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북한영화 속 미국 표상 연구

        이현중(Lee, Hyun Joong)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7

        1960년대는 남과 북의 정치적 이념 대립이 체제 구축을 통한 이념 대결로 표출되는 시기였다. 국내외적으로 베트남전, 중소논쟁, 박정희 정권의 시작과 이념대립, 한일협정 등 북한 입장에서 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정세들이 펼쳐지고 있었고, 북한영화는 언제나처럼 선전 도구로서 이념교양의 역할을 수행해야 했다. 영화의 정치적 역할은 이미 이전 시대부터 주목받았던 사실이고, 1960년대는 산업적으로도 북한영화가 팽창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영화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었다. 김일성의 유일체제 구축과 외세 위협으로부터의 내부 결속 등을 위해 1960년대 북한영화에는 반미반제 주제의 영화들이 다수 등장했으며, 이 영화들은 적대적 존재로서 미국 표상을 활용한다. 반미반제교양 주제는 해방 이후 1950년대 6·25전쟁을 거치며 북한영화에 뚜렷이 자리 잡은 형식이었다. 다만 주로 미군을 등장시켜 물리적 폭력을 행사하는 침략자로서 이미지를 고정시켰던 기존의 영화들과 다르게 1960년대 북한영화에서의 미국 표상은 표면적인 확장 양상을 보인다. 6·25전쟁을 다룸에도 투쟁의 대상인 미군을 직접 등장시키지 않아 인민영웅에 집중하는 형상이라든지 군인이 아닌 민간인으로 설정된 미국인의 등장 등이 그 대표적 사례가 된다. 아예 배경을 남한으로 옮겨 4·19혁명을 비롯한 남한의 역사적 사건을 다루는 영화들도 제작되는데, 이들 영화에서도 주된 적대자는 남한의 정치가나 군대가 아닌 미국인으로 설정된다. 이는 기존의 침략자 표상에 더해 지배자로서 미국의 표상이 강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군에 한정되지 않고 사업가, 종교인, 정치가와 같은 인물 형상으로 미국에 대한 표상이 확장되며 단순한 힘의 대립 구도가 아닌 교묘하고 정신적으로 남과 북의 민중들을 착취하고 파멸에 이르게 하는 악랄한 존재로 미국을 형상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치적 수단으로서의 적대적 미국 표상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아동영화에서도 발견된다. 직접적으로 미군을 등장시켜 애니메이션 특유의 과장된 표현으로 풍자하는 아동영화를 비롯해 승냥이, 여우 등의 의인화된 캐릭터 표현으로 은유적으로 미국에 대한 적대적 이미지를 교육하고, 우화적 이야기로 징벌하는 이야기가 아동영화에서 재현된다. 이처럼 1960년대 북한영화의 확장 속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미국 표상이 다양화 혹은 분화되는 지점들이 있으며, 이는 1960년대라는 시대적 상황 아래 북한의 정치, 예술창작 이념들이 영화로 어떻게 이입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 표상을 영화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적인 작품들을 중심으로 하여 이에 대한 영화적 해석을 수행한다. In the 1960s,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established their own political system in earnest. At home and abroad, there were situations that had to be pressured by North Korea, such as the Vietnam War, Sino-Soviet disputes, 1965 Korea-Japan treaty and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with the South Korean Park Chung-hee regime. North Korean films have been used as propaganda before. The political role of the film had already drawn attention from previous times. In the 1960s, films were more important because North Korean films were also expanding industrially. In order to establish Kim Il-sung’s only system and unite the inside from foreign threats, many anti-American films appeared in North Korean films in the 1960s. The films used the American image as a hostile being. The anti-U.S. theme was clearly established in North Korean films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However, unlike previous films that used to stereotype American soldiers as physical violence, the U.S. image in North Korean films in the 1960s shows a superficial expansion. For example, despite the background of the Korean War, the U.S. military, which is a fighting partner, does not appear directly, but focuses on the people’s heroes, or appears Americans who are set up as c ivilians, not soldiers. Films dealing with historical events in South Korea, including the 4.19 Revolution, have also been produced. In those films, the antagonist was also set up as an American, not a South Korean political leader or an army. This is the addition of the ruler U.S. to the existing aggressor representation. Not limited to the U.S. military, but the image of the U.S.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figures such as businessmen, religious figures and politicians. It is not just a confrontation of power, but rather a vicious one that destroys the people of South and North Korea. This hostile American representation as a political tool is also found in children’s films. The children’s films satirize the U.S. with an exaggerated expression unique to the animation, directly featuring the U.S. military. There were also children’s films that metaphorically educate the hostile image of the U.S. with personalized characters such as wild dogs and foxes, and tell stories of punishing them with allegorical stories. In the 1960s, there are points where the U.S. image is diversified or differentiated in its own way amid the expansion of North Korean films. This is a clue to how North Korea’s political and artistic creative ideas are incorporated into films in the 1960s. So, this study focuses on characteristic films that can identify American symbols cinematically.

