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고전번역원 고전 대중화 사업의 현황과 과제

        하승현(Ha, Seung-hyun)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5 No.-

        다양한 디지털 매체의 실질적인 내용이 되어 줄 원천 소스로서 전통문화 콘텐츠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전 대중화 사업의 필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다. 고전 대중화 사업은 “고전이 대중 사이에 널리 퍼져 친숙해지게 하는 사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고전번역원의 주요 사업인 원전 정리 사업, 고전 번역사업, 인재 양성 사업, 고전 번역 연구 사업, 정보화 사업은 모두 궁극적으로 대중화라는 지향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주요 사업 내용이 대중화를 지향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고전이 대중 사이에 널리 퍼져 친숙해질 수 없다면 주요 사업의 의의 또한 약해질 수밖에 없다. 한국고전번역원은 전신인 민족문화추진회 시절부터 대중과의 소통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1970년대 후반부터 고전 독서회 결성, 고전 교양 도서의 편찬, 우리고전 읽기 운동 등을 통해 사회 각층의 호응을 얻었고 민족 문화의 보급과 창달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2007년 한국고전번역원 출범 이후에는 대중화 사업으로 ‘고전번역서 출간’, ‘한문고전 자문서비스’, ‘고전산책’ 메일링서비스, 소식지 ‘고전사계’ 발행 등을 해왔고, 고전 문헌에 관한 국내외 교류 및 협력 사업도 진행해 왔다. 이 외에도 2012년부터는 교육부 수탁 ‘초·중등용 고전읽기 자료 개발 및 보급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의 목적은 고전에 대한 수요 증대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고전 콘텐츠를 개발하여 아동 · 청소년의 읽기 자료 폭을 확대하는 것이다. 고전 대중화 방향은 크게 고전 번역의 콘텐츠화와 고전 콘텐츠 이용의 활성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고전 번역의 콘텐츠화를 위해서는 번역 서종의 다양화, 고전 번역 성과 재가공, 고전 이야기 자료집 구축, 영상 콘텐츠 생산 확대가 필요하다. 고전콘텐츠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고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독서 모임 활성화, 디지털 매체 활용 활성화, 고전 콘텐츠의 세계화가 필요하다. 한문으로 된 우리 고전을 대중화하는 일은 역사 문화 정보의 대중화이기도 하고, 공동체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공감대의 확산 장치이기도 하다. 번역이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바꾸는 것이라면, 대중화는 소수의 이용자를 다수의 이용자로 확대해 나가기 위해 원전 정리 방식, 번역 방식, 출판 방식, 대상 독자, 전달 매체 등을 바꾸는 과정이다. 따라서 대중화는 기획 단계부터 콘텐츠 개발을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방향을 바꾸어 진행해야 한다. 번역원의 모든 사업 부서에서 사업 성과의 대중화 방안을 모색하고, 대중화 사업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때, 대중화 사업이 튼튼한 뿌리를 내릴 수 있을 것이다. Korean Classic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over time, as they are a source of content for various digital media, and also in part because the need for popularization of cultural heritage seems to be continuously increasing.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Classics serves as a means to spread Korean cultural heritage to the general public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familiarize the audience with those classics. In that sense, the organization of original texts, translation of classics, training of competent people, investigation of translated classics, and promotion of information are the main tasks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hereafter ITKC)--which eventually build up to the idea of popularization. Even though the main efforts all targeted popularization, if ITKC failed to spread the Korean classics, along with the public who were unfamiliar with the Korean classics, then the project cannot avoid being weakened. ITKC has made great efforts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since the founding of the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민족문화추진회), the precursor to the ITKC. In the late 1970’s, the ITKC received positive feedback from diverse societies through various actions such as making a classic reading club, publishing classic cultural books, and through the movement for reading Korean classics. ITKC also contributed not only to supplying a fair part of Korean culture--but progressing it as well. After its foundation in 2007, ITKC published classics in translation, served as consultant for classics in Chinese, mailed ‘Stroll with the Classics’, and published a newsletter named, ‘Four Seasons with the Classics,’ as a means to popularization. ITKC also promo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changes for classic texts. Additionally, ITKC made further progress in 2012 by taking charge of developments, and spreading the practice of reading the classics amongs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llowed by the increasing demands, the aim of this service is to develop various classical materials and to expand the available texts for both children and adolescents. Classic popularization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making translated contents and putting the translated contents to use. To make translations, we have to diversify the kind of books, reprocess the results of translation, and make a story bank and expansion of the visual contents. For the usual use of the contents, we need educational programs, book clubs, utilization of digital media, and globalization of the contents.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Classics (originally in Chinese), is rooted in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and culture. It is also a system for expanding sympathy for our very own community. The act of translation is simply changing one language into another, whereas popularization requires changing of methods for categories. This complicated process could include steps such as: collecting classical content, translation, publication, targeting readers and transporting media for a great number of users--not just for a select few. By design, the process should be centered around demand, not the content suppliers. The service of popularization could take root in depth when every department in ITKC works with like-minds, focused on the idea of popularization, and with the system for expansion in mind.

