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용수의『중송』에서 고통의 발생과 소멸

        남수영(Soo-young Na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2 불교와 사회 Vol.4 No.-

        논자는 본 논문에서 용수가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사성제와 삼보가 모두 파괴된다고 주장하는 이유와 그가 무자성론에 근거해서 설명하는 고통의 발생과 소멸을 『중송』및 그에 대한 월칭과 청목의 주석을 중심으로해서 살펴보았다. 그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자성은 인연(因緣)을 기다리지 않고 결정되어 있으며,자성은 변화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해진다. 그러므로 유자성론에서 여러 법의 발생과 소멸은 올바르게 설명될 수 없으며,고통의 발생과 소멸을 중심으로 하는 사성제도 올바르게 설명될 수 없다. 또한 유자성론에서는 사성제가 성립하지 못하기 때문에 삼보도 성립하지 못한다. 한편 용수의 『중송』에서 고통의 발생은 공성의 비자각 → 희론의 발생 → 분별의 발생 → 번뇌의 발생 → 업의 발생 → 고통의 발생으로 설명되고 ,고통의 소멸은 공성의 자각 → 희론의 소멸 → 분별의 소멸 → 번뇌의 소멸 → 업의 소멸 → 고통의 소멸로 설명된다.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과 용수의 무자성 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즉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자성의 개념은 인연의 부정,인과의 부정,생멸의 부정을 내포하기 때문에,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이 모두 힘들어지지만, 용수의 무자성론에서는 일체법이 비존재의 자성을 가진다고 말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의 발생을 설명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존재의 자성을 가진다고 말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의 소멸을 설명하는 것도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용수에게 일체법의 무자성성과 공성을 자각하는 것은 고통을 소멸하고 열반을 성취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다. 그리고 무자성성과 공성에 대한 자각은 연기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얻어진다. 즉 연기인 사물은 무자성이고, 공이고, 가명이고, 중도인 것이기 때문에, 존재성과 비존재성을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수행자는 일체법이 연기의 결과물이라고 하는 진실을 깨달음으로써, 모든 사물들이 마치 석녀의 딸처럼 무자성이고 공인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자각에 의해서 희론과 분별과 번뇌와 업이 차례로 소멸하고 나아가 윤회의 고통도 소멸하게 된다는 것이다. 『중송』에서 발견되는 세 종류의 연기설과 공성의 자각, 그리고 열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세속제에 근거해서 설해진 가르침인 12연기설과 상호의존적 연기설에 의해서 일체법은 무자성이고 공이라는 승의제가 알려진다. 또한 수행자는 승의제에 근거해서 설해진 가르침인 팔불연기설을 통해서 승의제를 더욱 분명하게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는 그런 깨달음을 통하여 희론과 분별과 번뇌와 업이 소멸하고, 윤회의 고통도 소멸한 ‘길상(吉i洋)의 특징인 열반’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The present writer has examined the reason as to why Nāgārjuna asserts that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three jewels are destroyed in the self nature theory of Sarvāstivāda, Nāgārjuna's explanation of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based on the no-self nature theoty centered on Mūlamadhyarnaka-kārikā as well as in the commentaries of Candraldrti and Pirigala of this article. In summary, they are as follows. The Sarvāstivāda says that the self nature of dharma is determined to not wait for a cause and condition, and never change. Therefore, the self nature theoty of Sarvāstivāda can no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dharmas and the four noble truths, which are the explan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If the four noble truths can not be established, the three jewels also can not be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of suffering is explained as follows the non awareness of emptiness → the appearance of amplification → the appearance of mistaken idea → the appearance of affliction → the appearance of action → the appearance of suffering.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is explained as follows : awareness of emptiness → the disappearance of amplification → the disappearance of mistaken idea → the disappearance of affliction → the disappearance of action →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in Mūlamadhyarnaka-kārikā of Nāgārjuna. The comparison of the two explanations of Sarvāstivāda and Nāgārjuna o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shows the following facts. The Sarvāstivāda can no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the conception of self nature contains the negation of cause and condition, the negation of cause and effect, and the neg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However, Nāgārjuna can explain the 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he does not claim the self nature of non-being to all dharmas, but can explain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he does not claim the self nature of being to all dharmas. Therefore, the awareness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is the most important requisite for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and for the achievement of nirvāna. Further, the awareness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is obtained by the awarenes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All of the dependent originated things can not have self nature of being or non being, because they are non self nature, emptiness, provisional name, and the middle way. The disciplinant becomes aware that all things are non self nature and empty, similar to a barren woman's daughter by the awareness that all things are output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And through that awareness, the amplification cation, the mistaken idea, the affliction, the action disappear one by one; his suffering of transmigration disappears last. The relation of the three kinds of theories on dependent origination, the awareness of emptiness, and nirvana is as follows. The highest truth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become known by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interdependent origination, which are suggested by the mundane truth. Also, the disciplinant becomes more clearly aware of the highest truth by the eightfold negation dependent origination, which is suggested by the highest truth. Finally, he obtains auspicious nirvana by clear awareness, in which amplification, mistaken idea, affliction, action, and the suffering of transmigration disappear.

      • KCI등재

        논문(論文) :그리스도교의 믿음의 본성과 대상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을 중심으로-

