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의 과학교육활동을 위한 캐릭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제중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9 조형미디어학 Vol.12 No.1

        Characters are emerging as important items in the industry or education in modern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nd culture is highlighted. This might be attributed to the increasing utilization of characters as the visual language for educating children including publications, cartoons, music disks, games, etc. Especially, the impacts of characters on children are considered great, which are used in publications for education, visual objects and other learning materials as the imagination, creativity and thinking abilities become important facto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language while children are living, learning and growing up. This study attempted to design and develop characters to lead children to have interests in their learning activities while enabling them to have exciting access to 'science' which is recognized as a difficult and complicated subject to them from time to time in order to comply with efforts from each class and stratum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and spreading out such percep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character designs and suggesting their examples of application for effective activities of science education in order for children to induce the positive participation of learning with their friendliness, as well as to have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such as event exhibitions, learning activities, publications related to science learning or scientific animations, etc.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any designing of characters fo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appropriately to the objectives like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for the developing stages of children, characteristics by the developing stage, their aesthetic preference, etc. In addition, character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appropriately for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by applying the pattern, color and expressive methods for children to developing character designs on the basis of examination results from the preceding studies. The designing development was done with Kimchi doctors 'Chichi' and 'Chacha' as main characters, with Kimchi mother and son, three Kimchi brothers and sisters respectively as 'Sookyi', 'Tokyi', 'Pokyi', 'Tukyi' and 'Baekyi', and with a lactobacillus 'Sanyi' as sub character A and B. In addition, 10 types of icons were developed to be used together with the developed characters. Specific examples of the developed characters were also suggested for such utilizations as the board exhibition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lash animations, learning contents productions and other related book productions, etc. 지식과 문화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캐릭터는 매우 중요한 산업 또는 교육 아이템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캐릭터를 이용한 출판, 만화, 음반, 게임 등 아동 교육에서 시각 언어로서 활용도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 때문일 것이다. 특히 아동들이 생활하고 학습하며 성장해 나가는 데 있어 언어 발달과 함께 상상력, 창조력, 사고력 개발에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교육용 출판물, 영상물 및 기타 학습자료 등에 사용되는 캐릭터는 아동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확산하기위한 각계각층의 노력에 부응하기위하여 아동들에게 때로는 어렵고 복잡한 과목으로 인식되어있는 ‘과학’을 흥미롭게 접근하여 재미있는 학습활동이 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캐릭터를 디자인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과학관련 이벤트 전시, 학습활동, 과학학습관련 출판물 또는 과학 애니메이션 등의 과학교육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또 아동들에게 친숙하면서도 긍정적인 학습참여를 유도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과학교육활동을 위한 캐릭터를 디자인 개발하고 그 적용사례를 제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아동을 위한 캐릭터를 디자인 개발할 때에는 아동의 발단단계와 발달단계별 특징 및 미적 기호 등을 과학교육활동과 같은 목적에 맞게 개발하여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선행연구들의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들에게 효과적인 캐릭터의 형태와 색채 및 표현방법들을 본 연구를 위한 캐릭터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여 과학교육활동에 적합한 캐릭터를 디자인 개발하였다. 김치박사 ‘치치’와 ‘차차’를 Main Character로, 김치 가족인 김치 모자(母子)와 김치 삼남매를 각각 ‘숙이’와 ‘똑이’ ‘포기’, ‘뚜기’. ‘배기’ 그리고 유산균‘산이’를 Sub Character A, B로 디자인 개발하였다. 또 개발한 캐릭터들과 함께 사용할 Icon 10종도 아울러 개발하였다. 개발된 캐릭터들은 과학교육관련 보드전시, 플래시 애니메이션, 학습콘텐츠 제작, 관련서적 제작 등에 활용되는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 인성교육체제와 발전방안 연구- 전략적 인적자원개발적 접근 -

