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u<SUB>54</SUB>Ni<SUB>6</SUB>Zr<SUB>22</SUB>Ti<SUB>18</SUB> 벌크비정질 합금의 Nd:YAG 레이저 점용접 특성

        김종현(J. H. Kim),이제훈(J. H. Lee),신승용(S. Y. Shin),배정찬(J.C. Bae),이창희(C. H. Lee) 한국레이저가공학회 2005 한국레이저가공학회지 Vol.8 No.2

          Weldability is largely dependent on the phase evolution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weld. For the weld ability of the Cu<SUB>54</SUB>Ni<SUB>6</SUB>Zr<SUB>22</SUB>Ti<SUB>18</SUB> bulk metallic glass, the crystallization affects the sensitivity of the weld to the brittle failure.<BR>  In order to suppress the irreversible crystallization, Nd:YAG laser welding was chosen. The pulsed Nd:YAG laser was irradiated onto the BMG plate and the effects of the pulse shape [peak power intensity and pulse duration time] on the crystallinity were evaluated.

      • KCI등재

        4~6세기 포항·울진 지역의 고분 문화

        이인숙(Yi, In-Suk)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3

        이 글은 신라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비석인 울진 봉평리 신라비, 포항의 냉수리 신라비와 중성리 신라비의 연구 성과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에 앞서 이 비석들이 발견된 포항과 울진 지역의 고고학적 성과를 짚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3개 비석들은 5~6세기 신라 지방에서 발생한 사건 또는 갈등에 신라 중앙이 개입하여 이를 해결한 기록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신라고고학에서는 4~6세기, 경주와 그 외 영남지방에서 보이는 물질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주로 신라 중앙의 영역 확장 과정과 지방 지배 방식의 변화로 설명하고 있다. 신라 중앙의 물질문화는 묘제(신라식목곽묘 → 적석목곽분 → 횡혈식석실분), 신라토기, 금공품 등으로 대표되는데 이것이 지방에서는 출현 또는 확산, 소멸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발굴조사된 4~6세기 포항과 울진 지역의 묘제와 그 출토품을 대상으로 중앙과 지방 간의 관계를 규명해 온 기왕의 고고학적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포항 지역에서는 3세기대부터 신라 중앙인 경주와 유사한 무기류가 다량 부장되지만 5세기대에는 다른 지역과는 달리 고총이 조성되지 않는다. 이는 5세기대에 중앙의 영향력이 직접 지배에 가까울 정도로 컸음을 반영한다 하겠다. 그러나 6세기에는 오히려 대형의 횡혈식석실묘가 축조되고 심엽형의 세환이식, 유리제 목걸이 등 신라 위세품이 부장된다. 이 시기까지도 포항은 여전히 중앙에서 관심을 기울인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울진 지역에서는 읍남리나 덕천리에 고총을 조성하고 위세품을 부장하는 등 신라 중앙의 관심이 컸던 곳임은 분명하다. 경주로부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울진 지역은 5세기 이후에야 신라의 간접지배를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덕천리고분군에서 수장급 피장자임을 드러내는 금동관 편이 5세기 말부터 7세기 후엽까지 3차례에 걸쳐서 부장된 점, 읍남리고분군에서 금동 삼엽환두대도 장식과 함께 황남대총 북분 출토품과 유사한 금동 태환이식이 부장된 점을 통해 방증된다. 4~6세기 포항, 울진 지역은 신라와 고구려와의 대치 관계 속에서 지리적으로 신라 중앙에서 중시하였던 지역임에는 틀림없다. 중앙의 지배방식은 포항에서는 중앙의 영향력이 강한 직접 지배, 울진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앙의 영향력이 약한 간접지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cheological results of Pohang and Uljin areas before discussing the research results of Silla steles found in Bongpyeong-ri, Uljin and in Naengsu-ri and Jungseong-ri, Pohang, which are important monuments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Silla. What these three monument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records indicating how the central Silla intervened and resolved incidents or conflicts that occurred in the provincial Silla during the 5<SUP>th</SUP> and the 6<SUP>th</SUP> centuries of the Silla Kingdom. Archeological literature of Silla explai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aterial culture between Gyeongju and other Yeongnam provinces in the 4<SUP>th</SUP> to the 6th centuri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the province and mainly as the process of territorial expansion and change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province. This is grounded in the phenomena of representative material culture of Silla such as the burial system (Silla-style wooden coffin tomb → tomb with wooden coffin covered with stone → corridor- style stone chamber tomb), pottery and gilt bronzed artifacts appearing and disappearing or proliferating in the provinces. Accordingly,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ults of existing archaeological studies that m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provincial Silla in reference to the 4<SUP>th</SUP> to the 6<SUP>th</SUP> centuries tombs in Pohang and Uljin areas and their artifacts that have been excavated and investigated. In the Pohang area, a lot of weapons similar to those found in Gyeongju, the center of Silla, were buried along with the body from the 3<SUP>rd</SUP> century. However, unlike other regions, huge mound tombs were not built in Pohang in the 5<SUP>th</SUP> century.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influence the central Silla exerted over the provincial Silla in the 5<SUP>th</SUP> century was close to direct control. While the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from the 6<SUP>th</SUP> century in this area is large and shows elements different from that in the central Silla, it is believed that Pohang was considered important even during this period, because Silla grave goods such as glass necklaces and leaf-shaped hoop earrings were buried along with the body. In the Uljin area, huge mound tombs were built in Eupnam-ri and Deokcheon-ri and grave goods were buried along with the body, indicating that these areas were places of interest for the central Silla. Uljin, which is relatively far from Gyeongju, seems to have been indirectly controlled by the central Silla only after the 5<SUP>th</SUP> century. This is evidenced by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which refers to the royal family of Silla directly intervening and punishing the people involved in an incident in Uljin, as well as the artifacts found in tombs such as the gilt bronzed crowns buried three times from the 5<SUP>th</SUP> to the 7<SUP>th</SUP> centuries in the Deokcheon-ri tombs and the gilt bronzed hoop earrings and Silla-style gilt bronzed ring pommel sword decorated with three leaves buried in the Eupnam-ri tombs. The artifacts found in Eupnam-ri tombs, in particular, are similar to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north mound of Gyeungju Hwangnam Daechong (grand mound tomb). Based on the archeological evidences, it is surmised that Pohang and Uljin were geographically important areas for the central Silla from the 4<SUP>th</SUP> to the 6<SUP>th</SUP> centuries considering the confrontational relation between Silla and Goguryeo at the time. It is also presumed that the method of control over the provinces opted by the central Silla differed for Pohang and Uljin: with control over Pohang more direct, while control over Uljin more indirec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인산화단백질의 억제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6의 혈소판 기능 및 혈전 형성 조절

