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개인야담집 연구

        이동월 ( Lee Dong-wol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9 어문론총 Vol.80 No.-

        1930년대 개인야담집은 야담이 대중적 인기를 얻고 유명 야담가가 등장하면서 출판사의 상업적 목적이 맞물려 발간되었다. 윤백남의 『승방미인』과 『우연의 기적』, 김동인의 『김동인야담집』, 신정언의 『화랑의 정열』과 『신정언명야담집』이 그것이다. 『승방미인』과 『우연의 기적』은 야담의 범주가 넓고, 대중의 감성에 기댄 오락적 성격이 강한 야담집이다. 『김동인야담집』은 조선시대 왕권을 둘러싼 권력투쟁을 그린 사화로 역사적 성격이 강하다. 『화랑의 정열』은 삼국시대에 남녀의 사랑 이야기에 집중해 오락적 성격이, 『신정언명야담집』은 조선 중기까지 왕조의 성세와 사화(士禍)를 연대기로 기술하여 역사적 성격이 강하다. 1930년대 개인야담집은 조선 후기의 야담집 문화를 근대에 계승하고 이후에 무수히 발간되는 야담집의 발판이 되었다. 야담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제고하고, 야담가의 위상 확립에도 일조했다. 다양한 성격의 야담집이 발간됨으로써 근대 야담사를 풍요롭게 했다. In the 1930s, individual yadam books were published in conjunction with the commercial purpose of publishers as yadam gained popularity and famous historical storytellers emerged. They were 『A beauty of monk's room(僧房美人)』, 『A miracle of coincidence(偶然의 奇蹟)』 written by Yoon Baek-Nam, 『Kim dong-In's Yadam books(金東仁野談集)』 written by Kim Dong-In, and 『Ardor of Hwarang』, 『Shin Jeong-Eon's Yadam books(申鼎言名野談集)』 written by Shin Jeong-Eon. 『A beauty of monk's room』 and 『A miracle of coincidence』 have a wide range of yadam category, and they are yadam books with a strong sense of entertainment that relies on the public's sentiment. Kim Dong-in's yadam books are a massacre of scholars depicting a power struggle over the royal authority of the Joseon Dynasty and has a strong historical character. 『Ardor of Hwarang』 is mainly for amusement by focusing on love stori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Shin Jeong-Eon's Yadam books』 has a strong historical character as it chronicles the glorious age and the massacre of scholars of the dynasty until the mid-Joseon period. In the 1930s, the individual yadam books inherited the culture of yadam book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nd became the foundation for numerous later yadam books. And it has raised public awareness of yadam and also helped establish historical storyteller's status. First of all, the publication of yadam books of various characters enriched modern yadam history.

      • KCI등재

        근대 야담의 생성원리, 이야기하기의 즐거움 연구 - 『월간야담』 소재 「압록강의 꽃」, 「정열의 낙랑공주」, 「국경의 비화」를 대상으로

        김신정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7 No.-

        이 글은 『월간야담』 소재 야담작품 세 편을 대상으로 1930년대 야담의 생성원리를 추적하고 야담을 만드는 즐거움의 근원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녔다. 연구대상은 야담잡지 『월간야담』에 수록된 「압록강의 꽃」, 「정열의 낙랑공주」, 「국경의 비화」이다. 2장에서는 세 야담 작품의 서사적 전개에 있어서 여성인물의 감정과 행위가 사건의 중요한 계기가 된다는 점과 그로 인해 서사가 비극적 상황으로 귀결되는 점에 주목한다. 여성인 물의 감정과 행위를 추동하는 남성인물의 욕망은 서사 내에서 교묘히 가 려져 있고 여성인물의 선택과 행위가 서사를 비극적 결말로 이끄는 것처 럼 보여 여성인물의 책임을 두드러지게 만든다. 이는 곧 서술적 태도가 여성인물의 감정에 부정적 가치를 투영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서사적 세계에서는 남성인물과 여성인물이 드러내는 서사적 의미와 가치가 대립항을 이루고 있다. 또한 묘사에 있어서도 남성인물과 여성인물에 대한 서술적 태도는 차이를 보인다. 남성인물의 내면과 행위는 전개상 불 필요하다고 생각될 만큼 장황하게 묘사된다. 또한 남성인물은 지략과 용 기를 가졌거나 공적인 가치를 지향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반면 여성인물 의 경우 그녀가 행한 중요한 행위나 인간적 고민에 대한 서술이 전개상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생략되어 있으며 여성 신체를 대상화하는 묘사 속 에서 잔인하게 잘려진 모습이나 성적 대상으로 그려진다. 이런 서술적 특 징을 통해 서술자적 시각이 남성적 시각임을 포착하였다. 3장에서는 2장 에서의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야담 창작자들의 서술적 태도 곧 이야기를 창작하는 태도의 근원이 시대읽기나 시대에 대한 고민이 아니라 개인적 이고 현실도피적인 즐거움의 욕구라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trace the principles of creating yadam in the 1930s and the sources of yadam writers’ pleasure of writing stories. To this end, examine three yadam stories published in Monthly Yadam(1934-1939): “Yalu River Flower”, “Nakrang Princess of Passion”, and “Sad Story of the Border”. The emotions and actions of female characters, which seem to precipitate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also lead each yadam story to a tragedy. In this paper, I argue that it is male characters’ desire that enforces female characters’ emotions and actions. On the surface, the female characters seem to move the narratives along; however, it is hard to consider them as leading figures. The urges and desires of male characters, both hidden and revealed in the narrative, evoke emotional reactions in the female characters and make them take action accordingly. Also, androcentric perspectives are revealed in all the characters, resulting in oppositional juxtapositions. In different ways, each story describes male and female figures in a masculine view. Also, description of male characters is longer than necessary and male characters are described as resourceful and brave.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characters’ crucial behavior and deep anguish are not mentioned in the narratives. Based on this textual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asculine viewpoints of yadam writers are derived not so much from reading of the zeitgeist of the 1930s as from the private and escapist pleasure of writing stories.