        이연주(Lee, Yeonj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5

        본 연구는 전략적 HRD의 접근을 통해 국내 대학에서 인성교육이 더욱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대안을 탐색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인성교육평가지표를 검토하였고, 국내 대학의 사례와 전략적 HRD이론을 적용하여 인성교육발전단계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대학의 각 인성교육발전 단계에 따른 발전방향과 과제를 추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국내 대학의 인성교육발전단계는 1단계인 선언적 인성교육, 2단계인 산발적 인성교육, 3단계 공식적 인성교육, 4단계 전문적 인성교육, 5단계 통합적 인성교육, 6단계 전략적 인성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1단계부터 4단계까지 발전은 부서의 형태와 전문 인력의 배치가 중심이 되며, 5단계와 6단계는 인성교육책임자의 역량과 리더십에 의해 좌우된다. 결과적으로 인성교육기관은 교내 인성교육의 컨트롤 타워로서 위상을 가져야 하며 경영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각 인성교육관련 기관과 소통과 협력적 체제를 마련하여야 한다. Through the strategic HRD approach,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alternatives for character education to be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in universities and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viewed the evaluation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applied the case studies of universities and the strategic HRD theory to suggest the stage for character education development. Through this process, the university extracted development directions and tasks for each phase of character education development. According to research in this paper, the level of character education development in universities is first stage declared character education, second stage sporadic character education, third stage official character education, fourth stage professional character education, fifth stage integrated character education, and sixth stage strategic character educat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from Stage 1 to 4 is centered on the form of departments and the placement of professional personnel, and the Stage 5 and 6 are dependent on the skills and leadership of the person in charge of character education. As a result, a character education institution should have a status as a control tower for character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as a strategic partner in management, it should establish a system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each character education-related institution.

      • 어린이 영양제 캐릭터 개발 연구 : 만6세부터 13세 중심으로

        김원경 디자인 여성학회 2010 디자인여성학연구 Vol.6 No.1

        In consideration of children’s consumption, nutritional supplements for children are being released on a large scale while there are expectations for high growth of the functional food market along with consumers’ growing interest in health. With people attuned to an age of low birth rates, there is an ever growing interest in parenting and the health of children, which has led to a syndrome of health supplements not only in the lifestyle of adults but also in that of children. The great interest in the health of children for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children’s lives has brought about an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nutritional supplements for children. At least one nutritional supplement, such as a multi-vitamin, which is the most inexpensive supplemental medicine as a health food and health supplement, has become a requisite for children. With such growth of the functional food market, characters have been utilized for nutritional supplements for children as a way for corporations to reinforce the competitive edge of children’s products. Characters have played a role in creating and leading children’s culture through TV cartoons, games, and animation, all of which have been enjoyed by children to date. Today, characters are enhancing the preference for the products of a corporation and causing a positive mindset for such products by forming an emotional chemistry that affects children. Characters incur stimulation intuitively through interaction with cognition during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they serve as an object of curiosity and longing and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Children’s preferences for such characters may be discussed through 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The theme of this paper i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haracters for children’s nutritional supplements”.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increasing trend of products applied with characters in the Korean nutritional supplements market for children, this paper seeks to develop characters for nutritional supplements that may be utilized symbolically in the nutritional supplements market for children. Based on Piaget’s theory, this paper approaches the tendency of children’s preference for characters theoretically, and it aims to appl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that have been preferred by children in terms of the formative aspect. For the paper, characters were created so that those characters may be used as a symbolic tool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s nutrition and the promotion of the intake of nutritional supplements, while overcoming the trend of characters being limited to existing package designs in their use. The development of such characters is hoped to have an affirmative effect not only on parents or guardians but also on their children, who are the object of consumption, concerning the intake of nutritional supplements.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능성 식품 시장의 고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어린이 소비자를 고려한 어린이 영양제 상품들이 대거 출시되고 있다. 저 출산 시대에 걸맞게 자녀양육과 자녀 건강에 대한 관심증대로 어른은 물론이고 자녀인 어린이들의 생활양식 에서도 건강 보조제 신드롬이 나타나고 있다. 자녀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자녀 건강의 큰 관심은 어린이 영양제 소비증가를 가져다주었다. 가장 저렴한 보약으로써 건강식품 과 건강 보조제에 해당하는 멀티 비타민과 같은 영양제 하나 정도는 필수가 된 것이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 시장의 성장으로 기업 내 어린이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캐릭터가 어린이 영양제 제품에 활용되어지고 있다. 캐릭터는 지금껏 어린이가 즐기는 TV프로그램 만화, 게임, 애니메이션 을 통해서 아동문화를 형성하고 선도해 나가는 역할을 해왔다. 오늘날 캐릭터는 아동에게 주는 정서적 공감대로 기업 내 제품에 대한 호감도 증대와 긍정적 마인드를 가져다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캐릭터는 어린이 정서 발달과정에서 인지와 서로 영향을 끼쳐 직감적으로 자극을 가져다주며 호기심과 동경의 대상, 자아표출수단 으로써 되어 진다. 이러한 캐릭터에 대한 아동의 선호도는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을 통해 이야기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주제는 '어린이 영양제 캐릭터 연구 개발'이다. 국내 어린이 영양제 시장에서 캐릭터를 적용하는 제품이 늘어나는 추세에 맞추어 어린이 영양제 시장에서 상징적으로 활용되어지기 위한 영양제 캐릭터 개발을 하고자 한다. Piaget이론을 바탕으로 어린이 캐릭터 선호도 경향에 관해 이론적으로 접근하였으며, 조형적 측면에서 어린이들이 그동안 선호한 캐릭터들의 조형적 특징을 적용 하고자 하였다. 기존 패키지 디자인에 국한되어 있던 것에서 벗어나 어린이 영양 교육 및 영양제 섭취 홍보를 위한 상징적 도구로써 캐릭터가 사용되어 지기를 목적으로 제작 하였다. 이러한 캐릭터 개발을 통하여 보호자뿐 아니라 소비 대상인 어린이들에게 영양제 섭취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 KCI등재

