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동엽과 1960년대

        하상일(Ha Sang-Il)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5

        이 논문은 신동엽과 1960년대 문학을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한 것이다. 이는 1960년대 문학은 곧 4월혁명 문학이라는 도그마를 넘어서 1960년대 한국문학의 변화와 혁신을 1965년 이후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에 바탕을 두고 새롭게 논의하고자 한 데 의의가 있다. 4월혁명은 그 역사적 · 문학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초반 5 · 16 군사쿠데타에 의해 미완의 혁명이 되고 말았다는 점에서, 1960년대 문학은 4월혁명의 시대정신이 1960년대의 현실에서 어떻게 지속적으로 이어졌는가에 대한, 즉 5 · 16 이후의 역사적 상황에 4월혁명의 정신이 어떠한 대응양상을 보여주었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이해가 더욱 중요한 과제라는 사실을 주목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무엇보다도 주목해야할 지점이 바로 1965년이다. 1965년은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이 이루어진 해라는 점에서 1965년 이전과 이후의 경계에는 4월혁명 이전과 이후의 뚜렷한 구분조차도 미처 담아내지 못한, 즉 아시아의 패권을 둘러싼 미국의 신제국주의 정책이 야기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적 문제가 깊숙이 은폐되어 있었다. 따라서 한일협정, 베트남 파병 등의 역사적 사건들은 4월혁명이 아닌 5 · 16 군사쿠데타 이후의 정치적 상황을 전제하지 않고서는 설명이 불가능한 문제였다. 그러므로 이에 맞서는 1965년 이후의 문학적 대응 양상은 1960년대 아시아 그리고 미국을 이해하는 세계사적 문제의식 안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신동엽의 1960년대 문학은 바로 이러한 ‘65년 체제’를 주목함으로써 4월혁명의 자장 안에 갇혀 동어반복을 넘어서지 못했던 1960년대 한국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냈다고 할 수 있다. 1965년 이후 신동엽의 시는 한일협정에 내재된 신식민주의와 베트남 파병의 신제국주의적 태도를 근본적으로 비판하는 데 무엇보다도 집중했다. 미국 주도로 형성되어 갔던 1960년대의 아시아 외교 정책에서 한국과 일본이 전위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종속성과, 아시아의 냉전 체제에서 한국과 일본이 군사적으로 경제적으로 그 역할을 분담해 줌으로써 베트남전쟁을 효율적으로 대비하려는 미국의 신제국주의 전략을 강하게 비판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신동엽은 한일협정이 미국의 베트남전쟁을 대비하기 위한 전략적 수순이었음을 정확히 간파함으로써 1960년대 한국문학의 저항성을 동아시아적 지형 위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이러한 문학적 통찰은 1960년대 한국문학을 4월혁명을 넘어서 ‘65년 체제’로 새롭게 읽어야 하는 문제제기를 던져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discusses Shin Dong-yeop and literature in the 1960s focusing on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Vietnam dispatch. By critically reviewing the dogma that the literature in the 1960s is the literature of the April Revolution,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renewing the discussions on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based o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East Asia since 1965. In the sense that 1965 was the year of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dispatch to Vietnam, America’s neo-imperialism over the hegemony of Asia was deeply concealed. This had not been captured in the boundary of prior and post April Revolution. Therefore,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Vietnam dispatch cannot be explained without presupposing the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May 16th military coup. Shin Dong-yeop"s literature in the 1960s focused on the ‘year 65 system’ and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the literature of the 1960s that was confined in the April Revolution. Since 1965, Shin Dong-yeop"s poetry fundamentally criticized the neo-colonialism underlying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neo-imperialism of Vietnam dispatch. He opposed to the subordination of Korea and Japan, which the U.S. used as its vanguard troops in its Asian foreign policy in the 1960s, and America’s neo-imperialist strategy to prepare for the Vietnam War efficiently. Therefore, by recognizing that the Korea- Japan Agreement was a strategic step to prepare for the Vietnam War, Shin Dong-yup approached the resistance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in the East Asian landscape, instead of viewing it just as a domestic problem. This literary insight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raises the question of interpreting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based on the year 65 system, beyond the April Revolution.

