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고전문학교육 위상 정립을 위한 연구

        서유경 ( Seo Yu Ky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5 고전문학과 교육 Vol.9 No.-

        This paper aims that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must be settl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t means the present phase of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not clear and express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so the gap is made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pot of the school education. For reforming the problem state of this gap, first of all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changed. For this purpose, first, we searched and analyzed the statement concerned with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and grasped of the problem; character, object, contents. And it was researched that how the classical literature showed in the textbook for the secondary school. As a result of this approach, it is found that there are no clear statement in relation to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t can be supposed the reason of this aspect is the abstract statement of the curriculum, without present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the item of the content category can be integrated, and so on.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 how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That is, why we should teach the classical literature, what is the value and object of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what we should teach with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how we teach the classical literature. Nevertheless these argument, there are obvious limits and problem to be solved. So we prospect the continuous study and efforts for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고전문학의 지속가능성과 고전문학 교육

        고정희 ( Jeong Hee Ko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desired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s of classical literature in teaching the classics, and what the researchers need to study and implement to make this happen within the future circumstances of classical literature. For this, the future circumstances of classical literature were examined in this paper centered on key words such as ‘competency-based curriculum’, ‘multicultural society’, ‘unification’, ‘teaching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orld literature’. The result showed that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multicultural society are shaking its canonical status whereas, from the aspects of unification and world literature, the role of classical literature is still in being demanded as the national canon. With growth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t seems as though the importance of classical literature is weakening but the educational need for classical literature which establishes the identity of modern Korean is on the rise. In the midst of such contradicting demands, moving towards ‘search for multiple identity’ through classical literature, emphasizing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literature, ‘receiving support from non-formal education’ etc. were recommended as ways to accomplish sustainability of classical literature. However, since classical literature itself possesses duality as the national canon,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potentials of the classical literature in the complex future society. In order to resolve thi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literacy and classical literature which are the core competencies of future society.

      • KCI등재

        동아시아에서 한국 한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중심과 주변의 변증법, 그리고 한문학―

        진재교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人文硏究 Vol.- No.57

        Classical Korean literature developed in the context of China-centered world view and Korea's historical uniqueness. It is too a narrow view that classical Korean literature was an end product of Korean uniqueness. Rather it was a creative adaptation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deemed as greate universal otherness to contemporary Koreans.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and feasible to separate classical Korea literature from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different but belonging to the same literary world. Attention should be drawn to the formative process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 which the subject and the other interacted in conflict and dialectic. In a sense, the career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can be comparable to the birth of 'glocalism' mixed with globalism and localism. 한국 한문학은 근대이전 중국 중심의 세계주의 속에서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을 발휘하며 발전하였다. 하지만 한국 한문학이 특수성의 축적으로만 발전한 것은 아니다. 저 거대한 타자였던 한문학의 보편성을 끊임없이 수용하고 創新한 결과물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 한문학은 거대한 타자였던 同文世界의 한문학(중국 문학)과 분리해 내어 몫을 따지거나, 이해하는 방식은 가능하지도 않고, 그럴 필요도 없다. 한국 한문학에서 한문학(중국 문학)을 그저 타자로 인식하여, 그것을 배제하는 시각과 방법으로 한국 한문학을 논하는 것은 실상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한국 한문학의 특수성도 결국은 동문세계에서 산생된 한문학(중국 문학)의 보편성을 염두에 두고 이야기 하는 것이 정당한 시각이며, 연구 방법이다. 무엇보다 주체와 타자의 상호 길항과 변증을 통해 형성된 한국 한문학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야말로 세계화[globalism]와 지역중심주의[localism]를 융합한 글로컬리즘[glocalism]의 탄생과정과 흡사한 바 있다.

