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류신,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3

        This thesis based on the theory of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with aesthetic theory studies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in the context of biological evolution theory. Currently, most studies on aesthetic still lie on aesthetic perception, aesthetic emotion, and aesthetic form, which interpret the aesthetic response as only subjective consciousness judgment. So this research aims to clarify the cognitiv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and analyze the process of aesthetic, and according to prior research of cognitive neuroscience analyze the neural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Use the principle of evolutionary psychology to study objectivity aesthetic judgment and subjective aesthetic judgment. And make a natural scientific explanation for the aesthetic judgment and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Aesthetic preference is an adaptive mechanism designed b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o solve specific problems. Aesthetic judgment is a crucial capability for human survival and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It develops and evolves on the choice of biological evolution, and the basis of the combined influence of social instinct and group psychology. In this study, the evolutionary and aesthetic theory is used as the basis, and cognitive neuroscience is applied to explain the evolution of aesthetic judgment and the structure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volutionary brain structure on the aesthetic judgment. The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ural structure of perception and cogn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summarizes the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i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as well as the scope and elements of the two aspects. Finally, two aspects of aesthetic difference verification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the two aspects.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e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The final aesthetic judgment can be summarized into two aspects, namely, the aesthetic judgment of vision and the aesthetic judgment of cognition. The research conclusion summarizes the structure of the two aspects of aesthetic judgmen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on the aesthetic judgment can give a reasonable explanation for the aesthetic phenomena prevalent in modern society. Provide theoretical help for the practice of art and design, and provide a new way of thinking for the understanding structure of the aesthetic judgment in aesthetics research.

      • KCI등재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Lyu, Xin(류신),Cho, Taig Youn(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3

        본 논문은 진화심리학과 인지신경과학 이론에 근거해서 진화론에서 미학 원리를 적용하여 시각 층위와 인지 층위의 심미 차이를 탐구하려 한다. 지금까지 대부분 심미 연구는 미의 감성과 정서, 미의 형식 등에 대한 반응이 단순한 주관적인 의식 판단으로 해석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심미 판단의 인지 층위와 미의식 구조를 고찰하고 심미 의식의 발생 과정을 정리하며, 인지신경과학의 선행연구에 따라 심미 판단의 신경 구조를 분석하고 진화심리학 원리를 이용해 객관방면의 심미와 주관방면의 심미를 연구한다. 또한, 시각 층위와 인지 층위의 심미 판단 및 심미 차이에 대해 자연 과학적인 해석을 한다. 심미의 취향은 심리적 메커니즘이 어떠한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한 어댑터, 그리고 인류가 생존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중요 능력이다. 심미의 진화는 생물의 진화적 선택 작용 때문에 이루어지며, 군집 본능과 집단 심리의 공통적인 영향 하에 발전과 진화를 한다. 본 연구는 먼저 진화론과 미학 이론을 기초로 인지신경과학을 적용해 심미 판단의 진화와 심미 의식 구조를 설명하고, 진화하는 두뇌 구조가 심미 판단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을 한다. 다음은 감지와 인지의 신경 구조적 관계, 심미 의식과 경험의 관련성 등을 통해 시각 층위의 심미 판단과 인지 층위의 심미 판단의 구조를 찾고 두 층위의 범위와 요소들에 대해 개괄한다. 마지막에 두 층위의 심미 차이 검증적 실험을 해서 두 층위의 심미 판단 차이를 분석한다. 실험 결과가 시각 층위와 인지 층위의 심미 차이는 존재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심미 판단은 시각 층위의 심미 판단과 인지 층위의 심미 판단 두 단계로 통괄할 수 있다. 연구 결론은 심미 판단의 두 층위에서의 구조적 프레임을 총괄하였다. 본 논문의 심미 판단의 차이에 관한 연구 결과는 현대 사회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심미 현상에 대해 합리적인 해석을 내릴 수 있으며, 예술과 디자인의 실천을 위한 이론적 도움을 제공하며, 미학 연구에 심미 판단의 인식 구조를 위한 새로운 사고의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thesis based on the theory of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with aesthetic theory studies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in the context of biological evolution theory. Currently, most studies on aesthetic still lie on aesthetic perception, aesthetic emotion, and aesthetic form, which interpret the aesthetic response as only subjective consciousness judgment. So this research aims to clarify the cognitiv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and analyze the process of aesthetic, and according to prior research of cognitive neuroscience analyze the neural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Use the principle of evolutionary psychology to study objectivity aesthetic judgment and subjective aesthetic judgment. And make a natural scientific explanation for the aesthetic judgment and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Aesthetic preference is an adaptive mechanism designed b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o solve specific problems. Aesthetic judgment is a crucial capability for human survival and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It develops and evolves on the choice of biological evolution, and the basis of the combined influence of social instinct and group psychology. In this study, the evolutionary and aesthetic theory is used as the basis, and cognitive neuroscience is applied to explain the evolution of aesthetic judgment and the structure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volutionary brain structure on the aesthetic judgment. The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ural structure of perception and cogn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summarizes the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i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as well as the scope and elements of the two aspects. Finally, two aspects of aesthetic difference verification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the two aspects.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e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The final aesthetic judgment can be summarized into two aspects, namely, the aesthetic judgment of vision and the aesthetic judgment of cognition. The research conclusion summarizes the structure of the two aspects of aesthetic judgmen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on the aesthetic judgment can give a reasonable explanation for the aesthetic phenomena prevalent in modern society. Provide theoretical help for the practice of art and design, and provide a new way of thinking for the understanding structure of the aesthetic judgment in aesthetics research.