      • KCI등재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 원심력과 구심력의 이해

        손현경 한국비즈니스학회 2022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7 No.3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 music is one of the core tasks that the Korean classical music industry has steadily implemented over the past 30 years. However, the fruits of popularizing classical music over the past 30 years have not been successful. Classical music has not become popular and the classical music industry is shrinking over time. The number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ast and the number of audiences for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has decreased even more significantly. It shows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method of popularizing classical music in Korea that has been implemented over the past 30 years. Until now,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 music in Korea has been mainly implemented by performers. Classical music performers played popular songs and sought to popularize them by breathing with the audience. As a result, the performer became popular, but classical music itself was not popular. Now we have to change the way. Only when classical music-centered popularization proceeds, not performer-centered popularization, can the base of classical music expand. This study proved the direction of popularization of classical music through experiments. What can be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is that when approaching classical music with high familiarity to the public, the public can sing along and hum along, making it easy to accept classical music in daily life. Above all, in order to popularize classical music, centripetal force, not centrifugal force, should be used. It is not appropriate for classical music players to enter the realm of popular music.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for pop music performers to enter the realm of classical music.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 우리나라 클래식 음악계가 지난 30여 년 동안 꾸준히 실행해온 핵심 과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지난 30여 년 간의 클래식 음악 대중화의 결실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클래식 음악은 대중화되지 못했고, 클래식 음악계는 시간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 클래식 음악 공연의 수는 이전에 비해 크게 줄었으며, 클래식 음악 공연의 관객 수는 더욱 현저히 감소하였다. 지난 30여 년 간 실행된 우리나라 클래식 음악 대중화의 방법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우리나라 클래식 음악 대중화는 주로 연주자 중심으로 실행되었다. 클래식 음악 연주자가 대중성 높은 곡을 연주하며, 이들이 관객과 호흡하는 방법으로 대중화를 꾀하였다. 결과적으로 연주자는 대중화되었지만 클래식 음악 그 자체는 대중화되지 못했다. 이제 방법을 바꿔야 한다. 연주자 중심의 대중화가 아닌 클래식 음악 중심의 대중화가 진행되어야 클래식 음악에 대한 저변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어떻게 해야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가 가능한지에 대해서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은 대중에게 친숙도가 높은 클래식 음악으로 접근할 때, 대중은 따라 부를 수 있고, 흥얼거릴 수 있어, 일상에서 클래식 음악을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무엇보다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원심력이 아닌 구심력을 활용해야 한다. 클래식 음악 연주자가 대중음악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은 적절치 않다. 대중음악 연주자가 클래식 음악의 영역으로 들어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학의 대중화와 대중적 유학

