative behavior, or do not act as paramet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rt design in Hunan Province, and SPSS 25 program is used to perform reliabilit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of personality traits, internal and external motives, and creative behavior. That is, in the regression analysis,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internal or external motives(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average value of CP and FC, self-state* (independent variable), is performed.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creative behavior according to self-state* is perform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creative behavior according to self-state* and internal or external motivation is performed. Result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ersonality traits of ‘critical parent(CP)’ and ‘free child(FC)’ show 25% explanatory power for internal motivation, 16% explanatory power for external motivation, and 43% explanatory power for creative behavior. The personality traits of CP and FC and internal motivation show 31% explanatory power for creative behavior. The personality traits of CP and FC and external motivation show 29% explanatory power for creative behavior. It is confirmed that each internal and external motive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the personality traits of FC and CP on creative behavior. Conclusions In order to cultivate the creativ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n Hunan Province's art design department and to develop each student's competitiveness and art design departmen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of school and society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create creative values in free discussion and freedom. It is necessary to stir up internal motivation that values pleasure and challenge rather than inducing external motivation that focuses on rewards. 목적 본 연구는 중국 후난성 예술디자인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주는 자아상태와 내적⋅외적 동기가 창의적행동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가 자아상태와 창의적 행동 사이에서 부분 혹은 완전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지, 아니면 매개변수로 작용하지 않는 것인지에 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은 후난성 예술디자인학과 대학생들이며,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아상태, 내적⋅외적 동기, 창의적인 행동의 신뢰도, 상관관계, 회귀의 분석 등을 하였다. 즉 회귀분석에서는 ‘비판적 부모의 자아상태(critical parent: CP)와 자유로운 어린이의 자아상태(free child: FC)의 평균값’인 자아상태*(독립변수)에 따른 내적⋅외적 동기(종속변수)의 단순회귀분석을 하였고, 자아상태*에 따른 창의적 행동의 단순회귀분석을 하였고, 자아상태*와 내적⋅외적 동기에 따른 창의적 행동의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이 연구결과에서, 자아상태의 ‘CP와 FC’는 내적 동기에 대한 설명력이 25% 정도, 외적 동기에 대한 설명력이 16% 정도, 창의적 행동에 대한 설명력이 43% 정도로 나타났다. ‘CP와 FC’의 자아상태와 내적 동기는 창의적 행동에 대한 설명력이 31% 정도였고, ‘CP와 FC’의 자아상태와 외적 동기는 창의적 행동에 대한 설명력이 29% 정도였다. 각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는 ‘FC와 CP의 자아상태’가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결론 후난성 예술디자인학과 대학생의 창의적 행동을 증진하고 각 학생의 경쟁력과 예술디자인학과의 발전을 위해서는 대학생들로하여금 자유로운 토론과 자유로움 속에서 창의적인 가치의 창출이 될 수 있도록 학교와 사회의 환경을 조성해 가야 할 것이다. 또한창의적 행동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보상을 위주로 하는 외적 동기의 유발보다는 즐김과 도전을 중시하는 내적 동기의 유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관리자의 코칭행동이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피드백 추구행동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민철,오상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3