        이정희 ( Jeong Hee Lee ) 대구사학회 2015 대구사학 Vol.120 No.-

        먼저 믿음의 본성과 관련하여 그리스도교의 믿음은 진리로서의 하느님, 무조건 복종해야 할 절대적 권위자로서의 하느님, 궁극적으로 추구하고 의탁해야할 목적으로서의 하느님에 대한 믿음이다. 이 세 가지 믿음의 측면은 서로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의 믿음의 다른 측면이다. 이러한 믿음은 지성, 의지 및 은총에 의해 작용되는데, 토마스를 포함해서 가톨릭교회는 은총의 작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지만 믿음의 고유한 직접적인 대상은 진리이기 때문에 고유하게, 그리고 직접적으로는 믿음은 의지가 아니라 지성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따라서 믿음에 있어서 의지보다는 지성을 보다 더 강조해왔다. 다음으로 믿음의 형상적 대상은 믿음의 본성의 의미에 포함되어 있는 믿음의 주된 원인이다. 즉 믿음의 형상적 대상은 절대적 진리로서의 하느님의 권위가 신자에 의해 수용될 때 계시진리에 무조건 동의하게 하는 수단이 될 수 있는 경우에 지칭하는 말인데 신학자들은 동일한 하느님인 형상적 대상을 그 역할에 따라 하느님의 진리 그 자체로서의 원인(종결적 형상적 대상)과 그 진리를 인식하게 하는 매개적 원인(중재적 형상적 대상)으로 구분했다. 그리고 그들은 믿음에 있어서 하느님의 초자연적 능력은 유한한 인간적 능력을 비할 수 없이 초월하는 방법으로 작용하지만 인간의 자유를 훼손하지 않고 인간의 자유를 도와주고 완성하는 방법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끝으로 믿음의 질료적 대상은 형상적 대상에 의해 믿어지는 것, 즉 믿음의 내용이다. 이와 관련된 내용들은 세 가지로 검토되었는데, 첫째 그리스도교의 믿음의 모든 내용은 신조로 요약되어 있으며 이 내용들은 다시 삼위일체론과 그리스도론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삼위일체교리는 그리스도론에 함축되어 있다. 둘째, 믿음은 대상에 대해 동의하나 잘 알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고 직관적 학문적 지식은 명료한 인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양자는 동일한 사람 안에서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관점에서 양립될 수 없다. 셋째, 믿음을 표현하는 다양한 기술적 언어인 명제와의 관계에 대해, 믿음의 주된 대상은 인간의 언어를 초월하는 믿어지는 것 그 자체-res ipsa-이며 믿음의 명제들은 궁극적인 참된 믿음의 대상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믿음의 명제들도 정신으로 하여금 제일 진리이신 하느님의 존재와 말씀을 고수하기 위해 적합한 한에서 그것들 자체도 비록 믿음의 대상 그 자체보다는 못하지만 진리적 성격을 고수하고 있으며, 끝으로 신학적 믿음은 다양한 명제로 표현되지만 그것들은 그것들이 함축하고 있는 진리의 단일성 때문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단일성을 유지하고 있다. The term ‘faith’ is used generally to mean to assent by relying on some authority to what is not unknown, to be faithful to something or someone, and to commit oneselt to the thing or the person. We can summarize as follows what was examined about the nature and objects of christian faith based on these meanings, Firstly, with relation to the nature of christian faith, Christian faith is to believe in a God(credere Deum), in which case God is First Truth -in -Being, to believe God(credere Deo), in which case God means First Truth-Speaking, and to believe in God(credere in Deum), in which case God means the final end that should be pursued. Catholic Chrurch including Thomas Aquinas have placed more emphasis on the role of intellect than that of will in the faith, because it sees that faith belongs to intellect properly and immediately, because the object of faith is the truth, and intellect has truth as its proper object, though divine grace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st intellect, will, and divine grace Next, the formal object of faith is the principal cause of faith included in the meanings of the nature of faith. Theologians divided it according to the role of this cause which is the same God into the terminative formal object which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uth which makes one understand the Truth in the Being and the mediating formal cause, light of faith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terminative cause. That the principal cause in faith is God does not mean that the faith is not human but that the divine power operates, supernaturally, much more excellently than the limited human capacity in the faith, and that it does in the way that it does not destroys the human nature but helps and perfects it. Lastly, the material object of faith is the Things believed, namely the contents of faith. These things were examined in two ways. Firstly, all the contents of christian faith are summarized into creeds which are included in Christology and Trinitarianism which is implied in Christology. So it can be said that all the teachings of Christianity are focussed on Christ, which is the reason why Christianity is called it. Secondly, As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Truth Itself which is the thing believed itself and the instruments, particularly propositions which express The Truth, the principal object is Thing(Truth) itself(res ipsa) and the Propositions of faith are the instruments for understanding Truth itself. The propositions of faith are regarded as Truth-bearing statements as far as they are appropriate for adhering to the being and words of God. though they are inferior to the Truth itself. And lastly the propositions of faith hold interiorly the unity between themselves because of the unity of the Truth which they imply

