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시장에서 한국 주요 수출상품의 수출경합도와 불변시장점유율 분석을 통한 경쟁력 연구

        라공우,송진구 한국통상정보학회 2019 통상정보연구 Vol.21 No.4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xport Similarity Index and the Constant Market Share of Japan and Taiwan, which are competing with Korea's top 10 export products to China. First, Korea's market share in China is higher than that of Japan and Taiwan. By item,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S 9013, HS 2902, HS 2710, HS 8529, HS 2901, and HS 8548 items. Second, in terms of export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Korea and Taiwan are nearly zero, the export structure is different. HS 8542's export competition with Taiwan products increased significantly to 0.999 in 2018, indicating that the competition with Taiwanese products has been fierce. Third, Korea, Japan, and Taiwan have seen changes in China's Constant Market Share. HS 8542 product should be prepared for the pursuit of Taiwan, and the constant market share of Japan and Taiwan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competitiveness, cost reduction,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and high value added of export products.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 중국 10대 수출상품과 경쟁관계에 있는 일본과 대만의 수출경합도(Export Similarity Index)와 불변시장점유율(Constant Market Share)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대체적으로 일본과 대만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 보면, HS 9013, HS 2902, HS 2710, HS 8529, HS 2901, HS 8548 품목에서 월등하게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일본, 한국과 대만간의 수출경합도에서는 대체적으로 0에 가까워 수출구 조가 다르다고 판단되지만, 전자집적회로(HS 8542)품목은 대만 제품과의 수출 경합도가 2018년 0.999 로 크게 높아져 대만산 제품과 경쟁이 치열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 일본, 대만의 대 중국 불 변시장점유율 변화를 살펴보면 한국이 아직까지는 10개 품목의 경쟁력 양호한 것으로 보이나 HS 8542 품목은 대만의 추격에 대비해야 하며, 일본과 대만의 불변점유율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경 쟁력 강화, 원가절감, 경영합리화, 수출상품의 고부가가치화 등에 적극 나서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변이할당분석과 불변시장점유율분석을 이용한 전남의 해조류 수출변동의 분석