        Recent research on coaching behavior was mainly limited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improve performance, such as organizational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nd the research that demonstrated the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e behavior and various parameters as a result of coaching behavior was limited. In this study, we tri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effect of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on the creative behavior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feedback-seeking behavior.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the coaching behavior of managers supporting and promoting the leading problem-solving skills and capacity improvement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s enhanced by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feedback-seeking behavior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hat the creative behavior that contributes to the innov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based on this positive self-efficacy and cognitive flexibility, was derived through related theories and prior studie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35 employees of domestic compan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 hypothesis test utilized the SPSS Process Macro 3.0 using the bootstrap method. Studies show that, firstly, the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reative behavior,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feedback-seeking behavior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Second, in the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of creative behavior,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feedback-seeking behavior were found to serve as partial and multiple mediating effects. These findings suggest from a consulting perspective that companies need to focus on improving the coaching behavior of managers to promote the creative behavior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hat lead to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to provide practical opportunities to improve and build relevant organizational culture because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nd the pursui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feedback have a positive impact on creative behavior. 최근 코칭행동에 관한 연구는 주로 조직몰입과 조직 만족 등의 성과향상을 위한 조직 유효성에 한정되었고, 코칭행동의 결과 변인으로 개인의 창의적 행동과 다양한 매개 변인과의 효과를 실증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리자의 코칭행동이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주도적 문제해결 능력과 역량향상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관리자의 코칭행동이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피드백 추구행동을 강화하고 이러한 긍정적 자아 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을 기반으로 조직의 혁신과 효과성에 기여하는 창의적 행동을 향상한다는 가설을 관련 이론들과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 직장인 3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가설검증은 부트스트랩 방식을 활용한 SPSS Process Macro 3.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관리자의 코칭행동은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행동, 심리적 임파워먼트, 피드백 추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리자의 코칭행동과 창의적 행동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피드백 추구행동은 부분매개와 다중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은 조직혁신을 이끄는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관리자의 코칭행동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실행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와 지원이 필요하며,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피드백 추구행동이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향상하기 위한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하고 관련 조직문화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컨설팅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IT분야 관리자의 코칭행동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L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현주,오상진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2019 No.특집호

        최근 급격한 기술변화로 예측이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 기업의 생존과 경쟁우위를 위해서는 혁신이필수적인 바, 그 주체가 되는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있다. 이를 위해 조직 내에서 개별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혁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업무를 혁신적으로수행할 수 있게 동기부여 시키는 리더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서 본 연구는관리자의 코칭행동과 구성원의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심리적 기제로 작용하는 창의적 자기효능감의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관리자의 코칭행동과 창의적 자기효능감 간의 LMX 조절효과를 밝히고자하였다.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 및 수도권의 IT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387부를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SPSS 25.0, AMOS 25.0으로 인과관계를 검증하였고, SPSSProcess Macro 3.0(Hayes, 2012)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자의 코칭행동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관리자의 코칭행동과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의 관계를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LMX는 관리자의 코칭행동과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는 관리자의 코칭행동이 IT분야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고,직ㆍ간접적 영향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시대적 요구와 필요성 차원에서 관리자의 코칭행동 효과에 대한 연구영역을 확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최근 4차산업혁명시대의 도래로 인해 경쟁우위와 생존을 위한 기업의 혁신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상황에서 조직 내 관리자의 코칭행동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소를 동시에촉진함으로써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의미가 있다. Innovation is essential for survival and competitive advantage in a business environmentwhere forecasts are uncertain due to rapid technological change in recent years. In order for innovationto be successful,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promote the innovative behaviorsof subjective organizational members. The role of leaders in motivating and facilitating the innovationof individual employees in their organiz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they recognize thenecessity of innovation in their own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direct effects of manager's coaching behaviors on innovative behaviors of the employees, to identifythe mediating effects of creative self-efficacy, which is psychologic mechanism, and to investigatethe moderating effects of leader member exchange(LMX)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scoaching behavior and creative self-efficacy.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we surveyed the IT workers in Seoul and capitalarea and used 387 copies for final analysis.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SPSS 25.0 was used.AMOS 25.0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were verified using SPSS Process Macro 3.0(Hayes, 2012).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have a positive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and creative self-efficacy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ond,the creative self-efficacy of organizational member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Third, it was confirmed that creative self-efficacy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managerial coaching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Fourth, LMX was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and creative self-efficacyof organizational members.This study extends the research area, which have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so far, onthe effects of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of the manager by examining the direct influence onthe innovative behavior of IT organizational employee.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newpath model by identifying the possible parameters and the control variables, and analyzed theinfluencing effects between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and organizational member’s innovativebehavior by confirming the interaction of manager and the member.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recently appeared, in the situation where enterpriseinnovation is urgently required for competitive advantage and survival, this study practically providesan effective way to maximize the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by acceleratingthe manager’s coaching behavior and the members’ creative self-efficacy simultaneously.