      • KCI등재

        텔레비전 코미디 드라마의 형성 - 1960년대 후반 유호의 연속극을 중심으로

        이영미 한국극예술학회 2012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7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V comedy series written by TV scriptwriter Yoo, Ho during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when the conventions of Korean TV series were set in place. It is the period when the format of a once-a-week TV series was established and Yoo was a popular TV scriptwriter who got his own show under the name of 'Yoo, Ho Theater' on TBC during the Sunday prime time. Around 1960, comedy series were introduced to the radio by novelist Cho, Heun-pa who took the lead in the field. He was the first popular writer of TV comedy series as well. However, in the mid 1960s, he lost the leadership to Yoo, Ho. This could be explained in a couple of accounts. First, while the strength of Cho's works was found in the humor based on each character's idiosyncrasies and wordplays, Yoo's works were strong in the humor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their actions. Therefore, Yoo was more suitable for TV dramas than for novels or radio dramas. Second, he was able to catch the new trends of comedy demanded by the public in the late 1960s. In the late 1950s, comic works(novels, movies, TV dramas) were mainly populated by American and sophisticated urban types, but in the early 1960s, the patriarchy and the propriety returned to the front. Meanwhile, the late 1960s, when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was in progress, the rural exodus started and the youth culture arose, was the time when the comedy based on the urban life enjoyed the popularity among the city dwellers and gender, the rich and the poor, the urban and the rural and cultural differences among the generations emerged as new interests. Yoo, Ho successfully caught these contemporary issues and dramatized them based on conservative world view, therefore appealing to TV series viewers of the time. In this regard, Yoo had to decline with the coming of the 1970s when he was alienated from the new young generation's world view and their senses and came under the criticism of the strict Park, Jung-hee regime which disapproved Yoo's un-exemplary characters. 이 글은 우리나라의 텔레비전 연속극의 관행이 성립되는 시기인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까지, 극작가 유호가 집필한 텔레비전 연속극 중 코미디 드라마의 특성과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는 글이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는 한국의 텔레비전드라마중 주1회 형태의 연속극이 정착하는 시기이며, 이 시기 유호는 TBC에서 작가 이름을 내건 ‘유호극장’이라는 코너를 일요일 황금시간대에 유지할 정도로 인기 있는 작가였다. 1960년을 즈음하여 라디오에서 희극적인 연속극들이 본격화되는데, 이를 선도한 것은 소설가 조흔파였고, 따라서 텔레비전드라마에서도 희극적 연속극의 첫 인기 작가는 조흔파였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이 주도권은 유호에게 넘어간다. 그것은 몇 가지 원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조흔파의 작품이 개별 인물의 특성과 언어유희에 근거한 웃음에 강점을 보이고 있는 것에 비해, 유호의 작품은 인물간의 관계와 행동에 근거한 웃음에 강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소설이나 라디오드라마에 비해 텔레비전드라마에 훨씬 적합한 작가이다. 둘째, 1960년대 후반이 요구하는 새로운 희극성의 인기 경향을 잘 포착했다는 점이다. 1950년대 후반의 희극적 작품(소설, 영화, 드라마)은 주로 미국적이고 도시적인 세련됨을 내세우는 인물형이 주도했으며, 1960년대 초의 희극적 작품은 가부장제의 회복과 건전함을 전면에 내세웠다. 그에 비해 경제개발계획이 진행되고 이농이 시작되며 청년문화가 상승하기 시작하던 1960년대 후반은, 도시 서민들의 생활감각에 근거한 희극이 인기를 모으면서, 젠더, 빈부, 도농, 세대 간의 문화적 차이가 새로운 관심사로 부상하던 시대였다. 유호는 이러한 당대의 관심을 생생하게 포착하되 박정희 시대에 상식화된 보수적 관점에 의거하여 형상화하였고, 그것이 텔레비전 드라마의 시청자에게 호소력을 발휘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호는 1970년대가 본격화하면서, 한편으로는 젊은 청년 세대의 감각과 세계관과 유리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모범적이지 않은 인물의 설정을 못마땅하게 여기던 박정희 정권의 경직된 관점과 충돌하면서 퇴락하였다.

      • KCI등재

        196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 양상

        임선숙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3

        The 1960s was when modernization really began in Korea an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rogressed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s industrialization changed the structure and roles of the family, new familyism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pects of familyism revealed in women’s novels in the 1960s. As family structures and roles changed with industrialization, a new form of familyism emerged. At this, this study aimed to observe aspects of familyism that appear in women’s novels of the 1960s. Also, if women’s novels showed tendencies of conservatism in the 1950s due to effects of the war, the 1960s were a period of reflection upon this and awareness of the female identity and awareness of social criticism were embodied into their work. Aspects of familyism in the 1960s can be organized into two types in women’s novels. First, industrialization brought with it tendencies of systemized ideal family images as gender division began with males being put in charge of economic activities and females being put in charge of housework and childcare. Second, the materialized family and family selfishness became subjects of social criticism. First, female characters in Kang Shin-jae’s 「A Fairy Tale of a Desolate Day」 and Han Mal sook’s 「A Day of a Woman」, and 「The Day the Baby Came」 acknowledge the suppression of female sacrifice within married life and the systemized family along with the female identity. However, they tend to acknowledge and present problems instead of displaying an active will to escape suppression. Kang Shin-jae’s 「Extravagance」, Hahn Moo-sook’s 「In Line」, and Pak Kyong-ni’s 「Aristocrats」 criticize materialized families and states of mammonism. This was a strategy to overcome economic difficulties in the 1960s and it reflected familyism, which established frugality as a virtue and was cautious of social conditions based on materialism. 1960년대는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근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시기로,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었다.이로 인해 가족의 구조와 역할이 변하고,새로운 가족주의도 등장하게 된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1960년대는 1950년대 보수화된 여성의식에 대한 반성이 이루어졌던 시기로 여성의 정체성 인식과 사회비판 의식이 작품에 형상화되었다.1960년대 가족주의는 여성소설에서 두 가지 양상으로 드러나는데,첫째 중산층 가족의 남성은 경제활동,여성은 가사와 양육이라는 성별분업이 시작되면서 이상화된 가족의 모습이 제도화되었다는 것,둘째 물화된 가족과 가족 이기주의가 사회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이다.우선 강신재의 「황량한 날의 동화」,한말숙의 「어느 여인의 하루」,「아기 오던 날」 에서 여성인물들은 결혼 생활과 제도화된 가족 내 여성의 희생을 억압으로 인지하고여성의 정체성을 인식하게 된다.하지만 억압에 대해 적극적인 탈주 의지를 보이기보다는 문제를 인식하고 제시하는 데 머물러 있는 경향이 있다.강신재의 「호사」,한무숙의 「대열 속에서」,박경리의 「귀족」에서는 물화된 가족과 배금주의 세태를 비판한다.이는 1960년대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해 검약을 미덕으로 삼고 물질만능주의의 세태와 가족 이기주의를 경계했던 풍조가 형상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이 시기 여성소설은 가족의 문제를 사회 문제로 확장해 인식하고 억압된 여성의 위치에 대해 문제 제기함으로써 여성 의식의 진일보한 면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있다.