        권혁우(Hyuk-Woo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3

        G-Rg6는 인삼의 성분으로서 혈소판 억제 기작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G-Rg6가 platelet aggregation과 thrombus formation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이와 관련된 신호전달 분자인 IP₃RI와 VASP의 인산화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G-Rg6는 collagen이 유도한 platelet aggregation을 강력하게 억제하였고, IP3RI와 VASP의 인산화 및 세포 내 Ca<SUP>2+</SUP> 동원과 fibrinogen binding의 활성을 감소시키며 clot retraction 반응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G-Rg6는 인체 혈소판에서 platelet aggregation과 thrombus formation에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므로 치료 및 예방약물로서 잠재적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The root of Panax ginseng i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in Eastern Asia and var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P. ginseng has inhibitory effects on cardiovascular disease including stroke and myocardial infarction. Each factor causing cardiovascular disease is known to have various processes. Among these processes, platelets are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inhibiting the activity of platelets is an essential factor for the prevention of platelet-mediated cardiovascular diseases. This study examined the inhibitory mechanism of ginsenoside Rg6 (G-Rg6) on human platelet aggregation and thrombus formation. Collagen-induced human platelet aggregation was inhibited dose-dependently by G-Rg6, and it suppressed the collagen-induced elevation of [Ca<SUP>2+</SUP>]i mobilization. In addition, G-Rg6 suppressed collagen-induced fibrinogen binding to αIIb/β3 and clot retraction. Thus, G-Rg6 has an inhibitory effect on human platelet activation and thrombus formation, highlighting its potential as a natural substance for preventing thromb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 하이든의 <Piano Variations in f minor Hob. XVII: 6> 분석 연구