      • KCI등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 그 경계를 허물다-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

        맹영일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8

        Recently,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has been rapidly growing. With increasing exports of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social interest regarding a wide variety of fields comprising the content business such as planning, making, and producing of content also are increas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lso accompanied by this tre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mainly used as an original source of cultural conten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lso attempting to strengthen its academic status through the fusion work with various cultural content. Today, academic boundaries are becoming meaningles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This is becaus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boundaries betwee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are being broken. First, the trend of the fusion pattern was identified by analyzing research papers on their fus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papers related to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rends. One is a study that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ontent throug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e other is the study of works that mak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to cultural content.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actively used as an original source of cultural content through this. Of course, there are also problems that appear in their fusion. The things that are intended to be made into cultural content are focused on specific genres and works. To escape this situation, diversity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is required. There is also a tendency for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o remain a simple source of cultural content. To resolve this problem, researcher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must understand cultural content and actively participate in infus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ith cultural content. 최근 문화콘텐츠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문화콘텐츠 산업의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콘텐츠의 기획, 제작, 생산 등 콘텐츠산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사회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고전문학도 마찬가지이다. 고전문학은 문화콘텐츠의 원천소스로서 주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고전문학도 다양한 문화콘텐츠와의 융합작업을 통해 고전문학의 학문적 위상을 강화하고자 한다. 현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는 학문적 경계가 무의미해지고 있다. 이는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가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융합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융합 양상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 관련 논문을 확인한 결과 크게 두 가지 경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고전문학을 통한 문화콘텐츠화의 가능성을 논의한 연구이다. 둘째는 고전문학을 문화콘텐츠화 한 작품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고전문학이 원천소스로서 문화콘텐츠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융합에는 나타나는 문제점도 있다. 문화콘텐츠화의 대상이 특정 장르와 작품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고전문학 연구의 다양성이 더욱 요구된다. 또한 고전문학이 문화콘텐츠의 단순한 공급처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고전문학 연구자들이 문화콘텐츠를 이해하고,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 KCI등재

        콘텐츠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최홍원 한국언어문학회 2024 한국언어문학 Vol.126 No.-

        This study began with fundamental questions and doubts about the utility and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amidst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creasing social demands,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literary environments and conditions. Breaking away from the obsession with processing and transformation into content,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tasks of classical literature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and mediation point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of the past and modern content. Development is being driven by external changes represented by content, but this is due to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fundamental consideration and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and classical literature has not been properly carried out. Considering this research purpose and background, this study does not simply analyze and introduce actual cases of content development, but also seeks to expand the horizon of awareness of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content, and explores the approach of classical literature for content. As such, actual lecture cases and results that produce and develop content based on classical literature correspond to materials for such exploration, and the content acts as a new perspective and channel to inspect the enjoyment of classical literature and education in general. Chapter 2 looked at changes and adjustments in the classical literature ecosystem, largely exploring the media environment and literary conditions, subjects and education of enjoyment, and aspects of classical literature and enjoyment. It examined the media environment and literary conditions in which the past is newly recalled in a reversible and non-chronological time and space, and confirmed the emergence of a new enjoyment subject represented by ‘Phono Sapiens’ and changes in education represented by agency. Amid these changes, attention was paid to ‘defamiliarized pleasure.’ In Chapter 3, the planning and desig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s(Capstone Design)’ lecture was introduc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yping it into an optional simulation game type, a test type for type diagnosis, and a digital platform utilization type, the production process and results were examined, and achievements and tasks were der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content was newly established, and tasks were derived from both aspects of classical literature and content. First, ‘through’ the content, this study derived and reconceptualized ‘doing literature’, which emphasizes the recipi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and attempted to shift from the existing empathy to response through this. Second, ‘for the sake of’ content, while being wary of the materialization and schematization of interpret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divergence of acceptance was suggested as a method that could lead to new discoveries of the subject and the world.