      • KCI등재

        신문물과 1960년대 한국: 플라스틱 PVC 도입

        박영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4

        Through the case of plastic PVC, which was a Korean new product of civilization in the 1960s, this paper studied Korea in the 1960s, an era of openness and transformation that still requires an additional understanding of reality in the asp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change and real life. Through this, the following four facts were discovered. First, the introduction of a new product of civilization in the 1960s was used for the purpose of advertising for the regime, and the introduction of a new product of civilization proceeded too quickly without being based on reality. Second, the interests of countries and capital already ahead of Korea were being involved in the introduction of new materials of civilization. In particular, Japan, which left Korea with historical charges, actively used the new product of civilization to return to Korea in the 1960s and succeeded. Third, the artificially rapid introduction of a new product of civilization by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in terms of supply side without regard to capacity and acceptors has led to conflicts and resistance in Korean society in the 1960s. Fourth, the government's response and pursuit of interest affect the process and content in the introduction of a new product of civilization. This research on plastic PVC as a new product of civilization in the 1960s reveals another uniqu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 and characteristic of the 1960s in Korea,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1950s and 1970s in Korea. 본 고는 신문물과 사회변동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연구시기와 대상이었던 ‘개화기’, ‘국내’, ‘신문물소비자’에서 시각을 옮겨 ‘1960년대’, ‘국내외’, ‘신문물공급자 정부와 기업 포함’ 이라는 시각에서 1960년대 신문물이었던 플라스틱 PVC의 도입과 1960년대 한국사회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 4가지를 발견하였다. 첫째, 1960년대 신문물이 이전과의 단절과 집권명분을 추구하던 5.16 정권에 의해 위로부터 빠르게 도입되었다. 둘째, 신문물의 도입에 선진공업국가, 선진자본들의 이해가 개입되고 있고 신문물의도입 과정을 통해 1960년대 한국과 미국, 일본 등의 관계와 위치를 찾아낼 수 있으며 특히 한국에서 패퇴해 나간 일본은 1960년대 한국에 다시 복귀하는데 신문물을 적극 이용하고 성공하였다. 신문물 PVC를 둘러 싼 이러한 사태는 1960년대 한국의 대외상황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셋째, 수용능력과 수용자 고려 없이 정부와 기업에 의해 하향식으로 급속히 추진된 신문물 도입은 1960년대 한국사회의 갈등과 저항을 노정시켰다. 신문물은 수용시의 갈등완화 등 준비와 수용자의 적응, 시간이 필요한 것이었고 1960년대 한국에서의 신문물PVC 도입과정은 그것을 무시하였던 1960년대의 한국 상황과 그 상황의 결과를 보여준다. 넷째, 신문물의 도입에는 국민들의 자연적 대응과 적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루어지지만 신문물 도입에서 정부의 이해관계는 신문물이 수용되는 과정과 내용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발견은 신문물 도입에 관한 주요한 역사적 내용과 그 의미를 제공함과 동시에한국의 1950년대, 1970년대와 구별되는 1960년대의 국내외상황과 한국사회 특징을 새로이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1960년대 한국영화와 수치심

        오영숙(Young Suk Oh) 한국영화학회 2016 영화연구 Vol.0 No.69

        이 글의 일차적인 관심사는 수치심이라는 키워드로 1960년대 한국영화에 드러나는 감정과 마음의 풍경을 읽어내는 일이다. 스크린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수사의 양상과 그 형성 조건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명료한 말이나 담론으로는 표현되기 어려운 복합적인 당대의 대중 감정과 사회적 정서를 기술하고자 한다. 이것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1960년대의 사회적 감정이자 정신이 된다. 수치심은 1960년대 한국영화 전반에 걸쳐 편재적으로 등장한다. 가족드라마나 통속 신파물과 같은 멜로드라마를 비롯하여 청춘영화와 스릴러, 식민지 경험을 다룬 영화,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을 담은 모더니즘 계열의 영화, 나아가 계몽적 성격의 영화에 이르기까지, 수치심은 다양한 양상과 수위로 검출된다. 1960년대 초반에 수치심이 주로 멜로드라마적 페이소스를 유발하는 장치로 사용되었다면, 1960년대 중후반으로 갈수록 수치의 양상은 부끄러운 자아의 성찰적인 응시라는 문제로 심화되기도 한다. 또한 수치심에 사로잡힌 주체의 회복되기 힘든 심리적 외상이 강조되거나, 죽음 내지 자살과 같은 자기 파멸적인 행로가 전개되는 특징을 보인다. “아버지는 형무소 살이 하다 죽었고 어머니는 갈보였다.” 1960년대의 대표적인 흥행작이었던 청춘영화 〈맨발의 청춘〉(김기덕, 1964)의 이 대사는 이 시기 멜로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수치심의 기원을 함축적으로 제시한다. 1960년대 영화들에서 유난히 부각되는 이 같은 수치심은, 민족적 역사에서 기인하는 집단적인 수치심과 겹쳐지는 면이 있다. 1960년대는 분단 현실이 실감되면서 식민지 경험과 한국전쟁의 의미에 대한 아픈 인식이 공유되던 때이다. 굴욕적인 한일협정은 신생독립국의 종속적 위치에 대한 실감을 전국민적으로 확대시켰다. 수치의 폭로와 전시는 참담한 현실을 개선할 가능성을 꿈꾸던 상상의 산물이며, 궁극적으로는 자기 성찰의 행위가 될 가능성을 갖는다. 1960년대의 혹독한 검열과 규제 때문에, 한국영화의 대부분이 수치의 근원에 대한 사회적 이해보다는 수치심으로 인한 개인의 내적 고통을 보여주는 것에 머물러 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또한 수치의 진짜 원인과의 만남을 가로막고 근본적인 사고를 어렵게 만드는 물신적 내러티브가 구사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영화에서 수치심의 궤적은 탈종속적인 국가의 길을 발견하고자했던 집단적 자의식으로 이해될 여지를 갖는다. 그것은 식민지 시기부터 유예되던 주인의식의 실현 가능성을 상상함으로써, 공론장에서는 발언이 제한되던 사회적 외상을 치유하려던 하나의 시도일 수 있다. The primary concern of this paper is to read out the landscape of a emotion and mind revealed in Korean films in the 1960s using the keyword ‘shame’. This writing is intending to describe complex collective emotions and social sentiments of the time, which were difficult to express through clear words, or discourses, by asking about the aspects of rhetoric frequently appearing on the screen, and the formation condition thereof. What it is aiming for ultimately becomes social emotions, and also spirit in the 1960s. The emotion of shame appears ubiquitously across Korean films in the 1960s. Ranging from youth films, thrillers, films addressing colonial experience, films belonging to the series of modernism including memories of the Korean War, further up to the films of enlightening character including melodramas like family dramas, or common tear-jerking dramas, shame is detected in diverse aspects. If we suppose that in the early 1960s, shame was used to mainly arouse melodramatic pathos, however, the aspect of shame more deepened into the problem of introspective staring of shameful ego as well, especially in the mid & late 1960s. Also, the aspect of a shame shows the characteristics that hardly recoverable scars and trauma of a subject seized with shame are more emphasized, and a self-destructive path of one’s life like death and a suicide is developed. “My dad died in prison, and mom used to be a prostitute.” This line from the youth film 〈The Barefooted Young〉(Directed by Kim, Ki-deok, 1964),which was the representative biggest box-office hit in the 1960s, connotatively suggests the origin of shame which frequently appeared in melodramas during this period. The shame like this, which was played up particularly in the films of the 1960s, overlaps with the collective shame attributable to national history in a sense. The 1960s marks the time when painful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colonial experience and the Korean War was shared among the people with their realization of the reality of Korean division. The humiliating 1965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served to expand the realization of a subordinate position of a newly-independent nation across the entire country. The exposure and display of shame are the products of imagination dreaming of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horrible reality, and ultimately have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self-reflexive behavior. Most of the Korean film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remain at a level of showing an individual’s internal pain due to the shame rather than social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the shame because of rigorous censorship and regulations in the 1960s. Nevertheless, the path of shame in the films of the 1960s has room for being understood as collective self-consciousness which intended to discover the post-subordinate nation’s path. It could be an attempt at healing social trauma, for which giving a speech was banned in public sphere, by imagining realizability of authentic self-reliance that had been suspended since the colonial days.