        권상우(Kwon, Sang-woo)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1 No.3

        논문에서는 철학의 전문성과 대중성 관계성을 유학적 입장에서 논의해 보았다. 우선, 중국신유학의 주자학과 양명학을 중심으로 논의하면서, 주자학은 유학의 전문성을 강조하였다면, 양명학은 대중성을 강조하였음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중국신유학의 대중화의 입장 차이를 조선유학에서도 찾아보았다. 조선성리학이 주자를 계승하면서 ‘유학의 대중화’를 시행하였다면, 대중의 입장에서 유학을 해석한 동학은 ‘대중의 유학’을 시행하였음을 논의하였다. 조선 사림은 『소학』 과 『가례』 를 편찬하고 향약을 시행하는 등 유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하지만 조선성리학의 대중화는 성공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실패한 대중화로 평가된다. 조선은 성리학의 대중화로 인해 양반국가가 된 것처럼 보이지만 민중의 도덕성이 향상되었다고는 볼 수 없다. 성리학과는 달리 동학에서는 유학을 변용하면서 대중적인 유학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동학은 민중의 유학을 추구하면서 유학의 원래 이념에서 탈피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본 논의를 통해 철학과 대중화는 양자 중 어느 한쪽에 치우칠 수 없다는 결론을 추론할 수 있었다. 철학의 대중화는 철학의 형식주의에 빠질 수 있다면, 철학의 대중화는 철학의 전문성을 왜곡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철학은 전문성과 대중성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진행되어야 한다. 철학적 전문성은 대중성을 고려해야 하고, 대중성은 항상 철학적 전문성을 존속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discussed the relation between the specialty of philosophy and its popularization, based on the popularization of neo-Confucianism introduced to the JOSEON dynasty (the last dynasty in the Korean peninsula) (hereinafter referred to as “JOSEON Confucianism) and DONGHAK as the Confucianism for the public. In line with this objective, ‘the popularization of JOSEON Confucianism’ was reinterpreted into ‘the popularization of Confucianism’ and ‘Confucianism in DONGHAK into ‘popular Confucianism.’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made efforts to popularize Confucianism, by compiling the series of SOHAK (coursebooks for beginners) and GARYE (a wedding ceremony manual for kings and royal families) and enforcing HYANGYAK (local autonomous laws). They seemed to succeed in popularizing JOSEON Confucianism, but in this study, the popularization was regarded as a failure. Unlike the Confucian scholars, DONGHAK scholars transformed Confucianism into more popular study. However, they were evaluated to distort the originality of the original meaning of Confucianism. The foregoing implies that philosophy should not be biased to specialty or popularization. At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philosophical specialty needs to reflect popularity and popularity to maintain philosophical specialty.

      • KCI등재

        창작무용작품의 문화브랜드가 무용대중화에 미치는 영향

        박윤희,최소빈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0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6 No.2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how cultural branding of interpretive dance work affects the popularization of dance, ultimately for the empirica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interpretive dance and its popularization. The total number of 370 dance-major students from universities locating in Seoul and Gyeonggi participates in the survey. By using Window SPSS 24.0, a variety of analysis is carried out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etc. One-way ANOVA, correlation anaylsy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lso conducted. Our research finding indicates repertoire as a sub-factor of cultural branding has a correlation with the popularization accessibility and popularization recognition. Also, planning and specialization has a correlation with the popularization accessibility but no correlation with the popularization recognition. Furthermore, repertoire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opularization accessibility whereas planning and specialization does not have any impact on the popularization accessibility. Finally repertoire positively affects the popularization recognition while planning and specialization does not.

      • KCI등재

        프로문학 진영의 사회주의 아동 만들기 - 1930년대 초반 『별나라』와 『신소년』의 대중화 전략-

        최은혜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3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33

        A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popularization of proletarian literature camp after the debate on Literature and Art Popularization, 『Byeolnara』 and 『Shinsonyun』 in the 1930s functioned as forum of practice to secure the ‘child public’. In contrast to the ‘child with a childhood innocence’, the ‘socialist child’ is positioned as the subject who would lead the revolution and a human being to be recruited by the Proletarian Literature camp. Whereas other media targeted adult intellectuals, 『Byeolnara』 and 『Shinsonyun』 were targeting children as readers, enabling the two magazines to occupy a significantly important position in the strategies of popularization. Their strategies of popularizati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main aspects: the dissemination of scientific and socialist knowledge, the articulation of emotions through literature, and the encouragement of direct participation of the reading public. Through this, 『Byeolnara』 and 『Shinsonyun』 could strive to create a holistic socialist child that satisfy all aspects of knowledge, emotion, and practice. Considering the purposes of the two magazines to acquire and consciousness–raise a child audience for the Proletarian Literature camp, the present study has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n outlining the nature of the strategies of popularization may have research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it is no different from approaching the core of the media by examining the general nature of the popularization strategy.