      • KCI등재

        정서의 인지이론과 기독교적 정서 형성 교육

        주연수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40 No.-

        This article reviews recent study on affect in brain science and cognitive psychology and then explores how to formulate and cultivate the Christian value and belief laden affective system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cognitive neuroscience and Christian education. In 1960s, appraisal theory of emotion which emphasizes influence of cognitive appraisal on emotion has been systematically developed. Moreover, since 1980s, the dramatic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includ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electroencephalography (EEG) has enabled scientists to uncover the fundamental interaction between affect and cognition. Cognitive neuroscience demonstrates that affect and cognition are inextricably interrelated: cognitive faculties such as values, goals, motivation, and interpretation deeply impact the elicitation and the regulation of emotion. The cognitive-appraisal theory of emotion views the cognitive appraisal of objects or events as crucial to determine the type, intensity, and duration of emotional response. Emotions are based on interpretive perceptions, moral norms, and values. Christians have a distinctive value system. A change in value and motivation leads to a different appraisal of an emotion-evoked situation that, once set, tends to play on different sensitivities, and thus on different modes of emotional expression. What we love, what we hate, when we rejoice, and how and what we fear, speak of who we truly are. Robert C. Roberts insists that Christian maturity and virtue should be demonstrated in affective responses such as empathy, gratitude, hope, peace, joy, contrition, and compassion. In certain situations, Christians may feel differently than non-believers because of their faith, beliefs, and values. Christian affective response can be learned and transformed through intentional and conscious edification grounded in Christian belief and value. I argues that fostering an affective disposition based on Christian values and beliefs contributes to growth in faith by connecting cognitive knowledge and practice. Christians need to learn what to fear, when to feel shame, and when to show compassion. The development of persistent Christian values and of persistent readiness to pursue emotional goals based on value is a crucial aspect in Christian formation and education. 본 연구는 최근 뇌 과학과 인지심리학에서 진행되어 온 정서(affect)에 대한 연구들을 고찰하고 기독교적 가치체계를 반영한 정서(affect) 양육의 필요성을 재고하며 이를 위한 기독교적 형성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1960년대 이후 인지적 평가가 정서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관점이 강조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정서의 인지이론이 체계적으로 발전되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술(PET),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fMRI), 뇌전도(EEG)등 의학 기술의 도움으로 정서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현대 인지신경과학은 정서가 주의집중, 의미 만들기, 정보처리과정, 기억이나 의사결정 과정, 그리고 행동조절에 밀접히 연계되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감사(gratitude), 희망(hope), 평화(peace), 기쁨(joy), 뉘우침(contrition), 공감(compassion) 등 정서적 성숙과 실천을 성령의 열매로 여기는 기독교 교육 분야에 중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인간은 천성적으로 의미를 추구하는 유기체로서, 자신의 가치와 목적에 따라 인생의 사건을 해석하고 상황을 평가하며 의미를 부여한다. 기독교인은 인생에 대한 고유한 믿음(belief)과 가치체계(value system)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특정상황을 어떻게 해석할 것이며 어떤 정서를 어느 정도 강도로 느낄 것인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Robert C. Roberts는 기독교적 성장과 덕목은 정서적 영역에서의 성숙과 직결되어 있음을 강조한다. 성령의 열매와 기독교적 인격의 성숙은 공감, 연민, 감사, 배려, 평화, 사랑 등 적절한 정서적 표현과 실천으로 드러나야 하며, 기독교적 가치관에 기반을 둔 올바른 정서 반응은 거듭난 기독교인의, 더 나아가 성화된 기독교인의 표징이다. 바른 교리교육이나 성경적 지식 전수가 기독교교육의 중요한 부분이고 의식적인 교육행위를 통하여서만 성취될 수 있듯이, 기독교 가치-믿음 체계와 조화를 이루는 정서 반응 양식의 형성 역시 체계적으로 학습되고 양육되어야한다. 언제 기뻐하고 언제 분노하며 무엇을 수치스러워해야하는가를 습득하고 내면화하는 기독교적 정서체계의 형성은 기독교교육의 필수적인 한 영역이다. 기독교 가치관과 신념에 기초한 정서 학습은 기독교교리와 가치의 인지적 학습과 실천을 매개하는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시뮬레이션 모형에 의한 한국어 보조동사의 의미 해석 과정 연구

