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코드로서의 도덕 이해와 도덕교육

        길병휘 ( Byung Hwee Kil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5

        이 글은 도덕을 문화코드로서 이해하고 설명해 봄으로써 도덕과 도덕교육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고 도덕교육의 바른자리를 제시해 보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도덕 현상에 대한 오해로 말미암아 도덕교과 무용론 내지 폐지론이 만연하고 있다. 그러한 오해에서 도덕과목은 가르치거나 말거나 차이가 없다거나 너무 어려워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모르니 차라리 없는 것이 낫다는 푸념들이 생겨난다. 이러한 현상은 도덕규범을 우리가 어떻게 습득하고 학습하게 되는가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도덕교육 내지 도덕교과의 역할에 대하여 제대로 알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도덕은 우리가 언어를 배우고 익히는 방식과 동일하게 문화코드적 속성을 지니고 있어 무의식적으로 습득되고, 의식적으로 학습되는 과정을 거친다. 의식적·무의식적으로 문화코드를 익히는 문화적 존재로서의 인간 삶의 모습을 통하여 도덕규범을 내면화하는 과정을 이해한다면 도덕교육이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해답은 저절로 나온다. 따라서 도덕교육은 학생들이 일상적 도덕규범을 익히고 습득하는 것으로 역할을 다하였다고 생각하는 낡은 훈육적 습득교육의 관점을 극복해야 한다. 도덕교육의 목적이 도덕적 인간의 육성, 인간다운 인간의 육성, 인격의 완성 내지 인간성의 완성이라는 막연한 개념에 맞추어져 있어서는 도덕교육의 발전은 불가능하다. 도덕교육의 궁극적 목적과 목표는 학생들의 도덕적 성장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야적 학습교육관에 바탕한 도덕교육의 관점전환이 필요하다. 훈육적 습득교육의 수준에서 벗어나 도야적 탐구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목표, 내용, 방법 및 평가 등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과정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도덕교육 불가지론이나 무용론의 허상에서 벗어나야 함은 물론 도덕교과 폐지론 또한 재고되어야 마땅하다. This paper, by reconceptualizing morality as culture codes, intends to dispel the misunderstanding of morality and moral education. The abolitionist claims of moral education as curriculum subject are prevalent nowadays mainly due to the misunderstanding of moral phenomena. The misunderstanding is largely rooted in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matter of how we acquire and learn moral norms, which leadingly unable educators to understand the right role of moral education. Morality has cultural attributes like language, so we go through the process of acquiring it unconsciously(or subconsciously) and learning it consciously in the same manner we do with language. Human beings are cultural beings internalizing morality as culture codes, and this reality naturally reveals what moral education should be like. Accordingly, we should discard the outdated educational standpoint that the pivotal role of moral education is to make students acquire daily moral norms. The fundamental goal and aim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moral growth of students. Thus, the educational standpoint of moral education should shift from disciplinary education to learner`s autonomous moralization. In order to do this, we need a full-scale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the areas of goal,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etc. Out of these reasons, the agnostic and abolitionist claims of moral education as curriculum subject must be reconsidered.