      • KCI등재

        국문장편소설의 현대적 출판과 대중화 전략

        정혜경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6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spects of the modern publication of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and the methods used in their popularization To effectively popularize the classic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verall publishing ecosystem through their data on publications in the present age and to construct a new modern publication of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distribution.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form and trend of modern publications, including the data on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that have been photo-printed, proofread/annotated, and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The modern publication of Korean full-length classical novels began with Imhwajeongyeon, published by Eulyoo Publishing Co. in 1962, gradually increased with the photo printing of classical novels in the 1970s, and proceeded in earnest in the 2000s after a downturn in the 1990s. Modern translations increased explosively in 2010 (seven kinds), after which only one or two works have been translated each year. However almost 60% have not yet been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It is shown that modern translations would be needed according to the readers’ patterns of use the translated works. To attain a mass readership of full-length novels among the public beyond the narrow confines of particular group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ignificant texts to be translated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distribution, set directions for modern publi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ublishing ecosystem, follow the appropriate patterns and prepare strategies for popularization. Thus, this study first translated Hwassichunghyorok, Yuhyogongsseonhaengrok, and Myeong jugibong which have long had wide popularity, holding readers’ attention for a long time- consider literary value and the state of their bibliographical research, and proposed changes in the methods of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medium and platform. This study discusses the strategy of securing an active readership by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works and by including a more diverse participants in translation with abridged versions, audiobooks, and rewriting versions. For popularization, since the conversion of media and platform is insufficient,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pread an awareness of Korean classical novels in the academic community, spread an enjoyment of these works in the literary environment by branding of Korean classical novels and the curation service. 이 글의 목적은 국문장편소설의 현대적 출판 양상을 총체적으로 살펴 현대적 출판 방향과 대중화 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국문장편소설의 현대적 소통력을 높이려면 현대 출판물의 서지 데이터를 집적하여 출판 생태계 전반을 이해하고 소비문화와 유통사적 맥락에서 현대적 출판을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지금까지 영인(影印), 교주(校註), 현대역된 국문장편소설의 서지 데이터를 한데 모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현대적 출판 행로를 추적하였다. 현대적 출판은 1962년 〈임화정연〉을 현대적 수법으로 옮기는 데서 시작하여 1970〜1980년대 영인이 중심이 된다. 1990년대 전체 출판량은 전 시기 대비 감소하지만, 2000년대 대중적 출판과 함께 다시 증가한다. 2010년 가장 많은 현대역본(7종)이 출간된 후 매년 1〜2종이 현대역된다. 그럼에도 아직 60%에 가까운 작품이 현대어로 옮겨지지 못했으며 〈임화정연〉처럼 새로운 현대역이 필요한 작품도 상당했다. 이어 흥행력이 검증된 작품을 유통사적 맥락에서 발굴하여 우선 번역할 대상을 선정함으로써 텍스트 수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본 총량과 매체 수용력을 근거로 우선 번역할 텍스트를 선별하면 현대역본이 부재한 〈화씨충효록〉, 〈유효공선행록〉, 〈명주기봉〉 등과 새로운 현대역본이 필요한 〈현씨양웅쌍린기〉, 〈하진양문록〉, 〈임화정연〉 등이 그 대상이 된다. 연작 지향성이 강한 장르적 특성을 살려 시리즈물로 출판할 경우 모든 연작이 인기를 끈 〈현씨양웅쌍린기〉 연작과 〈유효공선행록〉 연작이 우선순위를 차지한다. 또한, 국문장편소설의 미감을 현대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콘텐츠 이용 형태와 장르적 속성을 고려한 출판 형태와 방향을 탐색하였다. 축약본과 오디오북으로 출판 형태를 다양화하고 구독형 플랫폼으로 이용 경로를 확장하는 것이다. 대중화는 매체와 플랫폼의 전환만으로 불충분하기에 대중적 확산과 고전 브랜딩 전략을 추가로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교육성과 공유, 큐레이션 서비스, 전문 번역가와 창작자 육성, 고전 읽기와 쓰기의 다양한 인력 확보, 그리고 학회의 역할 변화 등이 있다. 이러한 실천이 더해질 때 국문장편소설을 대중의 곁으로 더 가까이 돌려보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930년대 중국의 연극 대중화 양상 연구(1) - 극장 없는 곳에서 연극하기: 중앙 소비에트 지구

        장희재 한국연극학회 2022 한국연극학 Vol.1 No.82

        This study examined the popularization of theater in the 1930s in the Central Soviet region of China. This is part of a study to take a holistic view of China's theater popularization. The process of popularization of plays carried out in the Central Soviet District was examined through the tr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ater people (revolutionaries), space, and the public, and the transformation that occurred until the formation of communas aimed at popularizing plays was considered. The Central Soviet District has the spatiality of Communist-controlled areas, rural areas, and wartime capitals. The Red Army established schools and theater organizations to carry out theater popularization in these Soviet districts and used an organized spatial strategy. The biggest challenge in this process was movement. It was the identity of the Red Army and the regional nature of the Soviet region that transformed outside the performance, and through the conversion during the performance, the Red Army, the peasant public, and the Kuomintang soldiers formed a communus.