      • KCI등재

        문학미디어와 고전문학 연구 - 영원한 현재로서의 고전문학과 그 연구이론으로서 -

        임형택 ( Im Hyeong-taek )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5

        `고전`이란 무릇 단순한 과거[古傳]가 아닌 `영원한 현재`[古典]로서의 의의를 지녀야 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근대문학 발생 시기를 특정하고 그 앞뒤를 고전/현대문학으로 구분해왔던 관성은 조정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고전문학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도 변화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적 의미를 구하는 것이라면 물론이고 문학사를 위한 연구일지라도 그 중심은 `지금 여기` 즉 `영원한 현재`로서의 고전문학을 향하기 때문에서다. 이상의 견지에서 이 글은 미디어 변환에 입각한 문학연구 이론인 `문학미디어`를 고전문학 연구에 적용시켜보았다. 2장에서 이론의 대강을 소개하고 3장 에서 거시적 입장에서 방법론적 모색을 시도했다. 구비(구술) 텍스트에 대해서는 원형성의 보존과 현재적 양식화를, 문자 텍스트에 대해서는 미디어 번역과 미디어-테크놀로지에 의한 시청각화를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미디어에 입각한 문학연구는 주로 현대문학 연구에 상관되는 것으로 간주돼왔지만, `영원한 현재`를 지향하는 고전문학 연구에서는 더욱 필수적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고전문학의 미디어론과 그에 정초한 재매개 전략은 무엇보다도 학교 교육(초중고)과 대중 교양에서 먼저 적용되어야 한다. 그것은 생산자와 수용자를 아우르는 `재매개 생태계`를 구축하는 대장정이지만, 한국(고전)문학의 현재화-세계화의 실효성을 담보하고 제고하는 가장 빠른 길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If we say that `classical` is not just a simple past, but an `eternal present` [classical], then the inertia that has identified the period of modern literature and classifies it as classical/present literature should be adjusted. In addition, the purpose and method of classical literary studies should be changed. The reason for the study of literature is, of course, as it is about seeking the present meaning, as it focuses on classical literature as `hic et nunc(here now)` or `eternal prese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has applied `Literature Media`, a theory of literature study based on media transformation and remediation, to classical literature study. This paper in Chapter 2, introduced the outline of theory and in Chapter 3, tried to find a methodological approach from a macro perspective. For oral texts, we discussed the revival of the field through media-technology remediation, and literary texts, translation and audiovisualization by media-technology. Until now, such views and methods have been regarded as largely related to present literary studies. However,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if it is aimed at `eternal present`. And it is argued that the media transformation and remediation strategy of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applied first of all in educati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t is the fastest way to secure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globaliz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lthough it is a big step to build a `remediation ecosystem` that includes producers and accepters.