      • KCI등재

        용수의 연기설 재검토 및 중도적 이해

        남수영(Nam, Soo-young)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논자는 본 논문에서 ①‘중론이 주장하는 연기는 상의성의 의미이며, 중론의 목적은 여러 법의 상의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라고 하는 나카무라 하지메(中村元)의 견해와 ②‘상의성의 연기와 팔불연기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면서, ③‘팔불은 동시적이고 상대적인 부정을 통해 양항을 다시 긍정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하는 윤종갑의 견해, 그리고 ④‘팔불의 상반하는 둘을 하나로 묶음으로써, 그 둘 각각의 긍정을 함의시킬 수가 있다.’고 하는 우에다 요시부미(上田義文)의 견해에 의문을 제기하고, 용수의 상호의존적 연기와 팔불의 연기를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월칭의 언급으로부터 12연기와 상호의존의 연기는 세속제(世俗諦)로서 동일 차원에서 설해진 것이고, 팔불의 연기는 승의제(勝義諦)로서 상호의존의 연기와는 다른 차원에서 설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럴 경우 상호의존의 연기와 팔불의 연기, 즉 세속제와 승의제의 분기점은 무자성과 공성의 개념이 된다. 그런 사실로부터 나카무라 하지메의 견해 ①과 윤종갑의 견해 ②는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2) 상호의존의 연기란 두 개의 사물이나 혹은 여러 개의 사물이 서로 의존해서 성립함을 설하는 것이다. 용수가 상호의존의 연기를 설한 목적은 인도의 대부분의 학파들이 실재로 간주하는 궁극적인 원인을 포함하는 모든 사물이 연기에 의해서 성립함을 밝히고, 다시 그로부터 모든 사물은 연기이기 때문에 무자성과 공성 등으로 설해지는 궁극적 진실인 승의제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3) 팔불의 연기란 연기이기 때문에 무자성인 모든 사물은 불생불멸 등의 여덟가지 특성을 지닌다는 의미이다. 팔불이 설해진 목적은 유자성론에 근거해서 설해지는 여러 학설들의 불합리를 비판하고, 무자성과 공성 등으로 설해지는 승의제를 더욱 분명하게 깨닫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4) 팔불의 각각은 동일한 형식으로 설해지고 있지 않다. 또한 팔불의 각각은 ‘자성으로서 불생’, ‘자성으로서 불멸’등으로 종결되며, 거기서 불생과 불멸 등 두 항목을 하나로 묶어서 다시 발생과 소멸 등을 긍정하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사실들로부터 윤종갑의 견해 ③과 우에다 요시부미의 견해 ④는 올바르지 못한 것임을 알 수 있다. 5) 팔불은 시종일관 무자성의 개념에 근거해서 설해지고 있고, 그럴 경우 무자성은 비유비무(非有非無)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와 같은 사실로부터 팔불은 비유비무의 중도를 통해서 이해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팔불의 각각은 자성으로서의 생멸, 자성으로서의 거래, 자성으로서의 일이, 자성으로서의 단상 등 불합리하고 극단적인 견해들을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팔불이 곧 중도라고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6) 월칭이 『중송』의 목적으로 제시했던 ‘모든 희론이 멈추어서 길상의 특정인 열반’에 도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고 생각된다. 첫째, 세속제, 즉 상호의존의 연기에 의해서 일체법은 무자성이라는 승의제가 알려진다. 둘째, 승의제에 근거해서 팔불이 설해지고, 팔불을 통해서 유자성론에 뿌리를 둔 모든 희론들이 부정되는 동시에, 무자성인 모든 사물의 진실을 더욱 분명하게 깨닫게 된다. 셋째, 그런 깨달음을 통해서 무명과 갈애가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되고, 마침내 수행자는 ‘모든 희론이 멈추어서 길상의 특징인 열반’에 도달하게 된다. The present writer raised questions to ①the opinion of Hajime Nakamura(中村元) which the dependent origination(緣起) of Mūla-madhyamaka-kārikāh is the meaning of mutual dependence(相依性) and the purpose of Mūla-madhyamaka-karikah is to reveal the mutual dependence of things, ②the opinion of Jonggap Yun(윤종갑) which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is same with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八不), ③which eight negations have the nature of affirming the both items through the coincidently and relatively negations, and ④the opinion of Yoshibumi Ueda(上田義文) which we can write affirmation into the both of two items by joining into one of the contrary two items of eight negations. So the present writer reconsidere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an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in Mūla-madhyamaka-kārikāh, and confirmed as follow facts. 1)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twelve elements an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are said in a same level as belonging to the teaching of unclear meaning scriptures, but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is said in a different level as belonging to the teaching of clear meaning scriptures. So we could know that Hajime Nakamura’s opinion of ① and Jonggap Yun’s opinion of ② have no validity. 2)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is a theory that two or several things, action and actor, pure and impure etc., come into existence in a state of mutual dependence. The present writer thinks that the aim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of Nāgārjuna is to reveal the fact that all things are of no intrinsic nature(無自性), emptiness(空性), dependent designation(假名), and middle-way(中道), because they are products of dependent origination. 3)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is a theory that all things as products of dependent origination have eight attributes of non-production(不生) non-extinction(不滅) etc.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has two aspects of the criticism on the theory of intrinsic nature and the revelation of the truth of no int rin sic nature of all things. So we could know that the aim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are the negation of the irrational theories about production and extinction etc. based on the theory of intrinsic nature and the revelation of truth of all things of no intrinsic nature. 4) When we examined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 eight negations, we can see each item of the eight negations come to a stop with no-production as intrinsic nature, no-extinction as intrinsic nature etc., but we could not find any case of writing affirmation into the both of the two items, by joining into one the contrary two items of production and extinction etc. So we can know that Jonggap Yun’s opinion of ③ and Yoshibumi Ueda’s opinion of ④ are not correct. 5) The eight negations are described by the conception of no intrinsic nature from start to finish, and the conception of no intrinsic nature used as meaning of non-being and non-not-being(非有非無). Therefore we could know that eight negations must be comprehended by the middle way of no-being and no-not-being. Also because each item of the eight negations are denials to the irrational and extreme opinions of production as intrinsic nature and extinction as intrinsic nature etc., it is possible to think that the eight negations are exactly the middle way. 6) The meaning of Candrakīrti’s mention which he presented as the purpose of Madhyamaka-śāstra, ‘nirvana with auspicious feature because all of the irrational theories completely stoped’, is as follows. The truth of no intrinsic nature of all things has become known through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and every irrational theory based on the theory of intrinsic nature is refuted by that truth.

