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라북도 물이용 체계 및 과제(만경강과 동진강 중심으로)

        김보국 대한상하수도학회 2022 상하수도학회지 Vol.36 No.5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are highly dependent on external regions for domestic and agricultural water, and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use system of those rivers are very complicated. For smooth water supply, rivers are used as a supply system. Of the total river water use permits (as of 2019), agricultural water accounts for 97.5%, 80.4% in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respectively. The excessive intake of river water as agricultural purpose is causing the stream to dry out and to deteriorate the ecological health of the river.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water use system that takes in and utilizes river water. In both rivers, the flow rate of agricultural drainage and the load of major water quality items that flowing into the main stream are similar to or higher than those of the major tributaries, indicating that managemen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gricultural drainage on river water quality by establishing a continuous monitoring system for the form of agricultural drainage.

      • KCI등재후보

        농업용 못의 배수체계에 관한 농민지식의 전통과 변화 - 경북 의성군 금성산 일대를 중심으로 -

        권봉관(Kwon, Bongkwa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9 民俗硏究 Vol.0 No.39

        이 연구는 농민지식의 집약체로서 못의 존재양상과 그 독특한 배수체계를 다루는 한편, 그에 연동된 농민문화의 일면을 밝히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못 수리시설의 역사적 변천을 소략하게나마 다루고, 못둑과 수통 및 수굴의 전통적인 조성방식과 최근의 변화 내용을 분석하는 한편 농민들이 전승해온 전통지식에 접근하였다. 연구를 위해 문헌조사와 함께 현지조사를 병행하였다. 주요 조사 대상지로 경북 의성군 금성산 일대를 설정하였다. 전문가의 제보와 항공지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 일대에는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못이 분포하고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섯 차례 현지조사를 수행했으며 그 과정에서 독특한 관개시설과 배수체계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의성군 금성산 일대에서 확인한 못 배수시설은 전통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기술체계의 역사적 연원은 최소한 조선 태조 시기까지 소급 가능했다. 특히 수통을 중심으로 한 배수체계는 한국의 독자적인 방식으로 최근까지도 의성군 일대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다. 둘째, 현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 기록에만 근거한 수통의 불분명한 형태와 기능을 어느 정도 명확하게 정리할 수 있었다. 일본인 학자 관야수일(管野修一)은 수통의 형태가 조선의 고유한 것이라고 보고한 바 있었으나, 그의 연구결과와 연동되는 현장조사 결과는 그 동안 확인된 바 없었다. 따라서 이번 현장조사와 연구를 바탕으로 그간 축적된 문헌 자료와 연구성과를 재분석하여 한반도의 독특한 배수체계를 명확히 보고하는 것이 비로소, 가능했다. 셋째, 배수체계와 관련된 농민들의 전통지식이 현재까지도 그 유용함을 인정받아 전승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농민들은 수통과 못종의 이용 방식에서 현대의 최신 시설이 아닌, 전통적인 방식의 나무 못종을 선호하고 있었다. 이는 현대식 관개시설과 기술이 농민들의 적정기술 체계로 편입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전통기술이 농민들에게 있어 더 유효할 수 있음을 방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농업기술과 지식체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주문하고 있었다. 특히 농민들에 의해 전승되고 발전하는 농업기술은 농민 스스로 생산과 소비가 가능한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비록 그 형식과 형태가 일부 변하는 과정에서도 현재의 농민들에게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었다. 이와 같은 기술과 지식체계는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하고 있어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ddress the existence of reservoir for agriculture and their unique drainage system as a collective of farmers’ knowledge, and to shed light on the traditional knowledge linked to them. To this end, we have addressed some historical changes in the reservoir irrigation system, analyzed the traditional methods of making dikes, drainer and Sootong(a water gate) and recent changes, and approached traditional knowledge handed down by farmers. Based on these studies, it was argued that farmers and agricultural-related private knowledge research should be expanded for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i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For the study,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along with literature review. Geumseong Mountain, Uiseong-gun, Gyeongbuk, Korea was set as the main survey site. Expert informant and aerial maps show that there are countless agricultural reservoirs in the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ive times, and in the process, uniqu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rvoir drainage system identified in the area of Geumseong-san of Uiseong-gun maintained the traditional form, and the historical origin of such a technical system was traceable back to the king Taejo of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such drainage facilities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Uiseong-gun area until recently in Korea"s own way. Second, based on field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clarify to some extent the unclear form and function of Sootong based on literature records only. Third,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farmers related to the drainage system has been passed down in recognition of its usefulness. In particularly, farmers favore traditional wood pegs rather than modern facilities which is like a valve while using of Sootong. These results proved that modern drainage was not recognized as a suitable technology, but rather that traditional technology was more effective for farmers. These results show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on traditional agricultural techniques and knowledge systems. In particular, the agricultural technology handed down and developed by farmers took the form that farmers could produce and consume themselves, and although part of the form was converted to concrete, the knowledge system surrounding the drainage system was being transmitted usefully to current farmers.

