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윤리과 교육과정 정책론

        황인표(Inpyo Hwa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7

        본 연구는 도덕․윤리과 교육과정 개정이 어떠한 정책적 배경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되었 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최근 일련의 교육과정 개정은 '2009년 교육과정' 총론의 틀 속 에서 그것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려고 하거나, 인성교육 강화라고 하는 국가․사회적 요구의 증대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2009년 교육과정’은 이명박 정부의 ‘학습 부담 경감’이라는 공약 사항 실행과 교과 이해관계에 의해 과도한 과목 나열의 축소․정비를 목적으로,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도덕과 교육과정’은 총론의 운영 체제를 현장에 실효적으로 적용할 목 적으로, ‘2012년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은 인성 교육 강화를 위해 이루어졌다. 그 과정에서 도 덕과는 정책적 선도자로서의 역할이라기보다는 수세적인 위치에서 교육과정 개정에 임했다고 할 수 있다. 최근의 ‘2009년 교육과정’은 그동안 도덕․윤리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어느 시기에 못 지않은 어려움을 겪었다. 집중이수제의 결과 도덕 교육의 목적 실현을 어렵게 하고 있고, 20% 증감 자율화 과정에서 가장 많은 시간 축소를 겪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2009년 교육과정을 경험하면서,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도덕 윤리과 연구자들이 지녀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사전 조치의 중요성, 연구 축적의 중요 성, 교육과정 정책결정자들과의 네트워크의 중요성, 교육과정의 정확한 이해의 중요성이 그러 한 시사점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policy background of the moral s․ethics subject curriculum. Recently, a series of curriculum revisions is under the introduction of the 2009 year revised curriculum framework. 2009 year curriculum revised for the purpose of the reduction of student's learning burden which was the public promise of the Lee M.B govern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excessive selective subjects in the high school. 2011 year curriculum revised for the purpose of the application of the 2009 year curriculum. And then, 2012 curriculum revised for the purpose of the enforcement of humanity education.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revision, the agents of the morals․ethics subject did'nt take an active role but passive role. We should remember that we have experienced much more difficulties than ever in the process of 2009 year curriculum revision. Especially, we should remember facts that 'the system of concentrated learning' make desirable moral education difficult, the policy of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20% of class time make moral education reduced. Last, we investigate the suggestions that we must prepare for the future revised curriculum policy. Such suggestions are as follow. First, the importance of the pre-preparation, second, the importance of the accumulation of the study related to the the morals․ethics subject curriculum revision, third, the importance of the network with the decision makers of the curriculum, fourthly, the importance of the correct understandings of curriculum.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서 다루는 정치관련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

        조일수(Cho Ill-s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7

        본 연구는 도덕과 교육에서 다루어야 하는 정치 관련 교육내용을 시론적으로 제시하기 위 하여 관련 선행연구들을 비교·분석하였고, 정치철학 서적들에서 다루는 주요 주제들을 비교· 정리하였다. 그리하여 5개 영역의 21개 세부 하위주제들을 얻을 수 있었다. 하위주제들을 201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과 비교해 본 결과, 현행 교육과정은 거의 모든 주제들을 포괄하 고 있으나, 국가 권위의 정당성, 평등, 민족주의 등을 충분히 다루고 있지 못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제시한 정치 관련 교육내용은 논의의 단초를 마련하기 위한 시론적인 것 이고 향후 이 주제와 관련된 더욱 많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특히, 교육내용 선정과 배열의 논리적 근거 혹은 이론적 틀 마련, 규범적 교육내용 강화, 다양한 관점의 견해를 제시 하는 교육내용, 재미있는 교수·학습이 가능한 교육내용 등과 관련하여 더욱 많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I analyse some existing other studies and major themes of political philosophy in order to suggest political contents for the moral subject education. I, thus, classify political contents into 5 sections and propose 21 concepts for the moral subject education: (1) the state: the rationale, desirable role, influences on person's moral life; (2)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te and the individual: legitimacy of the state, autonomy and authority, political obligation and patriotism, social justice, civil disobedience, citizenship, national identity; (3)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equality, tolerance, human rights, the ethics of office holders; (4) relationships between the world and the individual: world peace and the love for humankind: (5) socio-political thoughts: democracy, liberalism, communitarianism, nationalism, feminism, multiculturalism. I, also, compare 21 concepts with the political contents included in 201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moral subject. I find that 201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mprises all of them excepting legitimacy of the state, equality, nationalism. I hope more researchers be interested in political contents for the moral subject education, especially in the framework for selecting and deploying them.