      • KCI등재

        「遊金剛錄」에 나타난 再思堂 李黿의 산수 인식과 그 정신사적 의미

        김보경 동양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This thesis intends to comprehend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llectual history in the early period of Chosun(朝鮮) Dynasty through study of the perspective taken for mountains and water(山水) in YooGumGangRok(遊金剛錄) written by JaeSaDang(再思堂) LeeWon(李黿)(?∼1504). LeeWon(李黿) was not directly taught by Jeompiljae(佔畢齋) KimJongJik(金宗直). Nevertheless, as he got related to Jeompiljae(佔畢齋) and his students, he became one of the important figures who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the natural characteristic of intellectual history through relationship with him and his follower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He was dismissed from his official position in the 24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1493) for assigning a posthumous name for Jeompiljae(佔畢齋) as MunChoong(文忠), which later gave a reason for him to be victimized in Sahwa. His work, YooGumGangRok(遊金剛錄), is a journal he wrote as he traveled Mt. Kumgang after his dismissal. In the introduction of the text, LeeWon(李黿) understood Mt. Kumgang as a place for both Sun·Bul(仙·佛) and YooSang(遊賞). He was in fact absorbed into the pleasure of the nature and enjoyed the feeling of Toaist hermit as he traveled Mt. Kumgang. This perspective was consistently shown in most of poems included. However, he did not sink into the mysteriousness of Mt. Kumgang but continuously maintained the tension with the real world. The power of this tension rooted in thorough commitment as a Confucian scholar. Especially he had a very strong standpoint for Buddhism. In dealing with Buddhist remains and tales, he either focused on criticizing certain specific pieces or intentionally ignored them. His main views were always focused on the real world and the problems of human beings. This view was also reflected in his description of nature and created the uniqueness of bringing the social beauty from nature. Furthermore, he revealed a more enhanced Neo-Confucianist perspective towards the nature and objects. He integrated epistemology and ethics by observing objects and finding their inherent logic and by regarding nature as ethical realization. As a result, Mt. Kumgang became the land of human and Confucianism, and ultimately the place of exploring the reason and experiencing the truth. His perspectives for natrue and objects to some extent overlap with that of the contemporary literary writers but to a certain extent he went further beyond it. To the extent his perspectives overlap, the “common intellect” that had its breath during that time, can be verified. Although LeeWon(李黿) did not identify himself as a student of Jeompiljae(佔畢齋), he was partly affiliated to the psychological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young students of Jeompiljae(佔畢齋). In light of this, it would not be wrong to consider him as a psychological student of Jeompiljae(佔畢齋), from a large perspective. To focus on his advanced perspectives on nature and objects, it can be evaluated as a “New understanding of nature and objects”, in that it showed a more deepened thoughts of reason and truth. At the same time, his perspectives are not stiffened by his moralist attitude, partl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at period and also because the poems included in the text softened the stiffening. On this basis, at least from the view of Neo-Confucianist understanding of nature and objects, he can be credited for opening the 16th century. 본고는 再思堂 李黿(?∼1504)의 「遊金剛錄」에 나타난 산수 인식을 고찰하여 조선초기의 정신사적 풍토를 섬세하게 읽어 보려는 의도에서 출발한다. 이원은 佔畢齋 金宗直에게 직접 수업한 제자는 아니었다. 그러나 점필재 또 그 제자들과 관련을 맺으면서 조선초기의 정신사적 풍토를 일구는 데 기여한 인물이었다. 그는 성종 24년(1493) 점필재의 시호를 ‘文忠’으로 의정한 일로 파직되었고, 이 일이 빌미가 되어 뒤에 사화의 희생자가 되었다. 「유금강록」은 그가 파직되었을 때 금강산을 유람하고 쓴 기행문이다. 서두에서 이원은 금강산을 仙·佛의 공간, 遊賞의 공간으로 파악했다. 그는 실제로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산수의 흥취에 젖고 신선의 풍류를 만끽했다. 삽입시의 상당수도 이런 경향성을 드러낸다. 그러나 그는 금강산의 신비에 함몰되지 않고, 계속 현실세계와의 긴장을 유지했다. 이 긴장의 힘은 투철한 儒者 의식에 근거한다. 그는 특히 불교에 대해 완강한 입장을 견지했다. 불교의 유적과 설화에 대해서는 선택 집중적으로 비판하거나 의도적으로 관심을 배제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그의 시선은 늘 현실, 인간의 문제로 겨누어져 있었다. 이것은 자연 묘사에도 관여되어 자연에서 사회미를 발굴해 내는 특이점을 보여주었다. 더 나아가 그는 강화된 성리학적 산수․사물 인식을 드러내었다. 사물을 관찰하여 그에 내재된 이치를 찾고, 산수를 도덕적 구현물로 보아 인식론과 도덕론을 통합시켰다. 그리하여 금강산은 인간과 유교의 영토가 되고, 최종적으로는 이치 탐구와 진리 체득의 공간이 되었다. 산수․사물 인식은 동시대 문인들과 겹치는 부분도 있고, 더 나아간 부분도 있다. 겹치는 부분에서는 이 시대를 함께 호흡했던 ‘공동의 지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점필재의 제자라는 자의식을 갖지는 않았지만, 점필재의 젊은 제자들이 형성하고 있던 정신적 자장에 그도 걸쳐 있었다. 크게 보면 그를 점필재의 정신적 제자라고 해도 틀리지는 않겠다. 더 나아간 부분에 주목하면 ‘산수와 사물에 대한 재인식’이라는 평가를 내릴 수 있다. 이치와 진리에 대한 심화된 생각을 보여준 점이 그렇다. 그러나 도학자적 태도로 경화되어 있지는 않다. 시대가 그런 이유도 있고, 삽입시들이 경화를 누그러뜨린 면도 있다. 성리학적 산수․사물 인식의 측면에서 보면 적어도 16세기를 열어준 공을 그에게 돌릴 수 있다.