      • KCI등재

        1930년대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금(金)’과 경제적 상상력의 표상 -조선 후기 야담 <개성상인(開城商人)>과 비교를 중심으로-

        김연숙(Kim, Yeon-Sook),진은진(Jin, Eun-Jin)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1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야담 <개성상인>과 1930년대 김유정의 소설에 나타난 ‘금(金)’ 서술방식을 통해 경제적 상상력이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조선 후기와 1930년대의 ‘금’ 이야기에 주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금’은 보물-귀한 존재-이자, 화폐적 가치로 환산되는 복합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 조선 후기는 자본주의적 사회경제로 이행하는 변화를 보여주며, 1930년대는 식민지배의 일상화가 고착되면서 자본주의적 풍조가 확산되었던 시기라는 중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야담 <개성상인(開城商人)>에서 ‘금’은 귀한 보물임과 동시에 구체적인 수치로 계산가능한 재화로 서술되었다. 나아가 경제적 이익이 계산 가능하고, 그것을 축적하려는 개인의 경제적 욕망은 정당하다는 사실을 서술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경제적 가치와 이익에 대한 공통감각을 확인하고, 이를 공유하는 공동체 구성의 징후를 보여주었다. 둘째, 야담에서 ‘금’을 화폐적 가치로 계산하는 방식은 김유정 소설에서 더욱 복합적인 양상으로 드러났다. 김유정의 소설에서는 서로 다른 인물이, 서로 다른 시공간적 기준을 전제로 ‘금’으로 얻어질 이익을 계산한다. 이에 따라 사물과 ‘부(富)’에 대해 비교가 가능해지며, 인격적 범주에도 화폐적 가치가 개입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금’에 대한 욕망은 야담에서 구체적으로 서술되었으며, 김유정 소설에서는 그 탐욕이 무한증식하여 물신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김유정 소설에서 ‘금’은 무엇과도 교환가능한 절대적 수단이자 그 자체가 절대 목적이 되어버리는 전도된 양상을 드러내주었다. 넷째, 야담에서 나타난 경제적 상상력과 그로 인한 변화는 1930년대 식민지 자본주의에서 공허한 황금욕망의 파국으로 귀결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김유정의 ‘금’소재 소설들은 식민지 자본주의 현실에서 개인의 주체적 욕망 추구가 불가능함을 역설적으로 알려주는 것이었다. 결국 조선 후기의 야담은 ‘금’이라는 공통 척도가 마련되는 양상을, 김유정의 소설은 그 이후 부정적 극단으로 치달아간 모습을 드러내 준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changes in economic imagination through the narrative method of the late Joseon Dynasty"s Yadam “Gaeseong Merchants” and the 1930s novels of Kim Yu-jeong.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gold 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1930s for the following reasons: gold has complex characteristics that translate into treasure-precious existence-interest and monetary value. Additionally, the late Joseon Dynasty demonstrated a shift toward capitalism, and importantly the 1930s were a time when colonial rule became stronger and capitalism spread.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ld was described as a precious treasure and a commodity that could be calculated and accounted by the Yadam “Gaeseong Merchant”. “Gaeseong Merchants” revealed that economic benefits are computable and that individuals’ economic desire to accumulate them is justified. This demonstrates signs of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that share a common sense of economic values and interests. Second, the method of calculating and using gold as a monetary value in Yadam was more complex in Kim Yu-jeong’s novels, where different characters calculate the profits that gold will produc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y have different spatial and temporal standards. Consequently, it became possible to compare things with wealth and demonstrated that monetary value was also involved in human categories. Third, the desire for gold was specifically described in Yadam, and Kim Yu-jung’s novel’s, the greed grows infinitely and is described as worshipping God. Especially in Kim Yu-jung’s novel, the bizarre characteristics of gold becoming an absolute means and an absolute purpose that can be exchanged for anything were revealed. Fourth, the economic imagination in Yadam resulted in the destruction of empty golden desires in colonial capitalism in the 1930s. In this sense, Kim Yoo-jung’s gold novels paradoxically demonstrate that it is impossible to pursue an individual’s independent desire in colonial capitalism. Ultimately, Yad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llustrates that a common measure of gold is being developed, and Kim Yoo-jung’s novel indicates that this development has progressed to a negative extreme.