        정병철 한국어의미학회 2010 한국어 의미학 Vol.31 No.-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 model which is able to explain the process of decoding Korean dependant verbs. Korean dependent verb has been a notoriously intriguing assignment for linguists, because it is characterized by fuzziness of meaning and grammatical category. Generative grammarians have assumed that dependent verb is a pure grammatical category which functions in autonomic way without meaning. But, from the view of Cognitive Linguistics this idea is seriously problematic. The foundation of Cognitive Grammar is that language is a symbolic structure which consists in the linkage of a semantic and a phonological structure. Simulation Semantics which is founded on the cognitive-neuroscience and experiential method also argues that there are no category without meaning. The irony is that despite the nature of generative grammar, many linguists have focused on the meaning of Korean dependent verbs. Consequently, there is seemingly no area of the subject that needs to be explained further besides some arguments over the membership problem of the category. But, that is not an essential matter but only a by-product of authentic analysis. In this study authenticity of analysis is supported by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Simulation Semantics, and the focus is shifted from the resultant meaning to the process of meaning interpretation. Conclusively, the Korean dependent verbs are adequately illustrated in detail by our simulation model, and this demonstrates the meaningfulness of Korean dependent verbs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신체화된 인지의 도덕교육적 의미

        김동창 ( Dong Chang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0

        최근 알파고로 인해 인공지능 분야가 화제가 된 바 있다. 알파고를 가능하게 한 지금의 인지과학은 1950년대 이후 인간의 마음, 인지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밝히기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인지과학은 마음의 정보처리 메커니즘이 밝혀진다면, 컴퓨터와 같은 인공물을 통해 그것을 실현할 수있을 것이라는 믿음에 토대를 두고 있다. 하지만, 1970년대 등장한 2세대 인지과학은 인지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과 더불어 그것의 기반이 되는 몸의 중요성에 주목하며 ‘신체화된 인지(embodiedcognition)’의 관점을 제안했다. 우리의 마음, 인지는 오랜 진화의 과정을 통해 습득한 몸을 물리적지반으로 한다. 몸은 마음의 거처이고, 생각의 뿌리이다. 마음이 온전히 신체의 물리, 화학적 상태로 환원되는가에 관해 여전히 철학적 논의가 이어지고 있지만, 마음이 우리의 몸과 분리되어 작동한다고 보는 것은 설득력이 그리 높지 않다. 우리의 인지는 신체를 통해 가능하고, 또 신체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신체화된 인지의 관점에서 도덕적 인지를 조망할 때, 추론과 구분되는 도덕 감정이 도덕적 인지의 한 축으로 들어오게 된다. 도덕성에 관한 인지-신경과학의 연구 성과들을 존중할 때 우리의 도덕 교육은 콜버그식의 협소한 도덕적 인지 관점을 수정해야 한다. 도덕적 인지를 반성적 추론(Type 2)과 자동화된 직관(Type 1)으로 확장함으로써 도덕교육의 인지적 목표가 도덕적 추론과 직관의 함양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덕적 동기의 측면 뿐만 아니라 도덕적 인지의 맥락에서도 도덕적 감정의 역할을 인정해야 한다. 이러한 신체화된 도덕적 인지의 관점은 도덕적 인지를 확장하는 것으로 도덕적 인지에 관한 기존의 도덕교육적 관점의 변화 필요성을 제기한다. 