      • KCI등재

        원효의 이제설에 대한 고찰-삼론학의 수용과 극복을 중심으로-

        유용빈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8 No.-

        본고는 元曉(617~686)의 二諦說에 대해서 三論學의 수용과 극복이라는측면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제 개념에 대한 원효의이해와 진리 체계로서의 원효의 이제설이 지닌 특색이 드러날 것이다. 원효는 삼론학파의 約敎二諦說로부터 영향을 받아 이제를 敎門으로 이해하였다. 원효는 삼론학파의 변증법적 논리를 차용하여 중층적 이제설을구축함으로써, 이제가 교문이라는 점을 환기시킨다. 또한 삼론학파의 四重二諦說과 마찬가지로 이제와 三性을 종합함으로써, 이제의 의미를 보다 분명하게 드러낸다. 그러나 원효의 이제설은 삼론학파의 이제설과 다르게 소모적인 논리 전개를 피할 수 있고, 삼성보다 이제를 배타적으로 편애하지도 않는다. 원효의 이제설은 많은 부분 삼론학파의 이제설을 수용하였지만, 그것이지닌 한계점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극복한 것 역시 사실이다. 원효의 이제설은 삼론학파의 이제설이 지닌 한계점을 극복한 새로운 진리 체계라는동아시아 불교 사상사적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This study proposes to examine Wonhyo’s元曉(617-686 CE) two truths theory二諦說 in terms of its acceptance and transcendence from the Sanlun tradition三論學. In doing so, it can reveal Wonhyo’s perception of the two truths二諦 and features of the two truths theory as a system of truth. Under the influence of the Sanlun school’s三論學派 yuejiao erdi shuo約敎二諦說, Wonhyo defined the two truths as the aspect of the Buddha’s explained teachings敎門. Wonhyo delineates a multi-tier structure by borrowing the dialectic logic of the Sanlun school with the aim of raising awareness that the two truths serves as the Buddha’s explained teachings. Wonhyo also combines the two truths with the three natures三性 like the Sanlun school’s sichong erdi shuo 四重二諦說 to manifest the meaning of the two truths more clearly. However, Wonhyo’s two truths theory stands in stark contrast to that of the Sanlun school in that it can avoid an exhaustive process of logical development and do not prefer two truths to three natures exclusively. Wonhyo’s two truths theory inherits the Sanlun school’s two truths theory to a great extent, but it clearly recognizes and transcends its limitations as well. Wonhyo’s two truths theor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Buddhist ideology across East Asia because it embodies a new system of truth beyond the purview of the Sanlun School’s two truths theory as a truth mechanism to reflect his perspective on truth.

      • KCI등재

        이성선 시의 관능성과 구도(求道)의 성격

        김문주 ( Mun Joo Kim ) 민족어문학회 2008 어문논집 Vol.- No.58

        이 논문은 이성선 시의 구도적 성격을 살피고, 그의 시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관능적 이미지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이는 그의 시의 자연 표상과 종교적 성격의 구체적 의미를 해명하는 작업으로써, 그동안 <순수, 무위, 구도적 염결성, 노장적 시학> 등의 관점에서 그의 시를 조명한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갱신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성선의 시는 `나`를 찾는 작업이며 동시에 온갖 편견과 고정 관념으로 구성된 `사회적 자아`를 탈피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불교적 사유에 닿아 있지만, 구체적인 교리나 종교적 관념을 담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오랜 시간 동안 `자력구원`의 상상력에 노출된 동양문화권의 보편적 사유에 가까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히려 이성선은 기독교의 인격적 신에 가까운 절대적 존재와의 내밀한 교감의 언술 형식을 시에 수용함으로써 우주적 삼라만상 속에 실현되는 `우주적 자아`를 형상화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즉 그의 시는 소재나 내용의 측면에서는 불교적 성격을 띠고 있지만 구도의 형식을 구성하는 방식에서는 기독교적 형식을 결합함으로써 자아의 각성과 발견이라는 테마를 내밀한 관계 속에 구축하는 독특함 경지를 성취한다. 이는 동양적 구도 개념의 육화이며, 구도의 내적 긴장을 위한 내면 공간의 형성이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성과이다. 자연에 대한 관능적 이미지도 이러한 구도의 성격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그에게 자연은 고정된 자아의 경계를 지우고 우주적 자아에 이르는 구도적 여정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때 개진되는 관능적 상상력은 자연 사물들로 구성되는 우주적 자아, 자연과의 합일의 과정에서 성취되는 존재의 원초성을 구체화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성선 시의 내밀한 언술 형식과 관능성은 관계 속에 구성되는 본연의 자아를 육화하고 실현하는 전략적 기지(基地)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그의 시에 나타난 성적·관능적 이미지는 구도의 의미로써 온전히 해명하기 어려울 만큼 집요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순수-관능의 성격을 띠고 있어서 별도의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This thesis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 of Lee Sung Seon that seek after truth and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sensuous image that frequently appears in his poems. It is the way to explain the specific meaning of the natural representation and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It criticizes previous researches that analyzed his poems with the viewpoint of purity, inactivity, integrity of truth and poetics of Lao-tzu and Zhuangzi The poems of Lee Sung Seon try to search for `me`. It is related to Buddhist idea in the point that it tries to escape from `social identity` that is composed of many prejudices and fixed ideas. But it doesn`t include specific doctrines or religious concept. So it could be said that it is near to general idea of eastern culture that is exposed to imaginative power of `one`s own salvation` for a long time. Instead, Lee Sung Seon seems to succeed in formalizing `cosmic self` that is achieved in all nature universe by accepting the linguistic technique of intrinsic rapport with absolute being that is similar to personal god of Christianity. His poems show Buddhist characteristics in the material and contents. But it includes Christian form in the way of forming the type of seeking after truth to achieve the uniqueness of establishment of the theme of awakening and discovery of identity in private relation. It is the systemization of the eastern culture that seeks after truth. It is a meaningful achievement in the point that it forms internal space for the tension of seeking after truth internally. The sensuous image for the na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eeking after truth. For him the nature is a link of journey of seeking after truth that leads to cosmic identity setting up the boundary of fixed identity. The imaginative power being stated in this point plays the role of specifying the originality of being achieved in the course of unity with cosmic identity and the nature that is composed of natural objects. The private linguistic technique and sensuous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of Lee Sung Seon are strategic base that systemizes and achieves the original self that is composed in the relation. Of course the sexual and sensuous image that appears in his poems is so complicated that it is hard to complete explain with the meaning of seeking after truth. But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purity-sense that maintains its own purpose requiring separate discussion.