        중국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경철(Kim, Kyung-Chul),한유진(Han, Yoo-Jin),심효영(Xiaoying, She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향하는 가치를 가지고 창의인성의 사고와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중국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은 1단계 문제분석 및 기획, 2단계 정보수집 및 통합, 3단계 설계, 4단계 초기개발, 5단계 평가 및 수정개발의 5단계 개입연구방법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면담조사와 현장조사 결과를 근거로 개입 구성요소와 개발원칙을 개발하였으며, 중국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과 전문가 서면평가 실시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 원형을 설계하였다. 초기 프로그램 개발과 예비연구를 거쳐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중국 북경의 사립유치원 유아를 대상으로 8주 동안 18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적용 결과, 「중국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유아의 창의성과 인성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국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중국 유아의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교육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 China.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nese Children was developed through multiple phases of investigation. They included problem analysis and planning in the first stage,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tegration in the second stage, program design in the third stage, initial development of the program in the fourth stage, and evaluation and revision of the program development in the fifth and final st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 components and development principles of the program were developed based on interviews and on-site surveys. The original program was designed as well based on written evaluations of curriculum experts in China. The program was organized through initial program development and preliminary research, and then was carried out through 18 sessions over eight weeks of private kindergartens in Beijing, China. Second,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nese Childre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of the experimental group. It is expected that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nese Children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esirable character for Chinese young children.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인성함양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진정아 ( Chen Jing Ya ),고영춘 ( Ko Young Chu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3 인성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활적응이 자아탄력성과 인성함양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즉, 대학생활적응이 자아탄력성이 인성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요인인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하고, 위계적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 Sobel 테스트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의 자아 탄력성, 인성함양과 대학생활적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자아탄력성은 대학생활적응과 인성함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도 인성함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대학생활적응을 통해 인성함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인성함양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이 모두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대학교에서 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인성함양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의 개별 요구를 파악하여 맞춤형 학습 지원, 심리 상담, 신체 건강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생활적응을 개선하고 대학생의 인성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haracter development.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ootstrapping, and Sobel test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character development,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character development,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aracter development. Self-efficacy was found to indirectly influence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Furthermore,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ct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haracter development for university students. It can be concluded that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self-efficacy and character develop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ing tailored learning support,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physical health programs based on individual needs, can improve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foster their character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유아 인성발달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분석

        고정리(Go, Jeong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과 유아 인성발달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경남지 역에 근무하는 공립유치원 교사 33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8년 9월 1일부터 7일까지 일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 인성발달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셀프 리더십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 셀프리더십과 유아 인성발달 관계에서 교사-유아 간 언어적 및 행동적 상호작용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유아 인성발달관계에서 교사-유아의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각각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바람 직한 인성 발달을 위해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in relation of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and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To achieve this purpos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measured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and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the subject were 336 public kindergarten teacher in gyeong sang nam do. To measure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and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measurement tool was made existing tool. On this basis, research material was collected and analyzed. SPSS statistics 23 for window program for data processing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tween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and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had attentive relation and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effected on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positively. Second, linguistic, active interaction had part mediator effect attentively in relation of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and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This study had meaning to analyze mediating effect of teacher-preschooler s linguistic, active interaction in relation of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and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This study present necessity to examine way to improve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and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for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 KCI등재

