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용과 연관의 인과론―스피노자 인과 이론에 대한 한 가지 해석

        진태원 한국헤겔학회 2010 헤겔연구 Vol.0 No.27

        This paper aims to reinterpret the Spinozist causality through the concepts of affectio and of connexio. The Spinozist causality has been understood as an immanent causality according to the proposition 18 of De Deo (“God is the immanent, not the transitive, cause of all things”). The problem of this interpretation is that the majority of the commentator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mmanent causality and transitive causality as a dual, or at least exterior relationship. But this interpretation make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implicit connection between Spinoza's philosophy and the modern physics established by Galilei and Newton, and also the ethical significance of the Spinozist conception of causality. In order to resolve this difficulty, we need to revisit the causality in the proposition 28 of the 1st part of the Ethics. It has been considered as an example of transitive or linear causality in opposition to the immanent causality in the proposition 18. I demonstrate that it is rather a causality which is relevant to the relativistic causality of modern physics, so it can be conceived as a non-linear, connective(or structural) causality. Contrary to the most interpretations which oppose the immanence to the transitivity, the connective causality could show that the immanent causality is not different to the exterior co-relations between singular things, and that the basis of radical anti-teleology of Spinoza's philosophy is to be found here. The second thesis of this paper is that with the concept of affection, we can understand that the essence of a singular thing is a product of the relations with the other singular things, so that the interiority of it is constituted by the exteriority. It is necessary, therefore, to avoid the confusion between the affection and the passivity, if we want to elucidate the ethical significance of the Spinozistic conception of causality. 이 논문은 스피노자의 인과론을 변용과 연관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피노자 인과론은 “신은 만물의 내재적 원인이지 타동적 원인이 아니다”라는 『윤리학』 1부 정리 18을 따라 내재적 인과론으로 이해되어 왔다. 문제는 대개의 주석가들이 내재적 원인과 타동적 원인의 관계를 이원적으로, 또는 적어도 상호 외재적인 것으로 이해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스피노자 철학이 갈릴레이와 뉴턴에 의해 성립한 근대 물리학과 맺고 있는 관계를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게 할뿐더러, 스피노자 인과론의 윤리적 함의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게 만든다.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은 첫째, 흔히 타동적 인과관계의 전형으로 해석되는 『윤리학』 1부 정리 28의 인과론은 근대 물리학의 상대론적 인과론과 합치하는 것이며, 연관의 인과성(또는 구조적 인과성)을 나타낸다는 점을 입증한다. 연관의 인과성은 내재성과 타동성을 추상적으로 대립시키는 기존의 해석들과 달리, 스피노자의 내재적 인과론은 독특한 실재들의 외재적 상호 연관과 다르지 않으며, 스피노자 철학의 근원적인 반목적론적 성격은 여기에 기초를 둔다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스피노자의 변용 개념은 독특한 실재들의 본질은 다른 실재들과의 관계, 따라서 외재성의 산물이라는 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스피노자 인과론의 윤리적 함의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변용과 수동성을 혼동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질적 평가연구의 인과성 규명방법 개선을 위한 시론적 연구: 마이스터고 정책의 물리적 인과관계 규명을 중심으로

        서영빈,이윤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9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9 No.3

