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엎드린 자세에서 디지털 전척추 촬영술의 유용성 분석

        오창섭(Chang-Seob Oh),김광수(Kwang-Soo Kim),손순룡(Soon-Lyong Son),이관섭(Kwan-Sup Lee)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3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3 No.-

        목적: 기립 전척추 전후면 검사와 엎드린 자세에서 디지털 전척추 검사의 Cobb‘s angle 차이를 실질적으로 비교하여 엎드린 자세에서 디지털 전척추 검사의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척추 측만증으로 기립 자세와 엎드린 자세 에서의 디지털 전척추 검사를 시행한 환자 91명을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King 분류법으로 분류한 후, Cobb s method를 이용하여 각각의 만곡 각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대응t검정으로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척추 측만증의 Cobb s angle의 측정 후, 통계적 분석결과 엎드린 자세일 때는 기립 자세일 때에보다 흉부만곡은 평균 25.5%, 요부만곡은 평균 25.2%, 이중만곡에서는 흉부는 평균 22.8%, 요부는 21.7%로 모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1). 흉추와 요추에서 기립 자세의 척추 측만각이 커질수록 오차의 각도가 커지는 상관 관계가 있었다. 결론: 척추 측만증의 수술자세와 동일한 엎드린 자세에서의 전척추 검사는 척추 측만증 환자의 수술 전 검사에 매우 유용하므로 임상적용 시 매우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rials and Methods: After King classification, measurements of scoliosis angles with Cobb s method were carried out in a sample of ninety-one patients who examined whole spine digital radiography in standing position and prone position for scoliosis from August 2012 to February 2013.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nalyzed by t-test with the results. Results: In prone position, thoracic scoliosis was 25.5%, and lumbar scoliosis was 25.2% on the average compared to the standing position. For double scoliosis, thoracic scoliosis was 22.8%, and lumbar scoliosis was 21.7% on the average showing decreases. All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p<.01). There was a correlation that the error angles increased as the scoliosis angles of thoracic and lumbar spine in standing position increased. Conclusion: Because an operative correction is performed in prone position, whole spine digital radiography in the same prone position would be useful as a pre-examination of the operation and applicable to the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촬영자세별 척추측만각과 척추전만각의 비교 분석에 따른 개선 방안

        정재연(Jae-Yeon Jung),손순룡(Soon-Yong Son),이종석(Jong-Seok Lee),유병규(Beong-Gyu Yoo)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1 방사선기술과학 Vol.34 No.4

        척추촬영법은 의료기관별로 상이하고 각종 대학 및 국가시험을 위한 교재 등에 상이하게 기술되어 혼선을 빚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동일한 환자의 선자세와 누운자세에서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각 자세에서 척추측만각과 척추전만각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임상 및 관련기관, 참고서적에 가장 적절한 촬영자세를 정립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9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척추질환 환자 중 수술적 치료를 받지 않은 85명을 대상으로 Cobb’s method를 이용하여 척추전만각(lordortic angle) 및 척추측만각(scoliotic angle)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측정자료는 t-test(SPSS 18)를 이용하여 유의성을 분석하였으며, 임상의 실태 파악을 위해 서울소재 10곳의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척추촬영의 자세와 시행근거를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척추측만각의 측정 결과, 선자세가 바로누운자세보다 평균 20.98%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척추전만각은 지지대잡은자세가 측와위자세보다 29.3%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1). 의료기관의 실태 결과, 누운자세촬영이 70.0%로 선자세촬영의 30.0%보다 월등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선자세촬영은 누운자세촬영보다 척추측만각 및 척추전만각이 증가하여 임상적 진단과 치료에서 중력이 가해진 선자세 촬영의 중요성과 일치하였으므로 임상의 검사자는 그 차이를 인식하여 필히 정확한 선자세에서 촬영이 요구된다. Since the spine radiography were explained differently at every several hospitals and textbooks. the technique has not been accurately defined and interfered each other. We would like to define the most appropriate positioning for clinical cases, and reference books, by comparing scoliotic angle and lordotic angle. From Mar 2009 to Sep 2011, 85 patient cases were studied, who had not been undergone surgical treatment among spondylopathy patients. Scoliotic angle and lordotic angle were measured, using Cobb’s method. W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test(SPSS 18), and evaluated spine general radiography position. Moreover, we researched on the actual condition at 10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The results of scoliotic angle measurement, the value at erect position showed 20.98% higher than supine position, and it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p<.01). In lordotic angle measurement, the value at neutral holding position represented 29.3% higher than supine position, and it also has statistical significance(p<.01). The results of clinical survey, supine posine(70.0%) took much higher possession than erect position(30.0%). In conclusion, compare to supine position, erect position shows increased scoliotic and lordotic angle. It was agreed with the importance of clinical erect position radiography, which gravity affects. So clinical radiologist must recognize the difference, and conduct an accurate study.

      • KCI등재
      • KCI등재

        X-ray 영상에서 VHS와 콥 각도 자동 추출을 위한 흉추 분할 기법

        이예은 ( Ye-eun Lee ),한승화 ( Seung-hwa Han ),이동규 ( Dong-gyu Lee ),김호준 ( Ho-joo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2 No.1

        본 논문에서는 X-ray 영상에서 의료 진단지표를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한 조직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척추질환이나 심장질환에 대한 진단지표로서, 흉추-심장 비율이나 콥 각도 등의 지표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흉부 X-ray 영상으로부터 흉추, 용골 및 심장의 영역을 정확하게 분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계층별로 영상의 고해상도의 표현과 저해상도의 특징지도로 변환되는 구조가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형태의 심층신경망 모델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영상에서 세부 조직의 상대적인 위치정보가 분할 과정에 효과적으로 반영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픽셀 정보와 객체 정보가 다단계의 과정으로 상호 작용되는 OCR 모듈과, 네트워크의 각 채널이 서로 다른 가중치 값으로 반영되도록 하는 채널 어텐션 모듈을 결합하여 학습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인다. 부수적으로 X-ray 영상에서 피사체의 위치 변화, 형태의 변형 및 크기 변이 등에도 강인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데이터를 증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총 145개의 인체 흉부 X-ray 영상과, 총 118개의 동물 X-ray 영상을 사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이론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rgan segmentation technique for the automatic extraction of medical diagnostic indicators from X-ray images. In order to calculate diagnostic indicators of heart disease and spinal disease such as VHS(vertebral heart scale) and Cobb angl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segment the thoracic spine, carina, and heart in a chest X-ray image. A deep neural network model in which the high-resolution representation of the image for each layer and the structure converted into a low-resolution feature map are connected in parallel was adopted. This structure enables the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in the image to be effectively reflected in the segmentation process. It is shown that lear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combining the OCR module, in which pixel information and object information are mutually interacted in a multi-step process, and the channel attention module, which allows each channel of the network to be reflected as different weight values. In addition, a method of augmenting learning data is presented in order to provide robust performance against changes in the position, shape, and size of the subject in the X-ray imag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heory was evaluated through an experiment using 145 human chest X-ray images and 118 animal X-ray imag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