      • 중소하천 물환경 개선을 위한 용배수로 관리 및 활용방안

        김익재 ( Ikjae Kim ),박종윤,김교범,곽효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본연구보고서 Vol.2018 No.-

        그동안 우리나라 하천의 관리와 재정투자는 대하천 위주로 추진되어 왔다. 이러한 대하천 혹은 본류 중심의 정책은 조류 발생, 미량오염물질의 누적 등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사후적 대책의 심각한 한계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하류 대하천과 유역 전반의 수질개선, 수생태 건강성 회복, 지속가능하고 경제 효율성 높은 하천 관리를 위해서는 상류 중소하천(지류·지천) 위주로 정책의 축을 옮기는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고, 사전 예방적 대책 분석과 정책대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현재 우리나라의 중소하천 물환경 개선을 위한 과제는 산적해있다. 먼저 유량변화에 민감한 중소하천의 적절한 정책방향성이 필요하고, 앞서 언급했듯이, 수질관리 및 오염원 관리를 위해서 유역 기반의 물관리가 통합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특히 지류·지천에서 발생하는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 기인한 오염부하량 저감 노력은 앞으로도 상당한 대책과 재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수생태 및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부처별 비일관성-비연계성, 재정비효율성,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 역할 비중 등의 한계점은 여전히 수질,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으므로 물관리 일원화 후에도 경각심을 가지고 중소하천 물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이러한 중소하천 물환경이 당면한 현안 속에서 용배수로의 현황과 수리시설 정비사업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먼저 약 48~62%의 국내 가용수자원이 농업·농촌용수로 이용되는데 상당량의 농업용수가 용수로와 배수로를 따라 이동-배출되면서 중소하천의 수량적·수질적 변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특히 강우 시 통상적 농경지 대상의 오염원 배출량 산정보다 높은 비점오염원 기여도가 예상되는데 이는 영농활동으로 토사, 가축분뇨 등과 같은 비점오염물질이 용배수로를 통하여 중소하천으로 유출되는 원인에서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국의 용배수로 길이는 중소하천 길이의 7.1배인 18만 7,320km로 상당한 농지면적의 오염 통로로 중소하천의 물환경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또한 물공급 손실률을 낮추기 위해 구조물 설치와 보수 중심의 정비사업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로 적정한 사업 전후 적정한 관리기준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용배수로 관리 현황과 그 한계점을 분석하고 중소하천 물환경 보전을 위한 용배수로 관리·활용의 정책 방향과 세부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제1장 서론’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구의 배경과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자 했으며, 향후 중소하천 물환경 개선 정책의 제안을 위하여 현재 중소하천 물환경 개선을 위한 배경과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특히 정부가 중소하천 개선을 위해 수행하고 있는 생태하천복원사업, 고향의 강 사업, 마을도랑복원, 실개천 살리기 사업 등과 최근 유해녹조 저감을 위한 조류 중점관리 지류 지정, 지류총량제 시범시행, 윗물살리기 마스터플랜(낙동강유역청, 2016) 등과 함께 용배수로의 현황을 살펴보면서 중소하천 중심의 사전 예방적 물환경관리 전환 정책의 시급성에 대하여 강조하였다.‘제2장 중소하천 물환경 및 용배수로의 현황’에서는 중소하천의 목표수질 만족도에 대하여 본류와 지류 합류 구간에 대하여 전국 수질평가 보고서 현황을 분석하여 지류의 오염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본장에서 살펴본 오수천 유역은 농업 밀집 지역으로 농업 활동에 기인한 오염원의 유입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농업용수 사용 유량이 높아지는 관개기(3~7월)의 수질에 대해 주목하였다. 또한 행정구역 면적 대비 농지면적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구미시와 공주시에 대하여 3년간의 수질기준 만족 여부를 조사하였다. 