      • KCI등재

        조직의 창업지향성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행동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역할

        이상준,이종건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creative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reative behavior.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reative behavior. In this study, after distributing 500 questionnaires to executives and employees working at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Seoul and Gyeonggi-do, 25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excluding 38 unfaithful or missing respons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reative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ird, knowledge sharing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reative behavior. Fourth, knowledge sharing behavior was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reative behavior. Finally, it was found that LMX strengthened the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reative behavior.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makes a theoretical contribution in that it revealed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shar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reative behavior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corporate members. Next,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revealed that LMX strengthens the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reative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nies need to find ways to strengthen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Next, companies ne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MX between bosses and subordinat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research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는 조직의 창업지향성이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지향성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지식공유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창업지향성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임직원을 대상으로 500부의 설문지를 작성지시문과 함께 배포 후 무기명으로 297부를 수집하여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38부를 제외한 259부의 설문지를 가설검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의 창업지향성은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지향성은 지식공유행동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공유행동은 창의적 행동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식공유행동은 창업지향성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창업지향성과 창의적 행동 간의 정(+)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창업지향성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지식공유행동의 매개효과를 기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통해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를 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창업지향성과 창의적 행동 간의 정(+)의 관계를 강화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 한편으로,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업들은 조직의 창업지향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기업들은 상사와 부하간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성격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정언(Jung Eon Kwo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4 역량개발학습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개인의 창의성 발현 과정에 상사의 리더십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기업의 창의적 역량 개발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시작되었다. 창의적 산출물과 성과에 치중되어왔던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창의성 발현 과정에 집중하였다. 즉, 조직구성원이 창의적 행동으로 표출할 수 있는 잠재적 창의성으로 창의적 성격을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 발현 과정에 상사의 리더십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C사의 방송채널 및 방송콘텐츠 업무에 종사하는 217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의 생태적 특성인 창의적 성격이 창의적 행동의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력은 상사의 리더십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창의적 성격이 창의적 행동으로 전환되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였고, 거래적 리더십은 이러한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력을 조절함을 밝혔다. 조직구성원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개인 및 집단 수준의 메커니즘에 접근한 본 연구결과는 조직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을 선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상사의 창의력 제고 활동에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Creativity has emerged as a critical business issue as economic turbulence increasing. Facilitating employees` creativity becomes an inevitable role of HRD in any firm interested in achieving and sustaining a competitive advantag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reative personalit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in a sample of 217 employees from 52 workgroups. Creative personality that would be creative potential capability to predict creative behaviors of employee. So our results also indicated that creative personality positively influenced creative behavior. Moreov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behavior. We also found the 2-way interaction for creative behavior between creative personalit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significantly dependent upon the degree of transactional leadership. In detail, creative personality has the strongest relationship with creative behavior when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re both high. However, creative personality has the weakest relationship with creative behavior in the condition of l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high transactional leadership. To increase creative performance in organization according to our findings, it would be worthwhile to augment both a supervisors` leadership that is supportive of creativity and employees with high creative personality.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practice and practice in entertainment company context.

      • 한류문화 전수를 위한 수퍼인텔리전스 기반 확장현실 소프트웨어 플랫폼 설계

        지수미 ( Sumi Ji ),곽정훈 ( Jeonghoon Kwak ),성연식 ( Yunsick S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최근 케이팝 문화의 확산으로 한류라는 브랜드가 구축되고, 이에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관련 콘텐츠 시장의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한류문화 전수를 위한 수퍼인텔리전스 기반의 확장현실(XR)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본 플랫폼을 통하여 한류 문화 체험 및 전수가 가능하다. 세부적으로는 한류 콘텐츠 전수를 위한 확장현실 기반 공간을 바탕으로 딥러닝 기반 영상 생성 및 동작 분석 기술, 자동 음악생성 기술, 한류 문화 데이터 보안 기술을 포함한 통합적인 플랫폼 환경을 설계하여 제안한다. 또한 이 플랫폼의 3차원 동작 분류 및 예측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