        김병주,이광배,모수원,박홍균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3

        During the period 2014–2019, Jeonnam’s export growth in seaweed has remained below that of the whole nation. It can be seen that Jeonnam’s growth of seaweed exports has decreased at a greater rate or has increased at a smaller rate compared to the growth rate of the whole nation’s export of seaweed products. Constant Market Share (CMS) analysis is a very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and assessing the changes in the exports of a country. A change in demand for imports is evaluated through the comparison of a constant market share and a changing market share. Standard shift-share analysis relies on three components, which are the national-growth component, the industry-mix component, and the competitive or differential-shift component. The shift-share analysis shows that both the sectoral effect and competitiveness effect are favorable to seaweed export to Japan, while the competitive effect registers unfavorable conditions for export growth for China, Taiwan, Thailand, Singapore, and Vietnam. Both the sectoral effect and the comp effect are negative for Thailand and Singapore. The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bespeaks that for Japan, negative commodity composition effect has a larger influence on Jeonnam seaweed exports than other effects. Jeonnam’s competitiveness which is measured in terms of market share has the most powerful influence on Jeonnam’s export performance to China but Jeonnam then loses its advantage over Taiwan, Singapore, and Vietnam. 이 연구는 전국 해조류 수출에서 1위를 점하고 있으나 최근 수출증가율이 경쟁 지역에 밀리고 있는 전남의 수출구조를 분해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2019년 기준으로 완도군, 목포시, 고흥군, 여수시, 장흥군, 무안군, 진도군, 신안군, 해남군, 강진군에서 주로 수출되는 전남의 해조류 수출이 국내 시장에서의 위상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변이할당분석이, 그리고 전남의 세계 시장에서의 위상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불변시장점유율분석이 투입된다. 김, 미역, 톳, 한천을 이르는 해조류(SITC29297)의 수출은 2014-2019년 연평균 15.2%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여 연평균 1.1% 감소율을 보인 우리나라 총수출과 극명한 대조를 보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해조류에 대한 수요국도 크게 증가하여 일본 시장의 독점적 비중도 크게 축소되는 추세이다. 수출증가와 더불어 일본 이외의 국가로 점차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전남은 해조류 수출은 연평균성장률에서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북, 경기, 충남에 대해 크게 뒤처져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변동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전남의 대일본, 대중국, 대타이완, 대태국, 대싱가포르, 대베트남 해조류 수출은 두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2014년부터 2019년까지의 기간에 대해 분석한다. 변이할당분석을 적용하여 전남의 일본에 대한 해조류 수출에서는 부문효과가 대일 수출변동에 가장 큰 정적 효과를 가짐으로써 대일 해조류 수출이 다른 품목의 대일 수출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다는 것과 전남이 경쟁 지역에 대해 경쟁력에서 우위가 있다는 것을 밝힌다. 불변시장점유율분석은 일본의 수입수요 증가가 약하고 전남의 경쟁력효과가 미약하며, 전남의 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일본의 상품공급구조가 수출에 불리하게 전개된다는 것을 보인다. 전남의 대중국 해조류 수출은 부문효과가 수출변동을 전적으로 설명하며, 경쟁력효과는 국내 다른 지역에 대해 경쟁력을 잃고 있으며, 전남의 대중국 해조류 수출증감은 거의 전적으로 경쟁력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경쟁력이 우위라는 것을 밝힌다. 전남의 대대만 해조류 수출은 부문효과가 가장 큰 증가요인이나 경쟁력효과는 열위로 작용하며, 전남의 해조류 대타이완 수출변동은 타이완의 수입구조 악화와 전남의 경쟁력 약화가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인다. 전남의 대태국 해조류 수출에서 전남의 경쟁력이 국내 경쟁지역에 뒤처진다는 것과 상품구성이 증가로 작용한 것에 큰 영향을 받으나 경쟁력요인은 감소로 작용하며, 대싱가포르 해조류 수출에서 전남의 경쟁력이 국내 경쟁지역에 대해 열위이며, 상품구성요인은 증가효과를 보이나, 수입규모요인과 경쟁력요인은 부적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밝힌다.

      • KCI등재

        우크라이나의 주요 수출국에 대한 경쟁력 분석 - 해바라기씨유를 중심으로 -

        이광배 한국무역통상학회 2022 무역통상학회지 Vol.22 No.6

        The paper focuses on structural analysis of Ukrainian export aiming to assess its competitiveness in the major trading countries. The research follows the CMSA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techniques adopted for analysis of exports of a small economy.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exports of Ukraine will be separated based on two models of constant market share (CMS). The CMS focused on trading country is composed of world's trading country effect (WDN), Ukraine's trading country effect (UAN), and Ukraine's trading country-commodity effect (CAN). The CMS focused on commodity has the world's commodity effect (WDP), Ukraine's commodity competitiveness effect (UAP), and Ukraine's commodity- trading country competitiveness effect(CAP).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etitiveness of Ukrainian sunflower seed oil in the Indian, Dutch and French markets is not only superior to other Ukrainian products, but higher in the Indian, Dutch and French markets than in the global market. However, the competitiveness of Ukrainian sunflower seed oil in the Spanish market is inferior to other Ukrainian products and is lower in the Spanish market than in the global market. This paper shows that the competitiveness of Ukrainian sunflower seed oil in the Chinese market is inferior to other Ukrainian products but is higher in the Chinese market than in the global market.

      • KCI등재

        불변시장점유율모형을 이용한 한국 HS9031 품목의 수출변동 분석

        신순영,이광배,모수원,이철 한국무역연구원 2023 무역연구 Vol.19 No.3

        Purpose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HS 9031 product group from 2016 to 2021 by adopting two constant market share model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utilizes two constant market share models, CMSA and CMSB. CMSA consists of disaggregating export growth into three main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referred to as the national growth component, the product component, and the trading country component. CMSB decomposes the total effect into the scale effect, the competitiveness effect, and the cross effect. All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aken from the UN Comtrade database and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database for four digit HS items. Findings – This study shows that Korea has a competitive edge over Vietnam, the United States, Taiwan, and Mexico in the domestic market, but has a competitive disadvantage in their import markets, while for India, Korea has competitive edge at home, but has a competitive disadvantage in India’s market. Research Implications – The analysis suggests that approaches and policies that focus on import market share rather than a competitive edge in the domestic market are needed.