우리는 신체화된 도덕적 인지의 관점을 통해 도덕적 인지에 관한 경험과학의 연구 성과와 부합하는 도덕교육을 지향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field has become an issue due to AlphaGo. Present cognitive science which has enabled AlphaGo has continued efforts to determine how human mind and cognition are operated since 1950s. Also, cognitive science is based on the belief that such things could be realized through artificial objects as computer, if information-process mechanism of mind is determined. However, the 2nd generation cognitive science, which appeared in 1970s, suggested the viewpoint of ``embodied cogni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int of investigating cognitive mechanism and the importance of body, which becomes the basis thereof. Our mind, cognition, is based on the body as physical basis, which has been acquired through a long evolutionary process. Body is residence place of mind, and the root of thought. There are still various philosophical discussions continued regarding whether the mind could totally turn to physical and chemical state of body, however the point that the mind could be operated by being separated from our body is not quite convincing. Our cognition is available through our body, also, is restricted by the body. When viewing moral cognition from the viewpoint of this embodied cognition, moral emotion separated from inference comes into as an axis of moral cognition. When highly regarding research achievements of cognitive-neurology in respect of morality, our moral education should correct narrow Kohlberg style moral cognitive viewpoint. By extending moral cognition to reflectional inference(Type 2) and automatic intuition(Type 1), cognitive goal of moral education could be established as moral reasoning and cultivation of intuition. Also, besides the aspect of moral motive, the role of moral emotion should be acknowledged in respect of the moral cognition context. Such viewpoint of embodied moral cognition is to extend moral cognition, which raises necessity of change in the existing moral education viewpoint on moral cognition. We could aim for moral education which corresponds with research achievement of empirical science on morality through embodied moral cognition viewpoint.

      • KCI등재

        온라인 기반 인지 지능 검사(Cognitive Intelligence Test)의 유효성 평가

        김준우(Joonwoo Kim),김상엽(Sangyub Kim),이솔빈(Solbin Lee),구민모(Min-Mo Koo),남기춘(Kichun Nam)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4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troduce the online-based Cognitive Intelligence Test (CIT)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and measurement of cognitive neuroscience, and to evaluate whether it is applicable to real-world situation. The online-based CIT provides personalized measurement on five main cognitive abilities: working memory, attention, motor control,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measure and compare cognitive abilities of gamers versus non-gamers and drivers with various age group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IT could examine decline in cognitive abilities by age (i.e., cognitive aging) in both experiments.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the online-based CIT is useful for research field and for constructing the application system related with human cognition.

      • KCI등재

        법적 제재와 과학의 새로운 연합? -인지신경과학으로부터의 도전-

        박은정 ( Un Jong Pak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서울대학교 法學 Vol.54 No.3