      • KCI등재

        라디오에 방송된 근대야담의 일면(一面) : 『조선야담대해(朝鮮野談大海)』 1책을 대상으로

        권기성 ( Kwon Ki-s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0 No.-

        본 연구는 20세기 초 라디오에 방송된 근대야담의 일면을 파악하고자 오상근이 지은 『조선야담대해』를 대상으로 자료의 성격과 특징을 살폈다. 1930년대 야담은 문화상품으로 변해가는데, 『월간야담』이나 『야담』과 같은 잡지에 비해, 라디오로 방송된 야담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1차 자료를 구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런 면에서 『조선야담대해』의 자료적 가치가 인정된다. 『조선야담대해』는 대부분 전대의 야담을 활용했다는 점에서는 당대의 잡지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 다만 라디오 방송이라는 특성상 한정된 시간이라는 조건하에 있었고, 이는 야담 구연자로 하여금 독서물과는 다른 차원의 전략을 요구로 했다. 이에 구연자는 기존 이야기의 구성과 표현을 적극 바꿀 수 있게 되었다. 구연자가 서사 전체를 장악하고 적극 개입하면서 한 편의 서사물을 자신의 방식대로 표현할 자유를 얻게 되었다는 점은 곧 근대 이야기문화의 새로운 연속과 굴절에 다름 아니다. 달라진 이야기판은 새로운 이야기꾼을 탄생시키면서 변이되어가는 노정에 있었으며, 『조선야담대해』는 그중 하나의 사례로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of JoseonYadam-daehae. In the 1930s, Yadam were transformed into cultural products, compared to magazines such as Wolgan-Yadam and Yadam. This was because it was not easy to obtain primary data. In this respect, the material value of the JoseonYadam-daehae is recognized. It is not so different from the magazine in that most of the JoseonYadam-daehae was utilized by the whole group.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radio broadcasting, it was under a condition of limited time, and Yadam lecturers demanded a different strategy from the book. The lecturer has been able to change the composition and expression of the existing story. The fact that the learner has the freedom to express one’s narrative in his own way while taking control of the entire narrative and actively intervening is no more than a new continuation and refraction of the modern story culture. The different storyboards were at the same time changing into a new storyteller and the meaning of JoseonYadam-daehae is one of them.