      • KCI등재

        레프 톨스토이와 니콜라이 게

        오종우 ( Oh Jong Woo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70

        레프 톨스토이는 세상의 질서를 운용하는 진리를 찾기 위해 문학작품을 쓴 작가이자 사상가이다. 그의 작품의 예술성은 바로 치열한 진리 탐구로 생겨난 것이다. 그럼에도 톨스토이는 자신의 작품들이 진리를 직접 표현하지 못한다며 항상 불만스러워했다. 그는 예술로 직접 진리를 표현하고 싶었던 것이다. 『안나 카레니나』에서 세상을 움직이는 불멸의 진리를 밝혔음에도 그는 독자들이 진리를 금방 알아챌 수 있도록 후기에는 아예 예술을 부정하고 쉬운 민담 투의 단편이나 단순한 구도의 희곡, 심지어는 짧은 경구 들을 쓰기까지 했다. 톨스토이에게 예술로 하여금 진리작용을 일으키게 하는 점은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였던 셈이다. 그런데 톨스토이의 영향을 받은 이동파 화가 니콜라이 게는 『안나 카레니나』의 한 부분을 묘사한 그림 <진리가 무엇이오?>에서 관람자가 직접 진리를 체험할 수 있게 표현했다. 톨스토이가 평생 고민한 문제를 화가 니콜라이 게가 그의 영향을 받아 이룬 것이다. Leo Tolstoy in the history of world literature is a special phenomenon. He sought to uncover the truth through literature. Therefore we can understand him as a philosopher and teacher of truth, and not just as a famous writer. Of course, L. Tolstoy is an outstanding author. His works have formed an original world, which has a rich artistic quality. The fine artistry of his works comes from his quest for truth. Nevertheless, L. Tolstoy was always dissatisfied with the fact that his works did not adequately express the truth directly and immediately. How does art express truth directly and immediately? Is this possible? It’s not that the writer announces the truth through literature. Art as a propaganda of the truth is somewhat different. Nikolai Ge, a peredvizhniki, also though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ruth. At that time he met with L. Tolstoy and made sure that art is close to the truth. The picture he created, What is truth? expresses the truth directly and immediately. N. Ge corrected the question, which Tolstoy himself could not solve. We know that N. Ge painted a picture of What is truth?, being influenced by L. Tolstoy’s novel Anna Karenina. Let’s look at the picture What is truth. At first glance, it seems that Pilate is not very evil. Of course, he knows that Christ does not have any guilt. But he is a bureaucratic person. Pilate asks Christ about what is true. Christ remains silent, realizing that it is pointless to answer Pilate: there is a spiritual boundary between them. Pilate will kill the innocent Christ in order to maintain his position. That is, he changes his truth in order to benefit instantly. But in the picture we see that the light separates Pilate from Christ. So, from the picture, we immediately understand that there is the truth.

      • KCI등재

        君子의 길과 栗谷 李珥의 삶 - 『戴禮管見』을 중심으로 -

        손흥철 ( Son Heung Chul ),박용석 ( Park Yong Suk ) (사)율곡연구원 2023 율곡학연구 Vol.51 No.-

        필자는 언제나 유학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유학적 가치가 21세기 현재도 필요한가? 유학의 가치는 인류의 미래사회에서도 유효한가? 위의 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유학에서 말하는 성인(聖人)과 군자상(君子像)을 도문학(道問學)과 존덕성(尊德性)으로 연구 정리하였다. 이 도문학과 존덕성에 근거하여 조선시대 대표적 유학자인 율곡 이이의 학문과 삶에서 그의 군자행(君子行)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성인(聖人)과 군자는 과연 어떤 사람인가를 유학의 경전(經典)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진리를 탐구하는 도문학과 도덕실천을 추구하는 존덕성이 성인과 군자의 가장 중요한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의 대유학자인 율곡의 군자행을 도문학의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율곡은 일생동안 학문에 정진(精進)하였으며, 유(儒)·불(佛)·선(禪)을 섭렵하며 학문적 편향성을 타파하였다. 나아가 리통기국론(理通氣局論) 등 성리학의 주요문제를 깊이 연구하여 성리학의 발전에 많은 공헌을 하였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율곡의 존덕성을 통한 군자행을 검토하였다. 율곡은 정치와 사회적 실천에서 매우 실용적이고 공명정대(公明正大)하였다. 그는 권력에 아부하지 않고, 세도정치를 강력하게 배척하고, 붕당(朋黨)의 폐해를 밝히고, 조제론(調劑論)을 주창하여 탕평의 정치를 실행하였다. 특히 일본의 침략을 대비하여 십만양병설(十萬養兵說)을 주장하고, 국가와 백성의 생명을 지키려고 적극 노력하였다. 종합하면, 율곡이 실천한 군자행에서 21세기에도 유학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그와 같은 군자행이 현대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 always had the following problems in study Confucianism. Is Confucian value still needed in the 21st century? Is the value of studying Confucianism valid in the future society of mankind? In order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in Confucianism, I studied and org anized the image of ‘the saint(聖人)’ and ‘Man of Virtue(君子)’ as “Internal cultiv ation of Natural and moral truth(道問學)” and “Honoring Moral Nature(尊德性)”. Based on these, I tried to study the man of virtue’s conduct(君子行) in the stu dies and life of Yulgok(栗谷) Yiyi(李珥. 1536~1584). He is a representative Co 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To this end, first of all, the saints and man of Virtue were identified through the classics of Confucianism.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t conditions for becoming ‘the saint(聖人)’ and ‘man of Virtue(君子)’ are “internal cultivation of Natural and moral truth(道問學)” that explores truth and morality, and “Honoring Moral Nature(尊德性)” that pursues moral practice. Next, Yulgok's man of value's conduct was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cultivation of natural and moral truth. Yulgok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throughout his life, study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deeply, breaking academic bias. Next, Yulgok's man of value's conduct was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cultivation of natural and moral truth. Yulgok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throughout his life, study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deeply, breaking academic bias.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it has contributed a lot to the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by deeply studying major problems of Neo-Confucianism such as the theory of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qi(理通氣局)”. Finally, the man of virtue's conduct was reviewed through Yulgok's natural cultivation of natural and moral truth. Yulgok was very practical and ‘impartiality(公明正大)’ in political and social practice. He did not flatter power, strongly rejected hereditary politics, revealed the evils of clique, and advocated‘the theory of compounding(調劑論)’ to implement the politics of policy of pacification. In particular, in preparation for the Japanese invasion, they insisted on ‘maintaining one hundred thousand soldiers(十萬養兵)’ and actively tried to protect the lives of the state and people. To sum up, the value of Confucianism can be confirmed in the 21st century in Yulgok's practice of ‘the man of virtue’s conduct’, and such 'the man of virtue’s conduct' can be an alternative to solving modern social problems.