      • KCI등재

        토픽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전대일,김명순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7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study trends of 2012 Korean Language[KSL] Curriculum and 2017 Revised Korean Language [KSL] Curriculum using text mining technique. Method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one hundred and ninety two studies with keyword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2007 to 2020 for fourteen years. Results: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themes were ‘Analysis of textbook vocabulary list’,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Standard for Class management’, ‘Curriculum development for academic purpose’, and ‘Foundation for assessment’. Conclusion: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discussed: the emphasis of cultural aspects, media area as a language function, balanced cycle of practice and managemen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assessment development with specific rubric. 목적 : 본 연구는 2012년 고시된 국가수준 한국어[KSL] 교육과정과 2017년 개정된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해 연구한 논문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 2007년부터 2020년까지의 14년간의 연구 중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으로 키워드를 설정하고 192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토픽 모델링을 통해 나타난 키워드의 주제는 ‘교재의 어휘 목록 분석’, ‘교사를 위한 수업계획서 개발’, ‘수업운영에 대한 표준 제시 및 개발’, ‘학문목적을 위한 커리큘럼 개발’, ‘평가를 위한 기반 마련’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러한 연구 동향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이 실행되는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으로 문화 요소의 비중 강화, 언어 기능에 포함되어야 하는 매체 영역 설정, 균형적인 교육과정의 실행과 평가 및 환류 작업, 교육과정 부록 자료의 내실화, 구체적인 루브릭 개발을 통한 평가방법 개선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기술 내용과 개선 방안 - 2012년판 <동아시아사> 전근대 부분을 중심으로 -