      • KCI등재

        조선문학가동맹 '詩部'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

        박민규(Park Min-kyu)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해방기 남한의 대표적인 진보적 민족문학 단체였던 조선문학가동맹(문맹)의 조직적 시운동을 검토하고, 문맹의 시론들을 그 당시 시운동과의 상관성 하에 맥락화하면서 분석, 평가하였다. 특히 문맹의'시부위원회'가 전개한 활동의 궤적에 주목하였다. 시부(詩部)는 46년 2월에 문맹의 결성과 함께 조직되었다. 결성 초기에 시부는 '시의 대중화'를 주요 활동 방향으로 선언하지만, 추상적이고 감정적인 구호에 그쳐 있었다. 이후 시 강연과 시 낭독을 활발히 전개하면서 시 대중화 운동은 구체적인 것이 되어 갔다. 특히 각종 행사에서의 시 낭독은 대표적인 조직적 활동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초창기인 46년 상반기에 시부는 계몽화 운동의 소박한 취지에서 비정치적인 시까지도 다양하게 대중에게 보급하였다. 그러나 46년 중반에 미소공위가 휴회하면서 시 낭독은 대중에게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쪽으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정치적 '분노'의 시와 시 낭독이 성행했는데, 김기림은 이를 신인의 육성이란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46년 하반기에 문맹은 잇따른 조직 개편과 대중화 결정서들을 마련하면서 문학대중화 방침을 더욱 강화해간다. 10월 항쟁을 거치면서 새로운 활로의 모색을 위해 문화 투쟁을 통한 대중과의 적극적 결속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시인들은 개편된 조직들의 전면에 배치된다. 특히 대중에 대한 관점이 기존의 계몽적 시혜성에서 정치적 연대성으로 변모하게 되자, 문맹의 서울지부 시부 위원장인 김광균이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당시 추진되고 있던 문화공작자 혁신안이 결정적 원인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47년에 접어들어 시부의 시 낭독 행사는 대형화되고 종합예술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시 자체의 낭독에 그쳤던 46년과 달라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시 낭독은 대형 예술제와 문화공작대 등에서 음악, 연극, 무용 등과 협연된다. 이는 시 낭독의 종합예술화를 제안했던 조허림의 시론이 현실화됐음을 뜻한다. 그러나 일차적으로는 대중의 정치적 결집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한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훗날 김기림은 시 낭독의 공과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검토하면서 앞으로 시 낭독이 대중의 전형을 파악해야 하며, 시사적 내용에 치우치지 말아야 한다고 주문하였다. 하지만 문맹의 활동이 봉쇄된 상태에서 그의 주문은 현실화되기 어려운 과제로 남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organized movement for poetry by Korean Writer's Alliance(Chosŏn-Munhakga-Dongmaeng),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analyzes and evaluates the poetics of it, contextualizing under the relation with poetry movement of the time.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trajectory of activities developed by the Committee of Poetry Division in Korean Writer's Alliance. Poetry Division was organiz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February 1946. At the early period, it announces 'Popularization of Poetry' as an important direction of its activities, however, it ends in an abstract and emotional slogan. Movement for popularizing poetry becomes more detailed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poetry lecture and reciting. Reciting poems in various event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organized activities. In the first half of 1946, Poetry Division introduces various types of poems including nonpolitical ones with the simple purpose of enlightenment movement. However, in the mid-1946,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declared a recess and poem reciting changed into delivering political message to the public. Especially, reciting poems expressing political 'rage' is prevailed and Kim, Gi-rim positively assessed it at the level of fostering new figures. In the second half of 1946, Korean Writer's Alliance intensifies the policy of popularizing literature, carrying out a successive reshuffle and preparing Written Decision for Popularization. It changes the direction toward active unity with the public through culture struggle to seek a way out going through People's Uprising in October 1946. Poets are dispatched in the front line of reshuffled organization. When the viewpoint toward the public changes from the existing enlightening dispensation to political solidarity, Kim, Kwang-gyun, chairman of Poetry Division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Seoul strongly criticizes this. Innovation plan of culture craftsman seems to be the decisive reason for his criticism. Entering into 1947, the scale of poem reciting event of Poetry Division becomes larger and bigger and composite art. It is different from the event of 1946, which ends in reciting poem. From 1947, poem reciting accompanies with music, play, dance and so on at large scale art festival and by the group of culture craftsman. This means that the poetics of Cho, Hur-rim who suggested make poem reciting as a composite art has realized. However, the primary purpose of it was to draw political concentration of the public to the maximum. Later, Kim, Ki-rim said that poem reciting should grasp the stereotype of the public and not be biased to contents of current events, examining merits and demerits of poem rec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However, his suggestion remains as a difficult task to be realized when the activity of Korean Writer's Alliance is blocked.