      • KCI등재

        1960년대 정신분석의 도입과 근대적 공포 코드의 전환-이청준 소설의 ‘정신병자’와 정신분석 치료의 충돌을 중심으로

        최애순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6

        This study discusses how fear was formed and developed in Korean literature, and attempts to clarify that the genre of "fear fiction" in Korean literature was weak because it was suppressed in the opposition to authentic literature. Therefore, as the second subject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analyze the return of psychosis in real literature with the introduction of psychoanalysis at the time when 'fear' seemed to disappear in Korean literature.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the introduction of “psycho analysis”, or the process of introducing “psycho medicine” and literature, from the methods discussed so far in psychoanalytic criticism. This will focus on how the introduction of psychoanalysis (psycho medicine) into the literature and the lineage of Korean "horror" has emerged from the existing researches that criticized and criticized the characters in the text. Therefore, this study presupposes that the horror object occupying the position of women's aristocratic who was represented by 'Janghua Honglian' until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oved to 'mental man' in 1950s and 1960s. In the 1960s, however, the "psychiatric" were subject to taboos and quarantines, and they began to emerge as horror codes since the 1990s and 2000s. In the 1960s, psychosis and asylum were objects of rejection, taboo, and oppression. As Freud's death in 1956, Freud's psychoanalysis began to be introduced in the 1960s, I want to show that I am deeply involved in Korean literature. Being pointed out as a psychoanalyst or psychotic patient at the time of its introduction could itself be a terror.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phenomenon of 'fear' disappeared from the genre of literature during the war after liberation and in the 1960s is due to the influence of 'mental analysis'. I want to show that it is hidden by symptoms that I can't. Lee Cheong-jun's Discharge (1965), The Wall of Rumors (1971), Missing Miss (1976), Cho Mandeuk (1980) I will focus on the works of the patients with mental hospitals. 본 연구는 한국문학에서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공포’가 바로 정신분석의 도입과함께 본격문학의 정신병으로 귀환하였음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정신분석 비평으로 논의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정신분석’의 도입 자체, 혹은 ‘정신의학’의 도입과정과 문학의 연관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텍스트 내의 인물들을 정신분석하며 비평하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사회문화적 담론의 지형 안에서 정신분석(정신의학)의 도입이 어떻게 문학에 들어가서 한국 ‘공포’의 계보를 잇게 되었는지에 주목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까지의 ‘장화홍련’ 으로 대표되던 여성 원귀의 자리를 차지하는 공포대상이 1950년대를 거치고 1960년대가 되면 ‘정신병자’로 옮아갔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1960년대 ‘정신병자’는 금기와 격리의 대상이었고, 이들이 공포 코드로 떠오르기 시작한 것은1990년대 이후, 2000년대가 되어서이다. 그만큼 1960년대 정신병과 정신병원은 사람들에게 거부, 금기, 억압의 대상이었다. 1960년대 한국문학에서 공포소설 장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것은 바로 개인의 억압된 것이 회귀하는 정신분석과 사회적 원인으로 공포에 시달리는 정신병 환자 사이의 충돌 때문이다. 따라서 1960년대 ‘공포’는 오히려 본격문학 쪽에서 종종 정신병을 앓고 있거나 이상 징후를 보이는 인물들에게서 엿볼 수 있다. 정신분석은 ‘정신의학’과 함께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한다. 1960년대 문학 연구자들이 이청준, 최인훈, 서정인, 김승옥과 같은 1960년대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할 때 ‘정신분석’ 비평을 많이 하게 되는 것은 ‘정신병’, ‘신경증’ 등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인물들이 종종 등장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1956년 프로이트의 죽음을 맞아 1960년대 본격적으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정신분석이 한국문학에 개입되는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처음 도입되던 시기에 정신분석 혹은 정신병 환자로 지목된다는것은 그 자체로 공포의 대상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해방 후 전쟁을 겪고 1960년대 들어서면서 문학의 장르에서 ‘공포’가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정신분석’의영향 때문이라 보고, 공포가 겉으로 표출되지 않고 죄의식과 같은 무의식이라든가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증상 등으로 숨겨져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따라서 이청준의 「퇴원」(1965), 「소문의 벽」(1971), 「황홀한 실종」(1976), 「조만득씨」 (1980) 등 정신병원 환자가 등장하는 작품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 KCI등재