      • KCI등재

        Analysis of Indonesian Cocoa Product Competitiveness in European Market

        Edi Utomo Putra,조규대(Gue Dae Cho) 한국농업경제학회 2020 農業經濟硏究 Vol.61 No.3

        The European Un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strategic markets for Indonesian cocoa exports. However, a market share of Indonesian cocoa products in this market is far less than production capability. Although the Indonesian government have developed a policy to increase the exports of cocoa related products, it should find out which cocoa products have competitiveness in the European market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cocoa export policy. The main interest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competitive is the cocoa product and its derivative from Indonesia in European market compare to other cocoa-producing countries. We use the trade value of each commodity (cocoa beans, cocoa paste, butter, and powder) from Ivory Coast, Ghana, Ecuador, Nigeria, and Indonesia from 2000 to 2018. Then we compared them using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CMSA), and Export Product Dynamics analysis (EPD). The result showed that from RCA analysis, cocoa products and its derivatives from Indonesia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except for cocoa Beans. However, it is lagging far behind other cocoa-producing countries. Furthermore, Indonesian cocoa products and derivatives continue to experience declining competitiveness in the European market. Using the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we reach a similar conclusion except during the period from 2010 to 2015. Furthermore, the results of calculations using EPD show that in general, cocoa and derivative products originating from Indonesia in the European Market are not able to take the region s market share.

      • KCI등재

        공간전염모형과 수출기반 불변시장점유율모형의 결합을 통한 우리나라 수출변동의 요인별 분해

        박정환(Park, Jeong-Whan)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6

        본 연구는 한국의 품목별 수출변동은 불변시장점유율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국내 특정 지역의 수출변동은 (공간)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불변시장점유율분석을 통해 증가추세를 보이는 HS85(전기기기와 부분품) 수출에 있어서 대중국 수출과 대베트남 수출은 한국의 경쟁력보다 중국과 베트남의 시장 변동에 더 큰 영향을 받으나 대홍콩 수출은 홍콩의 수입시장 변동보다 한국의 경쟁력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인다. HS84(원자로+보일러+기계류 및 부분품) 수출에 대한 불변시장점유율분석에서 세계효과와 경쟁력효과는 대중국 수출에 증가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수입시장보다 경쟁력효과가 수출변동의 주요인이나 대미 수출은 세계효과가 수출변동의 주요 요인이어서 한국의 경쟁력보다 미국 시장의 변동이 대미 수출의 관건이라는 것을 밝힌다. 변이할당분석에서 광주의 대중국 HS85수출은 국가효과, 산업구조효과, 경쟁력효과가 모두 증가로 작용하는 가운데 경쟁력이 수출변동의 주요인이나, 대홍콩 수출과 대베트남 수출에서는 국가효과와 산업구조효과는 증가요인이나 경쟁력효과가 감소요인이며, 경쟁력이 수출변동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인다. HS84의 대중국 수출과 대미국 수출은 감소하며, 국가효과와 산업구조효과가 증가로 작용하나 수출변동의 가장 큰 요인인 경쟁력효과가 감소로 작동한다는 것을 보인다. 공간변이할당분석에서 광주의 HS85와 HS84 수출은 시간이 지날수록 국내 다른 지역에 대에 경쟁력을 잃고 있으며, 특히 HS84 수출은 경쟁지역인 9개 지역 모두에 대해 경쟁력 열위에 있다는 것을 밝힌다. This paper utilizes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and the standard shift-share analysis with a spatial component added in order to consider the regional dependencies. According to the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HS 85 exports to China and Vietnam are more affected by fluctuations in the Chinese and Vietnamese markets, while Korea’s competitiveness has a greater impact on exports to Hong Kong rather than changes in the Hong Kong market. The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also shows that for HS 84 exports the world growth effect and the competitive effect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exports to China, but the competitiveness effect is a principal factor in the export fluctuations compared to the import market. On the other hand, it reveals that for HS 84 exports to the U.S., the world growth effect is the principal component. The shift-share analysis shows that the increase in Gwangju’s HS85 exports to China is due to the national growth effect, industrial mixed effect, and competitiveness effect. HS85 exports to Hong Kong and Vietnam increase due to national growth effect and industrial mixed effect, but decrease due to competitiveness effect, which is the strongest among the three effects. The shift-share analysis reveals that HS84 exports to China and to the United States decline, the national effect and industrial mixed effect increase, but the competitiveness effect, the biggest one in export fluctuations, is the declining factor. In the spatial shift-share analysis, it is also shown that Gwangju’s HS85 exports have weakened its competitive advantage over other regions as time passes.