      • KCI등재

        君子의 길과 栗谷 李珥의 삶 - 『戴禮管見』을 중심으로

        손흥철,박용석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1 No.-

        I always had the following problems in study Confucianism. Is Confucian value still needed in the 21st century? Is the value of studying Confucianism valid in the future society of mankind? In order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in Confucianism, I studied and organized the image of ‘the saint(聖人)’ and ‘Man of Virtue(君子)’ as “Internal cultivation of Natural and moral truth(道問學)” and “Honoring Moral Nature(尊德性)”. Based on these, I tried to study the man of virtue’s conduct(君子行) in the studies and life of Yulgok(栗谷) Yiyi(李珥. 1536~1584). He is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To this end, first of all, the saints and man of Virtue were identified through the classics of Confucianism.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t conditions for becoming ‘the saint(聖人)’ and ‘man of Virtue(君子)’ are “internal cultivation of Natural and moral truth(道問學)” that explores truth and morality, and “Honoring Moral Nature(尊德性)” that pursues moral practice. Next, Yulgok's man of value's conduct was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cultivation of natural and moral truth. Yulgok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throughout his life, study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deeply, breaking academic bias. Next, Yulgok's man of value's conduct was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cultivation of natural and moral truth. Yulgok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throughout his life, study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deeply, breaking academic bias.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it has contributed a lot to the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by deeply studying major problems of Neo-Confucianism such as the theory of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qi(理通氣局)”. Finally, the man of virtue's conduct was reviewed through Yulgok's natural cultivation of natural and moral truth. Yulgok was very practical and ‘impartiality(公明正大)’ in political and social practice. He did not flatter power, strongly rejected hereditary politics, revealed the evils of clique, and advocated ‘the theory of compounding(調劑論)’ to implement the politics of policy of pacification. In particular, in preparation for the Japanese invasion, they insisted on ‘maintaining one hundred thousand soldiers(十萬養兵)’ and actively tried to protect the lives of the state and people. To sum up, the value of Confucianism can be confirmed in the 21st century in Yulgok's practice of ‘the man of virtue’s conduct’, and such 'the man of virtue’s conduct' can be an alternative to solving modern social problems. 필자는 언제나 유학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유학적 가치가 21세기 현재도 필요한가? 유학의 가치는 인류의 미래사회에서도 유효한가? 위의 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유학에서 말하는 성인(聖人)과 군자상(君子像)을 도문학(道問學)과 존덕성(尊德性)으로 연구 정리하였다. 이 도문학과 존덕성에 근거하여 조선시대 대표적 유학자인 율곡 이이의 학문과 삶에서 그의 군자행(君子行)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성인(聖人)과 군자는 과연 어떤 사람인가를 유학의 경전(經典)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진리를 탐구하는 도문학과 도덕실천을 추구하는 존덕성이 성인과 군자의 가장 중요한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의 대유학자인 율곡의 군자행을 도문학의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율곡은 일생동안 학문에 정진(精進)하였으며, 유(儒)ㆍ불(佛)ㆍ선(禪)을 섭렵하며 학문적 편향성을 타파하였다. 나아가 리통기국론(理通氣局論) 등 성리학의 주요문제를 깊이 연구하여 성리학의 발전에 많은 공헌을 하였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율곡의 존덕성을 통한 군자행을 검토하였다. 율곡은 정치와 사회적 실천에서 매우 실용적이고 공명정대(公明正大)하였다. 그는 권력에 아부하지 않고, 세도정치를 강력하게 배척하고, 붕당(朋黨)의 폐해를 밝히고, 조제론(調劑論)을 주창하여 탕평의 정치를 실행하였다. 특히 일본의 침략을 대비하여 십만양병설(十萬養兵說)을 주장하고, 국가와 백성의 생명을 지키려고 적극 노력하였다. 종합하면, 율곡이 실천한 군자행에서 21세기에도 유학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그와 같은 군자행이 현대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명연수의 원융심성과 귀결점 - 정토의 심성과 관련해서 -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4 No.-

