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 체제 개선방안

        이병호 ( Byoung Ho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4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는 국가 교육과정의 기준과 토대를 설정·제시할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의 최종실행자인 교원들의 교육과정적 전문성과 자율성, 그리고 책무성을 향상시켜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는 개발자, 관리자 중심으로 개발되어 대부분의 교원들이 읽지 않고, 활용도 않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원들이 쉽게 읽고 자주 활용할 수 있는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 체제의 개선방안을 탐구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의 체제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둘째, 좋은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의 주요특성을 설정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기준문서체제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끝으로 국가교육과정기준 관련문서와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의 체제 개선방안을 탐색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2009 개정 교육과정 개발 등,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 체제 개선에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presents or establishes not only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platforms, but also improves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elevating the curricular professionalism,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he teachers who are the last executives of the education. However, the said documents have been developed only for the use of developers and managers. Thus, most Korean teachers neither read nor use them.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for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so that Korean teachers can read and use them eas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Secondly, this study establishes the important traits of the good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Thirdly, this study reviews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Korea`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Lastly,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of improvement of a manual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and the guidelines for the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ies, and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Korea`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must reduces the volume and kinds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and must develop the system of documents that all teachers can read and use them easily for enhancing their professionalism,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he curriculum literacy. Thes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of great use in developing the system of 2009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 KCI등재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개선 방향 탐색

        유정애,김주완,황용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됨에 따라 각 교과에서는 2007년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실태에 대한 파악도 없이 다시 수정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1년에 수행될 차기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초 연구의 성격으로,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에 대한 문서 체제를 평가하고 그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동안 제1차 체육과 교육과정부터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까지 8차례의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진행해 오면서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교육과정 총론에서 주어진 문서 체제에 입각하여 각 교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두어 왔기 때문이다.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국가 교육과정 개정 정책이 수시 개정으로 전환되면서 각 교과에서도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를 다양화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 문서 분석, 심층 면담 등의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 성격 항 하위 구조의 구체화, 목표 항 체제의 재구조화, 내용 항 하위 요소의 다원화, 교수학습방법 항 하위 구조의 대강화, 평가 항 하위 구조의 명료화가 논의되었다. 이 결과는 차기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개선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을 보다 발전적으로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published in 2009, each subject matter has faced a difficult situation that should revis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07 without having enough time to implement it in all school levels and doing previous research o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1 revised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ould be published in the end of year 2011. In order to provide an essential and informative refer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5 parts (introduction, objective, content,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suggest future tasks for improving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To date, few attention was given to research o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in physical education, because the document was being decided by a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s, not a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ommittees. Recently, as the national policy in curriculum revision is changed, we can face flexible environment in order to seek various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depending on each subject matter. For this, multiple methods were used such as a survey,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s analysis. Thus, it is discussed specifying introduction, restructuring objectives, being iverse of content elements, simplifying teaching-learning, and clarifying evaluation. This paper will be helpful to improve the curriculum content as well as the curriculum document in physical education in the following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work.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관한 초등교사의 비판 양상 탐구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국가 교육과정 문서를 읽는 비판적 양상과 그들이 생성한 대항적 교육과정 문서는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비판‘을 교사가 발휘하는 교육과정 문해력으로 보고, 텍스트학으로부터 교육과정 비판 범주를 추출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비판 행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교육과정 비판 범주인 미시구조적 차원, 거시구조적 차원, 초구조적 차원, 즉 모든 차원에서 교육과정 문서를 비판적으로 읽고 있었다. 교사들은 자신이 처한 교육과정 외적 세계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문서를 비판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비판적 읽기의 결과물로 대항적 교육과정 문서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로써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문해력은 교육과정 문서에 대항하여 자신만의 문서를 형성하는 것까지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both teacher's critical reading of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curriculum documents that teachers create. To this end, ‘criticism’ was assumed as a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and the category of curriculum criticism were extracted from textwissenschaf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s read the curriculum documents critically at all levels of criticism categories: micro-structure, macro-structure and super-structure. Teachers criticized the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external world of curriculum, and created their own curriculum document as a result of critical read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critical curriculum literacy of teachers includes creating their own documents against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 KCI등재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 문서체재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탐색 : 기준이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이림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which is a separately provided standards documents that can be referenced by the school besides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from the 6th curriculum under the influence of the ‘standardscentered education reform movement’ which was promoted to create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in the 1980s. I analyzed the problem of the document format of curriculum according to these changes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direc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confusion due to the multiple document types provided at the school; Second, the ambiguity of the items in the curriculum document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terms such as achievement standards; Third, the inability to differentiate the subordinate contents. The improvement direction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unify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standardsrelated documents through sufficient manpower, finance and develop period. Second, there is a need to clarify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terms such as goal, content, method, evaluation and new terms such as achievement standards, evaluation standards, achievement levels. Third, there is a need to clarify differentiation of the subcontents based on the clear items setting in curriculum documents. It is time to think deeply about the semantic inaccuracy of the term like as achievement standards, the nonsystematic nature of the overdeveloped documents related to curriculum, and uselessness that is not utilized at the school. 이 연구의 논의대상은 1980년대 영미권을 중심으로 국가 수준의 교육 기준을 만들고자 추진되었던 ‘기준 중심 교육개혁 운동’의 영향을 받아, 제6차 교육과정부터 국가 교육과정 문서 외에 학교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준’ 문서가 별도로 제공되기 시작한 ‘교육과정적 변화’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따라 교과 교육과정 문서체재가 어떤 문제점을 갖게 되었는지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문제점으로는 첫째, 학교현장에 제공되는 문서 종류의 다중화에 따른 혼란, 둘째, 성취기준이라는 새로운 용어 도입에 따른 교육과정 문서 내 항목의 차이 불분명성, 셋째, 교육과정 문서 내 항목 차이의 불분명성에 따른 하위내용의 차별화 불가 등이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향으로는 첫째, 충분한 인력 및 재정, 개발기간 확보를 통한 국가 교과 교육과정 문서와 기준 관련 문서의 단일화, 둘째, 기존 문서에 사용된 용어인 목표, 내용, 방법, 평가와 새로운 용어인 성취기준, 평가기준, 성취수준 간의 명확한 관계 및 차이 정립, 셋째, 교육과정 문서 내의 명확한 항목 정립을 바탕으로 한 하위내용의 차별화를 제안하였다. 성취기준이라는 용어의 의미 부정확성, 중첩되어 개발된 교육과정 관련 문서의 비체계성, 학교현장에 형식적으로 보급되어 정작 활용되지 않는 문서들의 무용성 등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할 때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과 내용의 적정화 연구