      • KCI등재

        1960년대 정신분석의 도입과 근대적 공포 코드의 전환-이청준 소설의 ‘정신병자’와 정신분석 치료의 충돌을 중심으로

        최애순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6

        This study discusses how fear was formed and developed in Korean literature, and attempts to clarify that the genre of "fear fiction" in Korean literature was weak because it was suppressed in the opposition to authentic literature. Therefore, as the second subject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analyze the return of psychosis in real literature with the introduction of psychoanalysis at the time when 'fear' seemed to disappear in Korean literature.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the introduction of “psycho analysis”, or the process of introducing “psycho medicine” and literature, from the methods discussed so far in psychoanalytic criticism. This will focus on how the introduction of psychoanalysis (psycho medicine) into the literature and the lineage of Korean "horror" has emerged from the existing researches that criticized and criticized the characters in the text. Therefore, this study presupposes that the horror object occupying the position of women's aristocratic who was represented by 'Janghua Honglian' until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oved to 'mental man' in 1950s and 1960s. In the 1960s, however, the "psychiatric" were subject to taboos and quarantines, and they began to emerge as horror codes since the 1990s and 2000s. In the 1960s, psychosis and asylum were objects of rejection, taboo, and oppression. As Freud's death in 1956, Freud's psychoanalysis began to be introduced in the 1960s, I want to show that I am deeply involved in Korean literature. Being pointed out as a psychoanalyst or psychotic patient at the time of its introduction could itself be a terror.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phenomenon of 'fear' disappeared from the genre of literature during the war after liberation and in the 1960s is due to the influence of 'mental analysis'. I want to show that it is hidden by symptoms that I can't. Lee Cheong-jun's Discharge (1965), The Wall of Rumors (1971), Missing Miss (1976), Cho Mandeuk (1980) I will focus on the works of the patients with mental hospitals. 본 연구는 한국문학에서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공포’가 바로 정신분석의 도입과함께 본격문학의 정신병으로 귀환하였음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정신분석 비평으로 논의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정신분석’의 도입 자체, 혹은 ‘정신의학’의 도입과정과 문학의 연관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텍스트 내의 인물들을 정신분석하며 비평하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사회문화적 담론의 지형 안에서 정신분석(정신의학)의 도입이 어떻게 문학에 들어가서 한국 ‘공포’의 계보를 잇게 되었는지에 주목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까지의 ‘장화홍련’ 으로 대표되던 여성 원귀의 자리를 차지하는 공포대상이 1950년대를 거치고 1960년대가 되면 ‘정신병자’로 옮아갔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1960년대 ‘정신병자’는 금기와 격리의 대상이었고, 이들이 공포 코드로 떠오르기 시작한 것은1990년대 이후, 2000년대가 되어서이다. 그만큼 1960년대 정신병과 정신병원은 사람들에게 거부, 금기, 억압의 대상이었다. 1960년대 한국문학에서 공포소설 장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것은 바로 개인의 억압된 것이 회귀하는 정신분석과 사회적 원인으로 공포에 시달리는 정신병 환자 사이의 충돌 때문이다. 따라서 1960년대 ‘공포’는 오히려 본격문학 쪽에서 종종 정신병을 앓고 있거나 이상 징후를 보이는 인물들에게서 엿볼 수 있다. 정신분석은 ‘정신의학’과 함께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한다. 1960년대 문학 연구자들이 이청준, 최인훈, 서정인, 김승옥과 같은 1960년대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할 때 ‘정신분석’ 비평을 많이 하게 되는 것은 ‘정신병’, ‘신경증’ 등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인물들이 종종 등장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1956년 프로이트의 죽음을 맞아 1960년대 본격적으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정신분석이 한국문학에 개입되는 과정을 보여주고자 한다. 처음 도입되던 시기에 정신분석 혹은 정신병 환자로 지목된다는것은 그 자체로 공포의 대상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해방 후 전쟁을 겪고 1960년대 들어서면서 문학의 장르에서 ‘공포’가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정신분석’의영향 때문이라 보고, 공포가 겉으로 표출되지 않고 죄의식과 같은 무의식이라든가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증상 등으로 숨겨져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따라서 이청준의 「퇴원」(1965), 「소문의 벽」(1971), 「황홀한 실종」(1976), 「조만득씨」 (1980) 등 정신병원 환자가 등장하는 작품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 KCI등재