        Character Development Theory and Its Implications for Children

        Sung-Won Kim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2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formation tech Vol.0 No.22

        Recently, crimes committed by the young generation have been occurring often and their morality has been questioned. Currently, therefore, a popular focus in the field of values education is character education. On a biblical foundation, it is connected to self-concept,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ethical perspectives. Several scholars, Kohlberg, Selman and Loevinger, suggest a character development stage model, asserting that as children grow older, they move from having a self-centered to an other-centered perspective. Even though there are arguments for and against character education, it should contain an emphasis on cultural assimilation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raction. It is significant not only to church, but also school, family and community, all of which cooperate in a child’s character development. Furthermore, in a Christian setting, a child develops character through worshipping God and caring and being cared for by fellow Christians.

      • KCI등재

        인지론적 ILOs 접근에 기반한 백워드 설계 중심의 인성교육 단원 개발

        배은미 ( Bae Eun-mi ),강현석 ( Kang Hyeon-su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인지론적 ILOs 접근에 기반한 백워드 설계 중심의 인성교육 단원을 구안 및 적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관련된 문헌을 분석하여 인성 및 인성교육, 인성교육 요소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과 본 연구에서의 접근방법 및 인성교육과 백워드 설계와의 관련성에 대해 탐색하였다. 그리고 백워드 설계의 단계 및 주요 절차와 단원 개발 접근 방법 그리고 백워드 설계 단계별 인성교육의 방향과 구현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백워드 설계 중심의 초등학교 6학년 수학과 인성교육 단원을 구안 및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인지론적 ILOs에 기반한 백워드 설계 중심의 인성교육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참여도를 높여 교과는 물론 관련 인성교육 요소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지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을 일선 교사들이 당장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백워드 설계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와 백워드 설계를 우리의 교육 실정에 맞게 재구조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백워드 설계 중심의 인성교육단원 구안과 적용과정에서 교육과정 중심 수업설계로의 인식전환, 적용 초기에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 및 점차 교사 역할 줄이기, 수행과제 해결과정 중 본질적 질문을 통해 수업 초점 잡기, 협력적인 학급문화를 형성하여 기반 다지기라는 유의점을 도출하였다. 인성은 단시간에 길러질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니라 통합적 접근에 따른 교과교육을 통해 지속적으로 꾸준히 길러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nd apply unit on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backward design based on cognitive ILOs approach and to derive implications afterward. To do this, we defined the concepts of character,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elements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alysis, and explored the main approach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approach in this study and the relevance of backward design and character education. We also examined the steps and the key procedures of backward design, the approach to development. And we examined the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at the step of backward design. Based on this, we designed and applied 6th grade character education unit(mathematics) centered on backward design. As a result, the character education by backward design based on the cognitive ILOs approach helps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and to enhances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willingness to embrace the practice. However, this method seems to be difficult for general teachers to use immediately.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applicating the character education unit centered on backward desig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cognition to the curriculum-based class design, actively intervene and reduce the role of the teacher in the early stage of application, to focus on the essential questions during the performance task solving process, An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classroom culture. Character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rais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should be steadily cultivated through subject matter education based on an integrated viewpoint.