        This study aims to improve how to investigate causality in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programs. As factual causality based on counter-factual as a conceptual framework used frequently in the social science research is not easy to be identified well in the qualitative research, so it is not enough for finding out causality in the qualitative evaluation. Thereby this study introduces the physical causality identification method,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factual causality. Physical causality is defin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orce as a cause and motion as its result, which means the causal relationship observed directly in the real world. In contrast with the factual causality identification method of verifying existence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 program and its effect by comparing the effect resulted from intervention of a program and the effect brought about by no intervention of a program, there is a physical causality identification method which shows existence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 program and its effect by identifying a direct operative reason as a powerful and direct cause of the program result. As a result of confirming whether there exists physical causality or not by investigating the operative reason for the program effect after applying the physical causality method to the Meister High School Program, it is found that Memorandum of Agreement on a company’s employment of the high school graduates works as more powerful, operative reason for the program effect, which represents increase in employment numbers of the hight school graduates, than other factors. It is concluded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at the physical causality identification method is effective in investigating causality in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a program. 본 연구는 정책에 관한 질적 평가에서 물리적 인과성 규명에 기초한 평가방법을 새롭게 제안함으로써 질적 평가의 인과성 규명방법을 개선하고자 한다. 사회과학연구에서 인과관계 규명을 위한 개념적 틀로 활용되는 대응적 사실을 기초로 하는 사실적 인과성은 질적 연구에서 정확하게 밝히기가 용이하지 않은 관계로 질적 평가에서도 인과관계 규명을 위해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로 인해 본 논문에서는 대응적 사실에 기초하는 사실적 인과성(factual causality)규명방법과 구분되는 물리적 관계에 기초한 물리적 인과성(physical causality) 규명방법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물리적 인과성은 원인으로서 힘과 그에 따른 결과로서 동작의 관계로 정의되는데, 이는 현실에서 직접적으로 관찰이 가능한 인과관계를 의미한다. 정책에 관한 질적 평가에서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정책의 처리가 있을 때 결과가 나타난 것과 정책의 처리가 부재할 때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비교하여 인과관계가 있음을 증명하는 사실적 인과성 규명방법과 달리, 정책이 결과를 초래한 강력하고 직접적인 원인인 운영 이유(operative reason)를 밝힘으로써 인과관계가 성립함을 보여주는 물리적 인과성 규명방법이 있다. 이를 마이스터고 정책 사례에 적용하여 정책효과에 관한 운영 이유를 밝힘으로써 물리적 인과성의 유무를 확인한 결과, 마이스터고와 기업 간의 고용협약이 마이스터고 정책의 효과인 졸업생 취업자 수 증가를 설명할 수 있는 더 강력한 운영 이유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물리적 인과성에 기초한 정책과 결과간의 인과관계 규명방법이 정책에 관한 질적 평가연구의 인과성 규명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지었다.

      • KCI등재

        한·중 인과관계 표현 형식과 분류 기준 연구

        유로 ( Liu Lu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7

        한국어와 중국어에는 인과관계를 표시하는 형태들이 풍부하다. 따라서 각각의언어의 인과관계 표현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두 언어의 인과표현 형태에 대한 분류 방식이 서로 다르므로 기계번역과 대조연구에 적지 않은 모순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한 중 인과관계 표현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선행연구에서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한 중 인과관계 표현의개념과 범위를 새롭게 설정했다. 그리고 포괄적인 언어 철학의 시각에서 분류하고 논리적인 근거를 통해 한 중 인과관계 표현을 계층화하고자 노력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와 중국어 인과관계 관련사를 사리설명인과관계, 논리추론 인과관계, 심리의욕 인과관계로 나누었다. 각각의 하위분류로서 사리설명 인과관계에는 객관적이고 필연적인 인과관계, 경험적이고 확률적인인과관계, 우연한 인과관계를 포함시키고 논리추론 인과관계에는 원인-결과 인과관계와 결과-원인 인과관계를 포함시키며 심리의욕 인과관계에는 의도-행동 인과관계와 행동-목적 인과관계를 포함시켰다. 그 다음에 동일한 잣대를 기준으로 대조, 분석하여 한 중 두 언어의 인과관계 표현형태들의 대응 법칙을 모색하였다 In Korean and Chinese, there are many forms of causality, and there are a lot of researches about the relationship of causality. However, in two languages, there are different ways of classifying causality, which will bring some difficulties to Machine Translation and the comparative study. Therefore, The author in this paper discusses the pre-research about the performance of causality, points out problems in the pre-research, and to redefine the definition and range of the performance of causality. Then the author classifies the performance of causality by using the logical semantic from the perspective of general philosophy of language and divides Korean conjunction endings for causality and Chinese conjunctive words for causality into three categories: causality for practical illustration, causality for logical reasoning and causality for psychology, in which causality for practical illustration includes objective necessity causality, experience probable causality and opportunities causality; causality for logical reasoning includes reason-results causality and results-reason causality; causality for psychology includes intention-action causality and action-purpose causality. Finally, the author comparatively analysis the performance of causality for Korean and Chines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explores corresponding laws for the performance of causality between Korean and Chinese.