      • KCI등재

        혐오의 시대, 그 끝은 어디로?-칸트의 ‘예의’에서 세계인권선언으로 이어지는 보편인권-

        이정은(Lee, Jeong-E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한국사회에 다양한 혐오가 확산되고 있다. 혐오는 타인혐오에서 시작하지만, 점차 자기혐오를 낳고, 인간존엄성 자체를 무시하는 인권유린으로 나아갈 여지를 지니기 때문에, 이 글은 광범위하게 유포되어 있는 혐오의 양상과 원인을 분석하고, 사회 진보를 위한 적실한 방법과 대안을 찾는데 목표를 둔다. 오늘날의 청소년은 이미 계몽된 사회에서 성장했지만, 무조건적 도덕명령을 따르지 않는 가치 체계를 형성했다. 이 때문에 이성과 도덕성에 단적으로 호소하기에는 어려운 시대라서, 이성과 도덕성을 우회적으로 견인하는 칸트의 ‘예의’를 혐오를 극복하는 철학적 대안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칸트는 역사 발전의 척도인 문화화와 문명화 가운데서 이성의 진보와 도덕화를 동시에 이룰 가능성을 고민한다. 그가 분석하는 이성의 진보의 두 번째 단계에서 예의가 형성되는데, 예의는 도덕성은 아니지만 도덕성과 맞물리는 차원을 지닌다. 그럼에도 예의는 도덕성과 상이한 의미를 지니며, 문명화는 도덕화와 다른 차원이기 때문에, 칸트는 간극을 극복하기 위해 윤리학의 정치학화를 시도한다. 그는 비이성적, 비도덕적 인권 유린을 타개하려고 국내법을 구축하고, 이것을 타국으로 확장하기 위해 국제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보편인권과 세계평화를 실현하는 방법으로 국제연대와 국제기구의 설립을 주장한다. 본 논문은 보편인권과 세계인권을 위한 사회적 시발점이 예의라는 점에 기초하여, 혐오를 극복하는 도덕적 감수성을 칸트의 취미와 공통감각을 통해 발굴하고, 이것을 예의와 연결한다. Various types of disgust and hatred are spreading in Korean society. Disgust begins with aversion and disgust to others. However, it produces self-disgust gradually and has room for disgust to human rights itself in the end. So this essay aims to analyze the causes and aspects of widespread disgust and hatred and to find the right way and an alternative for social progress. Today s youth have grown up in an enlightened society. But since they formed a value system that does not follow absolute moral raw and universal rule, it is difficult to appeal directly to enlightening reason and morality. So I try to apply a theory of Kant s relation between courtesy(manner) and morality in this essay for solving the disgust issue of today. Kant s courtesy and manner, which indirectly leads to reason and morality, can be used as a philosophical alternative to overcome hatred and disgust. Because Kant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simultaneously achieving the progress of morality among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civilization in the unfolding of reason and history. In the second stage of his analysis of the progress of reason, Kant illumin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tesy and morality. Courtesy does not mean a morality, and is a dimension of civilization different from morality. However, Kant attempts to politicize ethics. He builds domestic and international laws to overcome the immoral situation that infringes on human dignity and to realize human rights universally. And he insists on a international solidari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ed Nations to increase universal human rights and world peace. Based on the fact that courtesy is the social starting point for universal human rights, this paper suggests moral sensitivity that overcome disgust through Kant s hobby(Geschmack) and sensus communis, and then combines them with courtesy(manner).

      • KCI등재

        천리마시대 노동영웅 이미지의 기원과 형성

        이지순(Yee, Ji-sun) 한국근대문학회 201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7 No.1