        이해선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6 음악예술연구 Vol.6 No.2

        Franz Joseph Haydn was one of the major composers in classical period and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instrumental musical genre- symphony, string quartet and piano music. <Variations in f minor Hob. XVII: 6>has double theme A, B. Theme A is in F minor theme B in F major. It has A-B-A'-B'-A"-B"-A-Coda structure, and the dotted rhythm motive gives continuation of thematic melody of theme A. The reappearance of chromatic progression of theme B gives unity to this piece. The irregular length of the phrase, the chromatic harmonies, the use of non-harmonic tones, frequent modulations, grace notes, broken chords and frequent rhythmic change show his late variation technique. Theme A is also returned in coda, which has a cadenza, a passionate impromptu s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ariations in f minor Hob. XVII: 6>, it is examined that Haydn's variation technique of his late period represents the classical variation composition. 하이든은 고전주의 시대에 대표적 기악양식의 전형을 만든 주요한 작곡가이며, 교향곡과 현악 4중주, 건반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Piano Variations in f minor Hob. XVII: 6>은 하이든의 후기 작품으로, 주제 A는 F단조, 주제 B는 F장조로 주제 안에서 조성이 변화하는 이중 주제를 가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A-B-A'-B'-A"-B"-A- Coda의 구조로, 주제 A의 붓점 리듬 동기인 주제선율이 계속 변형되어 나타나고 있고, 주제 B의 반음계 진행 주제 선율이 계속 변형되어 나옴으로써 곡에 통일성을 주고 있다. 그리고 불규칙적인 악구의 길이, 반음계적 진행, 비화성음 사용, 잦은 전조, 장식음 사용, 분산화음 사용과 자유로운 리듬 변화를 통해 후기 변주곡의 모습도 알 수 있다. 또한 코다에서 주제 A가 다시 재현 되고, 카덴차는 즉흥적인 악구로 격정적이고 화려하게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Piano Variations in f minor Hob. XVII: 6>은 하이든의 독특하면서도 자유로운 변주기법을 알 수 있는 작품이며, 나아가 고전주의 시대 후기 대표적인 변주곡으로 자리 잡게 되는 곡으로 의미가 있다.

      • 산림분야의 6차산업 활성화 연구

        이수행,이양주,오재호,장철수,홍성민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정부는 임가 등의 소득을 향상시키는 방안의 일환으로 임업의 6차산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임업의 6차산업화는 임업인 등이 주도하고 산촌에 산재한 다양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임산물 가공품 개발 및 판매, 산촌체험 등 사업을 추진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새로운 부가가치 및 일자리를 창출해 임가의 소득을 높이는 사업을 의미한다. 임업의 6차산업화는 최근 소득 및 여가가 증가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힐링, 휴양, 건강식품 등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다양한 발전공간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임업의 6차산업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임가의 규모의 영세성, 비즈니스적인 경험미흡, 혁신적인 아이디어 발굴 토대 미흡 등의 한계성 극복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기도는 최대의 소비 인구가 집중된 수도권에 위치해 있고, 우수한 임업자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임업의 6차산업화 추진에 유리한 입지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기대만큼 활성화되고 있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경기도의 임산물 생산액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6.7%에서 2015년 9.4%, 경기도의 자연휴양림 방문객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4.7%에서 2015년 6.1%로 증가하였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고, 2015년 기준 전국 평균 임가소득은 32백만인데 비해 경인권은 30백만원으로 전국 평균 수준에 비해 낮다. 임업의 6차산업화가 임가의 소득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정착되고, 다양한 성공사례가 나타나고 있지만, 임업의 6차산업화가 경기도의 임가 및 산촌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적지 않은 개선과제가 대두되고 있다. 먼저 혁신적인 아이디어에 기초한 경쟁력 있는 6차산업화 사업체가 드물다는 점이다. 6차산업화의 핵심 사업 가운데 하나인 가공품 개발 및 판매, 체험사업 등이 상당부분 단순 가공에 그치거나 비슷한 유형으로 진행되면서 6차산업화 사업체 확대가 시장을 확대시키는 긍정적인 요인보다는 내부적인 경쟁을 격화시키는 부정적인 요인이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6차산업화가 차별화되고 경쟁력을 구비한 혁신적인 아이디어에 기초해 추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틈새시장 발굴, 소비자 참여 확대 등 시장규모를 확대시키고, 경쟁력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두 번째는 임업의 6차산업화 활성화를 선도하는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산촌인구의 고령화, 부녀화, 임가의 영세성 등으로 인해 임업의 6차산업화를 선도할 수 있는 내부적인 인적자원, 선도업체 등이 미흡하다. 따라서 임업의 6차산업화를 선도하는 인적자원 육성, 선도업체 발굴 및 육성, 조직화 및 네트워크화를 통한 규모화 및 범위의 경제 실현, 지역 중심의 생산 및 소비시스템 구축 등 임업의 6차산업화를 촉진하는 기반 구축 강화가 필요하다. 세 번째는 선도업체, 시장지배력이 높은 산림복지 시설 등을 중심으로 다수의 임업의 6차산업화 사업체가 연계해 발전하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축령산, 강씨봉, 잣향기푸른숲 등 경기도의 지명도가 높은 산림휴양시설과 인근 지역 임업의 6차산업화 사업체가 연계해 가공품 판매, 체험 등 사업을 추진하거나 기존의 중간상인을 중심으로 다수의 6차산업화 사업체가 연계해 발전하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다만, 이러한 연계사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불공정계약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추가되어야 한다. 이밖에 임업 관련 R&D기관과 연계해 다양한 혁신 자원이 임가 및 산촌으로 이전되어 6차산업화 사업체의 혁신적인 아이템 발굴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임업의 6차산업화에 내재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해 임업의 6차산업화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임업의 6차산업화 지원체계 구축, 지역특화산업 중심의 6차산업화 지원체계 구축, 6차산업화 사업체의 조직화 및 지역 연계 6차산업화 촉진, 경기도 산림복지사업과 6차산업화 사업체의 연계 확대, 임산물 관련 R&D기관과 연계해 6차산업화 사업체의 혁신능력 향상 등의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21세기 녹색혁명, 6차산업화 정책사례 연구