      • KCI등재

        근대적 인과율의 해석에 대하여

        원승룡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용봉인문논총 Vol.- No.55

        The key problems of modern epistemology largely revolve around the debates over the problem of the Law of causality. It is because the notion of causality was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laws of newly arising natural sciences of the time. However, as the notion of causality is connected with the ground of being(ratio essendi) as well as that of cognition(ratio cognoscendi), it has long been the locus of diverging philosophical interpretations. In this respect, critically investigating the debates between Hume and Kant over the problem of causality, I try to review the nature of the debate in connection with Aristotelian and contemporary conceptions of causality. Concerning the re-interpretations of causality after those of Hume and Kant, I will cover the scientist notion of causality, which is confined within the scope of causal explanation, and Schopenhauer’s view of causality, in which he critically interprets Kant’s notion of causality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ground(Der Satz vom Grund). Despite of differences of interpretations I will conclude that the universal Law of causality in the western epistemology has functioned commonly as a ground of ratinal knowledge in general. 근대 인식론의 문제는 인과율을 둘러싼 논쟁에 가장 잘 함축되어 있다. 그것은 당대 새로이 정립되는 자연과학의 법칙들과 긴밀히 연관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인과율은 인식의 근거는 물론 존재의 근거에 관련되어 근대 이전이나 근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철학적 해석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필자는 흄과 칸트의 근대적 인과율 논쟁을 중심으로 이를 고대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과 개념이나 현대의 인과 개념의 해석과 연결시켜 그 변이와 차이를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칸트의 인과율을 충분근거율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쇼펜하우어의 형이상학적 입장과, 인과적 설명 논증의 구조 안에서 인과율을 해석하는 현대 과학론자들의 입장을 다루려고 한다. 이러한 인과율의 해석의 역사 속에서 우리는 보편적 인과율이 결국 지식 일반의 본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그것이 서양 인식론의 토대였다는 것을 밝혀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비선형 인과의 불교철학적 이해

        김종욱(Kim, Jong-Woo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7

        실체론에서 관계론으로의 전환을 지향하는 현대 과학의 대표인 시스템 이론과 복잡계 과학에서 관계론은 인과 관계의 비선형성으로 특징지어진다. 비선형 인과란 원인이 결과를 향해 일방향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선형 인과에 대한 거부로서, 결과가 다시 자신의 원인에게 영향을 주어 그 원인을 재구조화한다는 인과의 양방향성을 가리킨다. 그런데 기존의 대다수 학문에서 인과율은 원인에서 결과로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선형 인과로 인식되어왔다. 고대의 이데아론과 중세의 창조론과 근대의 기계론은 모두 인과가 선형적으로 원인에서 결과로 일방향으로만 간다고 본다는 점에서 공통되는데, 이런 선형 인과는 그 일방향성으로 인해 사물과 인간을 위계화하고 도구화하는 데 훌륭한 수단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현대의 복잡계 과학에선 이런 인과의 일방향성을 거부하고, 결과도 원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양방향성의 비선형 인과를 주장한다. 복잡계 과학에서 나타나는 비선형 인과의 방식은 불교 교학의 핵심 개념인 연기와 공에서도 발견된다. 무명과 행, 행과 식, 식과 명색 등 십이연기의 각 관계 항목들에서 결과가 거꾸로 원인에게 그 영향을 피드백하는 비선형적 현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원인과 결과 사이의 비선형적 상호의존성은 인과의 성격이 비실체적 공성임을 함축하고, 이런 인과의 공성은 인선과후(因先果後)의 선형성뿐만 아니라 과선인후(果先因後)의 비선형성도 가능함을 보여준다. 더욱이 인선과후의 선형성과 과선인후의 비선형성 간의 중도적 균형은 정신과 물질, 몸과 마음 혹은 뇌와 마음의 관계에서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해준다. 이런 시각은 뇌가 마음을 일으키고 형성하지만, 마음이 변화하면 뇌 역시도 변화한다는 뇌 가소성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마음의 변화로 뇌의 변화가 일어난다는 비선형적 가소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불교의 명상 수행인데, 명상을 통한 마음의 변화는 뇌파의 변화와 아울러 뇌구조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온다. Representative of contemporary science, systems theory and complexity science aim at the transition from substance theory to relational theory. In complexity science, relational theory is characterized by the non-linearity of causation. Linear causality holds that a cause influences an effect unilaterally, while non-linear causality posits that an effect influences its cause in reverse, and thus restructures the cause. The bilateralness of cause and effect characterizes non-linear causality. The majority of the existing sciences have historically supported linear causality. The idea of theory in ancient philosophy, the doctrine of creation in the Middle Ages, and mechanical philosophy in the modern era all have the unilateralness of linear causality as a common denominator. Their unilateralization brought about the hierarchy between the human and nature, and hence the instrumentalization of nature. However, contemporary complexity science rejects the unilateralness of linear causality in favor of the bilateralness of -non-linear causality. The non-linear causality style of complexity science can be found in pratītyasamutpāda and śūnyatā, core constructs of Buddhist doctrine. Avidyā and saṃskāra, saṃskāra and vijñāna, vijñāna and namarūpa, and so on, in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represent the feedback phenomenon of non-linear causality. The non-linear interdependence between cause and effect implies the non-substantial śūnyatā in causality. This śūnya causation admits not only the linearity of cause first and effect last, but also the non-linearity of effect first and cause last. The middle way between the linearity of cause coming first and effect last, and the non-linearity of effect first and cause last provides a well-balanced perspective of the relation of mind - matter, mind - body, and mind - brain. - This vision comes out in the plasticity of the brain, which can make alterations in its structure and function through experience and practice, or through thinking and acting by itself. The continuous practice of meditation activates theta and gamma brain waves; strengthens the left prefrontal lobe, related to positive feeling; enlarges the hippocampus and orbitofrontal cortex related to memory and emotion control; activates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related to inhibitory and relaxant actions.