      • KCI등재

        한국한문학 연구의 문명사적 검토

        沈浩澤(Shim Ho taek)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8 No.-

        본고는 한국한문학 연구의 역사를 문명사적 관점에서 검토해 본 개략적인 글이다. 한국 한문학의 역사를 창작의 시대와 연구의 시대로 양대분했을 때 이는 문명사가 동아시아 중심 질서에서 서구 중심적 근대로의 전환을 의미한다고 보고, 여기에 근거하여 한문학 연구시대의 역사를 다시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는 서구의 근대적 문학관에 한국적 國字 기준을 더하여 국문학의 개념을 정립하던 시기이다. 이 시기 한문학은 본격문학이 아닌 準國文學의 지위에 있었으며, 한문학 연구는 한학에 조예가 있는 학자들에 의해 漢文學史書 형태로 전개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선정한 鄭萬朝의 朝鮮詩文變遷은 중화주의와 유교주의에 입각하였고, 金台俊의 朝鮮漢文學史 는 철저한 문학주의에 중화주의가 결합되었으며, 李家源의 韓國漢文學史 는 한 국한문학의 국문문학과의 대등의식, 중국문학과의 대등의식을 천명하였다. 제2기는 한문교육의 제도화와 한문학의 국문학 내적 위상 재인식을 토대로 하여 한문학 연구가 본격적 궤도에 오른 시기이다. 이 시기의 연구를 세경향으로 정리하였다. 하나는 서구의 문학주의의 관점에서 한국한문학을 연구하고 평가하던 것이요, 다음은 중국문학과 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해하던 경향이었으며, 세 번째로 한문학사 연구에서 한국사회 지배세력 변천과정으로서의 역사학과 결부시키던 방법이었다. 이 중에서 서구 문학주의에 의한 접근이 비평론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었음을 지적하였다. 제3기는 한국한문학을 포함한 어문학 전반의 경향이 문학주의로부터 탈피했던 시기이다. 문학주의의 탈피는 서구 중심적 질서, 근대적 가치체계로 부터의 벗어남이며 그 의미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다분히 문명사의 전환을 뜻한다고 하겠다. 탈근대 이후의 동아시아적 가치는 기존에 중국을 중심으로 논의되었으나 본고는 동아시아 내에서 다시 한국 민족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법으로 한문교육 제도화초기에 발의되었던 민족문화란 개념을 다시 끌어내었다. 여기서 한중 문화 관계, 民族과 文化의 관계를 중시하고 그 주어로서의 ‘民族’에 비중을 두어논함으로써 한국한문학 연구가 문명사를 넘어 정신사의 차원에 서야 함을강조하고자 하였다. This essay is a brief description of reviewing a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from a history-of-civilization’s perspective. If we divide the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to two parts, the creation-oriented era and the study-oriented era, we assume that it indicates the conversion from East-Asian-centric order to Eurocentric order. Based on this assumption, we can subdivide the history of the study-oriented era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when the notion of national literature became established through uniting Korean national alphabet criteria with Western modern literary views. Classical Korean literature was not considered to be in good standing at this time within the Korean literary field but instead in a “quasi status.”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had been mainly carried on by scholars who had profound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studies, and had produced related academic history books called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s the typical examples, Jung Manjo(鄭萬朝)’s The Transition of Joseon Literature(朝鮮詩文變遷) was grounded upon Sino-centrism and Confucian-centrism; Kim Taejun(金台俊)’s The History of Joseon Classical Literature(朝鮮漢文學史) combined Sino-centrism with thorough literary-centrism; Lee Gawon(李家源)’s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韓國漢文學史) accentuated that Classical Korean literature has equal status not only with Korean literature created in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with Chinese literature. The second period is when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came into it s own, along wit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nd a new understanding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s increasing internal status within the Korean literary field. The related studies during this period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tends to approach Classical Korean literature from a Western literary-centric perspective; the second part has a tendency to approach Classical Korean literature from a Chinese literary and Sinological perspective ; the third part integrates historical studies as a transitional process due to ruling groups in Korean society. From among these, the Western literary-centric approach has produced outstanding study results in literary criticism. The third period is when the overall language and literature field including Classical Korean literature broke away from literary-centrism. This extrication from literary-centrism signifies the extrication from Western-centric order or a modern value system. It can mean quite the transition of the aforementioned history-of-Civilization. We try to acknowledge Korean national value and to seek its potential for development while existing studies tend to discuss post-modern East Asian values from a Chinese-centric perspective. We dragged the notion of national culture out from the past again, which had been proposed at the early stage of institutionalization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e emphasized that, in the process of Korean-Chinese cultural relations and national(民 族)-cultural relations, we need to give weight to ‘nationality (民族)’ as a subject so that the stud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can stand on its own from a spiritual historical study’s perspective, beyond the constraints of ‘history-of-Civilization.’

      • KCI등재

        고전문학의 향유방식과 교육; 과거, 현재, 미래

        손태도 ( Son Tae-do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8 고전문학과 교육 Vol.37 No.-