        1960년대 조동일 문학비평 연구

        하상일(Ha Sang-Il) 우리문학회 2011 우리文學硏究 Vol.0 No.33

        본 논문은 1960년대 조동일의 문학비평을 연구한 것이다. 1960년대 조동일의 문학비평은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논의될 수 있다. 첫째는 주체적 전통론에 입각한 문학사의 연속성에 관한 인식이고, 둘째는 민중 의식의 성장이라는 계급의식의 변화를 토대로 한국적 리얼리즘의 형성과정을 살펴본 것이며, 셋째는 1960년대 모더니즘문학과 순수문학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바탕으로 문학의 현실 참여를 강력하게 제기했다는 점이다. 물론 이러한 비평의식은 1960년대 현실주의 문학비평의 일반적인 문제들과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무엇보다도 한국 근대문학의 흐름을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연속성 위에서 일관되게 분석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그동안 고전문학 분야를 중심으로 문학사, 문학사상 등의 연구에 탁월한 성과를 보여주었다고 평가된 조동일이, 1960년대에는 당대의 역사와 현실에 직접적으로 맞서는 문학비평의 방향성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실천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은, 1960년대 한국문학비평사의 외연을 확장하는 새로운 지점임에 틀림없다. 이런 점에서 1960년대 현실주의 문학비평 연구에서 조동일의 비평 가적 위상과 의미를 발견하려는 시도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literary criticism of Jo Dong-il in the 1960’s. Jo Dong Il’s literary criticism in the 1960’s can be discussed largely from three aspects. The First is to recognize the continuity of literary history grounded on the theory of subjective tradition, and the second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ing Korean-style realism based on the changes of class consciousness. Lastly, the third is that it strongly raises the practical participation of literature based on critical introspection over modem literature and pure literary theory in the 1960’s. Of course, such critical consciousness does not greatly differ from the frame of general problems in the criticism of realistic literature in the 1960’s; however, we cannot but focus on the point that particularly the flow of Korean modem literature is analyzed consistently on the continuity of classic literature and modem literature. Moreover, the fact that Jo Dong Il who has been evaluated to show excellent results in research on literary history or literary thought centering around the field of classic literature did deeply consider and practice the directivity of literary criticism directly confronting the time’s history and reality in the 1960’s must be the new point to extend the range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history in the 1960’s.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it is very significant to try to discover Jo Dong Il’s status and significance as a critic in the research of realistic literary criticism in the 1960’s.