        박미옥(Park, Mi Ok) 서울행정학회 2017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8 No.2

        기후변화와 글로벌 경제위기 시대에 국내외적으로 급변하고 있는 산업혁명의 요청은 기존의 정보혁명과는 차원이 다른 것이라고 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추세는 최근 들어서 추진되는 ‘6차산업화’ 가 녹색혁명의 또 다른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오늘날 추진되는 녹색혁명은 과거 17세기에 나무를 에너지원으로 하였던 농업혁명이 아니라 첨단의 과학기술이 있고, 기업의 거대자본이 있으며, ICT와 같은 정보기술이 있어 스마트팜과 같은 원스톱시스템으로 생산-가공-판매를 추진하고 있다. 1차산업(농업)의 생산물을 2차산업으로 가공하고 3차산업으로 유통·판매·관광 산업 등이 유기적으로 운영·관리 된다는 점에서 “(1차산업)×(2차산업)×(3차산업)=6차산업화” 는 산업구조의 융복합 개념이며 본 연구자가 주장하는 신농업혁명으로서의 녹색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6차산업화는 일본에서 먼저 붐을 일으켜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 초기단계라 할 수 있다. 정부의 지원체계도 미흡하고 중앙과 지자체, 지역공동체와 농업인 간의 유기적 네트워크도 체계적으로 구축되지 못한 상황이다. 한국의 녹색혁명으로서 6차산업화 추진목표는 농가의 소득감소, 여성화·고령화에 따른 일자리 부족, 지속적인 식량자급률 감소 등을 극복하기 위해서, 농촌의 지역공동체 유지와 경제활성화, 농업의 고부가가치 확대 및 농가소득증대, 농촌 일자리창출 및 확대를 목적으로 집행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서 한국의 6차산업화 정책이 선결해야 할 몇 가지 과제가 있다. 그것은 농업·농촌에 대한 인력부족과 전문지식 부재, 법적·제도적 장치의 불비, 홍보부족, 고령화와 탈이농현상, 관련 부처간의 협력부재 및 6차산업화 추진과 관련된 모니터링시스템 부재 등에 대한 문제점 해결이 요구된다. 동시에 6차산업화의 각 프로세스 지원내용과 범위, 지원 주체를 적절히 연계하고 배분상황을 통제,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 매니지먼트 체제를 촉구하여 6차산업화를 리드하는 인재양성 프로그램의 강화와 함께, “한국형 스마트팜-아쿠아포닉스” 를 개발한 ‘만나CEA’ 의 기술제휴 및 ‘협치농정(정부-기업-농업인)에 의한 다자간 파트너쉽으로 관리・운영 될 것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and global economic crisis, the demand for industrial revolution is known the 21<SUP>st</SUP> century Green Revolution that is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nformation revolution. Such trend is a type of the “Low Carbon Green Growth” which the MB government claimed as the government’s keynote. The “6<SUP>th</SUP> Industrialization of Creative Economy,” which are carried forward in the current government, are another type of the Green Revolution. However, today’s Green Revolution is not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Agricultural Revolution that used trees as an energy source back in the 17<SUP>th</SUP> century. Today’s cutting-edge scientific technology, huge business capitals, and technology such as ICT are able to drive the production processing-sale with One-stop System such as the Smartfarm. The 6<SUP>th</SUP> industrialization is a convergence concept of an industrial structure in that it is managed organically, processing productions of the primary industry as the secondary industry, then managing the products through distribution, sales, and tourism as the tertiary industry. Therefore, the 6<SUP>th</SUP> industrialization is what the author calls the Green Revolution in the form of a new agricultural revolution. Such situation can cause problems such as manpower shortage and absence of professional knowledge in the agricultural and farming industry, lack of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lack of public relations, aging, absence of cooperation among the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and absence of proper monitoring system. A few political subjects suggested by an author in order to resolve such problems, a control tower needs to be established, and ‘mutually-cooperated agricultural governance’ must be manag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cooperation that ‘Manna CEA’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Korean Smartfarm-Aquaphonics and mutual cooperation of multiple partnerships.