      • Causal inference in environmental epidemiology

        Sanghyuk Bae,Hwan-Cheol Kim,Byeongjin Ye,Won-Jun Choi,Young-Seoub Hong,Mina Ha 환경독성보건학회 2017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32 No.-

        Inferring causality is necessary to achieve the goal of epidemiology, which is to elucidate the cause of disease. Causal inference is conducted in three steps: evaluation of validity of the study, inference of general causality, and inference of individual causality. To evaluate validity of the study, we propose a checklist that focuses on biases and generalizability. For general causal inference, we recommend utilizing Hill’s 9 viewpoints. Lastly, individual causality can be inferred based on the general causality and evidence of exposure. Additional considerations may be needed for social or legal purposes; however, these additional considerations should be based on the scientific truth elucidated by the causal inference described in the present article.

      • KCI등재

        빅 데이터 분석에서 상관성과 인과성

        김준성(Joon-sung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마이어-쉔베르거와 쿠키어(Mayer-Schönberger and Cukier, 이하 MSC)는, 빅 데이터의 세계에서는 인과성보다 상관성이 실용적으로 더 유용하고 효율적이라고 주장한다.[4] 더 나아가, 빅 데이터의 세계에서는 인과성에 토대한 분석이나 예측이 상관성에 토대한 분석이나 예측에 밀려 주목받지 않거나 도태될 것이라 주장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상관성이 빅 데이터의 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를 예측하는 데에 충분하다는 MSC의 논증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2장에서는 빅 데이터의 세계에서 상관성이 우월하다는 MSC의 논증을 소개한다. 3장에서는 상관성은 그 자체만으로 충분히 실용적이고 유용하다는 MSC의 논증을 비판한다. 상관성과 인과성의 차이에 대한 오해를 지적하고 심슨(Simpson) 역설로 그 차이가 왜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4장에서는 빅 데이터 분석에서 인과성이 상관성보다 비효율적이라는 MSC의 논증을 비판한다. 특별히 인과성을 증명하는 수학적 방법이 없다는 주장의 오류를 보여준다. 구조방정식에 토대한 인과 모형의 수학적 이론들을 제시하고, 이들 이론으로 인과성이 빅 데이터 분석에서 매우 유의미하고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Mayer-Schönberger and Cukier(2013) explain why big data is important for our life, while showing many cases in which analysis of big data has great significance for our life and raising intriguing issues on the analysis of big data. The two authors claim that correlation is in many ways practically far more efficient and versatile in the analysis of big data than causality. Moreover, they claim that causality could be abandoned since analysis and prediction founded on correlation must prevail. I critically examine the two authors’ accounts of causality and correlation. First, I criticize that corelation is sufficient for our analysis of data and our prediction founded on the analysis. I point out their misunderstanding of the distinction between correlation and causality. I show that spurious correlation misleads our decision while analyzing Simpson paradox. Second, I criticize not only that causality is more inefficient in the analysis of big data than correlation, but also that there is no mathematical theory for causality. I introduce the mathematical theories of causality founded on structural equation theory, and show that causality has great significance for the analysis of big data.