      • KCI등재

        <빈민가>에 나타난 유치진의 프롤레타리아 연극 대중화

        김재석 한국극예술학회 2017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8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Binminga (the Slums) and clarifying that they resulted from Yu Chijin’s theater popularization. The central matter in Binminga is the struggle of solidarity strike, but Yu Chijin arranged the poor life of Insik’s family that should take care of his sickness in the front of theater, which could coax the threatening eye of censorship authority. With this intention, he tried to represent the destitute life of laborer’s family realistically where they couldn’t treat the child of pulmonary tuberculosis properly and eventually let the child die. At the same time, writer’s awareness that the struggle accepting individual’s sacrifice is needed was embodied in Junsik’s solidarity strike. Yu Chijin also strengthened the theme of Binminga by utilizing ‘double plot’. The main plotline of Binminga is the course that Insik, a consumptive patient leads to his death and its sub plotline is the struggle of solidarity strike which Junsik takes part in. He maximized the audience’s sadness through the main plotline and connected their symapthy for Insik happening from it with the support of solidarity strike. The unity of running time in Binminga with ‘the whole time of the incident visualized on stage’ and the suitable use of sound effect contributed to combining double plotlines properly. Compared with Yu Chijin’s Tomak(a dugout mud hut) and Beodeunamu seon dongniui punggyeong(the scenary of village freenged with willows), the critical awareness about reality appearing in Binminga was much more powerful. The former works just reproduced realistically the destitute peasant life in colonized Joseon, while further more it Binminga came up with the overcoming alternative. Especially, it is very positive to intensify the criticism of reality by means of making the police appear directly on stage who oppressed the laborer, in that this is the new try that have never been made in previous dramas. Yu Chijin created Binminga which achieved much development compared with two preceding works to practise his own theory of theater popularization. He who had been critical the mainstream of Geukyesulyeonguhoe (the association of studying theatrical art) which was subsided in Tsukiji little theatre found the direction of theater popularization through New Tukiji little theatre. Though he was not a socialist, he highly appreciated the popularity of proletarian theater. So he tried to find the way of theater popularization through theatrical groups of leftism. His groping for theater popularization was realized by virtue of making Binminga performed by Sam·Il theatre group in Tokyo which belonged to Japanese PROT. 이 논문에서는 <빈민가>의 작품적 특성을 분석하고, 유치진의 프롤레타리아 연극 대중화 시도가 작품 창작의 동인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유치진은 극예술연구회가 창작극 공연의 확대 요구를 거부하자, 좌익극 단체에서 창작극의 공연을 시도하였다. 프롤레타리아 연극 대중화를 지향한 유치진의 의도에 따라, 그의 작품세계에서 처음으로 노동자의 연대 투쟁이 다루어졌다. <빈민가>의 핵심적 사건은 연대 파업 투쟁이지만, 유치진은 인식을 병구완하는 가족의 궁핍한 삶을 극의 전면에 배치시킴으로써 검열 당국의 시선을 무마시켰다. 그는 폐병 환자인 아이를 치료해주지 못하고 죽음에 이르게 만든 가난한 노동자 가족의 삶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데 주력하면서, 그러한 모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개인 희생을 감수하는 투쟁이 필요하다는 작가 인식을 준식의 연대 파업에 담아내었다. 유치진은 이중의 극짜임(double plot)을 활용하여 <빈민가>의 주제를 강화시켰다. <빈민가>의 중심 서사(main plotline)는 폐병환자 인식이 죽음에 이르는 과정이며, 보조 서사(sub plotline)는 준식이 참여하고 있는 파업의 연대 투쟁이다. 유치진은 중심 서사를 통하여 관객의 슬픔을 최대치로 끌어올리고, 거기에서 발생하는 인식에 대한 동정을 준식의 연대 투쟁에 대한 지지로 연결시켰다. <빈민가>의 공연 시간과 ‘무대에서 가시화된 사건의 전체 시간’의 일치, 그리고 음향 효과의 적절한 사용은 이중의 극짜임이 제대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선행 작품인 <토막>과 <버드나무 선 동리의 풍경>에 비하여 <빈민가>의 현실 비판 의식은 훨씬 더 강력해졌다. 선행 작품들은 식민지조선 농민들의 빈궁한 삶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정도에 멈추고 있으나, <빈민가>는 사실적 재현과 더불어 극복의 대안까지 제시하고 있다. 특히 노동자들을 탄압하는 경찰을 직접 등장시켜서 현실 비판의 강도를 높인 것은 그 이전의 작품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선행 두 작품에 비해 모든 면에서 발전적인 성과를 거둔 작품이 <빈민가>이다. 오사나이 카오루(小山内薫)의 츠키지쇼게키죠(築地小劇場)에 함몰되어 있는 극예술연구회의 주류에 비판적이었던 유치진은 신츠키지쇼게키죠(新築地小劇場)를 통해 연극 대중화의 방향을 찾았다. 사회주의자가 아니면서도 프롤레타리아 연극의 대중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던 그는 극예술연구회에서 막힌 창작극 공연 확대의 길을 좌익계열 극단과 함께 걸어가 보고자 했다. 그의 모색은 일본 PROT에 소속되어 있던 도쿄의 삼·일극장에서 <빈민가>를 공연함으로써 실현되었다.