      • KCI등재

        강원지역 의료, 정밀, 광학기기 상품의 수출변동과 국내 지역 간 경쟁력 분

        박정환 한국무역보험학회 2024 무역금융보험연구 Vol.25 No.2

        의료·정밀·광학기기(HS90)는 강원도 수출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기반산업으로 수출 변동이지역경제에 끼치는 영향이 지대하다. 이에 비해 강원도의 정밀·광학기기 수출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의 의료·정밀·광학기기(HS90)의 수출증대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CMS 모형을 이용하여 수출변동을 요인별로 분해함과 더불어 강원도의 의료·정밀·광학기기의 수출경쟁력을 공간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해 국내 경쟁지역과 비교한다. 불변시장점유율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의 HS90 수출이 전 기간에 걸쳐 감소하며, 코로나19로인한 제한이 완화된 이후에 수출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함을 보인다. 구조적 효과, 시장효과, 상품효과를 통해 수출 성장이 부진한 시장에 집중되고, 글로벌 선호도가 낮다는 것을, 그리고정태적 경쟁력효과는 한국의 점유율 하락이 수출감소의 가장 큰 요인이라는 것을, 동태적 경쟁력효과는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이 하락하고 반대로 더디게 성장하는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이 상승한다는 것을, 순이차효과와 동태적 구조효과를 통해 한국의 수출구조가 세계시장의 흐름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과 상품효과를 통해 HS90에 대한 매력이 낮아 향후 수출전망이 밝지 않다는 것도 밝힌다. 공간변이할당분석을 통해 HS90의매력 저하가 수입수요 감소로 연결되고, 강원도의 경쟁력이 전국에서 10위로 중하위권에 속한다는 것을 보인다. 전반적으로 HS90에 대한 낮은 매력이 쇠퇴하고 있고 한국의 경쟁력과 시장구조가 불리하게 작용하여 수출전망이 밝지 않으며, 국내에서도 강원도의 우위가 명확하지 않음을 밝힌다. Purpose :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angwondo’s HS90 product group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20% of Gangwon-do's export as a regional basic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e constant market share models are employed to decompose export fluctuations by factors and the spatial shift-share model is used to compare Gangwon-do's export competitiveness of medical, precision, and optical devices with domestic competing regions. Results : The structural effect, the market effect, and the commodity effect indicate that export growth is concentrated on sluggish markets and global preference for HS 90 products is low. The static and dynamic competitiveness effect show that Korea's lower market share is the biggest factor in the exports decrese, and Korea's market share falls in fast-growing markets and, conversely, rises in slow-growing markets. Conclusions : Gangwon-do's export structure not only fails adapting to the trends of the global market, but the future export prospects are not bright due to the low attractiveness of HS90 products.

      • KCI등재

        친환경차와 내연기관차의 국가 간 그리고 국내 지역간 수출경쟁력 분석 : 2요인, 3요인, 4요인, 8요인 불변 시장점유율분석과 국제공간변이할당분석

        박정환(Park, Jeongwhan)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21 아태경상저널 Vol.13 No.3