        이인재 ( In Jae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1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각 교과 교육과정이 2015년 9월 23일에 확정ㆍ발표되었다.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된 이후 교과서 개발이 착수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중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들이 각 교과 교육과정 속에 어떻게 반영 되고 있는지를 정확히 이해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과정 총론의 비전은 교과 교육과정에의 적용과 이에 터한 교과서 개발을 통해 실질적으로 달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중점 및 총론의 적용 원리를 구체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중점을 살펴보고 이것이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적용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주요 방향 중의 하나인 “교과 교육을 통한 핵심 역량의 함양과 더불어 교과별 핵심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적정화하는 방향 추구”가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개정 교과교육 문서를 구성하는 요소 중 내용체계의 주요 내용인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학년(군)별 내용요소와 기능이 구체적으로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적용된 결과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인성함양을 위한 향후 초등 도덕 교과서 개발과 도덕수업에서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과 원리가 제대로 이해되어 응용되도록 하는데 데 초석이 되고자 하였다.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announced on September 23 2015. It has raised need to understand exactly what is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how these are reflected in this curriculum at the time that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noti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is essential to specifically explore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the revised subject curriculum, and the principles of application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s substantially achie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vised subject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based on it. Thus this paper analyzed what is the direction and focu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subject curriculum and how these were specifically applied to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In particular, it has been focused on how it is reflected in the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after seeing one of the main direction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at is, the cultivation of core competency through subject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learning content focusing on core concepts and principle of each subject. At this end, I introduced the results that the area, the core concept, the generalized knowledge, the grade specific content element and skill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content system of subject curriculum document apply to the elementary moral curriculum. This will allow to become a cornerstone for us correctly to understand and apply to the focus and principle of the revised moral curriculum i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oral textbooks and moral teaching for character formation of children for the future.

      • KCI등재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서 "기준"이란 용어의 용례 분석과 개선 방향 탐색: 통시적 분석을 바탕으로