      • KCI등재
      • KCI등재

        Luminescence Properties of Ba₃Si<SUB>6</SUB>O<SUB>12</SUB> N₂:Eu<SUP>2+</SUP> Green Phosphor

        Van Duong Luong,Dinh Phuong Doan,Hong-Ro Lee 한국표면공학회 2015 한국표면공학회지 Vol.48 No.5

        To fabricate white LED having a high color rendering index value, red color phosphor mixed with the green color phosphor together in the blue chip, namely the blue chips with RG phosphors packaging is most favorable for high power white LEDs. In our previous papers, we reported on successful syntheses of Sr₂-Si5N8:Eu<SUP>2+</SUP> and CaAlSiN₃ phosphors for red phosphor. In this work, for high power green phosphor, greenemitting ternary nitride Ba₃Si6O12N₂:Eu<SUP>2+</SUP> phosphor was synthesized in a high frequency induction furnace under N₂ gas atmosphere at temperatures up to 1400℃ using EuF₃ as a raw material for Eu<SUP>2+</SUP>dopant. The effects of molar ratio of component and experimental conditions on luminescence property of prepared phosphors have been investigated. The structure and luminescence properties of prepared Ba₃Si6O12N₂:Eu<SUP>2+</SUP> phosphors were investigated by XRD and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 The excitation spectra of Ba₃Si6O12N₂:Eu<SUP>2+</SUP> phosphors indicated broad excitation wavelength range of 250 - 500 nm, namely from UV to blue region with distinct enhanced emission spectrum peaking at ≈ 530 nm.

      • 농촌관광의 6차산업화 비즈니스 모델

        박시현(Park, Si-Hyun)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15 농어촌관광연구 Vol.22 No.1

        농촌관광 6차 산업화 비즈니스 모델은 농촌관광을 경영체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농촌관광 특성상 농촌관광 6차산업화 비즈니스 모델은 Kobayasi(2012)가 말한 유통채널형과 교류형에서 교류형에 가깝지만 농촌관광이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통채널형 요소를 일부 도입할 필요가 있다. 농촌관광의 6차 산업화 비즈니스 모델은 결국 농촌관광의 산업화를 기반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우수한 농촌관광 상품 개발이다. 농촌관광 상품의 표준화도 농촌관광 산업화에 중요하다. 농어촌 민박가구 중에서 농어촌관광의 기본 취지에 적절한 민박을 재분류하여 이 들 민박에 대한 정책지원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농촌관광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보험, 온라인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의 정비가 필요하다. 마을단위 농촌관광 사업의 문제의 발단은 농촌관광 사업을 추진할 수 없는 역량을 갖춘 마을이 정부지원 대상 마을로 선정하는 것이다. 정부 지원 혹은 지정을 받은 마을이 마을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사업조직 마케팅 등에 유의해야 한다. 기타 농촌관광 비즈니스 모형으로 중간 매개 조직 혹은 컨설팅 기능 활성화, 농촌관광 주체와 관련기관간의 협력, 농촌관광 국제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에 대응한 농촌관광 상품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ward identifing the condition for Business model of 6<SUP>th</SUP> industry of agriculture for rural tourism. The study covers the following contents: theoretical review of 6<SUP>th</SUP> industry of agriculture and business model, review of current status of Korea rural tourism and the policy direction and tasks in order to invigorate rural tourism for setting out business model of 6th industry of agriculture. As for the policy direction of rural tourism for setting out business model of 6<SUP>th</SUP> industry of agriculture,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strengthening of industrial base of rural tourism, ensuring internal stability of rural tourism village project, overhaul of other support systems, expansion of foreign rural tourists, and development of tour packages and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