        신동엽과 1960년대

        하상일(Ha Sang-Il)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5

        이 논문은 신동엽과 1960년대 문학을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한 것이다. 이는 1960년대 문학은 곧 4월혁명 문학이라는 도그마를 넘어서 1960년대 한국문학의 변화와 혁신을 1965년 이후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에 바탕을 두고 새롭게 논의하고자 한 데 의의가 있다. 4월혁명은 그 역사적 · 문학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초반 5 · 16 군사쿠데타에 의해 미완의 혁명이 되고 말았다는 점에서, 1960년대 문학은 4월혁명의 시대정신이 1960년대의 현실에서 어떻게 지속적으로 이어졌는가에 대한, 즉 5 · 16 이후의 역사적 상황에 4월혁명의 정신이 어떠한 대응양상을 보여주었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이해가 더욱 중요한 과제라는 사실을 주목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무엇보다도 주목해야할 지점이 바로 1965년이다. 1965년은 한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이 이루어진 해라는 점에서 1965년 이전과 이후의 경계에는 4월혁명 이전과 이후의 뚜렷한 구분조차도 미처 담아내지 못한, 즉 아시아의 패권을 둘러싼 미국의 신제국주의 정책이 야기한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적 문제가 깊숙이 은폐되어 있었다. 따라서 한일협정, 베트남 파병 등의 역사적 사건들은 4월혁명이 아닌 5 · 16 군사쿠데타 이후의 정치적 상황을 전제하지 않고서는 설명이 불가능한 문제였다. 그러므로 이에 맞서는 1965년 이후의 문학적 대응 양상은 1960년대 아시아 그리고 미국을 이해하는 세계사적 문제의식 안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신동엽의 1960년대 문학은 바로 이러한 ‘65년 체제’를 주목함으로써 4월혁명의 자장 안에 갇혀 동어반복을 넘어서지 못했던 1960년대 한국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냈다고 할 수 있다. 1965년 이후 신동엽의 시는 한일협정에 내재된 신식민주의와 베트남 파병의 신제국주의적 태도를 근본적으로 비판하는 데 무엇보다도 집중했다. 미국 주도로 형성되어 갔던 1960년대의 아시아 외교 정책에서 한국과 일본이 전위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종속성과, 아시아의 냉전 체제에서 한국과 일본이 군사적으로 경제적으로 그 역할을 분담해 줌으로써 베트남전쟁을 효율적으로 대비하려는 미국의 신제국주의 전략을 강하게 비판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신동엽은 한일협정이 미국의 베트남전쟁을 대비하기 위한 전략적 수순이었음을 정확히 간파함으로써 1960년대 한국문학의 저항성을 동아시아적 지형 위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이러한 문학적 통찰은 1960년대 한국문학을 4월혁명을 넘어서 ‘65년 체제’로 새롭게 읽어야 하는 문제제기를 던져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discusses Shin Dong-yeop and literature in the 1960s focusing on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Vietnam dispatch. By critically reviewing the dogma that the literature in the 1960s is the literature of the April Revolution,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renewing the discussions on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based o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East Asia since 1965. In the sense that 1965 was the year of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dispatch to Vietnam, America’s neo-imperialism over the hegemony of Asia was deeply concealed. This had not been captured in the boundary of prior and post April Revolution. Therefore,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Vietnam dispatch cannot be explained without presupposing the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May 16th military coup. Shin Dong-yeop"s literature in the 1960s focused on the ‘year 65 system’ and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the literature of the 1960s that was confined in the April Revolution. Since 1965, Shin Dong-yeop"s poetry fundamentally criticized the neo-colonialism underlying the Korea-Japan Agreement and neo-imperialism of Vietnam dispatch. He opposed to the subordination of Korea and Japan, which the U.S. used as its vanguard troops in its Asian foreign policy in the 1960s, and America’s neo-imperialist strategy to prepare for the Vietnam War efficiently. Therefore, by recognizing that the Korea- Japan Agreement was a strategic step to prepare for the Vietnam War, Shin Dong-yup approached the resistance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in the East Asian landscape, instead of viewing it just as a domestic problem. This literary insight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raises the question of interpreting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based on the year 65 system, beyond the April Revolution.