        이글은 천리마기수의 전형이 완성되는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생산능률성 외의 자질이 부과된 천리마기수는 이전의 노동영웅과 구별된다. 천리마시대 초기의 주인공은 전후복구건설의 주역들이었다. 선진일군이면서 공훈칭호를 받았던 노동영웅들은 사회주의낙원 건설과 통일을 지향하면서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노동에의 열의를 보여주었다. 생산경쟁과 기술혁신이 부과된 이후에는 속도담론이 형성되었다. 이때의 주인공은 혁신자와 돌격대였다. 혁신자가 보수주의와 소극성과 대결하여 승리하는 중장년층이라면, 돌격대는 공산주의적 도덕으로 교양된 젊은이들이다. 본격적인 천리마시대로 진입하면서 천리마기수 전형론이 논의되었다. 전형이 된 천리마기수는 고상한 애국주의와 공산주의 도덕을 지닌 존재였다. 증산과 희생을 기본으로 한 천리마기수는 ‘모랄’로서 완성되었다. 이때 천리마기수 전형 형성에 촉매제가 된 것은 노동영웅 길확실이었다. 전후복구건설의 주역, 선진일군, 혁신자, 돌격대에서 천리마기수로 전형이 완성되기까지 북한 문학장은 내외적 환경과 역동적으로 조응하였다. 북한의 모든 매체, 모든 장에서 넘쳐흐르던 천리마의 서사는 시적 전형으로 완성되면서 영웅되기의 원형을 만들었다. 처녀 주인공의 영웅되기는 극적 효과를 자아내며 내면화 기제가 되었으며, 노동을 신화화 하는 노동영웅의 기본 형질이 되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typical Chollima rider or labor hero during the Chollima era. The Chollima rider must have other qualities besides labor productivity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labor hero. During the early Chollima era, the main character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postwar reconstruction. Labor heroes were advanced workers or the holders of merit titles who showed zeal for active and spontaneous labor. They attempted to build a socialist paradise and reunify the country through creative labor and devoted struggle. Speed discourse was created from production emulation and technical innovation. The innovators and the shock brigade emerged as heroes of the speed campaign. The innovators were the middle- and mature-aged, while the shock brigade was made up of the young and educated who upheld communist morality. During the proper Chollima era, there was lively discussion of Chollima rider typification. The Chollima rider as a type was the key man for the great Chollima advance, with noble patriotism and a communist morality. The Chollima rider was completed as a moral through increased production and sacrifice for public good. Kil Hwack Sil, a representative labor hero of the Chollima era, became a catalyst for the typical Chollima rider. North Korean literature incorporated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and when the rider type was solidified, it was based on the creators of the postwar period, advanced workers, innovators, and shock-brigades. The Chollima era’s narrative overflowed with various media, and the fields of North Korea made the hero prototype an accomplished poetic type. Mythologization of labor, which was considered sacred and honorable work, became the essence of a labor hero who was a man of new type.

      • KCI등재

        도덕화의 심리적 메커니즘과 도덕교육적 적용

        하진봉 한국윤리학회 2023 倫理硏究 Vol.143 No.1

        본 논문은 도덕화(moralization)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도덕교육에 있어서의 적용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덕화는 이전에는 도덕적으로 중립적이었던 현상 또는 행위가 도덕적 속성을 갖게 되는 심리적 처리과정을 의미한다(Rozin, 1999). 도덕화의 심리적 처리과정은 인지 및 감정 등 다양한 요인과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다. 또한, 도덕화는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수준에서 사람들의 행위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도덕교육은 도덕화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도덕교육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에게 일상 현상을 도덕화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도덕적 관심을 확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덕화의 과정과 결과를 성찰함으로써 도덕적 대화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덕적 갈등과 분열을 해결할 수 있다. 어떤 행위나 현상이 왜 도덕적 영역에 포함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자신의 도덕적 실천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도덕적 입장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omprehe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moralization and explore its application in moral education. Moralization is the process through which preferences are converted into vales, both in individual lives and at level of culture(Rozin, 1999).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moralization is intricately linked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cognition and emotion. Additionally, moraliza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individuals' behavior and attitude in both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fore, it is crucial for moral education to comprehe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moralization and incorporate them into the educational framework. Students have the potential to broaden their moral concerns as they moralize everyday phenomena. Moreover, by engaging in reflection for the processes and consequences of moralization, students can establish the foundations for moral dialogue. This, in turn, can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moral conflicts and divisions. Understanding why an act or phenomenon falls within the moral domain can not only fortify one's own moral practices but also provide insights into the moral positions held by others.