      • KCI등재

        <월간야담> 소재 「참회의 노승」을 통해 본 근대전환기(1930년대) 세대 갈등의 한 단면과 그 의미

        권기성 돈암어문학회 2019 돈암어문학 Vol.35 No.-

        Through the analysis of 「Old monk of repentance」(1936, Book III, Book 9) in 『Wol gan Yadam』, I looked at the composition meaning of the work and how the subject was shaped. In this way, the meaning of the work was discussed by linking it to a particular phase of the social problems of the day and to a youth/old discourse of the 1930s. At first glance, 「Old monk of repentance」 feels that the first and second parts of the book are not intertwined in an instrument, which makes it seem like a work that lacks the probability of an epic story. Bu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young and old, it shows that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new and old generations of newspapers and tradition is unraveling in the middle tier structure of “free love” and “generational conflict.” In particular, the boy's immoral behavior and generational conflict in the latter half of the year are no less than situations such as “violence,” “murder” and “suicide” facing the elderly in the 1930s. A turning point in modern discourse a young man who went to chudonghae I used to stay completely eliminated in the logic of modernization, for his old man, The composition of these confrontations 「Old monk of repentance」. The narrator, however, expressed his stance of advocating conservative and traditional oriented values by raising the hands of the traditional generation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half. After modern discourse, which was represented by youth in the 1920s, lost its way and became a target of criticism, the 1930s youth/old generation conflict appears to have intensified in many parts of society. While the old man is still ignorant and portrayed as an object of alienation abandoned by someone, data from the 30s, including 「Old monk of repentance」, emphasize that respect for the elderly and ethics are the value equivalent to social public good, and remind people that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old ma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s to be in the warm interest and love of the people around him. Through these works,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various works listed in the 『Wol-gan Yadam』 later on not just as a popular and entertaining product, but to read them more actively in consideration of the meaning of the times 본고는 월간야담 소재 「참회의 노승」(1936년, 3권 9호)의 분석을 통해서, 해당 작품이 지니는 구성적 의미와 주제의 형상화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작품이 지니는 의미를 당대 사회적 문제의 특정 국면 및 1930년대의 청년/노인 담론과 연결시켜 논하였다. 「참회의 노승」은 얼핏 전반부와 후반부가 계기적으로 엮여있지 않다는 느낌을 주며, 이로 인해 서사의 개연성이 부족한 작품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청년/노년의 대립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는 신세대/구세대가 겪는 신문명과 전통의 대립을 ‘자유연애’와 ‘세대갈등’이라는 중층적 구성으로 풀어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후반부에 나타난 소년의 패륜행위와 세대갈등은 1930년대 노인이 처한 ‘폭력’, ‘살인’, ‘자살’ 등과 같은 상황에 다름 아니다. 근대전환기를 추동해갔던 청년담론은 노인을 타자로 머물게 하면서 근대화의 논리에서 철저히 배제하곤 했었는데, 이러한 대립의 구도가 「참회의 노승」에 나타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서술자는 전반부와 후반부 모두에서 전통세대의 손을 들어줌으로써 보수적이고 전통지향적인 가치를 옹호하는 입장을 드러냈다. 1920년대에 들어서 청년으로 대표되던 근대의 담론이 길을 잃고 비판의 대상으로 전락한 뒤, 1930년대의 청년/노인의 세대갈등은 사회 곳곳에서 한층 격화된 것처럼 나타난다. 이 와중에 노인은 여전히 무지하고 누군가에게 버려진 소외의 대상으로 그려지지만, 「참회의 노승」을 비롯한 30년대의 자료에서는 노인에 대한 공경과 윤리가 사회적 공공선에 해당하는 가치임을 강조하며, 근대전환기 노인문제의 해법은 기존 가치의 무조건적 추종이나 신세대의 비판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다움을 유지하는 것에 있음을 환기시킨다. 추후 『월간야담』에 수록된 여러 작품들을 단순히 통속적ㆍ흥미적인 상품으로만 해석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 의미를 고려하여 더욱 적극적으로 읽어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야담가 신정언과 『신정언 명야담집』

        이동월(Lee, Dong-wol) 한국어문학회 2013 語文學 Vol.0 No.1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cretely action state of Shin Jeong-En and consider the aspect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Shin Jeong-En’s Famous Historical Storybook? that is first introduced in the academic world. Shin Jeong-En was a historical storyteller from journalist in 1930s and contributed for popularization of historical romance. In 1938, he published 『Shin Jeong-En’s Famous Historical Storybook』 as an individual work. It showed historical form by arranging representative 11 works as a historical narrative. He collected data on his works from unofficial history, historical storybook, and The True Record of Joseon Dynasty of a previous generation. Through his works we can know his historical consideration. 『Shin Jeong-En’s Famous Historical Storybook『 had limits like absence of present realization in Japanese colonial era. But his works show distinctly his awareness of historical romance and chronological change of historical storybook.

      • KCI등재

        야담의 문예화와 문학장의 위계화 - 식민지 중반, 야담의 부흥과 대중문학 인식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김지영 대중서사학회 2016 대중서사연구 Vol.22 No.4

        In this paper, I searched how Korean historical romance was accepted in the modern literary circle and how the literary hierarchy rose and established in the Korean colonial period. In the late 1920s, the movement for a historical romance rose by Kim Jingu, who was greatly affected from Japanese historical storytelling during his studying abroad. Kim Jingu tried to foster a collective identity among the ordinary Korean by making a public convention listening historical storytelling, in which the ordinary Korean multitude could recall their collective past. However,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strictly censored this kind of conventions, thus the historical romance had to change its contents and became a simple stories of amusement which were grounded in old book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the past such as Chosun dynasty. In the 1930s, a historical romance became one of the major genre of radio entertainment, and professional magazines for a historical storytelling started to be issued and got a great attention by the public. In this vein, the style of a historical romance started to be recognized as a literary genre, which was very vulgar and low-graded, thus the major literary circle criticized the quality of the stories hardly. However, the genre started to be included in the modern literary genre system and became the major representation of a popular literature which was not conceptually established cleary still in the early 1930s.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popular literature started to be outlined cleary when the historical romance was recognized and accepted as one of the genre of “literature,” and the official literary hierarchy started to be recognized when this genre got an official attention and was accepted as a literature.