      • KCI등재

        한국 주가지수 변동성과 일본 주가지수 변동성

        유한수 ( Han Soo Yoo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1

        우리나라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아시아 경제에서 선도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일본 주식시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국 주식시장에 대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주식시장 변동성과 일본 주식시장 변동성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려 하며 분석 대상 자료로는 각국의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한국의 KOSPI200과 일본의 NIKKEI225를 선정하였다. 한국 주식 시장과 일본 주식시장의 관계를 분석한 기존 연구들은 수준(level)변수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거나 또는 GARCH 모형 등을 이용하여 계산된 변동성을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GARCH 모형 등에 의해 계산된 변동성을 ``관측된 변동성``으로 용어정의하기로 한다. 관측된 변동성은 추세부분 (trend component)에 해당되는 영속적 변동성과 순환부분(cyclical component)에 해당되는 일시적 변동성의 합으로 정의한다. 즉, 기존 연구와는 차별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추세부분에 해당되는 영속적 변동성 부분, 단기적으로 존재하는 순환부분에 해당되는 일시적 변동성 부분을 추정하여 KOSPI200 관측된 변동성과 NIKKEI225 관측된 변동성의 관계, KOSPI200 영속적 변동성과 NIKKEI225 영속적 변동성의 관계, KOSPI200 일시적 변동성과 NIKKEI225 일시적 변동성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속적 변동성 부분과 일시적 변동성 부분을 추정하기 위하여 Engle과 Lee(1999)의 Component GARCH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대상기간은 비교적 최근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2005년 1월 4일부터 2009년 10월 30일까지의 일별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 시계열자료 중에서 어느 한 국가의 증권시장이 휴장되는 날의 경우 나머지 한 국가의 자료를 삭제함으로써 그 날의 시계열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로서, Component GARCH 모형을 이용하여 관측된 변동성, 영속적 변동성, 일시적 변동성을 추정하였다. Component GARCH 모형의 분산방정식은 σ2t = qt+a1(ε2t-1-qt-1)+β1(σ2t1-qt-1), qt=ω+p(qt-1-ω)+φ(ε2t-1-σ2t-1). 이다. 이 식에서 σ2t가 관측된 변동성이며, 영속적 변동성 qt와 일시적 변동성 a1(ε2t-1-qt-1)+β1(σ2t1-qt-1)의 합으로 표현되어 있다. qt는 지속적인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금융시계열의 경우 p값은 1에 가깝다. p값이 1인 경우는 영속적 변동성 부분은 임의보행과정이 된다. Component GARCH 모형 추정 결과, 자기상관계수 p의 값이 1에 근접하게 나타날 경우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속성을 갖게 되므로 모형이 적절하게 설정된 것으로 간주된다. 일시적 변동성 a1(ε2t-1-qt-1)+β1(σ2t1-qt-1)에서 a1+β1의 값은 p보다 작게 나타나야 하며 이 경우 일시적 변동성은 단기적으로 존재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멸되는 속성을 갖게 된다. 두 번째 단계로서, Component GARCH 모형을 이용하여 계산한 관측된 변동성, 영속적 변동성, 일시적 변동성 시계열 자료의 안정성(stationarity) 검정을 위해 단위근 검정을 하였다. 단위근 검정결과, 단위근이 없는 경우, 즉 안정적인 시계열 자료일 경우에는 원자료를 이용하여 VAR 모형을 통한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을 하면 된다. 본 연구에서는 KOSPI200 관측된 변동성, 영속적 변동성, 일시적 변동성과 NIKKEI225 관측된 변동성, 영속적 변동성, 일시적 변동성 모두 단위근이 없는 안정적인 시계열자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단계로서, KOSPI200 관측된 변동성과 NIKKEI225 관측된 변동성의 관계, KOSPI200 영속적 변동성과 NIKKEI225 영속적 변동성의 관계, KOSPI200 일시적 변동성과 NIKKEI225 일시적 변동성의 관계 분석을 위해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을 하였다. KOSPI200 관측된 변동성과 NIKKEI225 관측된 변동성은 서로 양방향의 그랜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KOSPI200 관측된 변동성과 NIKKEI225 관측된 변동성은 비슷한 행태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KOSPI200 영속적 변동성과 NIKKEI225 영속적 변동성도 서로 양방향의 그랜저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NIKKEI225(또는 KOSPI200) 추세 부분에 해당되는 변동성 부분의 변동이 발생했을 경우 KOSPI200(또는 NIKKEI225) 추세 부분에 해당되는 변동성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멸되는 변동성 부분인 일시적 변동성들 간에도 서로 양방향의 그랜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즉, KOSPI200과 NIKKEI225는 추세부분에 해당되는 영속적 변동성 뿐만 아니라 단기적으로 존재하는 일시적 변동성도 서로 밀접한 행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관측된 변동성, 영속적 변동성, 일시적 변동성 모두 양방향의 그랜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KOSPI200 변동성의 움직임을 예측함에 있어 NIKKEI225 변동성 분석이 도움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주가지수옵션가격 추정, 자본자산가격결정 또는 국제포트폴리오 헤지 전략과 같은 포트폴리오 위험관리 측면에 있어 고려해야 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Component GARCH 모형을 이용하여 영속적 변동성과 일시적 변동성을 추정하였는데, 추후의 연구에서는 다른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영속적 변동성과 일시적 변동성을 추정하여 KOSPI200과 NIKKEI225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를 하여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 empirically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KOSPI200 volatility and NIKKEI225 volatility. There is a strong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investment and international trade.