        이 글은 과학기술적 성과, 그중에서도 특히 인간의 인지과정에 관심을 가지는 과학적 발견과 그 기술적 적용들이 법적 제재를 정당화하는 논의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필자는 인간의 판단이나 의사결정 영역에 대한 경험과학적 설명이 늘어날수록 규범지향적 태도는 약화될 수 있다는 입장에 서서 법과과학의 인테페이스를 다룬다. 우선 인지신경과학의 일부 성과를 염두에 두면서, 존재유추와 책임주의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법적 제재의 특징들을 요약하고, 이런 특징들이 인지신경과학과 만나면서 어떤 영향을 받게 되는지 검토한다. 특히 존재유추의 사고가 안고 있는 환원주의의 위험과 인지적 법이론의 관계, 자유의지에 대한 인지신경과학적 해석의 쟁점 및 한계, 과학주의 패러다임에 따른 개인적 책임성의 위축이 법적 제재에 초래하는 문제 등을 분석하고, 환원적인 인식관심보다는 통합적인 인식관심 속에서 인지과학적 연구 성과를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새로운 과학적 연구로부터 법적 제재를 위한 기여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면 그것은 효용성을 정당성과 연결시키는 방향이 될 것이다. 그리므로 필자는 법과 과학의 상호작용을, 학계 일각에서 논의하는 것처럼, ‘법철학의 자연주의적 선회’라는 관점에서 파악하는 태도를 비판한다. ‘자연주의적 규범성’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제재에 대해 어느 정도 예측을 보장해주는 이론이 아주 불확실한 규범이론보다는 낫다는 정도에 머물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impact that scientific research, more specifically the scientific endeavor to understand human cognitive process, has on the discussion of justifying legal sanctions. With the expansion in experimental research on human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there is a tendency of diminishing normoriented attitude. With this in mind, I will discuss the interface between law and science in the current era. First, with a focus on some of the key results from cognitive neuroscience,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legal sanctions and the influence that cognitive neuroscience has on them will be reviewed. In particular, I will discuss the foll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nger of reductionism in traditional legal thought and the cognitive neuroscience, the limits of the interpretations of cognitive neuroscience on the free will, and the problems that scientism brings on the responsibility of individuals. In summary, I suggest that results of cognitive science research should be viewed in an integra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reductive one. The ideal contribution of scientific investigations for the legitimacy of legal sanctions should be in the direction of harmonizing the ‘utility’ and the ‘legitimacy’. Therefore, I am apposed to some of the academic trend such as ‘the naturalization of jurisprudence’ or the so called ‘naturalistic turn of legal philosophy’. ‘Naturalistic normativity’, if at all possible, should only be interpreted as that any theory that can give some predictions on sanctions is better than a perfectly uncertain normative theory.

      • KCI등재후보

        신경과학적 접근을 통한 공간 디자인 연구 방향 탐색

        황지은(Hwang, Jie E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신경과학 기초이론과 최근 연구들 가운데 공간 지각 및 인지에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공간 디자인에서 도전해야 할 연구 가설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조경, 도시, 건축, 실내 디자인에 이르는 다양한 공간의 맥락에서 인간 본연의 생체적 심리적 속성을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으로 신경과학의 연구 성과를 이해하고, 공간 디자인의 고유한 직능에서 발현되는 통합적 사고가 새로운 과학적 탐구대상을 발굴할 수 있는 학술적 기초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 건축 도시 이론, 환경심리학, 인지과학 측면에서 인간 행태와 공간 디자인을 연관시켜온 연구들의 토대를 점검하고, 신경과학의 기초이론에서 공간 인지에 관여하는 뇌의 기본 영역 및 구조, 감각과 지각, 그리고 다중 감각과 감각연합에 관하여 개괄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 디자인에 시사점을 도출하여 공간에서 기억, 정서, 치유와, 감각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으로 마무리했다. 향후 이 질문들을 기초로 과학과 디자인이 상호 보완적으로 공헌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 주제를 도출하여 발전시킬 계획이다. This study suggests hypothetical implications of neuroscience for spatial design by reviewing fundamentals and current findings of neuroscience research focusing on multisensory spatial cognition. Ultimately, the new perspective of neuroscience opens a novel context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human mind and body throughout the entire spectrum of spatial design professions: landscape, urban desig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It contributes a multidisciplinary ground of scientific knowledge brought by comprehensive ways of design thinking. First, we conducted a survey od precedent research on environment psychology, cognitive science that conveyed correlated issues of human behavior and environmental design. Secondly, we summarized brain structures that operates spatial cognitions, mechanism of sensation and perception, multisensory perception, and sensory association. Based on the reviews, we concluded in research propositions and hypothesis related to memory, emotion, healing, and sensation of space. For the future study, we will implicit research questions that will derive mutual intellectual interaction of both neuroscience and design.

      • 인지-행동 치료의 발전과정

        김정범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0 생물치료정신의학 Vol.6 No.1

        The evolution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CBT) took place in three stages. Initially, behaviour therapy emerged independent but parallel developments in the United Kingdom auld United States, in the period 1960-70. The second stage, the growth of cognitive therapy, took place in the United States in the mid 1950s onwards. The third stage, the merging of behaviour and cognitive therapy into CBT, gathered momentum in the late 1980s and is now werll advanced in Europe and North America. Today CBT dominates clinical research and practice in many parts of the world even though there are growing interests in CBT recently in this country. Within the traditional boundaries of CBT, we can expect important progress in understanding and treating th full range of anxiety disorders. Cognitive concepts and analysis will be extended into general medicine, beyond the traditional limits of psychiatric psychology. Attempts to link CBT to progress in neuroscience will continue, but with more success than in the past.