        연수(延壽, 904-975)는 법안종의 개창자인 법안문익(885-958)과 법안의 제자 천태덕소(天台德韶, 890-971)의 법을 이은 삼대조사다. 연수는 명주의 설두산(雪竇山)에서 전법하여 점차 주목받기 시작하여 새로 건립한 항주의 영은산(靈隱山)에 제1대 주지를 맡았고, 다음에 전당의 영명도량에서 제2대 주지를 담임하였으며, 문하의 제자도 대단히 많아서 2천명에 달하였다. 연수가 일생에 저작한 수많은 작품 가운데 그의 대표적인 진작(眞作)으로 일컬어지는 현존하는 저서는 『종경록(宗鏡錄)』 100권, 『만선동귀집(萬善同歸集)』 3권 또는 6권, 『유심결(唯心訣)』 1권, 『주심부(注心賦)』 4권, 『관심현추(觀心玄樞)』 1권, 『정혜상자가(定慧相資歌)』,『신서안양부(神棲安養賦)』, 『수보살계법병서(受菩薩戒法幷序)』 등이다. 이러한 저작 가운데 그는 선종의 계통으로는 남종이다. 그는 주체적인 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하는 문자에 의존하지 언교 밖에 별도로 전하여 곧바로 사람의 마음을 가리켜 견성하고 성불하는 선종의 종지를 논술함과 동시에 기타 여러 종파의 심성이론(心性理論)과 수행방법을 상세하게 인용하여 양자의 원융을 입증하여 선교의 통합과 이사(理事)의 쌍수(雙修)를 달성하였다. 연수는 선법이론의 핵심으로 “이심위종(以心爲宗)”을 표방한다. 이것은 바로 마음으로써 존귀함을 삼고, 본체를 삼으며, 지혜의 작용을 삼은 것이다. 그 의미는 대승불교의 자성이 청정한 여래장청정심의 불성을 받들어 존중하여 표준으로 삼아 법계의 만물과 인류사회 및 중생의 번뇌와 생사와 해탈의 문제를 논구하고 결단한다. 선종의 심성으로써 중심을 삼아 대소승의 교법과 제종의 교의를 종합하여 귀결한 것이다. 연수는 수당시기에 성립한 종파 중에서 오직 화엄의 교리와 선종의 종지를 중시하여 일치한다고 간주하였다. 그는 화엄에서 말하는 하나의 진실인 진여의 마음 즉 법성의 법계연기와 이사원융(理事圓融)과 진망(眞妄)이 교철(交徹)하는 이론을 인용해서 불성이 세계의 본체이기에 번뇌와 보리, 해탈한 피안과 세속의 차안, 중생과 부처가 서로 용납하고 섭수하여 상즉불이(相卽不二)한 것임을 천명한다. 그는 또한 이러한 인증을 통해서 그의 이사쌍수(理事雙修)와 선교가 회통한 선과 염불의 쌍수를 삼은 이론의 근거를 제공한다. 이미 그렇게 이(理)와 사(事)가 서로 원융무애하다면 스스로 마음의 본성을 깨닫고 여러 가지 교법을 수지하는 것도 당연히 수행에 장애가 없기에 마음을 밝히고 본성을 봄으로써 종지를 삼은 선과 정토 기타 교문의 모든 종지도 응당 회통된다고 여겼다. 연수가 중시한 “명심(明心)”의 개념은 바로 명심(明心)과 더불어 견성(見性), 명종(明宗), 달성(達性)이다. 이는 모두 동일한 개념으로 모두 자성인 불성의 여래장자성청정심(如來藏自性淸淨心)을 체득하여 깨달으면 부처가 자기 마음에 있다고 간주하였다. 그는 선승들은 이행(理行)을 수지해야할 뿐만 아니라 또한 갖가지 사행(事行)도 수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동시에 화엄종의 원융한 돈교사상(頓敎思想)을 발휘하여 일단 진여자성(眞如自性)을 깨닫는 것이 곧바로 마음을 깨달아 일체를 초탈한 조사를 이루고 일념에 부처를 이루는 ‘명심견성 일념성불(明心見性 一念成佛)’이라고 간주하였다. 그러나 연수는 또한 현실성에 착안하여 유심정토(唯心淨土)의 법성정토(法性淨土)에 도달함에도 역시 육도만행과 정토수행을 수지해서 깊고 얕은 계위를 경험하여 체득한다고 여겼다. 이것은 과거의 선종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던 그만의 독특한 선교일치(禪敎一致)의 귀결이다. Yanshou(904-975) was born into a family of Wang in Qiantang. He inherited the dharma lineage of Tiantai Deshao(890-971), the disciple of Wenyi who was the founder of Fayan Sect. Yanshou first spread dharma at Xyedou Shan, Ming Zhou and gradually became well-known. In 960, Qian Hongchu, the king of Wuyue State, appointed Yanshou to take the first abbocy of the newly-built monastery at Lingyin Shan, Hang zhou. Next year, the king also appointed him as the second abbot of the great monastery at Yongming Qiantang. His disciples once exceeded 2,000. He has written many books including the 100-fascicled Zonggyeongrok(宗鏡錄), the 3-fascicled Manseondonggwijib(萬善同歸集), the one-fascicled Yuximgyol(唯心訣), the 4-fascicled Zhuximbu(註心賦), and the one-fascicled Guanxim hyeonchu(觀心玄樞). In these books, on one hand he described systematically the essence of Seon Sect, i.e. “to transmit mind with mind and not to attach to words,” “to point directly at man’s mind and to see the mind-nature to become Buddha”; on the other hand, he took reference from other Buddhist sects to discuss the mind-nature theory and practice techniques in details. He suggested to integrate the two in order to link Seon and teachings as well as to practise principle and phenomenon at the same time. The theory of Yanshou's seon techniques claims “to regard mind as the principal,” i.e. to consider mind as “the superior,” “the substance,” and “the wisdom.” In other words, he exalted the Buddha-nature theory of Mahāyāna Buddhism as the standard to observe and explain everything of the world, the human society, the defilements, the birth-death and liberation problems of sentient beings; he took the mind-nature theory of Seon Sect as the center to comment the teachings of Mahāyāna and Hīnayāna Buddhism and the doctrine of different schools. According to Yanshou, among the Buddhist sects established in Sui and Tang Dynasties, only the doctrine of Huayan School accords most with Seon Sect. Through the reference to Huayan School's theories of suchness(the tathāgata mind, the dharma nature), dependent origination of dharma realm, perfect integration of noumenon and phenomena, and “the inter-penetration of the true and the delusive,” he described that the Buddha nature is the reality of the world; that it is inter-being and inter-penetration between mental defilements and enlightenment, the other shore of liberation and the this shore of mundane, the sentient beings and the Buddha, etc. He also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his “mutual practice of noumenon and phenomena,” and “integration of Seon and doctrine” through this kind of inference. Since the noumenon and phenomena are perfectly integrated, the self realization of mind-nature and the practice of various teachings should go hand in hand with no obstruction; the Seon Sect whose objectives are “to transmit the mind” and “to see the nature” should also harmonize with other schools of teachings. Yanshou is the first one to point out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the mind.” According to him, “understanding the mind” means the same as “seeing the nature,” “understanding the objective,” and “realizing the nature.” They all mean the realization of self nature (Buddha nature, Tathāgata-garbha, self-nature pure mind) and the understanding of Buddha’s existing in one's mind. He claimed that a seon monk should practise not only “the noumena deeds” but also “the phenomena deeds.” Meanwhile, he expounded the Huayan School’s spontaneous teaching of “perfect integration.” He claims that once one realizes the Tathāgata self-nature, one is enlightened and liberated immediately, i.e. “realizing the mind to become Buddha,” “becoming Buddha at one thought.” However, Yanshou also emphasized the real life of Only the true nature of the world the truth in the heart of the world’s cleanest and opined that one should practise the six pāramitās and Perform a clean world and experience the different stages of realization. This has never been mentioned by the Seon masters before h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