여기서, 농지면적 밀도가 가장 높은 강원도 속초시의 경우 수질측정망의 부재로 인해 본류와 지류의 영향에 대해 비교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농업용수와 용배수로 관리 및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전국 용배수로 현황을 분석하고 중소하천과 용배수로의 법적 정의와 역할에 대해 분류하였다. 용배수로 현황 분석을 통해 지속적으로 흙수로의 구조물화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는 친환경적 용배수로 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건과 지향하는 바와 달리 직강화, 콘크리트 구조물화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함께 친환경적 용배수로 설계의 개념과 방향성에 대해 조사해보고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친환경적 설계에 대한 문헌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된 법·제도 그리고 관련 정책에 대해 분석하였고 용배수로 폐지 후 활용 현황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끝으로 용배수로 정비사업가 평가 대상사업 지정으로 선정되는 적정성을 (전략)환경영향평가 등의 관련대상 사업과 비교하였다.‘제3장 중소하천 물환경에 미치는 용배수로의 영향 분석’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만경강 유역에서의 농업용 배수의 수질측정 관련 연구에 대해 검토한 결과, 농업용수가 농경지로 유입될 경우 하천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만경강 유역과 현장조사를 한 동진강 유역은 용배수로 이용체계가 매우 복잡했으며 하천용수의 대부분이 용수로 간선으로 유입되어 추가 연구가 필요한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모니터링 인프라 구축의 미비로 인한 데이터 축적 및 모니터링의 한계점에 대하여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용배수로가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질오염부하와 용배수로 길이, 면적, 밀도 각각의 항목과 상관분석을 수행하여 어떤 항목이 오염배출부하량과 관계가 있는지 분석해보았다. 이 분석에 앞서 시군별 용배수로의 길이, 면적, 밀도의 현황 분석을 통해 해당 변수별 상위 10순위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였다.‘제4장 용배수로의 관리 개선 및 활용 방안’에서는 지금까지 각 장에서 분석한 문헌조사, 현황 분석, 법·제도, 정책, 용배수로 상관분석 등을 통해서 결론적 내용으로 정책적 제언을 포함하였다. 먼저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용배수로 관리 방안으로는 농촌지역의 자연형 시설과 주민참여를 통해 운영·관리되고 있는 ‘자연정화생태습지 조성사업’ 등을 통하여 용배수로, 실개천, 농촌마을 하수 수질개선뿐만 아니라 경관개선, 친수환경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실제사례를 바탕으로 제시하였으며, 지역주민이 결합한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농업비점오염관리를 통한 기술과 주민참여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하였다. 또한 농업 수리시설 설계 및 운영·관리 방안으로는 오염원배출부하량과 상관분석을 통해 밭의 경우 배수로 길이의 양적 선형관계를 나타내는 분석결과와 논과 용수로 길이의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친환경적 용배수로 수질개선 기술 적용 시 우선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방안에 대해 나타냈으며, 용배수로의 이·치수 기능뿐만 아니라 수질 정화, 식재, 어류 및 양서류의 서식지 공간 마련을 위한 개선점을 서술하였다. 또한 수질·유량 측정망의 불일치, 인프라 부재, 저수지 및 용수로 인근의 공급되는 물 위주의 현행 모니터링 시스템을 넘어 전반적으로 수질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물수지분석, 모니터링, 모델링 시범사업에 대해 제안하였다. 더불어 농어촌용수 이용 합리화를 위해서 용배수로 신설 및 개보수 사업 등 용수 공급 위주의 정책·사업 시행에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한 수요중심의 이용 합리화 계획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중소하천 및 용배수로의 정량적 영향 분석의 한계점으로 인해 수(변)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제한적 수질분석 등에 대해서도 향후 연구과제를 제안하여 중소하천 개선을 위한 연계사업과 확고한 모델 및 재원 마련이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물관리 정책이 물관리 일원화 후 통합 물관리로 발전할 수 있는 또하나의 전환점이 본 연구의 결론과 제언으로 시작되기를 