      • KCI등재

        결여의 증언, 보편을 향한 투쟁 - 1960년대 비동맹 중립화 논의와 민족적 민주주의

        오창은(Oh Chang Eun)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2 No.-

        지난 20세기 중반, 전지구적 차원에서 ‘악의 문제’는 제국주의와 식민주의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었다. 1955년 「아시아·아프리카 회의 최종 성명서」는 ‘악’과 관련한 중요한 언급을 했다. ‘아시아·아프리카 회의’는 민족 자결권, 인권, 자유, 독립을 중심의제로 설정했다. 유럽 열강의 지배로 인해 ‘착취·인권 부정·전쟁’이라는 악이 발생했다고 보았다. 전지구적 차원의 ‘악’이 유럽 제국주의로 인해 파생되었다고 규정했다. 이는 서구적 보편성을 전유함으로써, 제국의 언어로 제국의 지배에 저항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1960년대 냉전체제 아래서 한국사회에서 제3세계 혹은 비동맹회의와 연관한 논의의 의의를 성찰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1960년대 한국사회가 가졌던 ‘민족 자결의 가능성’을 살피고, 이를 통해 문화정치적 차원에서 ‘희망의 맥락’을 재구성하려 한다. 과거를 면밀히 재사유하는 것은 현실을 다시 상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준다. 특히, 21세기 ‘신냉전체제’의 도래에 직면한 한반도의 상황에 비추어 1960년대의 상황은 새로운 사회문화적 해석의 맥락을 제공한다. 한국전쟁 이후 냉전체제 아래에 있던 한국사회는 1955년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개최된 ‘아시아·아프리카 회의’, 이른바 ‘반둥회의’에 경계하는 태도를 취했다. 한국은 ‘반둥회의’에 초청을 받지 못했다. 반공주의적 입장에 서 있었던 한국은 중국이 ‘반둥회의’를 주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1950년대와 달리 1960년대에 이르러 한국사회는 ‘제3세계주의’와 ‘민족주의’의 동향에 큰 관심을 피력했다. 1960년대 지식인 작가들은 윤리적 보편성의 문제와 정치적 특수성의 문제를 고려하며, ‘반둥회의’를 통해 대안적 세계에 대한 상상력을 확장시켜 나갔다. 1960년대적 시대인식은 황용주, 이병주의 논의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1960년대 시대인식은 당시의 중요 매체였던 『사상계』 『청맥』 『세대』 등이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세계정세를 파악하려 했던 점과 맥락적으로 닿아 있다. 황용주가 『세대』 1964년 11월호에 게재한 「강력한 통일정부에의 의지 : 민족적 민주주의의 내용과 방향」은 비동맹중립화 논의를 진행하다 필화사건을 겪은 글이다. 황용주는 ‘민족적 민주주의’를 적극 옹호하며, 서구적 민주주의를 비판했다. 황용주 필화사건은 ‘냉전체제’와 ‘민족적 민주주의’의 충돌이면서, ‘제3세계 민족주의’가 분단의 특수성과 복잡하게 얽히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병주의 중편소설 <소설·알렉산드리아>도 주목할 만한 논의를 포함하고 있다. 이 작품은 『세대』 1965년 6월호에 게재되었으며, 동시대 독자들에게 큰 반응을 불러왔던 작품이다. 이 작품은 ‘알렉산드리아’라는 제3세계적인 유토피아 공간을 구축해, 분단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문학으로 표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1960년대 한국사회는 ‘조국근대화’라는 일방주의적 질서가 구축되어 가고 있었다. 그 와중에서도 지식인 작가들은 아시아 민족주의, 혹은 제3세계주의에 대한 관심을 확장시켰다. 특히, 1964년은 ‘제3세계적 가능성’이 미국 중심의 ‘냉전체제’로 굴절되는 전환기였다. 그 사건의 중심에 황용주의 「강력한 통일정부에의 의지 : 민족적 민주주의의 내용과 방향」이 있었다. 1960년대 지식인 작가들은 서구 유럽제국주의와 미소의 냉전 체제와의 연관성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했으며, 국제질서의 변화 속에서 한국사회가 처해 있는 분단현실에 대해서도 다각적인 논의를 펼쳤다. 이는 제3세계적 연대를 통한 아시아 정치공간의 형성에 대한 탐색과 연결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1960년대 비동맹회의, 제3세계론에 대한 논의는 ‘정치적 공간의 역사적 맥락화’이기에 복원적으로 재구성할 가치가 있다. ‘신냉전체제’ 아래에서 남북의 갈등심화가 예상되기에 아시아적 연대를 경유하는 ‘분단문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 가능성에 대한 숙고가 요구된다. The middle of the 20the century saw the problem of vice focused on imperialism and colonialism. The 1955 Asia-Africa Conference's final statement made an important mention of the problem of vice. Asia and Africa mentioned human rights, freedom and independence regarding national self-determination, allowing the third world, including Asia and Africa, to exclusively own such Western universal values. This implies that the third world resisted imperialistic nations using the imperialistic language. This study examined South Korean society's discussions on the third world or non-aligned conference under the cold war system in the 1960s. South Korean society, under the post-Korean War Cold War system, took a wary attitude towards the Afro-Asian Conference also known as the Bandung Conference held in Bandung, Indonesia, in 1955. South Korea was not invited to the Bandung Conference. South Korea, embracing an anti-communist position, decided and criticized that China led the Bandung Conference. Unlike in the 1950s, in the 1960s, South Korean society expressed great interest in the trends of Third Worldism and nationalism. In the 1960s, intellectual writers, considering the ethical universality problems and political special problems, were expanding their imagination of an alternative world through the Bandung Conference. Such perception of the times in the 1960s were tried to be embodied by discussions of Hwang Yong-ju and Lee Byeong-ju. Hwang Yong-ju's article on The Strong Determination on Unified Government: Contents and Direction of Nationalistic Democracy, published in the November 1964 issue of Sedae, discussed non-aligned neutralism, which faced an indictment, is noteworthy. Hwang Yong-ju advocated nationalistic democracy, and criticized Western democracy. Hwang Yong-ju's indictment incident was part of the conflict of Cold War system and nationalistic democracy as the third world's nationalism was complicatedly mixed with the specificity of the divided Korea. Lee Byeong-ju's medium-length novel Alexandria contains noteworthy discussions. This work, run in the June 1965 issue of Sedae, received a great response from the readers. This work intended to construct a third-world utopia called Alexandria to express the critical perception of the reality of the divide Korea. In the 1960s, South Korean society,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unilateral order called the modernization of motherland, saw intellectual writers expanding their interest in Asian democracy or Third Worldism. In the 1960s, intellectual writers criticiz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Western and European imperialism and the US-Russia Cold War System, and conducted diverse discussions on the reality of the divided Korea amid the changing international order. This is a part of efforts to form an Asian political space through the third world's alliances. In the 1960s, discussions on the non-aligned conference and Third Worldism are the historical contextualization of political space and thus are worth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Such efforts offer an alternative exploration of the problems of divided Korea, among the reality of South-North Korea conflicts deepening.