        문학활동은 이를테면 ‘문학생산’ 활동과 ‘문학수용’ 활동으로 양분된다.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은 고전문학의 수용과 관계된다. 그러나 문학수용 활동은 사실상 문학생산 활동이 전제되어야만 가능한 것이기에, 문학의 향유방식에 대한 논의에는 문학수용 활동 외에도 문학생산 활동에 대한 논의도 흔히 같이 다뤄진다. 오늘날 현대의 시, 소설 등과 같은 문자문학의 경우 ‘문학생산 : 문학수용’은 ‘쓰기 : 읽기’로 비교적 간단하다. 그런데 고전문학에서는 시가문학, 소설문학, 구비문학, 한문학 등에 있어 그것은 ‘가창, 음영, 구연, 공연, 강독(講讀), 쓰기 : 듣기, 읽기’의 방식들이 있다. 또 현대의 시, 소설 등의 문자문학은 문학만으로 이뤄진 이른바 단독예술이지만, 가창, 공연되기도 하는 고전문학은 음악, 연극 등이 수반된 복합예술들도 많다. 이러한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읽는 문학’ 외에 ‘듣는 문학’에 대한 문학적 소양도 가질 필요가 있고, 문학 외의 음악, 연극 등에 대한 시각도 필요하다. 고전문학의 향유방식들과 관계해서 오늘날에도 연구할 만한 과제들이 많이 있다. 고전시가에는 신라시대 불교의 향찬(鄕讚)으로서의 향가, 가곡과 무가(巫歌)의 관계, 가곡 한바탕에서의 가곡창사들의 순서, 『시용향악보』에 실린 무가(巫歌)들은 국가의 별기은(別祈恩)과 같은 국행 굿에서 불린 사실, 가사 장르의 향유방식으로서의 ‘창조로 불림’ 등이 오늘날에도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연구과제들이다. 고전소설의 경우에는 지금에라도 전통사회의 소설 강독에 대한 현지 조사들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구비문학에는 전문 이야기꾼에 대한 조사와 그의 구연 영상물 제작이 이뤄져야 한다. 한문학에는 시창(詩唱), 한문 사(辭)·부(賦)·문(文)의 ‘창조로 불림’, 한문 경서(經書)의 성독(聲讀) 등에 대한 조사,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오늘날 고전문학을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에 입각한 여러 시각들도 가질 필요가 있다. 구비문학과 같은 ‘듣는 문학’에는 ‘구전공식구(formular)’(일반적 언술), ‘핵심적 주제(theme)’(일반적 주제), ‘즉석변개작법’(improvisation) 등과 같은 A. 로드의 ‘구전공식구 이론(formular theory)’에 대한 시각이 필요하다. 이것은 ‘특수한 언술’, ‘특수한 내용’, ‘원전비평’을 중시하는 현대의 시, 소설 등의 문자문학과 정반대되는 면이 있다. ‘읽는 문학’ 외에 ‘듣는 문학’이 많은 고전문학은 구비문학의 이러한 문학적 방식을 기본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려가요나 실창 판소리들에 있는 과도한 음란(淫亂) 지향의 경우는 흥행을 목적으로 한 개방된 공간에서의 연행이란 문학 실현 공간 설정에 대한 시각이 필요하다. 한편 문학수용에 있어 ‘읽기’만 있고 예술적으로도 단독예술로 문학만 있는 현대의 시, 소설 등의 문자문학과 달리, ‘듣기’도 있고, 고전시가나 구비문학에서처럼 문학·음악, 문학·연극·음악, 문학·연극·무용·음악 등의 복합예술로도 있는 고전문학은 역시 ‘듣기’로 수용되고 문학·음악, 문학·연극·영상·음악 등의 복합예술로 있는 대중가요, 영화, TV드라마 등과 같은 현대의 매스미디어 문학의 이해, 연구에도 분명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문학연구와 문학교육은 물론 문학 곧 문학사설 그 자체를 가장 중시한다. 그러나 향유방식에 의해 그 문학사설들이 결정되는 면도 분명히 있다. 특히 ‘읽기’ 외에도 ‘듣기’에 의한 향유가 많았고, 문학 단독 외에 문학이 음악, 연극, 무용 등과 같이 향유된 면들이 많은 고전문학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고전문학의 향유방식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와 고려는 고전문학의 이해, 연구, 교육에 있어 참으로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Today, in the case of literary works such as modern poetry, novels, 'literature production : literature acceptance' are relatively simple as 'writing : reading'. However, in classical literature, there are ways of 'singing, chanting, narrating, performing, public reading, writing : listening, reading.' Modern literary works such as poetry and novels are sole arts made up only of literature, but classical literature have many complex arts accompanied by music, theater, etc. In order to understand the way classical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usic, theater, etc. also. There are a number of subjects to research today in relation to the accepting method of classical literature. There are such things at Hyang-ga (향가), Goryeo Sog-yo (고려 속요), Sijo (시조) and Gasa (가사) in of classical poetry. There is a public reading in classical novels. There is securing video materialㄴ for narrators in oral literature. And there are Si-chang (시창. 詩唱) and aloud reading in chinese proses. 'Listening literature', such as the oral literature needs to have the A. Lord’s 'formular theory' ― 'formular' (general words), 'themes' (general subject), and 'improvisation.' It is the opposite of contemporary poetry and novels that value ' special words', 'special contents', and 'original text.' Classical literature with a great deal of ‘listening literature’ besides ‘ reading literature’ needs to have this 'formular theory' too basically. In the case of ‘excessive pornographic’ oriented events in Goryeo Gayo (고려가요) and Pansori (판소리), a vision is required to set up a space for the realization of literature. The haman basic elements like a man and woman’s body subject can be evoked as a literature means at open place for anonymous people. Unlike modern poetry and novels, which are 'reading literature', and contain only literature, classical literature have 'listening literature' besides 'reading literature', and have complex arts ― classical poetry (literature and music), and oral literature (literature, music, theater etc.) These aspects are available to research modern mass media literature, which are all 'listening literature,' and all complex arts ― pop songs (literature and music), movies (literature, drama, image, music etc.) and TV dramas (literature, drama, image, music etc.). Thus, a proper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the accepting method is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researching and educating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통일시대를 대비한 고전문학