기대한다. Current water environmental polices have been largely centered for managing a mainstream or downstream of the river. The policy direction requires a critical shift towards a proactive policy approach for upstream tributary streams in Korea. This paradigm shift is urgent because tributary streams including headwater streams, which are major receptors of point source pollution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could be a key management area in order to achieve goals of watershed management policy.Further, there are critical policy dialogues currently to be discussed on tributary streams in Korea. First, what is a proper policy direction for tributary streams that are sensitive to flow rate change is necessary? As it was discussed before, proactive policy practices should be encouraged in areas of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pollution sources. A policy review to reduce pollutant loads due to the point pollution sources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frequently occur in small catchments should also be critically examined. In addition, policy challenges on improvement of river ecology and biodiversity entails the crucial limitations such as (1) organizational inconsistency-nonconformity, (2) fiscal inefficiency, and (3) imbalanced water governance dynamic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As a result, 48~62%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are distributed through the agricultural irrigation canal. One of the major water pollution in agricultural activities is from turbulent runoff and livestock manure applied at farm fields. In addition, the total length of irrigation and drain canals in Korea is about 187,320km which is 7.1 times of the length of tributary streams. Thereby,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1) analyze the current practices and limitations of agricultural irrigation and drainage canals, and (2) to provide policy directions and measures of these canals for conserving water environment in tributary streams.In conclusions, we proposed a policy priority in applic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irrigation and drainage canals to enhance water environment in tributary streams.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aracteristics of canals and pollutants loads, a linear relation was founded. The policy application on pilot monitoring and modeling project was suggested to improve current monitoring limitations: lack of monitoring infrastructure, inaccuracy in data, and so on. Also, for the improvement of the efficiency in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we suggested a policy paradigm shift from the supply-focused approach to the demand-driven strategy in regard to planning overall water use in agriculture.

