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고속도로 졸음쉼터 제원 산정 및 설계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오석진,박제진,홍정표,하태준 대한토목학회 201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7 No.2

        This study investigated current status of rest area for drowsy drivers on the highways and drew the related issues to define specifications and design criteria regarding expressway rest area for drowsy drivers on the highways.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 geometric structure specifications and improvement plans are suggested. The entry part of a rest area for drowsy drivers on the highways was divided into deceleration transition section, deceleration lane and entry connection road while the exit part was divided into exit connection road, acceleration lane and acceleration transition section. The optimum length was estimated by considering the main lane vehicle traveling speed, traveling speed at the beginning/end point of entry/exit connection roads, deceleration and acceleration. In addition, reasonable design criteria were suggested by dividing the parking section of rest area for drowsy drivers according to parking style and cross-section composition, and length of parking space and then considering the ratio of vehicles using rest area for drowsy drivers, the ratio of heavy vehicles, and the design speed within a rest area for drowsy drivers. It is believed that the suggested design criteria on rest area for drowsy drivers on the highways can be utilized in the future planning and maintenance of rest area for drowsy drivers. Additionally, the defined criteria on installing rest area for drowsy drivers on the highways will prevent traffic accidents in resting facilities and highways as well as improve usage and safety of them. 본 연구는 고속도로 졸음쉼터 현황 조사 및 문제점 도출을 통해 졸음쉼터의 제원 산정 및 설계기준 수립을 위한 개선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고속도로 졸음쉼터 진입부를 감속변이구간, 감속차로, 진입연결로로 분류하고, 진출부는 진출연결로, 가속차로, 가속변이구간으로 분류하여 차량의 본선 주행속도, 진출입연결로의 시․ 종점부 주행속도, 감속도 및 가속도 등을 고려하여 구간별 적정길이를 산정하였다. 또한 졸음쉼터 주차부를 주차형태, 횡단구성 주차공간의 길이 등으로 구분하고, 실제 졸음쉼터를 이용하는 차량의 이용률, 중차량 비율, 졸음쉼터 내 설계속도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설계기준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고속도로 졸음쉼터 설계기준은 향후 졸음쉼터 계획 및 재정비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고속도로 졸음쉼터의 규정 및 산정 결과를 고려한 졸음쉼터의 설치기준 정립은 휴게시설 및 고속도로 교통사고 예방은 물론 이용률 증가 및 안전성 측면의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주거용 건축물의 면적 산정 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이재영,이재영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용도를 불문하고 주거용 건축물의 면적은 거주자에게 있어 분양과정에서부터 소유, 사용, 매매, 재건축까지 영향을 지속적으로 미치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일률적이고 타당하게 배분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주거용 건축물의 면적 산정기준이 명확하지 못해 여러 가지 혼선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용 건축물에 대한 일관되고 명확한 면적 산정 기준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일괄적으로 적용가능한 적정한 면적 산정 기준을 정립하고자 하며, 이를위해 면적산정 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와 법제도적 현황을 통해 면적 산정 기준에 있어 문제점과 그 원인을 확인하고, 각각의 원인별로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법제도적 측면에서 주거용 건축물의 종류와 각각의 개념을 살펴보고, 면적산정 기준과 그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바닥면적에 산입되지 않는 발코니 확장 합법화로 인한 실제 주거 전용면적 등의 증가로 발생되는 공간사용 및 과세의 형평성문제와 면적 기준에 따른 면적 용어의 차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주거용 건축물 면적 산정기준은 법 적용에 상관없이 일원화된 면적 산정기준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법 테두리 내에서 혼선이 없도록 단독주택의 경우도 공동주택의 경우처럼 안목치수 개념의 전용면적과 벽체 공용을 포함하는 주거공용면적으로 구분하여 적용하고, 발코니의 경우 모든 주택에서 새롭게 기타전용면적으로 분류하여 전용면적에 포함하고, 확장이 불가한 발코니의 설치기준을 설정하여 발코니의 고유기능을 유지하도록 개선하도록 하여 용도 간 공간사용 및 면적의 형평성을 유지하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법적기준 일원화화 발코니 면적의 유효면적화를 통해 면적 용어의 체계도 새롭게 제시하였다. (결론) 현재 주거용 건축물은 다양한용도로 공급되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적용법이 다르나, 면적 산정 기준을 일원화하고 면적 용어를 정리함으로써 공간사용의 형평성 및 면적 용어에 대한 오해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주거용 면적 산정 기준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는 기초연구로서, 발코니를 포함하여 법제도적 테두리 내에 있는 면적 산정 기준과 관련 용어를살펴보고 개선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발코니 면적의 유효면적화와 그에 따른 설치기준에 대한 세심한 연구가추가적으로 필요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전체적으로 관련법 정비 방안이 제안되고, 발코니 계획 방향 등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와 함께 잘 운용된다면 좀 더 다양하고 좋은 주거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보행 점유공간을 이용한 보행자도로 서비스수준 분석방법론 개선 연구

        전성욱,손영태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지 Vol.34 No.2

        pedestrian capacity, pedestrian LOS, pedestrian space, pedestrian walkway, generalized traffic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산정방법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행점유공간을 주 척도로 하고 기존의 방법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양방향 보행류에 따른 상충개념을 도입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 시 보행상충 공간을 산정하였으며, 방향별 보행자 수에 따른 상충공간과 평균보행시간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시간흐름에 따른 유효보도면적을 산정하여 시공간개념의 보행 점유공간을 통해 서비스수준을 재조정하였다. 산출된 보행점유공간은 0.68상태에서 용량상태를 보이며 이때의 보행교통류율은 80인/분/m로 산정되었고 추가적으로 보행점유공간을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기울기가 변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서비스수준을 분류하였다. 서비스 수준별 통계적 검증을 수행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모든 서비스수준 범주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