      • KCI등재

        1960년대 등단제도의 문단적,문학적 의의와 영향

        이봉범 ( Bong Beom Lee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7

        1960년대 등단제도의 의의는 새로운 문인, 문학 출현의 제도적 토대로 기능했다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이를 바탕으로 동인지운동과 세대교체론을 추동하는 가운데 1960년대 문단·문학 질서의 변동을 초래한 원인으로 작용했다는데 더 큰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새로 등장한 신인들 특유의 자생적이고 독자적인 세력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동인지운동이다. 당대 문단구조의 폐쇄성에 의해 동인지활동이 자극되어 동인지 붐이 조성되면서 동인지는 독자적인 문학영토의 창출과 세대 결집 및 세대 간 연대의 거점이 된다. 동인지의 주류를 형성했던 시 동인지들은 이념적 결속보다는 재래의 문학형식에서 탈피해 스스로의 시적 실험을 위한 작품 활동의 광장으로 창출된 뒤 점차 에꼴 형성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전개하나 경제적인 열악함, 기성문단의 냉대, 발표기회의 점 증 등의 외적 조건과 애초에 표방했던 시적 주체성과 방법론을 창안하지 못함으로써 쇠락하게 된다. 특히 동인지들 대부분이 1960년대 순수시/참여시의 대립구도에 갇힘으로써 새로운 시적 질서를 창출해내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한다. 『 산문시대 』 를 비롯하여 4·19세대의 세대론적 전략에서 창출된 동인지들도 한국문학의 전통에 반기를 들고 앞 세대와 변별되는 문학의 영토를 개척하려는 의욕에도 불구하고 그 상징적 선언을 뛰어넘는 현실적 구체화에는 다소 미흡했다. 다만 1960년대 후반 개방형 동인지 형태로 동인지운동이 전환되면서 서로 다른 문학이념으로 무장한 개방형 동인지들의 각축을 통해 4·19세대의 분화가 본격화된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60년대는 4·19혁명이 문화적 교체기의 계기가 되는 가운데 전후세대를 중심으로 세대교체론이 강력하게 제기되고 이후 4·19세대의 등장으로 세대연대론, 갈등론, 교체론 등이 종횡으로 교차하면서 서로 다른 문학적 이념과 정체성을 지닌 세대 간의 논쟁이 고조되기에 이른다. 더욱이 세대논쟁이 문단질서 개편론, 문단혁신론 등 문단적 의제 및 순수/참여논쟁, 전후문학/4·19세대문학, 소시민문학/시민문학논쟁 등 문학적 의제와 중층으로 맞물려 복잡하게 전개되면서 1960년대 문단·문학질서가 새롭게 재편·조형되는 원동력이 된다. 특히 1968∼69년 거세게 대두된 두 개의 문학적 의제와 결부되면서 세대론은 세대 교체론으로 급속히 선회한다. 1968년 초에 정점을 보인 참여문학론으로 인해 횡적인 균열이 심화되고, 1969년에 재점화된 제2세대/제3세대의 세대의식논쟁으로 종적 연대감이 파괴되면서 1960년대 초에 배태되어 협력/비판의 구도 속에 다중 모색을 거친 세대론이 확실하게 정리되기에 이른다. 그것은 1960년대 문학을 총정리하는 작업이었으며, 서로 다른 문학이념을 지닌 문학그룹이 상호간의 대결을 통해 각각 자신들의 정체성을 역설적으로 확보·분화해가는 과정의 완료였다. 전후세대의 전반적 퇴조와 4·19세대의 세 지점으로의 분화로 마무리되었던 것이다.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일차적으로 등단제도를 통한 4·19 세대의 대거 등장과 그들의 문학적 약진이었다. As the influential ways of platform system had been made such as a literary contest in spring, recommendation system, rookie literary prize in the 1960`s, which were competitive each other. The literary debut system in the 1960`s drove literary coterie magazine and generation replacement. Also, it had great significance that it caused the changes of literary circles and literature order in the 60`s. Literary coterie magazine movement showed the unique autonomous and independent influence of new rookies. Literary coterie magazine was stimulated by the closure of literary circles system of the time and there was a boom in literary coterie magazine. So, it became the solidarity base for independent creation of literature and generation unification. In the late 1960`s, literary coterie magazine has been changed into open type. So, the division of generation became serious through competition of open type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which was armed with different ideology literature. In the 1960`s, 4. 19 caused the cultural replacement period and the generation replacement was strongly raised in postwar generation. Afterward, the theory of generation solidarity and replacement had crossed lengthwise and breadthwise, and the arguments among generation with the different ideologies of literature and identities had reached its peak since 4.19 generation appeared. Moreover, generation argument became complex, interlocking doubly with reorganization of literary circles, literary circles agenda and purity/participation dispute, historical consciousness/the petit bourgeois consciousness, petit bourgeois literature/citizen literature. So, they were the impetus to reorganize the literary circles and literature order in the 1960`s. Finally, it had been divided into overall ebb in postwar generation and three parts of 4.19 generation. What made them possible was primarily the great appearance of 4.19 generation and literary advance through literary debut system.