      • KCI등재

        1960년대 한국영화와 수치심

        오영숙(Young Suk Oh) 한국영화학회 2016 영화연구 Vol.0 No.69

        이 글의 일차적인 관심사는 수치심이라는 키워드로 1960년대 한국영화에 드러나는 감정과 마음의 풍경을 읽어내는 일이다. 스크린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수사의 양상과 그 형성 조건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명료한 말이나 담론으로는 표현되기 어려운 복합적인 당대의 대중 감정과 사회적 정서를 기술하고자 한다. 이것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1960년대의 사회적 감정이자 정신이 된다. 수치심은 1960년대 한국영화 전반에 걸쳐 편재적으로 등장한다. 가족드라마나 통속 신파물과 같은 멜로드라마를 비롯하여 청춘영화와 스릴러, 식민지 경험을 다룬 영화,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을 담은 모더니즘 계열의 영화, 나아가 계몽적 성격의 영화에 이르기까지, 수치심은 다양한 양상과 수위로 검출된다. 1960년대 초반에 수치심이 주로 멜로드라마적 페이소스를 유발하는 장치로 사용되었다면, 1960년대 중후반으로 갈수록 수치의 양상은 부끄러운 자아의 성찰적인 응시라는 문제로 심화되기도 한다. 또한 수치심에 사로잡힌 주체의 회복되기 힘든 심리적 외상이 강조되거나, 죽음 내지 자살과 같은 자기 파멸적인 행로가 전개되는 특징을 보인다. “아버지는 형무소 살이 하다 죽었고 어머니는 갈보였다.” 1960년대의 대표적인 흥행작이었던 청춘영화 〈맨발의 청춘〉(김기덕, 1964)의 이 대사는 이 시기 멜로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수치심의 기원을 함축적으로 제시한다. 1960년대 영화들에서 유난히 부각되는 이 같은 수치심은, 민족적 역사에서 기인하는 집단적인 수치심과 겹쳐지는 면이 있다. 1960년대는 분단 현실이 실감되면서 식민지 경험과 한국전쟁의 의미에 대한 아픈 인식이 공유되던 때이다. 굴욕적인 한일협정은 신생독립국의 종속적 위치에 대한 실감을 전국민적으로 확대시켰다. 수치의 폭로와 전시는 참담한 현실을 개선할 가능성을 꿈꾸던 상상의 산물이며, 궁극적으로는 자기 성찰의 행위가 될 가능성을 갖는다. 1960년대의 혹독한 검열과 규제 때문에, 한국영화의 대부분이 수치의 근원에 대한 사회적 이해보다는 수치심으로 인한 개인의 내적 고통을 보여주는 것에 머물러 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또한 수치의 진짜 원인과의 만남을 가로막고 근본적인 사고를 어렵게 만드는 물신적 내러티브가 구사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영화에서 수치심의 궤적은 탈종속적인 국가의 길을 발견하고자했던 집단적 자의식으로 이해될 여지를 갖는다. 그것은 식민지 시기부터 유예되던 주인의식의 실현 가능성을 상상함으로써, 공론장에서는 발언이 제한되던 사회적 외상을 치유하려던 하나의 시도일 수 있다. The primary concern of this paper is to read out the landscape of a emotion and mind revealed in Korean films in the 1960s using the keyword ‘shame’. This writing is intending to describe complex collective emotions and social sentiments of the time, which were difficult to express through clear words, or discourses, by asking about the aspects of rhetoric frequently appearing on the screen, and the formation condition thereof. What it is aiming for ultimately becomes social emotions, and also spirit in the 1960s. The emotion of shame appears ubiquitously across Korean films in the 1960s. Ranging from youth films, thrillers, films addressing colonial experience, films belonging to the series of modernism including memories of the Korean War, further up to the films of enlightening character including melodramas like family dramas, or common tear-jerking dramas, shame is detected in diverse aspects. If we suppose that in the early 1960s, shame was used to mainly arouse melodramatic pathos, however, the aspect of shame more deepened into the problem of introspective staring of shameful ego as well, especially in the mid & late 1960s. Also, the aspect of a shame shows the characteristics that hardly recoverable scars and trauma of a subject seized with shame are more emphasized, and a self-destructive path of one’s life like death and a suicide is developed. “My dad died in prison, and mom used to be a prostitute.” This line from the youth film 〈The Barefooted Young〉(Directed by Kim, Ki-deok, 1964),which was the representative biggest box-office hit in the 1960s, connotatively suggests the origin of shame which frequently appeared in melodramas during this period. The shame like this, which was played up particularly in the films of the 1960s, overlaps with the collective shame attributable to national history in a sense. The 1960s marks the time when painful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colonial experience and the Korean War was shared among the people with their realization of the reality of Korean division. The humiliating 1965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served to expand the realization of a subordinate position of a newly-independent nation across the entire country. The exposure and display of shame are the products of imagination dreaming of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horrible reality, and ultimately have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self-reflexive behavior. Most of the Korean film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remain at a level of showing an individual’s internal pain due to the shame rather than social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the shame because of rigorous censorship and regulations in the 1960s. Nevertheless, the path of shame in the films of the 1960s has room for being understood as collective self-consciousness which intended to discover the post-subordinate nation’s path. It could be an attempt at healing social trauma, for which giving a speech was banned in public sphere, by imagining realizability of authentic self-reliance that had been suspended since the colonial days.