        박근칠 동북아역사재단 201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0

        <East Asian History> has been recently selected as an optional history subject of the high school syllabus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7. Therefore, two types of textbooks for <East Asian History> have been used in high school education from 2012. But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7 was revised again in 2011, and the new writing standards in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were announced in 2012. This paper analyzes the organization and the description methodology of pre-modern history in two textbooks for <East Asian History>. The review of the descriptive methodology of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progressed in three aspects: first, regarding East Asia’s regional boundaries and its natural environments; second,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s regional varieties and its characteristic aspects in its regional world; and third, regarding the descriptive methodology of China-centered views in <East Asian History>. Also, this paper will make clear the purport and points about the organization and the alter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2011 in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In academic circles of historical studies, there is no common consensus regardingthe descriptive methodology in <East Asian History>textbooks. For writing better contents for an East Asian history textbook, continued concern and efforts to develop the circumstances of producing textbooks are required. <동아시아사>는 「2007년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고등학교 역사과 선택 과목 가운데 하나로 채택되었다. 이에 「2007년 교육과정」에 따라 제작된 2종류의 <동아시아사> 교과서가 2012년부터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현행 <동아시아사> 교과서가 검정 중이던 2011년에 다시 교육 과정의 개정이 이루어졌고 이를 근거로 2012년에 새로이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기준」이 발표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 2종류의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기술 내용 가운데 전근대 부분(제1~4단원, 선사시대~19세기)을 분석, 비교하여 그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동아시아의 지역 범위와 자연 환경에 대한 기술 내용, 둘째 지역적 다양성과 지역세계의 특성에 대한 기술 내용, 그리고 셋째 중국 중심주의적 입장의 서술 내용 등에 나타난 문제점 지적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2011년 개정 교육과정」의 작성 취지와 그 의미를 파악해 보았다. 2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을 통하여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에 적합한 기준을 마련하려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동아시아사> 전체의 구성과 관련하여 특히 전근대 부분을 선사시대에서 기원전후까지, 기원전후에서 10세기까지, 10세기에서 16세기까지, 16세기에서 19세기까지 등 4시기(4단원)로 구분한 것이 동아시아 지역사만이 아니라 한국사나 세계사를 학습하는데 적합, 유용한 지에 대해서는 향후 보다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더욱이 동아시아의 전근대사에서 중국 중심주의적인 내용 구성이나 기술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나, 한국의 고등학교 교과목으로 교육되는 <동아시아사>에서 한반도와 만주의 전근대시기 역사가 대륙의 주변부 또는 주변사로 인식되지 않도록 기술하기 위한 방안 등이 본격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주지하듯이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취 기준’이나 그에 대한 ‘집필 기준’은 실제 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기술에 있어서 ‘금과옥조’와 같이 여겨지는 것이고, 특히 교과서 검정의 반드시 엄수해야 할 기준이 되기 때문에, 그 개정 작업은 마땅히 충분한 작업 기간과 공정한 작업 절차가 담보되어야 한다. 실제로 국내 학계에서 <동아시아사>에 기술된 각 시대의 관련 내용에 대하여 여러 이론이 존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인 검토와 논의를 통해 정합적인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미숙한 단계에 있음을 감안한다면, 보다 나은 교과서를 제작하기 위한 제반 조건들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 KCI등재

        북한의 2012년 교육과정 개정 전후 수학교과서 분석: 초급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정혜윤,이경화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 학교수학 Vol.18 No.1

        North Korea had been reorganized its educational curriculum and new contexts were authored in 2013. In this study, mathematics contexts of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s first grade in 2009 and 2013 were investigated. And the changes of content structure, content development, and content composition were analyz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he content structure, 1 chapter decreased, while lesson number was intact and 4 subunits increased. Second, with respect to the content development, considerable changes were presented. The tendencies that encouraged student and pursued a student friendly form were investigated. Third, with respect to the content composition, obvious changes were presente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ratio of numbers and number operations, letters and expressions decreased nearly half. And new contents were supplemented in the areas of patterns, geometry, functions, probability and statics, equation of figures, set and statement. This changes suggests that differences between contexts of South and North Korea is narrowing compared to the past. In conclusion, the direction of North Korean mathematical education is changing for the general direction of South Korean mathematical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개정 전후 교과서인 2009년과 2013년 북한 초급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내용 조직, 내용 전개, 내용 구성 방식 등의 변화방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조직과 관련하여 대단원이 1단원 감소하였지만 중단원의 수는 그대로이며 소단원의 수는 4단원 증가하였다. 둘째, 내용 전개에 상당한 변화가 나타났다. 학생의 참여를 독려하고 학생에게 친근한 형태의 전개를 추구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셋째, 내용 영역 구성과 관련하여, 분명한 변화가 나타났다. 수와 연산, 문자와 식 영역의 비율이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대신 규칙성,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 도형의 방정식, 집합과 명제 영역에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었다. 이상과 같이 초급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의 내용 조직, 내용 전개, 내용 구성에 나타난 변화는 남한의 수학교과서와 비교할 때 여전히 큰 차이를 보이지만 과거에 비해 간격이 좁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2012년에 이루어진 북한의 수학교육과정 개정과 그에 따른 수학교과서는 남한에서 추구하는 수학교육의 기본 방향과 부합되는 측면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 KCI등재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의 2012개정 문학 교과서 수록 양상 검토와 제언