      • 경상북도 캐릭터의 경쟁력 강화방안

        조지현 한국문화경제학회 2007 문화경제연구 Vol.10 No.2

        Recently, character industry is rising up as high value-added business and creation of brand effect in regional industry as well as a positive countermeasure of regional prom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various program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23 cities and counties in Gyeungbuk and intensify regional brands’ power for maximization of brand effect of regional characters. Valuation basis of characters of cities and counties was deduced by consulting of specialists and survey was performed for not only public officials in each city and county and also teens to be familiar with character. Currently it shows that all of 23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buk have their own characters. Assessment of regional characters was progressed by two parts, one of them was characteristic valuation (aspect of image and design) and the other was utilization valuation (aspect of brand and business). As the result of assessment for 23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buk Province, 3 groups (Ⅰ, Ⅱ, Ⅲ) were classified in the aspect of image and design. And 4 groups (A, B, C, D) were classified in the aspect of brand and business. Considering overall valuation of characteristic and utilization, the results could be classified as 8 groups. The first step for brand differentia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creation of regional image is to differentiate their own characters. The original and creative characters to express the cultural variety should be excavated to emboss Gyungsanbuk-do own differentiation and supply the regional image improvement and foundation of character industry. To develop characters, a major strategy can be to excavate a collaborated character through cooperation of various cities and counties and proceed marketing. It is necessary that character should be recognized as a kind of brand and positive and delicate marketing should be introduced. And it also needed to characterize a new material to create enough consensus. It showed that connection with related industries for character was quite weak despite all of 23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buk have their own characters. As character industry and licensing play the role of bridge among industries e.g. cultural contests and general industry, it can help make higher industrial profit. The final target is creation of industrial consideration like that should be advanced. Regional characters should be commercialized in connection with regional principal products as not a part of tourism industry but character industry. Moreove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suitable for regional image should go side by side to expand various culture industry. 최근 캐릭터산업이 지역홍보의 적극적 대응책인 동시에 지역산업 고부가가치화와 브랜드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분야로 부상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역캐릭터의 브랜드효과 극대화를 위해 경북지역 23개 시∙군 캐릭터현황을 파악하고 지역브랜드 파워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시∙군 캐릭터의 평가를 위한 평가기준은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도출하였으며, 이 평가기준을 토대로 각 시∙군 담당공무원 및 캐릭터문화에 익숙한 10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경북 도내 23개 시∙군 모두 캐릭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캐릭터의 평가는 크게 특성평가(이미지와 디자인 측면)와 활용성 평가(브랜드와 사업성 측면)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경북지역 23개 시∙군을 평가한 결과 캐릭터의 이미지 및 디자인 측면에서는 3개(Ⅰ, Ⅱ, Ⅲ) 군(群)으로 분류되었다. 브랜드 및 사업성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평가한 결과, 크게 4개(A, B, C, D) 군으로 분류되었다. 특성평가와 활용성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는 크게 8가지의 군으로 분류되었다. 경북지역 23개 시∙군은 전 지역에 캐릭터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캐릭터의 산업화 연계 등의 측면에서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릭터산업과 캐릭터 라이선싱은 산업 간 교량(bridge)적 역할을 담당하며, 문화콘텐츠와 일반제조업간의 교량역할을 통해 서로가 산업적 이득을 더 높일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캐릭터 산업과 제조업체 간의 연결로 인한 산업적 부가가치 창출이 바로 캐릭터산업의 최종 목표이다. 따라서 캐릭터를 개발할 때는 이러한 산업적인 측면의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지자체의 캐릭터 개발 및 사용∙홍보에 있어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며, 운영 체계∙홍보∙관리 등에 체계적인 연구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시∙군별 지역 캐릭터의 과당경쟁을 줄이고, 상생과 협력의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캐릭터산업 주체들 간의 교류활성화를 통한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지역캐릭터가 관광산업의 일부분이 아닌 캐릭터산업으로서 지역특산물과 연계해 상품화하고, 나아가 지역의 다양한 문화산업으로 연계∙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지역이미지에 맞는 콘텐츠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토마스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에 기초한 리더의 자기성찰적 인성 개발

        조철현 (Cheol-Hyun Ch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4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1

        Christian leaders have positively served and contributed to churches and Christian organizations, but serious problems have occurred in the church due to their dysfunctional character. This study tries to develop an effective method to enhance Christian leaders’ character based Thomas Groome’s Shared Praxis structure. According to psychologists’study results, leaders’ character problems derive from their negative childhood experiences. In biblical perspective, it can be viewed as the result of the human beings’ original sin. The original sin has strongly and negatively been influencing human beings’ character in two ways: whether they highly exalt or extremely lower themselves. Various character problems appear in Christian leader, but there are five distinctive character problem types; narcissistic character, obsessive character, anger type character, and risk averse character. Five structures of Thomas Groome’s Shared Praxis are as follows; naming the present action, the participant’s stories and visions, the Christian community story and vision, dialectical hermeneutic between the story and participants’ stories, and dialectical hermeneutic between the vision and participants’ visions. This study suggests Christian leaders’ character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these five Shared Praxis structures. First, Christian leaders are to objectively recognize their character problems. Second, they need to have time to reflect reasons of their character problems. Third, proper words of God, which are suitable for dealing with character problems, should be selected. Fourth, it is required of dialectical hermeneutic process between the words of God and leaders’ character problems. Fifth, leaders are to take practical steps to act on what they have decided to do for character improvement. It is helpful to use spiritual formation training, self-writing, and leader small group meeting for practical 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