      • KCI등재

        근대 힌디어 도덕극의 형성과 시대의식 - 「진리의 하리슈짠드라」의 서사와 극의 형식과 관련하여

        김용정 ( Kim Yong-jeo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7

        19세기 중엽 근대 힌디어 희곡이 형성 및 분화하는 과정에 시대의식이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영국식민치하에서 힌디어 지식인은 당대의 시대상황을 타개하고 민족의 정기를 세울 수 있는 문학의 역할론에 천착한다. 새시대의 시대의식에 부합하는 유희성과 훈시성을 지닌 문학양식으로서 도덕극이 등장한다. 도덕극이 등장하는 과정에서 문학의 외재적인 측면에서 ‘정제화’의 특성을 띄고, 내재적인 측면에서 ‘수신담론’을 함유하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세기 도덕극의 문학사적 위치를 살펴봄으로써 당대의 도덕극의 등장 배경과 담론과의 상관관계를 추적해보고자 한다. 19세기 중엽 대중적으로 가장 유행했던 도덕극인「진리의 하리슈짠드라(Satya Hariścandra)」의 서사구조, 극의 형식 그리고 인물론에 내재된 수신담론에 대한 논의가 될 것이다. 이야기의 서사구조를 인도 고대 문학전통부터 전해오던 하리슈짠드라 서사에서 취했으며, 극의 형식에 산스끄리뜨 극분류인 디마(ḍīma)를 입혔으며, 영웅적 인물론에 수신담론을 투영했다는 점이 밝혀졌다. 힌디어 근대 도덕극의 형성 과정에 인도 고대 문학 전통이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수신담론의 문학적 목적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근대 문학의 형성 과정에 문학의 외재적 측면과 내재적 측면이 밀접한 관련성을 맺으며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 점이 밝혀질 것이다.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forming Hindi modern plays in the mid-19th century. Under British colonial rule, Hindi intellectuals are bent on the role of literature that can go through the hard times and establish the spirit of the people. Moral Dramas emerge as literary styles with playfulness and admonition that conform to the consciousness of the new era. In the process of the appearance of moral dramas, it is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refinement ’ in terms of external aspect of literature and the inclusion of ‘moralization discourse’ in terms of internal aspect. To this en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modern hindi moral dramas and its correlation with discourse are traced by examining the literary and historical positions of the modern hindi moral dramas in the 19th century. The most popular moral drama Satya Hari ścandra in the mid-19th century will be discussed in the narrative structure, structure of drama, and the moralization discourse inherent in character. It is revealed that the narrative of the drama has inherited the ancient indian Hariścandra narrative, and that the structure of drama was dressed in the dīma type of drama, and moralization discourse is reflected in the heroic character. It can be seen that ancient Indian literary traditions naturally melt into the formation of modern Hindi moral dramas, achieving the literary purpose of moralization discourse. Through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the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of literature have played a role in the process of forming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칸트의 도덕교육: 고통과 존경의 감정을 중심으로

        김재영(Kim, Jae You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0

        도덕법칙에 따라 행위 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경향성들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경향성들이 약속하는 쾌적함을 포기하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러한 점에서 도덕법칙의 준수에는 필연적으로 고통의 감정이 수반된다. 그리하여 인간은 쾌적한 삶이야말로 행복한 삶이라는 합리화를 통해 도덕법칙을 외면하곤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고통을 이겨내고 도덕법칙에 따라 행위 할 수 있을 것인가? 칸트의 관점에 의거할 때,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의 감정만이 고통의 감정을 작고 사소한 것으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도덕법칙에서 존경의 감정을 느끼는 일은 그리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교육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칸트의 도덕교육에 있어서 고통과 존경의 감정이 갖는 중요성을 밝히고, 존경의 감정을 갖도록 이끄는 교육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To act according to the moral law, we must be free from inclinations. But it is hard to give up the agreeableness promised by inclinations. In this respect, to comply with the moral law must bring about a feeling that can be called pain. For this reason, human beings disregard the moral law by rationalizing that the agreeableness of life is the happiness of life. Then, how can we act according to the moral law with a feeling of pain? In Kant’s perspective, only a feeling of respect can make a pain small and trivial. But feeling respect in the moral law cannot be done simply. So Kant emphasizes the education to give a feeling of respect. In this thesis, we will reveal the importance of pain and respect in Kant’s moral education, and explore what education leads students to have a feeling of respect in the moral law.