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first moment of stock price index and observed volatility. In research angle, the analysis in thi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is paper is concentrated on permanent volatility and transitory volatility. That i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SPI200 permanent volatility and NIKKEI225 permanent volati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SPI200 transitory volatility and NIKKEI225 transitory volatility. Permanent volatility means the long-run component of observed volatility and transitory volatility means the short-run component of observed volatility. Observed volatility, permanent volatility and transitory volatility are estimated by using Component GARCH model. In Component GARCH model, observed volatility is assumed as the sum of permanent component and transitory component. Permanent volatility component has nearly a unit root, and transitory volatility component has a rapid time decay. That is, the long-run component is more persistent and mean-reverts much slower than short-run component. The sample period in this paper ranges from 4 January 2005 to 30 October 2009. Because Korean stock market holidays differ from Japanese stock market holidays, the corresponding date in another country which is a holiday in one country is deleted in the data set. I check the statistical features of the data. The summary statistics of stock price index return are as follows. KOSPI200 and NIKKEI225 time series data have the features of stock return as spiked peak and persistence. Ex ante ARCH LM tests show that there are ARCH effects in the residuals. Therefore, GARCH type is appropriate for these series. The procedure used in this paper involves the following steps. First, to estimate observed volatility, permanent volatility and transitory volatility, this study employs Component GARCH model. In Component GARCH model, variance equation is expressed as follows: σ2t = qt+a1(ε2t-1-qt-1)+β1(σ2t1-qt-1), qt=ω+p(qt-1-ω)+φ(ε2t-1-σ2t-1). That is, observed volatility is assumed as the sum of permanent volatility component and transitory volatility component. The Component GARCH model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AR coefficients of long-run component of KOSPI200 and NIKKEI225, p, are nearly one, and persistent rates of short-run component, a1+β1, are smaller than p. In the second step, before examining the lead-lag relations, the unit root test to check the stationarity of each series is first employed. To test for the existence of a unit root, Augmented Dickey-Fuller test is used. The appropriate lag length is determined by the Schwartz Criterion. In each case of volatilities, ADF test results show that the null hypothesis that the series has a unit root is rejected. That is, observed volatility, permanent volatility and transitory volatility are stationary series. Therefore, level series is used in VAR model for Granger causality test in this study. In the third step, to examine the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KOSPI200 volatility and NIKKEI225 volatility, Granger causality tests are performed. Granger causality test is a useful tool to uncover the direction of causality. Granger causality test examines whether the past values of a variable, NIKKEI225 volatility, helps explain the current value of another variable, KOSPI200 volatility. Observed volatility, permanent volatility and transitory volatility data are found to be stationary series. Therefore, Granger causality test based on VAR is applied. The Granger causality tests show that there are bidirectional Granger causalities between KOSPI200 observed volatility and NIKKEI225 observed volatility. Permanent volatility is the trend component of observed volatility, that is, it is the long-run component of observed volatility. As expected, there are bidirectional Granger causalities between KOSPI200 permanent volatility and NIKKEI225 permanent volatility. Transitory volatility is the cyclical component of observed volatility, that is, it is the short-run component. The Granger causality test based on VAR shows that there are bidirectional Granger causalities between KOSPI200 transitory volatility and NIKKEI225 transitory volatility. In short, the finding of this study suggests that NIKKEI225 volatilities help to estimate KOSPI200 volatilities. Therefore, analyzing the NIKKEI225 volatilities is required for managing KOSPI200 related financial instruments and implementing global hedging strategies and capital asset pricing. In this paper, Component GARCH model is employed to estimate permanent volatility and transitory volatility. To compare my findings, the area for further work is to do more applied work by using other statistical methods estimating permanent volatility and transitory volatility.