      • KCI등재

        196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

        정미경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ake a look at the clothing & textiles and its education for children in Korea in the 1960’s, and to construct the fundamental reference for other studies in the future. Literatures, references from the internet, private pictures were reviewed.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1) The clothing & textiles of Korean in the 1960’s were influenced by social, economical, cultural and technological factors as 4.19 movement and 5.16 revolution, economic development plans, an inflow of western culture, development of synthetic fiber industry. 2) The changes of social and clothing & textiles of Korean in the 1960’s were reflected in children's clothing & textiles as development of children's wear industry, traditional hanbok were worn as everyday dress were change to formal dress, children wear the styles of adults' fashion which fashioned in the western such as mini one-piece, tailored pantalon suits, short hair, total look, optical look and use of clothes and accessories made with synthetic fiber as development of chemical fiber industry. 3) After 1965, clothing & textiles unit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reflect the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 revised to social change.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ere girls and boys in the four to six grade being taught according change the ideology of gender roles. And new contents being taught such as sorting wardrobe, several types of yarn and fabric, sewing machine handling. It can be concluded that clothing & textiles of children in Korea and its education in the 1960’s be seriously affected chronological changes. Especially the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in the practical arts was reflected that of national curriculum's pursue such as independence, productivity, usefulness and play a prominent part to modernizing the ways of clothing and textiles. 본 연구는 1960년대 아동의 의생활과 의생활 교육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1960년대 아동의 의생활 및 초등학교 의생활교육에 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내용은 1960년대의 사회와 의생활, 1960년대 아동의 의생활, 1960년대 초등 의생활교육으로 구성하고 문헌과 인터넷, 개인 소장 자료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정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1960년대는 4.19의거와 5,16혁명이 일어난 시기로 경제개발과 서구문화의 유입, 화학섬유공업발달과 같은 사회, 경제, 문화, 기술적 요인에 의해 서양복의 본격적 자리매김, 한복의 예복화, 의복수요 급증에 따른 기성복의 보급, 미니와 판탈롱 등 서양패션의 유행, 화학섬유 생산으로 의복관리의 간편화 등 의생활의 현대화가 본격적으로 일어난 시기라 할 수 있다. 둘째, 1960년대 사회와 의생활의 변화는 아동의 의생활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아동복산업의 발달, 한복의 예복화가 확고해졌으며. 유행스타일은 짧고 장식이 더 많으나 성인복의 유행과 같은 미니 원피스, 테일러드 판탈롱 수트, 짧은 커트머리, 토탈 룩, 옵티컬 룩이 나타났으며, 화학섬유의 발달로 합성섬유로 된 의류와 신발, 액세서리 등이 착용되었다. 셋째, 의생활교육은 사회적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의생활교육내용도 사회의 변화를 적극 수용하여 교육하였다. 바느질의 남녀공통이수, 옷장 정리, 화학섬유공업의 발달로 인한 다양한 실과 옷감의 특성 및 건사방법, 재봉틀 다루기, 국가 재건을 위한 자원의 재활용을 주제로 한 교과의 내용 및 교과서의 삽화와 사진 등은 이를 반영한 것이었다. 한편, 당시의 서구문화의 수용은 최근 전통문화에 교육에 중점을 두는 것과 달리 전통한복에 대한 내용은 다루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볼 때, 196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은 시대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아 현대화가 본격화 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의생활 교육 또한 국가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자주성, 생산성, 유용성에 충실하였을 뿐 만 아니라 생활의 현대화를 계도하는데 있어서 부단한 노력과 역할을 했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사상계』 신인문학상과 1960년대 소설의 형성

        고지혜(Ko, Ji-Hye)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49

        이 논문은 『사상계』가 1960년대 문학 장에 끼친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1960년부터 실시한 『사상계』 신인문학상 수상작들을 ‘사상계’라는 의미망 안에서 검토하였다. 1960년대 들어 한국사회가 급격히 분화하고 매체 환경도 변화함에 따라 1960년대 『사상계』의 문학담론은 정치 · 경제 · 사회담론들과 점차 분리된다. 이때부터 『사상계』의 문학면은 ‘문학만의 문학성’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고, 신인문학상 제도를 통해 1960년대 문학성을 대표할 수 있는 작품들을 발굴, 새 시대의 새로운 문학으로 호명하고자 했다. 1960년부터 1968년까지 총 10회 걸쳐 실시된 『사상계』 신인문학상은 공신력 있는 등단제도로 자리잡아갔을 뿐만 아니라 서정인, 이청준, 박태순, 박상륭 등 ‘새로운 문학세대’를 대거 등장시켰다. 『사상계』 신인문학상은 심사의 주요 기준으로 ‘단편소설로서의 구성’과 ‘언어에 대한 감각’을 내세웠다. 『사상계』는 1962년 서정인의 「후송」을 기점으로 이전과는 다른 언어, 문체, 표현을 드러내는 작품을 발굴하기 시작한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형식과 언어에 대한 모색은 1960년대 후반 4 · 19세대 평론가들의 문학담론으로 뒷받침된다. 이들이 말하는 문학성은 언어 예술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이며, 이는 소박한 리얼리즘을 넘어 재현으로서의 문학이 아닌 구성으로서의 문학을 가리킨다. 또한 『사상계』 신인문학상 수상작들의 주제 의식은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서정인, 황석영, 이청준, 박태순, 최인호 등의 등단작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모두 청년들로서, ‘고립된 개인’이자 미결정 상태에 놓인 ‘중간자적 존재’이다. 이 소설들에는 외적 사건의 극적인 전개가 두드러지지 않으며 서사의 흐름은 자기를 의식하고 자기세계를 탐구하는 주인공의 내면을 따라간다. 이러한 소설들의 핵심은 중간자적 존재의 미결정 상태를 형상화한 것에 있으며, 아이러니하게도 이들에게 있어 자기형성의 과정은 ‘형성(자아와 세계의 통합)’될 수 없음을 깨닫는 여정이다. 요약하자면, 1960년대의 『사상계』는 새로운 세대의 새로운 문학이 형성될 수 있는 장(場)을 마련했으며 『사상계』가 발굴 · 배출하고 키운 소설가들은 6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가 되었다. 1960년대 『사상계』를 통해 등단한 작가들은 자신들의 세대에 어울리는 문학과 문학성에 대해 고민했고 이는 1960년대 문학 장의 세대교체를 추동했다. 그리고 ‘문학이란 무엇인가’ 혹은 ‘문학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이들의 고민과 탐색은 1970년대 『문학과지성』으로 이어진다. This study examines the New Writer Prize of the journal Sasanggye in the 1960s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common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winning novels. The award demonstrates the shift in literary awareness that occurred in Korea after 1960, when Korean society rapidly segmented. The media environment followed suit, and literature separated from politics, economics, and social discussion in Sasanggye, and instead became more artistic and specialized, a trend clearly illustrated through the New Writer Award. While the award was given in accordance with several major criteria, including short story composition and linguistic sense, the topics chosen by the New Writer Award winners were similar to one another. The writers, including Seo Jeong-in, Hwang Seok-young, Lee Cheong-jun, and Park Tae-sun, created main characters both young and isolated, often in the stages of self-disappearance or self-oblivion. They are, in sum, characters who feel adrift. The narrative of these stories follows their processes of resolution as they seek to find their true identities. Yet even as the characters face certain choices and decisions, they become both the subjects and strangers of those decisions. In other words, these novels operate as bildungsromans, with their characters engaged in the process of self-formation, occupying a place of pending status as intermediate individuals. This literature, from writers who started their careers through Sasanggye, was well-matched with the period and drove a larger literary shift in the 1960s. In summary, Sasanggye created a new field for literature and cultivated a new generation of writers who became representative of the era. These writers sought to answer the deeper questions of what literature is and what it can do, questions that carried over to the future publications of 68 Literature and Literature and Intelligence in the 1970s.