      • KCI등재

        장덕조 소설에 내재한 ‘질투’ 모티프 고찰 - 『激浪』을 중심으로 -

        김윤서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8

        ‘Jealousy’ in semiotics of human passion is a very common emotion regardless of gender, age, and country. It is a major motive in the literature. Hence,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a specific situation where ‘jealous’ passion shown in Dukjo Jang’s long novel 『Raging Waves』 in the 1950s formed an area of desire and incompleteness of ideology and ‘sex․love․ marriage’ focusing on post-war wome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structive jealousy and madness represented by Chooryeon are caused by eagerness and anxiety of jealousy. She tried to make the object of her love dependent on her through negative affection to satisfy her desire. However, she could not feel completely satisfied. She made the object of her love end in death. Second, variant jealousy and play represented by Geumhee were characteristics of typical ‘Apres-girl’ in the 1950s. She tried to suppress the emotion internally or diffuse the emotion of jealousy that could not lie hidden in a type of being privy to other people’s plot. However, it resulted in a tragic end, similar to that of destructive jealousy. Third, Eunjoo’s moral culture-type moralization is a type speaking for the author. It tunes up the value of moral law by leading morals and ethics through moralization and moral culture of jealousy. Besides, the fact which jealousy of the male character around Eunjoo did not reveal wave height or right and wrong. It was captured as a situational factor worthy of notice. This study can be regarded as a significant work to understand author’s perception of reality and his traits in the magnetic field of various popular novels in the 1950s through investigating ‘jealousy’ motif in Dukjo Jang’s novel. 인간의 정념 기호학에 내재한 ‘질투’는 남녀의 성차, 동서양의 고금을 막론하고 지극히 보편적인 감정으로 문학의 주된 모티브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1950년대 장덕조의 연애소설 『激浪』에서 나타난 ‘질투’의 정념이 전후파 여성을 중심으로 ‘성․사랑․결혼’과 이데올로기의 불완전성 및 욕망의 영역을 형성해 가는 구체적 상황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추련으로 대표되는 파괴형 질투와 광기는 질투의 불안과 갈망에 기인하며 욕망의 충족을 위한 부정적인 애착을 통해 사랑의 대상을 자신에게 종속시키고자 하지만 결코 완전한 충족을 얻지 못하고 사랑의 대상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 둘째, 금희로 대표되는 변이형 질투와 유희는 50년대 ‘아프레’의 전형으로 내부로 억압되거나 잠재되지 못한 질투의 감정을 타자의 음모에 가담하는 형태로 질투를 외부로 발산하려 하지만 파괴형 질투와 유사한 비극적 결말에 이르게 된다. 셋째, 은주의 수렴형 도덕화는 작가의식을 대변하는 유형으로 질투의 수렴과 도덕화를 통해 도덕과 윤리를 계도함으로써 대의적 가치를 조율한다. 본 연구는 장덕조 소설 속 ‘질투’ 모티프의 고찰을 통해 50년대의 다양한 대중소설의 자장 안에서 작가의 현실인식과 특성을 이해한 유의미한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민사법의 구조변동과 부패 개념의 변화