        오늘날의 자동차 산업은 가솔린엔진과 디젤엔진의 효율성을 극적으로 향상시켰고, 엄격해지는 배출가스 규제에 대한 적응을 위한 조치를 다양하게 강구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과 발전에도 환경오염의 주범에서 벗어나지 못해 내연기관차의 종식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고 있으나 여전히 내연기관차가 자동차의 주종을 이룬다는 점에서 친환경차뿐 아니라 내연기관차에 대한 연구를 경시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불변시장점유율모형과 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하여 내연기관차와 친환경차의 수출변동을 요인별로 분해한다. 8개 변수로 구성된 불변시장점유율모형을 승용차에 적용하여 성장효과, 상호작용효과, 특정경쟁력효과, 동태적 구조효과는 수출증가에 기여하며, 일반경쟁력효과가 양의 값을 갖는데 비해 특정경쟁력효과는 음의 값을 가져 전반적인 경쟁력 약화에 따른 수출감소를 특정 시장에서의 수출증가로 보전하고 있음을 보인다. 3개 효과로 구성된 불변시장점유율분석을 실시하여 전반적으로 한국의 경쟁력효과가 규모효과와 교차효과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밝힌다. 한국의 친환경차 수출변동을 8개 효과로 분해하여 규모효과, 상호작용효과, 일반경쟁력효과, 동태적 구조효과, 순이차효과, 시장효과는 수출증가로 작용하나 상품효과와 특정경쟁력효과는 감소요인으로 작용하며, 친환경차의 수입비중이 높은 시장에서 상품구조가 수출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을 보인다. 전반적인 경쟁력 우위에 따라 수출증가가 이루어지나 특정 시장에서는 경쟁력 약화로 수출이 감소한다는 것도 보인다. 변이할당분석을 실시하여 친환경차 수출에서 한국의 수출증가는 경쟁력보다 수출구조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도 밝힌다. The Constant Market Shares (CMS) methodology has been a useful tool for decades, and is often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underlying export performance across countries. Most recently, the CMS has been widely used in the international trade and its inter-disciplinary literature. The model divides the total export growth into eight different parts: growth effect, market effect, commodity effect, structural interaction effect, general competitive effect, specific competitive effect, pure second-order effect and dynamic structural residual. By analyzing the changes of these effects, wee can determine the changes in competitiveness of the export commodities in the target country. This paper shows that for Korea’s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rs the growth effect, the structure interaction effect, the specific competitiveness and the dynamic structural effect are positive, but the market effect, the commodity effect, the comprehensive competitiveness effect and pure second-order effect are negative using the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The decomposition results also show that for Korea’s green cars the scale effect, the structure interaction effect, the pure second-order effect and the market effect are positive, while the commodity effect and the specific competitiveness effect are negative. The observation about shift and share effects is that shift effect is an important source that explains more than 300 percent of the changes in Korea’s car exports to the world market but its competitive position deteriorates against the world for the negative shift effect. The shift-share analysis indicates that for Korea, the US, and France the export growth of green car is more affected by export structure than competitiveness, while for Belgium, Austria and the UK competitiveness is a driving force. The export of green cars from China, Japan, Sweden, Italy and Germany is found to be greatly affected by the global market.

      • KCI등재

        한국 ICT부품산업의 对중국 수출경쟁력과 수출변동요인 분석

        김은영 ( Kim Eun Young ),서창배 ( Seo Chang Bae ) 한중사회과학학회 2022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0 No.1