      • KCI등재

        1960~1970년대 이상론(李箱論)의 향방

        고지혜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2

        It was in the mid-1950s when writer Yi Sang and his literary works drew academic attention. With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collection by Yi Sang in 1956, the studies on him began to increase markedly, similar to a phenomenon, and the ‘Yi Sang Theory(李箱論)’ increasingly expanded and intensified in the 1960s and 70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since the 1950s and 60s was the period when understanding of literary concept and literary practice was being defined in a new way, the Yi Sang Theory, which rediscovers the literary works by Yi Sang on a systematic level, was directly related to the task of making a spot for Yi Sang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focused on unstructured South Korea. This study examined how the Yi Sang Theory, published in the 1960s and 70s, was progressed. Most of all, this study explored overall outline of critical discourses and discontinuous spots of literary world from the 1960s and 70s after researching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the theory. As a result,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Yi Sang Theory from the 1960s encompassed a powerful aspiration toward universalism and cosmopolitanism based on the methodology of New Criticism and that the theory from the 1970s escaped from pursuing abstract modernity and raised objections toward reality consciousness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by Yi Sang who was an intellect and writ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1970s Yi Sang Theory fixed Yi Sang in modernism after the ‘modernism vs. realism’ structure was reorganized in the late 1970s.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literary works by Yi Sang had no other choice but to be in discord with the people - the main subject of the 1970s and 80s - and the People’s Literature Theory, which is a dominant discourse. 작가 이상(李箱)과 이상(李箱)의 문학이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중반 무렵이었다. 1956년 『이상 전집』이 출간되면서 이상(李箱)에 관한 연구는 하나의 ‘현상’이라 불릴 정도로 두드러지게 증가하기 시작했고, 1960~ 1970년대에 이르러 이상론(李箱論)은 점점 확대되고 심화되었다. 한국현대문학사에서 1950~1960년대란 해방과 분단을 겪으며 문학의 개념 및 문학적 실천에 관한 이해가 새롭게 구성되던 시기였다. 따라서 이 시기 이상(李箱)의 문학을 제도적 차원에서 발견/발굴하는 이상(李箱)론은 아직 구조화되지 않은 남한 중심의 한국현대문학사에 이상(李箱)의 위치를 점하는 작업과 직결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1960~1970년대에 제출된 이상(李箱)론이 어떠한 궤적을 그리며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고, 이 시기 전개된 이상(李箱)론의 이론적 자원들을 탐문하면서 1960~1970년대 비평 담론의 지형과 문학사의 (불)연속 지점들을 탐색했다. 그 결과 1960년대의 이상(李箱)론은 뉴크리티시즘의 방법론을 바탕으로 보편주의와 세계주의를 향한 강한 열망을 내포하고 있었고, 1970년대 이상(李箱)론은 비로소 추상적인 현대성의 추구에서 벗어나 ‘식민지 지식인-작가’였던 이상(李箱)의 현실인식과 역사의식을 문제 삼기 시작했다. 이러한 1970년대 이상(李箱)론은 이 시기 본격화되는 한국문학사 서술 작업과 관련하여 이상(李箱) 문학에 민족문학의 레테르를 붙이기 위한 고투의 작업이기도 했다. 결국 1970년대 말 ‘모더니즘 대 리얼리즘’의 구도가 재구축되면서 이상(李箱)은 모더니즘 속에 박제된다. 이는 이상(李箱)의 문학이 70~80년대적 주체인 ‘민중’ 혹은 당시 지배 담론인 민중문학론과는 태생적으로 불화할 수밖에 없음에 기인한 것이다.