      • KCI등재

        청산도 구들장논의 전통 수리(水利) 양상과 농경문화 특징

        김재호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9 No.-

        From a broad category, the ‘gudeuljang paddy-field’ of Cheongsan-myeon, Wando-gun, Jeonranam-do is the rice terrace widely distributed in the cultural area of paddy-field rice cultivation in East Asia. Mainly regarding the parts compared with the rice terrace cultivation of inland area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that have been gained so far can be summarized as below: 1. There exists a hydraulic system to overcome the land conditions of sandy soil with severe water leaking and drainage. Thus, to reduce the water leaking as much as possible, plows seven times at the soil preparation, and keep supplying water after transplanting young rice. 2. The topsoil is very thin in the gudeul-jang rice terrace. Most of it is thinner than 1ja (1feet, 30cm). In terms of the rice terrace’s lateral cross section view, the lower layer consists of stone, and deep soil is made of pebble and rough earth. There is an intermediate layer made by adding water onto it and mashing mud soils with water and then drying to harden, and also, there is thin topsoil on it. Drying and hardening earth under the topsoil is to reduce the water leaking, but it is hard for one-time irrigation to last for a day. 3. Naturally leaked water flows below the soil of a rice terrace and is collected there. And again, it is reused as the source of irrigation water in the lower strip of rice terrace. And the water remaining after being used in the upper strip of rice terrace gets drained below the bottom of rice terrace through the water gate behind it. The water passing below the bottom of rice terrace becomes irrigated to the lower through the stone water gate. 4. The water source of gudeul-jang rice terrace is mainly the stream water and small water springing from the foot of the mountain or such. The former is irrigated by using the Bo(洑, dam) for irrigation while the latter is drawn with the small ditch behind the rice terrace. The unit productivity of rice yield is very low, but the gross productivity is quite high because of double-cropping. And for the vertical and narrow levee the possibility of land cultivation is fairly high. This rice terrace structure is closely related with population pressure. 5. From this view, agricultural culture in Cheongsan-do is classified into the middle between Jeju-do and inland. At first geographically it is similar to Jeju-do as it is located between Geonranam-do and Jeju-do. Second in soil science it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hird in water source it is similar to Jeju-do as it has high quality water. Last it is similar to Jeju-do as female manpower forms most of the agricultural labor. 6. For weeding the rice terrace, a hoe is not used, but bare hands. It is very different from inland’s agriculture of rice terrace because a light plow is used to reduce the natural leak, not deep plowing. The gudeul-jang rice terrace in Cheongsan-do can be said to be the excellent adaptation of the farmers to the poor natural environment and population pressure. 구들장논은 토양의 자연누수율이 높고, 돌은 많고, 토지에 대한 인구압은 높은 상황에서 조성된 독특한 청산도의 농경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구들장논은 넓은 범주에서는 계단식논에 해당하지만 논의 조성방식과 구조, 그리고 수리체계 및 수도재배기술에 있어서는 한반도 내륙지역과 비교되는 점들이 많다. 이러한 특징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토양은 사질토가 주를 이루고 식재층의 토심이 얇아 수도재배를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농업환경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들장논의 구조를 암석층, 자갈층, 토양층으로 조성하고 토양층 아래를 특별히 굳히는 과정을 거쳐 얇은 토심과 사질토가 갖는 자연 누수율을 최대한 줄이고 있다. 그리고 논둑은 수직으로 쌓고 폭은 좁게 하여 경지율을 최대한 높였다. 둘째, 수리방식은 소규모의 도랑물과 경작지 주변의 용수(湧水)를 수원으로 하여 고지대 우선 급수방식을 취하지만 상하 배미 간의 급수로는 노출형 물꼬가 아니라 논바닥 아래의 지하로 통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특히 집수처(集水處)이자 수근(水根)이 있는 곳에는 돌 수문을 설치하여 관개를 하며, 배수처는 주로 논 안쪽 후미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내륙지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수리체계이다. 셋째, 모내기를 위한 정지(整地)방법으로는 쟁기질과 써레질을 내륙지역에서보다 훨씬 많이 행하여 토양의 자연누수현상을 최대한 줄이는데 주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양의 자연누수율은 여전히 높아 모내기 이후 지속적인 물대기를 한다. 넷째, 수도재배를 위한 노동력의 동원에 있어서 여성노동력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 특히 모내기와 김매기는 전적으로 여성노동력으로 해결하는데 이는 내륙지역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현상이다. 그리고 김매기에는 호미와 같은 농기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점 또한 독특하다. 이렇게 볼 때 청산도의 농경문화는 전반적으로 제주도와 유사한 점이 많다. 토양에 돌이 많고 누수율이 높다는 점, 그래서 밭의 경우는 아예 두둑과 고랑이 전혀 없다는 점, 그리고 지표수 대신 토층 아래의 지하수가 발달한 점, 여성들이 들일의 중심이 되고 있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 KCI등재