      • KCI등재

        유라시아 신용파생상품시장에서의 가격발견

        한덕희 ( Deokhee Hah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1

        신용파생상품은 장외파생금융상품의 하나로써, 신용위험이 내재된 기초자산에서 신용위험을 분리하여 거래당사자간에 이전하는 금융상품이다. 신용파생상품이 세계 최초로 1990년대 초반에 등장한 이래, 신용파생상품을 이용하여 채권 및 대출 포트폴리오에 대한 신용위험의 헤지와 이전이 가능해짐에따라 신용파생상품은 혁신적인 금융상품으로 받아들여져 2000년대 중반부터 그 시장규모가 급격히 성장하였다. 이후, 시장참여자들의 지속적인 유동성 제고와 표준화 노력으로 신용파생상품지수(CDS Index)도 개발되면서 세계 신용파생상품시장은 전체 장외파생상품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다. 신용파생상품지수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여러 CDS(Credit Default Swap)가격을 기초로 산출되는 시장지표로, 특정지역의 신용위험에 대한 매수 혹은 매도 포지션을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투자자에게 신용위험 관리와 거래를 위한 유용한 투자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신용파생상품지수는 표준화된 상품이기 때문에 유동성과 투명성이 높고 장외시장 거래 중심의 CDS 시장에 표준화된 거래기반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신용파생상품이 갖고 있는 복잡성으로 인한 정보의 불투명성이 줄어들어 신용위험의 가격발견(price discovery)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특히 가격발견은 그동안 재무이론분야에서 중요한 연구주제로 다루어져 왔다. 어느 한 자산의 가격발견 기능은 현재의 정보집합에 근거하여 미래의 다른 자산 자산가격에 대한 거래 당사자들의 종합적인의견이 반영되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새로운 정보가 발생하였을 때 기초자산시장보다는 파생상품시장에서 더 빠르게 반응하는 것으로 주장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었던 개별국가 내에서 국가 CDS 프리미엄과 현·선물시장간의 가격발견효과가 아닌 장외파생상품시장지수인 CDS지수를 사용하여 아직까지 연구가 되지 않은 유럽의 국가신용위험과 아시아의 국가신용위험간의 가격발견 관계를 분석하여 유라시아 장외파생상품시장에서의 동태적 영향관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그리스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유럽의 재정위기가 발생한 이후인 2010년 10월부터 2012년 4월까지를 표본기간으로 하고, 서유럽 15개 나라의 부도위험을 나타내는 마킷 아이트랙스 소브엑스 서유럽지수(Markit iTraxx SovX Western Europe Index)와 아시아 10개 나라의 부도위험을 나타내는 마킷아이트랙스 소브엑스 아시아태평양지수(Markit iTraxx SovX Asia Pacific Index)의 일별데이터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1) 유럽장외파생상품시장과 아시아장외파생상품시장 중에서 어느 시장이 다른 시장에 대해서 선도하여 예측력을 가지는가? (2) 어느 정도의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가? (3) 얼마나 큰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VAR 모형의 대표적 추론 방법인 그랜저 인과관계(Granger Causality)분석, 충격반응함수(Impulse Response)분석 및 분산분해(Variance Decomposition)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며, 중요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ranger Causality 분석결과, 유럽지수수익률이 아시아지수수익률을 단일 방향으로 선도하여 예측력을 보임으로써, 유럽장외파생상품시장이 아시아장외파생상품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는 반면, 아시아장외파생상품시장은 유럽장외파생상품시장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보다 선진화된 유럽의 장외파생상품시장이 아시아의 장외파생상품시장을 선도하여 가격발견기능이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최근의 유럽재정위기로 인한 신용사건 등의 정보가 유럽장외파생상품시장에서 아시아장외파생상품시장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고 추론된다. 둘째, Impulse Response Analysis에서 유럽지수수익률 한 단위 변화에 대해서 아시아지수수익률은 양(+)의 유의한 반응이 3일 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시아지수수익률 한 단위 변화에 대해서 유럽지수수익률은 유의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Granger Causality에서 유럽장외 파생상품시장이 아시아장외파생상품시장을 선도하여 예측력을 보임에 따라 유럽장외파생상품시장의 반응이 아시아장외파생상품의 시장에 3일 정도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Granger Causality 분석과 마찬가지로 유럽장외파생상품시장이 아시아장외파생상품시장에 대해서 가격발견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Variance Decompositions에 의한 반응의 크기를 보면, 유럽지수수익률의 변화 중 0.34%가 아시아지수수익률의 변화에 의한 것이고, 아시아지수수익률의 변화 중 10.71%가 유럽지수수익률의 변화에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럽장외파생상품시장은 아시아장외파생상품시장에 의해 무시해도 될 정도로 적은 반응인 반면 아시아장외파생상품시장은 유럽장외파생상품시장으로부터 상당히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선진화된 유럽장외파생상품시장이 아시아장외파생상품시장을 선도하여 영향을 주고 있으며 유럽장외파생상품시장이 아시아장외파생상품시장에 대해서 가격발견기능이 있는 것으로 추론된다. Credit derivatives has been the fastest growing segment of the global over-the-counter derivatives markets since credit derivatives birth in the early 1990s. A credit derivative refers to any one of various instruments and techniques designed to separate and then transfer the credit risk of the underlying loan. It is a securitized derivative whereby the credit risk is transferred to an entity other than the lender. However, due to the complexity of credit derivatives moral hazard problems and information asymmetry issues may arise. Nevertheless the evolution of credit derivatives such as credit derivatives index increases the quality of price discovery and adds transparency to the credit markets. The price discovery mechanism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rice of an asset in the marketplace through the interactions of available information including one market and other related markets. In a dynamic market, the price discovery takes place continuously. The price will sometimes fall below the average and sometimes exceed the average as a result of the noise due to uncertainties. So usually price discovery accepted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finance helps find the exact price for an asset.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 whether the Eurasian credit derivatives markets is properly performing its economic function of price discovery by analyzing the prices between the European credit derivatives market and the Asian credit derivatives, for the period from October 1, 2010 to April 18, 2012 using daily data. Specifically, the study addresses three issues: (1) the European credit derivatives market has predictive power for the Asian credit derivatives market or vise versa; (2) if a variable have predictive power, how long does the variable in response to the various shocks; (3) how big does the proportion of the movements in a sequence due to its own shocks impacts to the other variable. The analysis employs the vector-autoregression, Granger causality,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using daily returns on both Markit iTraxx SovX Western Europe Index and Markit iTraxx SovX Asia Pacific Index . Tools employed by VAR analysis-Granger causality,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can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economic variables. Granger causality actually measures whether current and past values help to forecast future values. So, a variable y is said to be Granger-caused by other variable x if x helps in the prediction of y. A shock to the i-th variable not only directly affects the i-th variable but is also transmitted to all of the other endogenous variables through the dynamic (lag) structure of the VAR. An impulse response function traces the effect of a one-time shock to one of the innovations on current and future values of the endogenous variables. While impulse response functions trace the effects of a shock to one endogenous variable on to the other variables in the VAR, variance decomposition separates the variation in an endogenous variable into the component shocks to the VAR. Thus, the variance decomposition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random innovation in affecting the variables in the VAR. So, the variance decomposition tells us the proportion of the movements in a sequence due to its own shocks versus shocks to the other variable. The findings in this paper indicate that the Europe Index return has predictive power for the Asia Index return from Granger causality test. But the Asia Index return don``t has predictive power for the Europe Index return. This results makes clear that there is a one-way relationship in which the European credit derivatives market affects the Asian credit derivatives market. The dynamic impulse reponses show that it takes three days to reflect information shocks to the Asian credit derivatives market from the Europe credit derivatives market. But the Asian credit derivatives market does not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European credit derivatives market. This results lead to conclusion that a change in the European credit derivatives market precedes a change in the Asian credit derivatives market by three day. The results of variance decomposition show that 10.71%of the Asian credit derivatives market change are affected by the European credit derivatives market and 0.34% of the European credit derivatives market change are affected by the Asian credit derivatives market. So, This result shows that the Asian credit derivatives market is affected by the European credit derivatives market.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dominant influence runs from the European credit derivatives market to the Asian credit derivatives market and the reverse effects does not work; a unilaterally causality between the European credit derivatives market and the Asian credit derivatives market. This implies that the European credit derivatives market has a good price discovery on the Asian credit derivatives market.