      • KCI등재

        1950-1960년대 한국 영화포스터 이미지 연구

        문혜영(Moon Hyeyou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08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19 No.-

        This study aims to contextualize the images of Korean movie posters, particularly, of the 1950s and 1960s within its social and cultural setting. Movie posters produced in responding to the boom of Korean movie industry, as the primary visual reference shed a light on the issues regarding to how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capitalistic values changed the visual culture of Korea in the 1950s and 1960s. First, I have examined the economic and political circumstance in Korea during the 1950s and 1960s, which led the boom of Korean movie industry, and discuss the distinctive visual elements that differentiate the 1950s-1960s movie posters from earlier ones. Secondly, I have categorized 410 movie posters, which survived today out of 1,799 movies produced in the 1950s and 1960s, under several different thematic categories such as “Split Moral Values,” “Idealized Traditional Values,” and “Westernized Desire.” I attempt to analyze the iconographic relationship of each thematic category with the content of the movie, and the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 of the 1950s-1960s Korea. In the category, “Split Moral Values,” accelerated immediately after the Korean war (1950-1953), I have discussed posters, which mainly portray such images as “War Widow,” “Western Princesses (an euphonism for prostitute who particularly served for oversea U.S. soldiers),” “Liberal Lady,” and “Apres Guerre (After War in French).” In the “Idealized Traditional Values,” I have analyzed those that represent the images of a dedicated mother and a hard-working father of the middle class. Finally, in the “Westernized Desire,” I point out that various material goods and its related backdrop image that reflect overflowing consuming culture in the 1950s and 1960s. The 1950s and 1960s Korean movie posters can be characterized as its straightforward images of consuming culture and its exaggerated rendition of unfiltered desire and emotions. I believe that placing movie posters in the frame of visual culture, and understanding their significance in the cultural and social context will allow us to find out more about how moral and social values had been changed, and gave an impact on popular visual culture in the unstable, yet exciting period of time like the 1950s and 1960s.

      • KCI등재

        1960년대 『가톨릭소년』과 어린이 교양

        장수경 ( Jang Suky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8 동화와 번역 Vol.35 No.-

        이 글은 1960년대 발간된 『가톨릭소년』을 중심으로 그 체제와 내용을 면밀히 검토하여, 1960년대 어린이 교양이 어떠한 내용과 서술체계를 통해 기획, 구성되었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톨릭소년』은 어린이를 위한 종합잡지로 1960년 1월 1일 창간되었다. 잡지의 편집 체제를 살펴보면 종교적인 내용이 1/3, 문예지적 내용이 1/3, 학습과 취미 등 오락적인 내용이 1/3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 잡지는 문예지적 성격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어린이 문화운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런 측면은 당대 어린이 교양의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포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문화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소년』에는 우주과학소설이 장기간 연재되었는데, 이는 과학이 발전한 한국의 미래상에 대한 욕망과 연동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미래를 이끌어갈 어린이에게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제시함으로써 당대의 과학적, 보편적인 지식을 갖추는 것이 현대 교양인의 덕목임을 제시한 것이다. 둘째, 이 잡지에는 ‘명작’, ‘명화’, ‘연극’ 등의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방식에 대해 지속적으로 다루면서 현대인이 갖춰야 할 교양에 대한 구성 욕망을 서구 문화의 측면에서 드러낸다. 특히 명작을 소개할 때는 ‘해설-텍스트 줄거리-작가소개’의 방식으로 스토리텔링함으로써 보편적 지성을 갖춰 성장해야 함을 강조한다. 셋째, 『가톨릭소년』은 가톨릭소년 4대 문화사업과 아동문학계의 동정 및 행사를 적극 소개하고 기사화함으로써 독자에게 문화계 정보를 유통하고 확산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이 잡지는 어린이들에게 건전한 어린이 문화와 생각의 힘을 키우는 것이 현대 교양인의 덕목임을 강조한다.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가톨릭소년』은 1960년부터 현재까지 발간되면서 어린이 교양의 덕목으로 지식과 선행의 실천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60년대 구성된 어린이 교양의 내용은 오늘날까지 어린이 교양교육으로 재생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he system and contents of Catholic Boys published in the 1960’s and explore how children’s refinement was planned and organized through which contents and system for description in the 1960’s. Catholic Boys is a general magazine for children, and its first issue was published on January 1, 1960. Regarding the magazine’s editing system, 1/3 forms religious contents, another 1/3 is about literary contents, and the rest 1/3 is composed of entertaining contents for learning or hobbies. Many pages of this magazine were particularly used for literary contents and intended for children’s culture movement. It has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children’s culture because we can capture how the contents of children’s refinement were organized at that time with this magazine. First, a space science novel was published serially on Catholic Boys for a long period. This is associated with their desire for the future of Korea enjoying scientific development.By suggesting children who would be the future leaders to show concern and interest towards science, this magazine told them it would be the virtue of contemporaries of refinement to be equipped with scientific as well as universal knowledge then. Second, this magazine continuously dealt with how to enjoy culture and arts, for instance, ‘masterpieces’, ‘noted movies’, or ‘plays’, and revealed their desire for the elements of refinement contemporaries should be equipped with in the aspects of Western culture. Particularly, in the introduction of masterpieces, they used the storytelling of ‘exposition-text synopsis-introduction to the writer’ and stressed the fact that children should grow up equipped with universal intelligence. Third, Catholic Boys introduced its 4 major culture projects and also the trends and events in the circles of children’s literature aggressively and wrote articles about them. It did contribute to distributing and spreading information in the circles of culture then to readers positively. With this process, the magazine urges children to realize it is the virtue of contemporaries of refinement to raise the power of thinking and create sound culture for children. As examined above, from 1960 until now, Catholic Boys has been suggesting knowledge and the practice of good deeds as the virtue of children’s refinement. The contents of children's refinement formulated in the 1960's can be regarded significant in that they are still being reproduced for education for children's refin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