      • KCI우수등재

        『월간야담』의 종간호 발굴과 발행인 박희도의 존재

        공임순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rrect the misconceptions of academia about the final issue of Wolgan-Yadam and to inform and explain the existence of the missing final issue. Even in the recent discussions as well as the early studies, it is still in common use as a magazine that was launched in October 1934 and was closed to No. 55 in October 1939. I reconstitute the incomplete bibliography list of Wolgan-Yadam by combining two newly acquired Younginbon and November/December 1939 issue(No. 56), which have been erased due to the old practice and myths of academia. In particular, when the final issue is added to the newly acquired February 1935 (No. 5) and January 1937(No. 26), the overall missing issues of Wolgan-Yadam are reduced to two. In chapter 2, I try to supplement the bibliography list that was not properly reviewed despite the progress of the study on Wolgan-Yadam and make it the basis of future research. In chapter 3, the meaning of the restoration of the missing final issue is dealt with in connection with changes in the publisher system. Starting in January 1939(No. 47), the publisher of Wolgan-Yadam changed from Yoon Baek-nam to Park Hee-do. It is true that the Wolgan-Yadam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since 1939 because of pro-Japanese colors. However, the closing of Wolgan-Yadam cannot be elucidate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Dongyang-Jigwang, which was founded by the owner and publisher Park Hee-do. The transformation of Wolgan-Yadam was also a product of media environment in wartime, where the Wolgan-Yadam was introduced as ‘Sister magazine of the Dongyang-Jigwang’. I argue that the situation that Wolgan-Yadam was ended not October 1939(No. 55) but November/December 1939(No. 56) was related to the Dongyang-Jigwang, while the closing of Wolgan-Yadam at the end of 1939 was also in line with the decline of the so-called ‘Yadame’s Palmy days’ in the 1930s. 이 글의 목적은 하나로 모아진다. 『월간야담』 종간호에 대한 학계의 잘못된 통념을 바로잡고, 누락된 종간호의 존재를 알리고 해명하는 것이다. 초창기 연구는 물론이고 현재까지도 『월간야담』은 1934년 10월에 창간되어 1939년 10월 통권 55호로 종간된 잡지로 여전히 통용되고 있다. 필자는 학계의 오랜 관행과 통념으로 인해 지워졌던 1939년 11·12월(통권 56)호를 복원하고, 여기에 영인본에서 빠진 결호(缺號) 두 편을 새로 입수하여 『월간야담』의 불완전한 서지 목록을 재구성해 보았다. 새로 입수한 1935년 2월(통권 5)호와 1937년 1월(통권 26)호에 종간호를 더하게 되면, 『월간야담』의 전체 결호는 두 편으로 줄어든다. 필자는 2장에서 『월간야담』 연구의 진척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검토되지 않았던 서지 목록을 보완하여 향후 논의의 토대로 삼고자 했다. 발행 일자와 통권 호수를 일일이 교차 대조한 결과물이기도 하다. 3장에서는 누락된 종간호의 발굴이 갖는 의미를 발행인 체제의 변화와 결부시켜 다루었다. 1939년 1월(통권 47)호를 기점으로『월간야담』은 발행인이 윤백남에서 박희도로 바뀌게 된다. 발행인 박희도의 친일 색채로 인해 1939년 이후 『월간야담』은 상대적으로 경시되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월간야담』의 종간은 사주이자 발행인인 박희도를 고려하지 않고는 해명될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가 주관한 『동양지광(東洋之光)』의 창간과 휴간은 1938년 12월호를 건너뛰고 1939년 1월(통권 47)호로 재출발하여 끝내 1939년 11·12월(통권 56)호로 종간된 『월간야담』의 운명과 연동하기 때문이다. 이는 『월간야담』이 ‘『동양지광』의 자매지(東洋之光の姉妹紙)’로 선전되었던 전시의 미디어 재편과도 무관할 수 없는 것이었다. 필자는 2년여의 휴간 끝에 속간한 『동양지광』과 달리 자매지 『월간야담』이 회생할 수 없었던 사정을 건전 오락의 이율배반으로 되짚는 한편, 『월간야담』의 종간과 함께 소위 1930년대 ‘야담 전성시대’도 저물어갔음을 4장의 결론으로 갈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