        양천수(Yang, Chun Soo) 한국부패학회 2015 한국부패학회보 Vol.20 No.4

        부패 문제는 오늘날 우리 사회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한 가지이다. 부패 문제를 해소하고자 정부는 ‘김영란법’으로 불리는 새로운 부패방지법을 제정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부패는 전통적으로 공법 영역에서 주로 문제가 되었다. 사법 영역에서는 부패 문제가 그리 이슈가 되지 않았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 글은 그 동안 사법 영역에서 부패 문제가 크게 이슈가 되지 않았던 이유는 부패 개념이 민사법의 기본원리와 밀접하게 관련을 맺어왔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근대법이 등장하기 이전에 부패 개념은 도덕 및 윤리와 밀접한 관련을 맺었다. 부패 개념은 일종의 도덕적 개념이었다. 그렇지만 ‘형식적 합리화’가 진행되고 법치주의가 정착하면서 부패 개념은 도덕적 개념에서 벗어 나 법적 개념으로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사적 영역에서는 민사법이 부패 개념을 규정하였다. 근대 민사법에 따르면, 일정한 행위가 사적자치를 위반하거나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부패 개념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특히 권리침해 여부가 부패를 판단하는 데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렇게 부패 개념이 탈도덕화되면서 부패의 인정영역도 좁아진다. 그렇지만 현대사회가 구조변동을 겪으면서 이러한 근대적ㆍ사적 부패 개념은 변화를 맞고 있다. 우선 현대사회가 구조변동을 경험하면서 민사법의 구조 역시 변화하고 있다. 민사법이 재도덕화ㆍ재실질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부패 개념 역시 재도덕화ㆍ재실질화된다. 이로 인해 부패의 인정범위 역시 확장된다. 이를테면 과거에는 사회적 관행으로 용인되었던 행위들이 새로운 부패 행위로 인정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변화과정을 추적하면서 여기에 어떤 한계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The corruption problem is today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of our society. To resolve the corruption problem, our government has also recently enacted a new anti-corruption law so called‘Kim Youngran Act’. Corruption has traditionally been a main problem in the public law area. It has not been an important issue in the private law area. This article starts from this point.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reason of why the corruption problem has not been a main issue in the private law area could b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ruption concept and the basic principles of civil law. Before the emerging of the modern law, the corruption concept had been related to moral or ethic for a long time. It had been a kind of moral concepts. However, the ‘formal rationalization' and the ‘rule of law’ of the modern law made corruption transfer from a moral to legal concept. According that, civil law regulated the corruption concept in the private law area. According to the modern civil law, a certain act is not a corruption insofar as it does not violate the private autonomy or the rights of others. Especially, the violation of the rights of oth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corruption or not. We could call this phenomena as the legalization of corruption. This legalization of corruption made its concept narrowly. However,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modern society has caused the change of this modern private concept of corruption. First of all, civil law is meeting its re-moralization and re-materialization. Then, the corruption concept is also in the processing of its re-moralization and re materialization. Finally, it results in the expansion of the corruption concept. For example, the acts which were allowed as social custom in the past are today recognized as a new kind of corruption. This article deals with this change of the corruption concept and its limits.

      • KCI등재
      • KCI등재

        칸트에 있어서 자유, 사명, 그리고 도덕교육의 가능성

        고대만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5

        Kant says that transcendental freedom can only be ascribed to our noumenal self which is situated outside of the realm of nature. Still, according to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henomenal self and the noumenal self refers to two different perspectives on one and the same entity. Whereas, Kant’s Lectures on Pedagogy relies on a teleological notion of human nature. In contrast to animals, human beings must realize their natural destiny by themselves. Morality is their destiny. Kant’s theory of freedom and morality appears tho be at odds with basic ideas of educational thought, but these two perspectives are consistent. Kant says that moral laws or maxims are given in reason and every human being has the power to detect them. So the Socratic dialogue makes human beings understand and accept what he necessarily presupposes. 칸트의 초월적 자유의 개념은 오직 자연 영역 밖에 위치해 있는 우리의 예지적 자아에 귀속될 뿐이다. 그렇더라도 현상적 자아와 예지적 자아의 구별은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실체에 대한 두 가지의 상이한 측면들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지적 자아의 자유는 세상 속에서 경험될 수 있는 것이 아니나 모든 행동 속에서 전제되어야 한다. 한편 칸트의 『교육학강의』는 인간적 자연(인간본성)에 관한 목적론적 관념에 의지한다. 인간은 동물과 달리 동물성을 벗어나 인간성을 회복하여 도덕적 완성을 이루는 것이 인간의 사명이라는 것이다. 초월적 구도 속에 전개되는 초월적 자유의 이념과 자연적 목적론에 입각하여 전개되는 『교육학강의』가 서로 상충하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나, 그렇지 않다. 칸트에 의하면 도덕법칙 및 준칙들은 이성 속에 주어져 있고(given in reason), 모든 인간존재는 그것을 탐지할 힘을 가지고 있기에, 소크라테스적 대화법을 통해 인간이 행동할 때마다 전제하고 있는 전제들(도덕법칙 및 전제들)을 이해함으로써 자유의 존재(도덕의 존재)임을 자각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