      • KCI등재

        인문학대중화에 대한 비판과 제언

        유범상(Yu, Bem-Sang),이현숙(Lee, Hyun-So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8 No.-

        본 논문은 인문학대중화 현상에 관한 비판적 성찰이다. 인문학자들의 2006년 인문학위기 선언이 있었고, 얼마 지나치 않아 현재 인문학의 열풍이라고 할 정도로 상황이 바뀌었다. 정부의 인문학지원정책과 인문학단체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과연 인문학은 위기를 극복했을까? 본 논문은 인문학대중화의 열풍의 원인과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인문학대중화의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본 논문은 인문학대중화가 ‘함께 비판하고 성찰하는 집단적 활동’이며 이를 통해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공동체에 개입하는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 활동의 주요 영역이 독서동아리이며 독서동아리는 시민교육의 한 유형이라고 본다. 연구결과 한국의 인문학대중화는 ‘풍요속의 빈곤’현상을 보였다. 정부의 인문학 대중화사업은 ‘연구비수주형의 행사성 인문학’이라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았는데, 대체적으로 성과와 업적위주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독서동아리와 관련하여 정부의 지원이 부족하고, 지속적인 독서동아리 활동을 위한 인프라구축이 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정부의 지원과 상관없이 시민사회에서 자발적으로 인문학을 실천하는 인문학단체의 경우 인문학동아리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주로 연구자 중심의 교양교육이었고, 예산부족으로 인해 고사직전에 있는 경우가 많았다. 본 논문은 인문학독서 동아리의 관점에서 인문학대중화의 활성화 방안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This research is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Humanities Popularization. The whole countray seems to be in the grip of th Humanities fever since the declaration of Humanities the crisis in South Korea. Behind the phenomenon, there are government policy called Humanities Popularization and proactive efforts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humanities popularization. Therefore,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causes and problems of the humanities boom and discuss the direction of Humanities Popularization. The perspective of this paper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Humanities is ’collective activities of criticism and reflection with citizens’. In addition study circles which aim at independence from government must be the square of the activities. In consequence, Humanities popularization of South Korea is seen as ‘poverty midst plenty’ phenomenon. Government policy for Humanities popularization would study be criticized because it was oriented achievements or output. In particular, there was a lack of support for reading clubs. There was negligent in infrastructure, such as leader training and programs, for enabled of ongoing reading clubs. In the case of civil society, Humanities clubs faced difficulties due to lack of budget and they provides general knowledge education. Moreover, the member of the clubs consisted mainly the professional researcher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and formation of government policies and the reading clu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