        김승호(Kim, Seung-Ho) 국어국문학회 2014 국어국문학 Vol.- No.16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me of the right future directions for classical literature in preparation for national reunification, as it"s desperately required for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o be ready for national reunification in this field. To find the homogeneity of the two Koreas in classical literature, it seems necessary to look at mutual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In the North, classical literature was viewed as a means to propagate socialism and communism and edify North Korean people. As the North intended to advocate its regime, the people and the working classes, classical literature had nothing to do with contemporary ideology, just seeking after socialistic realism and Juche idea. Even literature of the past ages was taken advantage of as a political or philosophical instrument, and th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was dominated by materialistic thought. As far as classical literature is concerned, the South cannot be evaluated favorably, either. In South Korea, classical literature isn"t regarded as the fruit of cultural heritage any more. Classical literature is no longer considered to be worth discussing as the embodiment of national spirits along with the spread of globalism and capitalistic values. Yet it can never be denied that classical literature is one of sure ways to confirm the unity and homogeneity of the two Koreas. In this study, several topics were discussed to step up encounter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the excavation and arrangement of materials, overcoming colonial consciousness and the rediscovery of women"s literature. National reunification should no longer be regarded as what is only likely to take place in the distant future. Both nations should join forces to remove the deep-rooted idea that South and North Koreans look at each other just as others, and classical literature is expected to serve as a useful medium to confirm inter-Korean unity in that course.