      • KCI등재

        유가충격이 한국의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Granger 및 Toda-Yamamoto 인과성검정을 중심으로

        조하현 ( Ha Hyun Jo ),김재혁 ( Jae Hyeok Kim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5 延世經濟硏究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유가충격이 한국의 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제유가, 산업생산지수, 코스피지수의 3변량 VECM과 VAR(p+d) 를 추정하였고 추정치를 이용하여 그랜져 인과성(Granger Causality) 과 Toda-Yamamoto 인과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국제유가는 코스피지수를 5% 유의수준에서 단기 그랜져 인과(Granger Cause)하였으며10% 유의수준에서 장기 그랜져 인과(Granger Cause)하였다. 따라서10% 유의수준에서 국제유가는 코스피지수를 강 인과(Strong Cause) 함을 확인하였다. Toda-Yamamoto 인과성 검정에서도 국제유가가 코스피지수를 장기적으로 인과(Cause)한다는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국제유가의 상승충격은 우리나라의 주가지수를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crude oil price shocks on the Korean KOSPI. We estimate the VECM and VAR(p+d) using the three variables, such as crude oil price, industrial production and KOSPI index. We further analyze Granger Causality and Toda-Yamamoto Causality. The results of Causality tests show that the crude oil price Granger Cause KOSPI at 5% significance level in the short-run and at 10% significance level in the long-run. Hence, the crude oil price strongly Granger Cause KOSPI at 10% significance level. In Toda-Yamamoto Causality, we obtain the same result that the crude oil price cause KOSPI in the long-run. Additionally, we find that the positive crude oil price shock lowers KOSP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