      • KCI등재

        ‘비-전체’를 사유하기: 한국 교양소설의 젠더 : 1960년대 한국전쟁 서사를 중심으로

        강지윤(Kang, Jiyun)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이 논문은 1960년대 문단의 젠더적 성격에 대한 해석을 다각화해보기 위해 이 시기를 대표하는 교양소설이라는 양식과 이 양식의 미학적 이념소인 ‘개인-사회’ 구조에 대한 젠더적 독해를 시도한다. ‘교양소설’이라는 양식을 규제적인 개념이라기보다 ‘개인-사회’ 구조라는 미학적 이념소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도록 하는 매개적 개념으로 활용하면서 1960년대 문학의 젠더적 문제성을 새롭게 의미화해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라캉 정신분석학의 성차(性差) 및 주체성 이론이 기반해 있는 ‘전체/비-전체’의 역학을 참조한다. 이를 위해 1950~60년대를 관통하며 남성중심 문단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두 여성작가의 1960년대의 한국전쟁 서사이자 대표작인 『임진강의 민들레』와 『시장과 전장』을 같은 시기 남성 교양서사의 대표 작가인 최인훈과 이청준의 또 다른 전쟁 서사인 「광장」과 「병신과 머저리」를 비교의 관점을 통해 읽어보고자 한다. 1960년대에 탈식민 분단체제 최대의 역사적 트라우마인 한국전쟁을 전면적으로 돌아보고 있는 이 소설들은 한국 사회의 역사적 부침(浮沈)과 그 안에서 일어난 개인 서사의 진폭을 시간적 거리감 속에서 재구성하고 있는 작품들이라는 점에서 비교를 시도해볼만한 대조군이라고 판단된다. 최인훈의 「광장」과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의 남성 주인공이 대표하는 인식의 주체에게 여성은 불가해한 욕망의 존재라는 위상을 가진다. 이 여성들은 서사에서 특권적 지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이는 한편 여성의 대상화라는 전형성을 드러낸다. 이는 무엇보다 ‘개인-사회’ 구조라는 미학적 이념소의 남성 독점에서 기인한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개인-사회 구조로부터의 여성의 외재성은 남성 주체에게 서사적 도약의 계기로 작용한다. 1960년대 남성 교양소설은 사회적 총체성에 대한 인식에 닿으려고 하는 남성 인식 주체의 ‘전체’에 대한 환상이 여성이라는 ‘외부’에 지탱되고 있는 역설적 양식이라는 사실을 예시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강신재의 『임진강의 민들레』와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은 연애서사와 전쟁서사의 교차 속에서 교양소설의 인식 주체를 재구성한다. 전술한 남성 교양서사에서 남성 주체에게 미지의 대상이란 여성이라는 외부로 설정되어 있었다면, 이 두 소설에서 여성 주체의 시선은 ‘전체’라는 환상이 없으며 그에 따른 잉여적 외부도 상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발견되는 것이 있다면 가장 심원한 미지란 주체 내부에서 비롯되며 ‘사회’라는 전체의 환상을 지탱하고 있는 것은 집단에 내재한 모순들의 결렬이라는 점이다. This article aims to diversify interpretation of the gender character of 1960s Korean Bildungsroman. Both in Choi In-hun’s Kwang Jang and Lee Chung-jun’s Byoung-shin gua Moejori, women have status as the inexplicable object of desire. The women characters of these novels appear as an external element out of “social totality” which “the male subject of cognition”, the modern individual, manages to grasp. The externality of woman out of “individual-society” relation which is the main aesthetic structure of modern novels, however, functions as an escape from totality of narrative. The model Korean bildungsroman in 1960s which are exclusively narrated from male heroes’ perspectives can be interpreted as an ironic literary mode examplifying the fact that psychoanalytic fantasy toward “the whole” of the male subject of cognition is supported by woman as externality out of “individual-society” structure. On the other hand, Kang Shin-jae’s Imjingang ui Mindulae and Park Kyoung-ri’s Shijang gua Jonjang which can be called as female bildungsroman reconstitute the structure of bildungsroman’s subject of cognition. While men’s bildungsroman requires the woman as externality out of the whole, in these novels, perspectives of female subjects have no fantasy toward the entirety and no surplus external element out of it. What the novels discover is, rather, the fact that the most darkest mystery is originated from inside of the subject and the fantasy of society as “the whole” is supported by the inner inconsistency of communities.