        홍현정(Hong, Hyun Jung)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6 No.-

        본고는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의 대표작인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이 수록된 2012개정 문학 교과서 4종을 검토하고 2015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더불어 바람직한 문학 수업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작품의 교과서 수록 단원 분석, 작품 중 수록 부분, 본문 읽기 전 안내문의 양상, 작가와 작품 소개의 실정, 학습활동의 전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수록된 단원의 성격과 수록된 부분, 작품 안내문, 작가와 작품 소개 부분에서는 어느 한쪽으로 내용과 형식이 편중된 점과 무미건조한 점이 문제로 나타났다. 학습활동에서는 ‘고현학’과 ‘의식의 흐름’, ‘모더니즘’ 등의 유기적 탐구를 구현하지 못했고, 한국 모더니즘 소설의 특수성 고찰이나 재구성을 통한 학습자들의 작품 생산 활동 유도 등을 못한 문제점도 드러났다. 이에 ‘확장형 읽기’와 ‘집중적 읽기’의 순환, 작품 탐구를 위한 풍부한 비계 제공, 일(一)작품 다(多)성취기준, 여러 종류의 내러티브 생산 구축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reviewed four types of literature textbooks amended in 2012 where 「One day of Novelist Mr. Gubo」 which is a representative work among modernist novels in the 1930s was included and made proposals for desirable literature classes along with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curriculum amended in 2015. The analysis of the units of the textbooks where this work was included, the parts of the work included in the textbooks, the states of guidance before reading the text, actual states of introduction of the author and the work, and the development of learning activities were separately reviewed. The fact that the nature of the units that included the work, the parts included, work guidance and introduction of the author and the work were one-sided and dry appeared as a problem. The learning activities failed to implement organic studies of ‘modernology’, ‘the stream of consciousness’, and ‘modernism’ and showed a problem of failure to induce learners’ work activitie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distinctiveness of Korean modernist novels or re-composition of the novels. Therefore, this author proposed the circulation of ‘extensive reading’ and ‘intensive reading’, provision of rich scaffolds for work studies, multiple achievement standard for one work, and construction of production of many kinds of narratives.

      • KCI등재

        현장적합성 검토에 기초한 도덕교과서 및 지도서의 활용방안 제언

        김철호,이민종,주선미,박상덕,이현이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교육논총 Vol.34 No.2

        이 연구는 201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3~4학년군 도덕 실험본 교과서 및 지도서에 대한 현장적합성 검토 결과를 소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활용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투입대상은 경인교대 부설초등학교 3학년, 4학년 8개 학급 224명이다. 연구결과 다양한 문제점들을 발견하였고 이를 보완할 방향을 언급하였는데, 이 중 두 가지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의적 영역에서 이전 교과서들보다 다양한 요소들을 다루고 있었지만, 방법에 있어서는 모범감화형 수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공감이나 민감성 등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들을 반영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내용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의 예화가 수준이 너무 낮다거나 아동의 생활경험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아동은 자신의 일상생활경험과 일치하는 예화에 몰입도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가급적 아동의 일상생활과 일치하는 예화를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수능 연계 EBS 교재 현대소설 영역의 분석과 개선 방안

        박기범 ( Park Ki-beom ) 청람어문교육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2