        청산도 구들장논의 전통 수리(水利) 양상과 농경문화 특징

        김재호 ( Jae Ho Kim )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9 No.-

        구들장논은 토양의 자연누수율이 높고, 돌은 많고, 토지에 대한 인구압은 높은 상황에서 조성된 독특한 청산도의 농경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구들장논은 넓은 범주에서는 계단식논에 해당하지만 논의 조성방식과 구조, 그리고 수리체계 및 수도재배기술에 있어서는 한반도 내륙지역과 비교되는 점들이 많다. 이러한 특징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토양은 사질토가 주를 이루고 식재층의 토심이 얇아 수도재배를 하기에는 적합하지않은 농업환경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들장논의 구조를 암석층, 자갈층, 토양층으로 조성하고 토양층 아래를 특별히 굳히는 과정을 거쳐 얇은 토심과 사질토가 갖는 자연 누수율을 최대한 줄이고 있다. 그리고 논둑은 수직으로 쌓고 폭은 좁게 하여 경지율을 최대한 높였다. 둘째, 수리방식은 소규모의 도랑물과 경작지 주변의 용수(湧水)를 수원으로 하여 고지대 우선 급수방식을 취하지만 상하 배미 간의 급수로는 노출형 물꼬가 아니라 논바닥 아래의 지하로 통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특히 집수처(集水處)이자 수근(水根)이 있는 곳에는 돌수문을 설치하여 관개를 하며, 배수처는 주로 논 안쪽 후미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내륙지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수리체계이다. 셋째, 모내기를 위한 정지(整地)방법으로는 쟁기질과 써레질을 내륙지역에서보다 훨씬많이 행하여 토양의 자연누수현상을 최대한 줄이는데 주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양의 자연누수율은 여전히 높아 모내기 이후 지속적인 물대기를 한다. 넷째, 수도재배를 위한 노동력의 동원에 있어서 여성노동력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 특히 모내기와 김매기는 전적으로 여성노동력으로 해결하는데 이는 내륙지역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현상이다. 그리고 김매기에는 호미와 같은 농기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점 또한 독특하다. 이렇게 볼 때 청산도의 농경문화는 전반적으로 제주도와 유사한 점이 많다. 토양에 돌이많고 누수율이 높다는 점, 그래서 밭의 경우는 아예 두둑과 고랑이 전혀 없다는 점, 그리고 지표수 대신 토층 아래의 지하수가 발달한 점, 여성들이 들일의 중심이 되고 있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From a broad category, the ‘gudeuljang paddy-field’ of Cheongsan-myeon, Wando-gun, Jeonranam-do is the rice terrace widely distributed in the cultural area of paddy-field rice cultivation in East Asia. Mainly regarding the parts compared with the rice terrace cultivation of inland area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that have been gained so far can be summarized as below: 1. There exists a hydraulic system to overcome the land conditions of sandy soil with severe water leaking and drainage. Thus, to reduce the water leaking as much as possible, plows seven times at the soil preparation, and keep supplying water after transplanting young rice. 2. The topsoil is very thin in the gudeul-jang rice terrace. Most of it is thinner than 1ja (1feet, 30cm). In terms of the rice terrace’s lateral cross section view, the lower layer consists of stone, and deep soil is made of pebble and rough earth. There is an intermediate layer made by adding water onto it and mashing mud soils with water and then drying to harden, and also, there is thin topsoil on it. Drying and hardening earth under the topsoil is to reduce the water leaking, but it is hard for one-time irrigation to last for a day.3. Naturally leaked water flows below the soil of a rice terrace and is collected there. And again, it is reused as the source of irrigation water in the lower strip of rice terrace. And the water remaining after being used in the upper strip of rice terrace gets drained below the bottom of rice terrace through the water gate behind it. The water passing below the bottom of rice terrace becomes irrigated to the lower through the stone water gate. 4. The water source of gudeul-jang rice terrace is mainly the stream water and small water springing from the foot of the mountain or such. The former is irrigated by using the Bo(洑, dam) for irrigation while the latter is drawn with the small ditch behind the rice terrace. The unit productivity of rice yield is very low, but the gross productivity is quite high because of double-cropping. And for the vertical and narrow levee the possibility of land cultivation is fairly high. This rice terrace structure is closely related with population pressure. 5. From this view, agricultural culture in Cheongsan-do is classified into the middle between Jeju-do and inland. At first geographically it is similar to Jeju-do as it is located between Geonranam-do and Jeju-do. Second in soil science it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hird in water source it is similar to Jeju-do as it has high quality water. Last it is similar to Jeju-do as female manpower forms most of the agricultural labor. 6. For weeding the rice terrace, a hoe is not used, but bare hands. It is very different from inland’s agriculture of rice terrace because a light plow is used to reduce the natural leak, not deep plowing. The gudeul-jang rice terrace in Cheongsan-do can be said to be the excellent adaptation of the farmers to the poor natural environment and population pressure.