      • KCI등재

        ‘1960년대’의 시적 재현과 수치(羞恥)의 정동 : 권일송(權逸松)의 초기 시를 중심으로

        조은주(Cho, Eun-Jo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4 No.-

        본 논문은 권일송의 초기 시에 재현된 ‘1960년대’와 ‘수치’의 정동을 분석한 것이다. 권일송은 시인으로서 자신의 위치를 주저 없이 ‘저항’에 정위한다. 1960년대 시적 정체성을 ‘저항’으로 택한다는 것은, 동시대 여러 사람들의 희생을 통해 성취한 4 · 19 혁명과 그 정신을 계승하겠다는 의지를 공표하는 것이다. 권일송의 혁명 정신은 4 · 19로 상징되는 자유와 평등의 정신을 향한 적극적인 지향, 즉 식민주의와 제국주의는 물론이거니와 일체의 폭력적 세력에 대한 저항이자 인간에 대한 보편주의적 사랑으로 집약된다. 그는 혁명의 유산을 바탕으로 더 나은 미래를 획득할 수 있으리라는 확신을 작품에 담고자 노력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믿음과 신뢰가 무너진 세계, 잔혹한 낙관주의가 종언된 세계에 도달한다. 깊은 허무주의에 빠지는 대신 그가 선택한 방식은 추악한 ‘돼지의 진실’을 대면하고 그것에 대해 증언하는 것이다. 권일송은 국토건설단, 제5대 대통령 선거,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불법밀수사건, 존슨 대통령의 방한, 국회오물투척사건 등과 같은 1960년대의 역사적 사건들을 그 시대를 살아가는 주체의 몸을 관통하는 감정, 감각들과 함께 재현한다. 이러한 작품들에는 눈물과 우울, 패배감, 좌절감, 절망감, 무력감이 팽배하다. 종국에 그는 언어의 몰락을 선언하고 자신의 시를 ‘수치의 시 쓰기’로 규정한다. 혁명 정신의 좌절을 통해 만나게 되는 ‘수치’는, ‘1960년대’를 수치의 경험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새롭게 의미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시인의 윤리의식과 결부된 중요한 정동이다. 요컨대 권일송은 어느 시인보다도 성실하게 ‘1960년대’를 재현했으며 특히 4 · 19 세대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수치’의 정동을 통해 발현한다는 점에서 주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1960s and the affect of shame as depicted in the early-period poem of Kwon Il-song. He positioned his status as a poet at ‘resistance’ without hesitance. Choosing one"s poetic identity in the 1960s as ‘resistance’ is to declare a will to inherit the April 19th Revolution and its spirit that was achieved upon sacrifice of many of his contemporaries. Revolutionary spirit of Kwon Il-song can be summarized as an active pursuit of the spirit of freedom and equality embodied in the April 19th Revolution, resistance against colonialism, imperialism, and all other violent forces, as well as universal love of the mankind. Based on the legacy of revolution, he endeavored to contain his conviction to achieve a better future, but ironically, arrived at a world where belief and trust collapsed, a world where cruel optimism came to an end. Instead of falling into deep nihilism, he chose to confront ugly ‘truths of pigs’ and testify to them. He reproduced historical events of the 1960s including the national construction group, presidential election, election of members for the National Assembly, illegal smuggling, visit of the US president Johnson, and the spilling of filth at the National Assembly, along with the emotions and sensations that people of the time felt. These poems are rife with tears, gloom, sense of defeat, frustration, and feeling of helplessness. Eventually, he sensed the fall of language, and prescribed his poem as ‘writing of shame’. This sense of ‘shame’ that he encountered following frustration with the revolutionary spirit is an important affect that is tied to the poet"s ethics in the sense that he reconstructed the 1960s as a shameful experience and invested new meanings in them according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