        이림 ( Rim Lee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서 ``기준``이라는 용어가 어떻게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제1차부터 2009 개정 시기에 이르기까지 살펴보았다. 특히 영미권의 기준 중심 교육과정 운동의 영향을 받아 (성취)기준이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제6차 시기부터 2009 개정 시기까지는 집중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기준``이라는 용어는 시간(단위) 배당이나 평가 관련해서 주로 사용되고 있었고 구체적으로 평가적 맥락에서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라는 의미를 바탕으로 ``기준``이란 용어가 사용되어 오다가 학생의 실제 수행 중심 평가라는 의미가 추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으로 학생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교육내용의 적정화라는 의미가 ``핵심``과 ``기준``의 합성어를 통해 나타나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통시적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문서상의 ``기준``이라는 용어의 의미 변화 방향을 다음의 세 가지 관점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상에서 ``기준``이란 용어의 의미를 확대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공교육을 위한 기준은 국가 교육과정 문서 그 자체로서 교육과정의 함의가 넓은 만큼 국가 교육과정 문서 역시 공교육이라는 활동을 위한 기준으로서 담아야 할 것들은 무궁무진하다. 둘째, 학교교육 실행을 위한 전반적인 기준으로 작용하는 교육과정 문서의 확장적 의미에 따른 현행 국가 교육과정 문서 및 관련 문서 개발 관행의 변화이다. 독자인 교사, 학부모, 학생이 여러 문서를 찾아봐야 하는 불편함과 이로 인한 활용성의 저하를 줄여야만 한다. 셋째, ``기준``의 작용으로 인한 학교 현장의 자율성을 억압할 수 있다는 논란에 대한 것이다. 국가적 가치와 개인적 가치, 공통성과 개별성 사이의 절충점과 조화(기준성과 자율성의 조화)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how the term ``standards`` started to be used and are being used o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from 1th to 2009 revised version in Korea. As a result, the meaning of the ``standards`` began with fair evaluation, no sooner than actu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tudents and the adequacy of the educational contents was attached in Korea. In addition, to create a separate achievement standards documents became a custom. Based on this diachronic analysis, the change direction of the term ``standards`` was derived as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First, we should expand the meaning of the term ``standards`` on the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itself is the basis for Public education. As the term ``curriculum`` has wide implications,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can include endless things as a reference for the activities of public education. The second perspective is the change of the development practices of current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related documents in accordance with the extended meaning of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that acts as the overall standards of school education. We have to reduce the discomfort and the following deterioration in availability by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as readers of curriculum documents. The third thing is about the controversy, the suppression of the autonomy of schools due to the effect of ``standards``. But it will be important to find harmony between national values and personal values, publicity and individuality, standards and autonomy.

      •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구성요소 도출을 위한 교과 간 교육과정 문서 비교 연구

        박윤경,김미혜,김동원,장지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학교와 수업 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components of curriculum literacy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comparing national level curriculum document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ocum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comparing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subjects of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From the results of primary analysis, in examining formats of curriculum documents focusing on the whole construction system, domain division, content system and accomplishment criterion, the degree of ‘formal consistency in curriculum docum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found to get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spite of similarities in document construction methods, however, it was found that a sound understanding of internal logics of curriculum pedagogy should be required in order for elementary teachers to clearly analyze internal meaning of the curriculum owing to ‘substantial inconsistency in curriculum documents.’ Thus, this study proposed that curriculum literacy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constructed in three dimensions such as subject general literacy, subject particular literacy and subject integrated literacy.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suggestions related with elevation and explor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총론 항목의 제시 방식에 대한 국제 동향 분석

        김진숙 ( Jin Sook Kim ),최정아 ( Jeong Ah Choi ),지혜영 ( Hye Yeong Ji ),김주현 ( Joo Hyu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3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총론``은 1945년 해방 이후 현재까지 문서의 명칭이 아니라 교육과정 중 총론으로 추정되는 부분을 지칭해 온 비공식용어이다. 총론은 국가 교육과정을 주기적 전면적으로 개정하는 근간이 되고 있으면서도, 교과와의 연계 강화 및 교육과정 문서 개념의 확장 등 교육계 내외의 시대적 요구에 직면해변화가 도모되고 있다. 본고는 국가 교육과정 총론 문서에 대한 국내외 동향 분석을 통해 교과 공통의 일반지침으로서 총론의 정체성(identity)과 그 필요성을 규명하고, 향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해방 이후 총론 문서를 분석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요소와 국가 교육과정정보 센터의 표준인벤토리를 기초로 구성한 "1. 교육과정의 특징, 2. 교육적 인간상, 3. 교육목표,..."등 총 18개의 ``총론 항목``을 분석 기준으로 도출하여 세계 12개국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 관련 문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세계 각국은 교육과정, 체계(framework), 총강 명칭의 총론 문서를 갖고 있거나, 서론(introduction), 성격(characteristics) 등 명칭으로 교과 교육과정과 통합된 문서의 일부로, 또 교육법 및 교육부 웹사이트를 통해 총론 항목을 상세하게 제시하는 등 다기한 형식의 ``총론`` 관련 문서를 갖고 있다. 그러나 각국은 . ``총론 항목``에 해당되는 대부분의 내용을 국가 수준 문서를 통해 제시하고 있어, ``총론 항목``은 존재론적으로 존재하는 반드시 필요한 교육의 실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총론 항목``을 교육법, 총론 교과, 웹사이트 등 어디에 진술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 학생, 학부모 등 교육 수요자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총론 항목``의 내용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 교육과정 정보의 표준화 및 우선순위 결정이 필요하다. 또한, ``총론 항목``의 형식적인 배치 외에 ``교과``, ``비교과`` 등 교육과정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 무엇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과정 ``총론``에 담는 내용 중 교과 공통의 ``총론으로 추정되는 것``은 교과 공통 지침으로서의 정체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There has been curriculum revisions on a periodic basis in Korea in spite of declaring occasional revision system since 2003. This paper points out the importance of revising curriculum framework and identifies what is curriculum framework and enhancements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Since 1945, the ``curriculum framework`` was used for the unofficial word and the constructs of it has been varied. In this paper the synonyms of curriculum framework were defined as ``curriculum framework``, ``curriculum framework constructs``, and ``what is assumed as curriculum frameworks``. Accordingly, curriculum-related documents of seven countries were analyzed. In summary, ``what is assumed as curriculum frameworks`` were found in curriculum framework, subject curriculum, educational code and Ministry of Education websites.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urriculum framework constructs`` in any countries that have schools and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user- friendly format should be considered for determining what format of the curriculum framework documents.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 계획안과 주요안의 관계에 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박채형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한국초등교육 Vol.34 No.3