      • KCI등재

        낙동강 하류 유역 농업용 양배수지와 배수지의 수질특성 및 오염부하량 산정

        기서진,박현건,안상준,유도건,이춘식 한국수처리학회 2019 한국수처리학회지 Vol.27 No.6

        Agricultural detention basin refers to river facilities which temporarily retain runoff from agricultural area and then rushes the polluted runoff into nearby streams or reuse it for irrigation as needed, and should be monitored to efficiently protect river water qua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optimal management strategies for agricultural pumping and drainage facilities as well as drainage facilities operated along the lower Nakdong River by assessing their water quality profiles as well as pollution loads. A short-term monitoring campaign extending over three months was conducted in the period from September 2018 to November 2018 to measure water quality and flow rate in a total of 68 facilities and the pollution loads in the river mainstream were compared with those estimated from both monitoring and modeling results. Results showed that 8 facilities out of 68 ones needed intensive management plan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P above 0.03 mg/L and TN above 10 mg/L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er quality among inlet, outlet, and storage stations, including all stations, for individual facilities. However, the pollution loads estimated from agricultural pumping and drainage facilities as well as drainage facil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t those in the mainstream, which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limited monitoring survey and modeling results. We expect that reinforced survey of pollutant source information on the upstream watershed and advanced input data to the model enable not only a more precise estimation of pollutant loads, but also good management practices of existing and future agricultural pumping and drainage facilities as well as drainage facilities.

      • KCI등재

        복합영농 관개지구의 배수량 모의 모형의 개발

        송정헌,강문성,송인홍,황순호,박지훈,안지현,Song, Jung-Hun,Kang, Moon-Seong,Song, Inhong,Hwang, Soon-Ho,Park, Jihoon,Ahn, Ji-Hyun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5 No.3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hydrologic simulation model to estimate surface drainage for irrigation districts consisting of paddy and protected cultivation,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model. The model consists of three sub-models; agricultural supply, paddy block drainage, and protected cultivation runoff. The model simulates daily total drainage as the sum of paddy field drainage, irrigation canal drainage, and protected cultivation runoff at the outlets of the irrigation districts. The agricultural supply sub-model was formulated considering crop water requirement for growing seasons an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loss. Agricultural supply was calculated for use as input data for the paddy block sub-model. The paddy block drainage sub-model simulates paddy field drainage based on water balance, and irrigation canal drainage as a fraction of agricultural supply. Protected cultivation runoff is calculated based on NRC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curve number method. The Idong reservoir irrigation district was selected for surface drainage monitoring and model verification. The parameters of model were calibrated using a trial and error technique, and validated with the measured data from the study site. The model can be a useful tool to estimate surface drainage for irrigated districts consisting of paddy and protected cultivation.

      •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배수편 개정

        김경찬,김영화,송재도,정상옥,Kim, Kyoung Chan,Kim, Younghwa,Song, Jaedo,Chung, Sangok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14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21 No.1

        In Korea, global warming caused by the climate changes impacted on weather system with increase in frequency and intensity of precipitation, and the rainfall pattern changes significantly by regional group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gional and annual fluctuation ranges of the rainfall in the future would be more severe. Nowadays, agricultural drainage system designed by the existing standard of 20-year return period and 2 days of fixation time cannot deal with the increment rainfall such as localized heavy rain and local torrential rainfall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inforce the standard of the drainage system in order to reduce the agricultural flood damage brought by unusual weather. In addition, it is needed to improve the standard of agricultural drainage design in order to cultivate farm products in paddy fields as facility vegetable cultivation and up-land field crop have been damaged by the moisture injury and flooding. In order to prepare for the changes of rainfall pattern due to climate changes and improve the agricultural drainage design standards by the increase of cultivating farm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s, the changes of relative design standard, and the analytic situation of agricultural flood damages, to consider the drainage design standard revision, and finally to prepare for enhanced agricultural drainage design standards.

      • KCI우수등재

        유공암거 배수 구성: 환경지속가능성과 농업생산성 사이의 균형

        김경민,정우성,정한석,바타라이라빈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4 No.3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s of subsurface drainage design, i.e., spacing and depth,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two tile-drained fields (Sites A and E) under a corn-soybean rotation in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A calibrated and validated Root Zone WaterQuality Model (RZWQM) was used to simulate Nitrate-N (nitrogen) losses to tile drainage and crop yields of 30 tile spacing and depth scenarios over24 years (1992-2015). Our results presented that the narrower and deeper the tile drains are placed, the greater corn yield and Nitrate-N losses,indicating that the subsurface drainage design may cause a trade-off betwee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 simulationresults also presented that up to about 255.7% and 628.0% increase in Nitrate-N losses in Sites A and E, respectively, far outweigh the rate of increasein corn yield up to about 1.1% and 1.6% from the adjustment of tile spacing and depth. Meanwhile, the crop yield and Nitrate-N losses accordingto the tile configur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field, and the soybean yield presented inconsistent simulation results, unlike the corn yield, whichtogether demonstrate th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 of agro-environmental systems to a subsurface drainage practice. This study demonstrates theapplicability of agricultural systems models in exploring agro-environmental responses to subsurface drainage practices, which can help guide theint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tile systems into farmlands, e.g., orchards and paddy fields, in our country.