      • KCI등재

        시각의 환원 원리를 적용한 인공지능으로 아름다움 재현하는 구조에 관한 연구

        유욱(Xu Liu),조택연(Taig Youn Ch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1

        눈으로 바라보는 시각 자극의 아름다움은 매우 많은 요소로 이루어진 복잡한 전체이다. 이러한 전체는 각각의 인지 요소들로 작게 나눌 수 있고, 두뇌 또한 이 구조로 정보를 처리한다. 우리는 이러한 전체에서 아름다움을 느낄 뿐, 이를 구성하는 요소와 구조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며, 그 결과 이를 통해 아름다움을 재현하는 것이 어렵다. 하지만 두뇌는 오랜 진화에서 전체를 여러 계층으로 환원 처리하는 지능을 가지게 되었으며, 신경 과학은 그 과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최근 활성화되는 인공지능 역시 이를 모방해 아름다움을 성공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지 신경과학의 선행연구를 통해 시각 자극 환원해 6가지 지능 층위로 정리를 한다. 먼저 망막은 빛을 전기적 픽셀 데이터(Pixel data)로 변환해 외측 슬상핵 (Lateral Geniculate Nucleus)으로 전송한다. 슬상핵 에서 V1영역으로 도달한 정보는 IFOF 통로로 인식 영역으로 빠르게 전달되어 시각적 주목을 이끈다. 세상의 상태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감각과 지각 상태에서 공간 시각 좌표 지도를 형성해 대상을 주목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어서, 1차 시각처리는 주목하고 있는 시각 자극을 특징(Feature)으로 환원하고, 2차 시각 피질이 시각 정보의 형편(Element), 형태(Shape), 형상(From)을 처리해 환원한다. 다음으로 시각 환원 요소와 감정 영역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고, 형상 요소를 처리하는 영역에 긍정적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아편 수용체(Opioid Receptors )의 밀도가 더 높은 것을 발견했다. 다음은 이러한 시각적 환원 요소를 어휘로 변환하고 이를 조형으로 생산하기 위한 명제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어휘와 명제로 인공지능 Midjourney를 사용하여 아름다운 디자인을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재현된 아름다운 조형물에 대한 호감도 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더욱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 신경과학을 기반으로, 아름다움 전체를 시각 자극 요소들로 환원하였다. 인공지능의 아름다움 재현을 통해 인식 디자인의 가능성을 실증하였다. 즉,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에서, 아름다움의 구조를 이해하고 재현하는 과정을 인식 범주로 옮겨, 아름다움의 재현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려 시도하였다. The beauty of visual stimuli is a complex whole composed of many factors. These wholes can be divided into individual cognitive elements, and the brain can process information in this mechanism. We only perceive beauty as a whole without knowing what the components and structures are, and as a result, it is challenging to reproduce beauty through these. But the brain has evolved over a long period to have the intelligence to reduce the whole to multiple levels, and neuroscience has shown the process well. In addition, recently, 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has imitated it and succeeded in reproducing beauty. In this study, visual stimuli were reduced and organized into six levels of intelligence through prior research in cognitive neuroscience. First, the retina converts light into electrical pixel data, which is transmitted to the Lateral Geniculate Nucleus (LGN). Information arriving from the Lateral Geniculate Nucleus to the V1 area is rapidly transferred to the cognitive areas of the brain through the IFOF channel, causing visual attention. In order to respond quickly to the state of the world, a map of spatial visual coordinates is formed in the sensory and perceptual states as a mechanism for attending to objects. Second, primary visual processing reduced the attended visual stimuli to Feature, and the secondary visual cortex was reduced by processing visual information in Element, Shape, and From. Next,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s between the visually reduced elements and the affective domain was 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the domain processing the From had a higher density of opioid receptors that elicited positive affect. Then, these visually reductive elements are converted into vocabularies, and a proposition is generated to translate them into Modellings. The generated vocabulary and propositions are used to create a beautiful design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idjourney. Finally, the research on the goodwill of the beautiful shape is carried out, which further verifies the feasibility of this study. This study is based on cognitive neuroscience, which reduces beauty as a whole to visual stimuli. The possibility of recognizing the design is verified by the beautiful rep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is, an attempt is made to transfer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to reproduce the structure of beauty from the feeling of beauty to the category of recognition and to solve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producing beau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