      • KCI등재

        한일 고전 빅 데이터를 이용한 오방색 십이지 동물 상징성 비교연구 ‒말(馬)을 중심으로‒

        금영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5

        본고에서는 종래의 십이지 동물 연구와는 구별되는, 오방색과 한일 고전 빅 데이터라는 새로운 관점을 복합시킨 연구 방법을 시도하였다. 먼저, 종래의 연구 같으면 십이지 동물 중 첫 번째 순서인 쥐에 대한 연구부터 시작했겠지만, 본고에서는한일 양국 고전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동물인 말에 대한 연구부터 시작하였다. 또, 백흑적청황(白黒赤青黄)이라는 다섯 가지 색깔로 나누었을 때의 양국 고전 속의 말의 상징성에는 각각 어떠한 특징과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 다음의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먼저 백마(白馬)의 경우, 양국 고전에서는 신승물(神乗物)과 신에 대한 제물 내지는 공물, 그리고 구원자 내지는 구원자가 타는 말로서의 측면이 공통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한국 고전에서의 백마는구원자로서의 위대한 인간 영웅도 탈 수 있지만, 일본 고전에서의 백마는 신 이외의 허가받지 않은 인간은 함부로 탈 수 없는 절대적인 신승물로서의 성격이 강함을 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흑마(黒馬)의 경우, 일본 고전에서는 백마에 준하는 2급 신마(신승물)내지는 명마로서의 상징성을지니고 있으며, 백마와 흑마 사이에는 백마가 흑마보다 우위라는 서열 상징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백마와 흑마의 흰색과 검은색은 각각 지우(止雨)와 기우(祈雨)의 상징성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한국고전에서는 양자 간의 특별한 우열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청마(青馬)의 경우, 한국 고전에서는 주로 푸른빛을 띠는 흑마를 가리키지만, 일본 고전에서는 적어도 10세기 무렵에는 청마(흑마)가 아닌 백마를 가리키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월 7일의 새봄맞이 제액행사인 세치에(節会)에 쓰이는 흰 말을 백마(白馬)라고 쓰고 아오우마(青馬)라고 읽었던 이유는, 일본인 특유의 고토다마(言霊– 인간이 쓰는 언어에 길흉을 좌우하는 주력이 있다는 발상) 관념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적마(赤馬)의 경우, 양국 고전에서는 값싼 말 내지는 불길한 조짐을 보여주는 존재라는 부정적인 상징성과동시에, 명마라는 긍정적인 상징성 또한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 고전에서 적마가 명마라는 이미지를 갖게 된 것은 관우의 적토마 영향일 것으로 생각되며, 적마에 대한 일본인들의 부정적인 관념은 히노에 우마 미신에서 보듯, 화재에 대한 부정적인 속신이 개입되었기 때문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본에서는 백마, 흑마, 적마라는 서열 상징성이 존재하며, 이는 현대 일본의 경마(競馬)나 경정(競艇)에서의 경주마나 경주보트의 색깔 배열에도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황마(黄馬)의 경우, 일본 고전에서는 그 용례를 찾기 어려웠으며 한국 고전에서는 중국 고전의 천지현황(天地玄黄)발상의 영향으로 흑마와 조합을 이루기도 하고, 귀한 말로서의 상징성을 지니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오방색이라는 관점에서 바라 본 한일 양국 고전 속의 말은, 종래의 십이지 동물 연구에서 다루었던, 말의색깔을 염두에 두지 않은 연구만으로는 알 수 없었던 새로운 사실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하겠다. Comparative studies of Korea and Japan about Symbolism of the animals of the twelve horary signs have already been done. And in this paper, the horses Obangsaek(五方色;The Five Cardinal Colors; the East Asian traditional five colors of white, black, blue, yellow and red) that appear most in classical literature between Japan and Korea were compared and examined. Symbolism of five cardinal colors of horses appearing in the classics literature of Japan and Korea may be common or different. In Korean classics, not only God but human hero can ride the white horse. However,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human other than God or Buddha ride on white horse are basically prohibited except for special excep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black horse, it has a symbolism as a Shinto horse similar to white horse, a special horse on which a great human being can ride. The great hero of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ides on white horse, but the great person of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rides on black horses. In additi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blue horse means black horse, but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blue horse means white horse. The Japanese and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red horse proved to have both positive symbolism and negative symbolism. For example,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red horse may represent a bad sign. But, sometimes it represent a good image as a maid. Meanwhile,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red horse also saw a negative aspect of cheap horses used for agriculture and a positive symbolism of a famous dead man on horseback riding. Finally, I could not find a horse’s example from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On the other hand, in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it turned out that yellow horses have symbolism as precious horses. And the yellow horses often found a pair with black horses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Also, in the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s, it turned out that white horses(No.1), black horses(No.2), red horses(No.3) symbolize the rank order of hierarc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