      • KCI등재

        泗沘都城의 排水體系 變遷에 대한 試論的 考察

        金庚澤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7 No.-

        Unlike Ungjin-capital town, Sabi-capital town has been understood as a planned city constructed for quite a time period on the basis of systematic city planning, including road and drainage systems to certain level. Increased need for land for buildings and houses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capital must have forced to change road and drainage systems of previous stage. I focused on the only record on flood in AD 612(13th year of King Mu)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The damage of the flood must have been quite serious to the capital and a working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at the drainage system of the capital reached at the critical point to manage changes of road system and expansion of land for building at that time. On the assumption, three issues are proposed such as drainage system of Sabi-capital town in the initial stage, changing process of the early drainage system, and adopted countermeasure for flood and overflow. In order to approach to these three issues, author reviewed previous works and collected and analyzed available archaeological data. Diverse kinds of archaeological features related to drainage facility, mainly waterway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three categories such as plan, function and installation type. Sites or features dated from stage 1 to stage 3 displayed distinctive aspects to their location(residential area, road or field) and kind(drainage or agricultural waterway). In the second stage, change of drainage system, a switch from a drainage facility connected with a small puddle or dammed pool to an independent one, and expansion of land for building resulted in decline of water storing capability and increase of waterflow velocity that consequently brought about unexpected flood and overflow. As a countermeasure for the flood, building of large reservoirs was planned, and a record on the Gungnam pond in 634 was understood as completion of preventive mechanism of the capital town. 백제의 마지막 수도인 泗沘都城에는 천도 무렵 이미 지형을 고려한 街걟區劃과 排水體系가 조성되어 있었다고 판단되며, 이후 도시의 성장과 발전에 따라 자연스럽게 택지의 확장이 요구되면서 이들 역시 변화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三國史記』「百濟本紀」 武王13년의 泗沘期유일의 홍수 기록은 주목을 요한다. 당시이 홍수는 泗沘都城에 상당한 타격을 입혔다고 판단되는데, 이는 천도 75년째인 서기 612년에 이르러 도성의 배수체계가 도시의 성장에 따른 가로구획과 택지의 변화 및 확대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는 임계점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전제 하에서 1) 사비도성의 초기 배수체계, 2) 초기 배수체계의 변화과정, 그리고 3) 사비도성이 선택한 홍수와 범람의 대응책 등 세 가지 의문이 제기되었다. 수로시설의 관찰 범주와 특징은 수로의 방향과 기획, 기능, 그리고 시설형태 등 세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되었다. 관련 유적들은 입지와 성격에 따라 구분되었는데, 생활공간과 도로 배수로, 그리고 경작지와 관개용 농수로는 각각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변두리보다 중심부에서 먼저 기획성의 정도가 높은 배수체계가 등장했고, 도로 개설과 함께 택지화가 이루어진 지역과 경작지와는 수로의 시설형태에서 차이를 보인다. Ⅱ단계에 이루어진 배수체계의 변화, 즉 소형 웅덩이나 보를 수반한 배수시설 중심에서 단독 배수로 중심으로의 개편과 택지의 확대는 도성의 유수 보유능력의 저하와 유속의 증가라는 예기치 않은 결과를 도출하여 홍수와 이에 따른 범람을 야기했다고 판단된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도성 내부를 관류하는 세 소하천 하류역과 나성과의 접경지역에 대규모 저수지의 건설을 기획하게 되었다고 판단되며, 무왕 35년(634)의 宮南池조성기사는 도성의 홍수와 범람의 예방 기제의 완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