        이 글은 현행 201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시작한 2017학년도 수능 연계 교재 『수능특강-문학』과 『수능완성-국어』, 2018학년도 수능 연계 『수능특강-문학』 세 권에 수록된 현대소설 영역을 대상으로 교재 구성상 특징과 방향의 적합성, 제재 선정의 적절성, 문항의 양호도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수능 연계 교재에 수록된 현대소설 영역이 명실상부한 공교육의 보완재로서의 기능을 잘 수행하는지 살펴보고, 미흡한 부분을 발견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능 연계 교재 현대소설 영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과서에 실려 있지 않은 제재가 수능 연계 교재에 많이 수록되었다. 둘째, 수록된 작품이 시대, 작가의 성별, 작품 길이, 시점 유형 면에서 고르게 선정되지 못했다. 셋째, 문항의 평가 요소와 행동 요소의 균형도 맞지 않고, 문항의 타당도, 완성도, 난이도 면에도 부족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 알게 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학습이 충실히 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교재로서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현행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제재로 활용해야 하며, 시대, 작가의 성별, 작품 길이, 주제, 시점 유형이 고르게 안배되어야 한다. 셋째, 문항 출제 시 <보기> 활용을 줄이고 복수의 성취 기준을 엮어서 문항을 설계하는 방식으로 참신한 문항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기출 문항 중 우수한 문항을 재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수능 연계 교재를 문제집보다는 학생 주도의 학습이 될 수 있는 내용과 활동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modern novel section included in the three volumes of the EBS textbooks linked with 2017~2018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ies Test), which started to apply the current 201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appropriateness of the features and directions in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 the appropriateness of the selection of the works, and the degree of goodness of the items. This paper examined whether the modern novel section included in the CSAT linked textbooks performs well as a complementary material to public education,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and find out the insufficient par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odern novel section included in the CSAT linked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lot of works that are not listed in current school textbooks. Second, the recorded works were not evenly selected in terms of age, artist `s gender, length of work, and viewpoint type. Third, there was a lack of balance between the evaluation factor and the behavioral factor of the item, and the lack of validity, completeness, and difficulty of the item. This paper proposed the following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it should be composed of teaching materials to assist in the learning of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Second, it should utilize the works of current school textbooks, and should be chosen evenly in terms of age, artist`s gender, length of work, theme, and viewpoint type.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novel items by designing items by reducing the number of external materials and combining multiple achievement standards. Fourth,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recycle excellent items from previous items. Finally, it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s and activities that can be student-based learning rather than the item collections.

      • KCI등재

        음악과 집중이수제의 실시와 폐지에 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연구

        현경실 한국음악교육학회 2013 음악교육연구 Vol.4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과목을 중심으로 집중이수제 실시와 폐지에 따른 각 학교의 운영 실태와 교사들과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조사는 설문지와 인터뷰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중등 교사 172명과 집중이수제를 경험한 학생 1522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교사 27명이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집중이수제를 반대하고 있었으며, 집중이수제가 장점보다는 단점이 훨씬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이 생각하는 가장 큰 문제는 교사 수급과 학생 음악학습의 단절, 그리고 전학생의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집중이수제의 실시로 교사들은 평소에 하지 못했던 여러 가지 다양한 음악활동을 하였으며 그 효과도 있었다고 믿고 있었다. 넷째, 학생들도 집중이수제의 효과에 대해선 회의적이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어문 규범 교육과 연계한 국어사 교육 연구 -고등학교 "국어 2"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승희 ( Seung Hee Yi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9 No.-

        본고에서는 국어사 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서 어문 규범 교육과 연계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그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보이고자 한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논의의 대상은 현행 고등학교 ‘국어 II’ 교과 서의 국어사 단원으로 한정하였다. 국어사 교육은 단지 옛말의 특징을 설 명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옛말과 현재의 말을 비교, 고찰하는 활동을 통해 스스로 탐구하고 이해하게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실제 언어생활에 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어문 규범을 국어사 교육 내용과 연계할 수 있다면 국어사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문 규범의 전통 을 더 정확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how methods of linkage educ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history and Korean language standard which includes Korean orthography and standard Korea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standard begins from elementary school and continues to high school, so learners are accustomed to it. On contrary,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starts on high school and is confined within narrow limits. Even though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is not popular and learners are unaccustomed to it, this is an important part to understand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al heritage. In chapter 2, I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unit in ``Korean II`` textbooks based on 2012 revised-curriculum. Textbooks show some difference, but they also have something in common in historical materials and contents. In chapter 3, I show that it is possible to relate between education ofKorean language history and Korean language standard. Learners can understand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based on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standard, that is Korean orthography and standard Korean. At the same tim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can help understanding the tradition of Korean language standard more accur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