        창의적 매장 디스플레이가 창의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소비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하경 ( Lee Ha Kyung ),안서원 ( Ahn Sowon ),추호정 ( Choo Ho J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4

        창의성은 새롭고 독창적이며 적절하고 유용한 산물을 생산하는 능력으로, 소비영역에서 개인의 창의성은 전형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제품을 사용하거나 형태를 바꾸어 사용하는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소비자 자신이 창의적인 방식으로 당면한 소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인 창의적 소비효능감은 소비자의 창의성 발현과 이와 관련된 소비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자극물을 접한 소비자가 기존 용도나 방식과는 다른 창의적인 방법을 통해 문제 해결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매개과정을 거쳐 실제 창의적 소비 행동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한 소비자 특성에 따라 창의적 자극물이 창의적 소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를 것이라고 예상하고 개인의 경험 개방성과 지각된 매장 심미성의 조절 역할을 살펴보았다. 20~40대 여성 112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SPSS 20.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붓스트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붓스트랩 분석 결과, 매장 디스플레이 창의성이 창의적 소비 행동에 직접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매장 디스플레이 창의성이 창의적 소비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창의적 소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장 디스플레이 창의성이 창의적 소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소비자의 경험 개방성과 지각된 매장 심미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장 디스플레이의 창의성이 높지 않더라도 개인이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거나 매장의 심미성을 높게 지각하는 경우, 창의적 소비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창의적 소비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창의적 소비행동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제공하는 창의적 마케팅 자극물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창의성에 기반을 둔 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Consumer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product consumption can offer consumers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product consumption experience and help brands induce new product developments and increases in product sales. However, the research on consumer creativity is scarce. The curr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creative store display on consumers’ creative consumption behavior. Particularly, we expect that this effect will be mediated by creative consumer efficacy, which refers to the belief that one’s ability to create something new and useful is one of the main motivational drivers of individual creativity. The level of consumers’ acceptance or processing style about the visual stimulus, namely, creative store display, could differ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Thus, we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openness-to-experience and perceived store aesthetics. To create the environments with creative store display, we manipulate the two levels of creativity in store display. For the condition of a high level of creativity, creative visual structures (e.g., wall design with optical illusions and unique structure) are added to the store. For the condition of a low level of creativity, creative visual structures are removed by keeping the layout and display of products in the store the same. After viewing one of the two types of store image (high vs. low creativity), participants a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containing a series of questions including creative consumer efficacy, creative consumption behaviors, openness-to-experience, and the perceived store aesthetics. The online survey targets women in their 20s-40s, and the data are collected through online research firms. A total of 112 sampl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bootstrap analysis through the SPSS 20.0 package. The results of bootstrap analysis show that the direct effect of creative store display on creative consumption behaviors is insignificant. However,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creative consumer efficacy, is significant, thereby indicating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e consumer efficacy between creative store display and creative consumption behaviors.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creativity of store display on creative consumption behaviors is moderated by openness-to-experience and the perceived store aesthetics. To see this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detail, we identify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in which con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consumption efficacy is significant (-1SD, mean and +1SD of moderating variables: openness-to-experience, perceived store aesthetics).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if people have high levels of openness-to-experience and perceived store aesthetics,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consumer efficacy between creative store display and creative consumption behaviors is significant even when store display is not creative.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validate that people who have the adequate ability to accept and interpret the creative visual stimuli are likely to have a high level of creative consumer efficacy when they face creative store display. Increased creative consumer efficacy also drives consumers to show creative consumption behaviors. This study focuses on creative consumption behavior as a consequence of consumer creativity. For the future studies, various consequent variables, such as attitudes toward stores, intentions to purchase, and approach behaviors, can be tes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consumer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product consumption. In addition, future studies can broaden the scope of creative stimuli, including other aspects of store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