        ICT부품산업은 산업 간 연관효과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에 필수적이다. 특히 이는 한국 수출의 27% 비중을 차지하는 효자산업으로 국가경쟁력 제고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ICT관련 소재부품산업이 더욱 강조되는 시점에서 한국의 최대 무역시장인 对중국 수출점유율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고는 향후 대응방안 모색에 기여하고자 한국 ICT부품산업의 对중국 수출경쟁력과 수출변동요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ICT부품의 수출비중은 중국시장에서 감소하고 있다. 2014년 12%에서 2019년 11%, 2020년 10%로 하락하였다. 둘째, 중국시장에서 한국 ICT부품은 수출특화이나 10년간 TSI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세부품목으로 표시장치가 유일하게 절대적 수출특화(0.86)로 나타났고 기억장치·주변기기는 2020년 처음 수입특화로 돌아서며 더 이상 중국시장에서 경쟁력이 없다. 셋째, 중국시장에서 한국 ICT부품은 경쟁우위 품목이나 2014년부터 MCA지수가 감소하고 있다. 전자집적회로, 표시장치 등 7개 품목이 경쟁력이 있으며 기타 전자부품은 2019년 열위에서 우위로 전환 후 지수가 상승하고 있다. 넷째, 한국 ICT부품은 중국 수출에 대한 기여도가 크며 CTB지수 역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특히 전자집적회로의 무역수지기여도가 2020년 62.96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표시장치는 지수 값이 감소 추세지만 여전히 높은 기여도를 보인다. 다섯째, CMS 분석 결과 한국 ICT부품은 2009-2014년 중국의 시장확대, 2019-2020년 상품구성변화로 수출이 확대되었다. 2015-2019년은 한국의 对중국 점유율 감소로 인한 경쟁력 하락이 수출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d the export competitiveness and the increasing/decreasing factors of Korea’s ICT parts industry to China’s market. This paper used four analysis models: Trade Specialization Index (TSI),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MCA), Contribution to the Trade Balance (CTB), Constant Market Share (CM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ort share of Korea’s ICT parts has decreased to China’s market. It fell from 12.26% in 2014 to 10.78% in 2019 and 10.06% in 2020. Second, Korea’s ICT parts specialize in exports to China’s market, but the TSI index has decreased over ten years. Third, Korea’s ICT parts are competitive items to China’s market, but the MCA index has fallen since 2014. Fourth, Korea’s ICT part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China’s market exports; the CTB index is also steadily rising. Fifth, as a result of CMS analysis, exports of Korea’s ICT parts have expanded to China’s market demand from 2009 to 2014 and supply structure from 2019 to 2020. However, exports of Korea to China had declined from 2015 to 2019 due to Korea’s competitiveness factors.

      • KCI등재

        불변시장점유율 모델을 활용한 한중 수출경쟁력 비교 -베트남 시장을 중심으로-

        남대엽 한중사회과학학회 2022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0 No.2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petitiveness of Korea and China’s exports to Vietnam. Vietnam, which has a young population of about 100 million, is becoming an emerging economy in ASEAN. In particular, it claimed to be ASEAN’s manufacturing hub and emerged as Korea’s top three export destinations and China’s top five export destinations as of 2020. Accordingly, the export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China surrounding Vietnam is intensifying. This paper analyzed the export structure of Korea and China to Vietnam by processing stage based on BEC product standards and compared export competitiveness using the Constant Market Share Model. As a result, both countries’ exports to Vietnam are concentrated on semi-finished products, parts and accessories, and capital goods. Since the mid-2010s, Korea’s market share has stagnated, while China continues to expand its market sha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Constant Market Share Model), in recent years, Korean product composition factor have had a negative impact on exports, while Chinese factor have a positive impact on exports. In other words, the composition of Korea’s export products is lagging behind the changes in Vietnamese needs. Finally, among the three major products by processing stage, Korea’s semi-finished products competitiveness remains in good condition, while its parts and accessories and capital goods competitiveness is weakening. If this trend continues, Korea’s exports to Vietnam may decrease and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companies in Vietnam may weaken in the long term.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대베트남 수출 경쟁력을 비교 분석했다. 약 1억 명의 젊은 인구를 보유한 베트남은 아세안의 신흥 경제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아세안의 제조 허브를 자처하며 2020년 기준 한국의 3대 수출 대상국, 중국의 5대 수출대상국으로 부상했다. 이에 따라 베트남을 둘러 싼 한국과 중국의 수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BEC 제품 기준에 근거해 가공단계별 한국과 중국의 대베트남 수출 구조를 분석한 후 불변시장점유율 모델을 활용해 수출 경쟁력을 비교했다. 그 결과 양국의 대베트남 수출이 반제품, 부품 및 부분품, 자본재에 집중되어 있으며, 201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의 시장점유율은정체된 반면 중국은 시장점유율을 지속 확대되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들어한국의 상품구성 요인이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중국은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한국의 수출 제품 구성이 베트남 수입 제품의 변화에 뒤처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가공단계별 3대 주요 제품 중 한국의 반제품 경쟁력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부품 및 부분품과 자본재 경쟁력은 약화되고 있다.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한국의 대베트남 수출이 감소하고 베트남 현지의 한국 기업 경쟁력도 장기적으로 약화될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