        교육부는 2021년에 시차를 두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예고안과 그것의 시안을 순차적으로 발표하였다. 이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 각각의 관심사를 비롯하여 양자의 관련과 차이를 확인하는 일에 목적을 두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예고안은 4대 중점 과제로 대변되고 있지만, 그것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새로운 거버넌스가 교육과정을 겨냥한 사회적 요구와 교육적 요구를 수용하면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일로 바로 그 중점 과제를 재편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주요안 또한 4대 개정 중점과 추진 과제로 압축되고 있지만, 그것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새롭게 구축된 거버넌스와 그것이 앞세우는 비교과 활동을 비롯하여 거기에 이어지는 4가지 당면한관심사로 원래 문서의 중점 과제를 재편하고 있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각각의 문서가 담고 있는 이러한 관심사와 더불어 양자 사이의 관계도 보여준다. 즉,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예고안이 대안적 거버넌스를 내세우면서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할 다양한 영역의 요구를 강조한다면, 그것의 주요안은사전에 구축된 대안적 거버넌스를 이어가는 가운데 교육이념과 핵심역량을 비롯하여 교과활동의 방향과 비교과활동의 방향으로 예고안의 다양한 요구를 구체화하고 있다는 것이 언어 네트워크 분석의 시각이다. 교육부가 고시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언어 네트워크 분석의 이러한 시각을 기반으로 한층더 충만하기를 기대한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announced the Preliminary Document and the Pre-release Document for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21 sequent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ests of each docu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preliminary document consists of four major tasks: improving the curriculum revision system, laying the foundations for cultivating future competencies, customizing education for each student, and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to realize the new curriculum. However, Semantic Network Analysis is used to reorganize the documents so that the new governance accommodates social and educational demands in the curriculum, forming a consensus on them. The pre-release document is also being condensed into four major tasks: establishing a curriculum for the future, strengthening customized education for each learner, supporting autonomous innovation for all schools, and supporting effective responses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hapes the document into six categories: newly established governance for curriculum development,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t emphasizes, and the four immediate concerns that follow. Semantic Network Analysis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ocuments as well as the interests that each document embodies. That is to say, it shows that if the preliminary document emphasizes the needs to be reflected in the new curriculum suggesting alternative governance, the pre-release document embodies the various needs in the direction of curricular and noncurricular activities as well as educational ideal and core competencies succeeding to the alternative governance. It is hoped that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be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ill be filled based on the view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

        강이화(Kang, Ewh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1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체제와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국가 교육과정 총론 개발에 주는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검토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쟁점과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은 장 제목을 ‘학교 교육과정’ 단어 중심으로 통일하여 수정함으로써 학교 교육과정 수준을 강화하 고자 시도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각급 학교 교육을 포괄하는 방식으로 개정되었다.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과 방법에서는, 몇몇 오기와 중복의 문제가 지적되었고, 전체적으로 가독성, 일관성, 명료성을 살려 수정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구성의 변화와 관련해서는 관련 연구 및 타당성 있는 설명이 없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변화 가운데서 초등학교 관련 쟁점사항인 핵심역량 제시, ‘안전한 생활’ 신설, 개정 기간 단기화 경향 등에 대해서도 추가 논의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amis at exploring and discussing the issues and challenges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by analyzing the document system and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this end, the study reviewed the document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ontents and discussed the key issu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ried to strengthen the system configuration for the sake of school curriculum by modifying its chapter headings uniformly with the word ‘school curriculum’ as its center, and amended the revised curriculum document system in a way that covers all levels of school education. In terms of the system configuration on the criteria and way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the problems of several lapses of the pen and duplication were pointed out, and it was analyzed that they should be modified as a whole for the sake of readability, consistency, and clarity. Among the chang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lementary school-related issues, in particular the key competencies, changes in the curriculum framework and time allotment related to adding ‘Safe Life’, and the short-term trend due to constant revision seem necessary to be discussed further in 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