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작을 활용한 시 고쳐쓰기 지도 방법-백석 시를 중심으로

        노철 ( Noh¸ Cheol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2

        본 논문은 학습작가의 발화 텍스트인 초고를 작품으로 완성하는 과정을 지도하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초고를 학습작가의 시에 대한 이해도와 일상적인 언어의 표출로 창작에 대한 이해와 창작 과정에서 창작학습을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설정하였다. 창작 지도의 초점은 학습작가의 초고와 창작 노트를 비교하여 창작 의도의 효과적 발현 정도를 살펴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지도하였다. 학습작가의 초고는 경험, 대상, 감정의 표현을 효과적으로 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경험을 구성한 시, 대상을 묘사한 시, 감정을 표현한 시로 구분하여 창작지도 방법을 구분하여 실행하였다. 지도는 실제 학습작가의 초고, 창작 노트, 학습작품 모델을 통해 학습작가가 수정 전략과 방법을 탐구하여 수행하도록 하였다. 학습 모델 작품은 백석의 시를 활용하였으며 백석 시의 여러 창작 방식을 학습자의 창작 방법 학습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작가는 시에 대한 이해도와 창작 방법에 대한 실행 능력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he writer focuses on the process of teaching how to make rough draft, learner-writers' text of articulation, into a complete work. Rough draft was set up as a basis to estimate the learner-writers' understanding of poetry, creative writing, and to be used as means to study creative writing through the expression of everyday language. The main focus was on the comparing of rough draft and brain-storming, in order to see how effectively the writer's intentions were displayed, and also to pick up and solve problems. The learner-writers were guided to study poetry of Baek Suk as a text to learn how to edit their first draft. Most of the learner-writers' first draft did not show effectiveness in organising experiences, objects, and emotions. To overcome the problem, poems that describe objects, poems made out of experiences, and poems that express emotions were taught separately. The learner-writers were advised to find ways to correct their problems by studying their predecessors' model works. Baek Suk's poetry was made use of in the model works. Varied ways of poetry writing by Baek Suk were proposed as study material for the learners. The result was an advancement in the learner-writers' understanding and writing of poems.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글쓰기에 대한 생각과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 탐색

        한금윤,최선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3

        This research has been investigated about learners’s responses of writing and demands of writing education for 3 years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 An object study was freshmen in writing classes.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freshman had positively responded of personal writing, whereas they had negatively responded of education writing as assessment to evaluate. But about 94.3%, survey participants are aware of necessary to learn college writing educ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catch that the writer’s inner emotion is affected by writer’s external factors; teaching method, assignments, evaluation criteria, feedback method of writing, et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sist of writing education for achievement of learner-demands, which makes to invoke positive response of leaners who attend writing class of required subject. This research is accomplished the following achievements. The writer’s internal factor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writer’s external factors, and then freshman’s responses are diversity. This research overcomes limits of previous researches to focuss on writer’s internal. Also, this research is raised on necessity at academic community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본 연구는 신입생의 글쓰기에 대한 생각과 글쓰기 수업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자 한 것으로, 필자들은 지난 3여 년에 걸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해 이를 조사, 분석했다. 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개인적인 글쓰기에는 대체로 긍정적인 정서를 지니는 데 반해 과제 수행과 같은, 평가가 작동하는 공적 글쓰기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글쓰기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데는 대부분이(94.3%) 동의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글쓰기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글쓰기에 대한 생각은 필자 내적 요인보다는 외적 요인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필수 교과목로서의 글쓰기가 효과적으로 교수-학습되기 위해서는 교수자, 교수 방법, 과제물, 평가 기준, 동료와의 관계와 같은 필자 외적 요인이 학습자 중심으로 개선, 변모되어야 함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이 필자 내적 요인에만 국한시켜 글쓰기 교육을 연구해 온 한계를 극복하여, 필자의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의 상호작용을 규명했다. 글쓰기 교육이 학습자의 생각과 요구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변모돼야 할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한국어 학습자 작문에서의 필자/독자 가시성 연구 - 논설문을 중심으로 -

        윤나영 ( Yoon Na Yo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2 한국어와 문화 Vol.32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문에서 나타나는 필자/독자 가시성(writer/reader visibility)을 살피고, 한국어 모어 화자의 글과 비교하여 숙달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필자/독자 가시성이란 필자와 독자가 텍스트에서 직접적으로 인지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필자/독자 가시성이 높을수록 텍스트의 주관성이 높아진다. 논설문과 같은 논증적 글쓰기에서는 독자에게 어떠한 주장이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이라는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하여 텍스트에서 필자의 존재를 주어로 가시적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또 자신의 주장이나 근거가 틀렸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주장을 의도적으로 완곡하게 표현하는 전략을 사용하게 된다. 본고는 필자/독자 가시성의 항목으로 1인칭 및 2인칭 대명사(나/내, 저/제. 너/네. 당신 너희)와 지시 대명사(여기, 저기, 거기. 인식 양태 부사(진짜, 진짜로, 정말, 정말로, 완전, 딱, 너무)와 인식 양태를 실현하는 헤지 표현(-인 것 같다, -다고 생각한다)을 대상으로 삼아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서의 빈도를 측정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writer/reader visibility’ in the persuasive writings of Korean learners and to confirm the change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by comparing it with the editorial text of the native Korean speaker. In a persuasive writing, it is important to logically construct one's arguments, grounds, and thoughts and to convey them persuasively. In particular, as there are clearly virtual readers, there are fixedly used sentence patterns. There is a risk of failing to develop the logic of the language objectively, and applying the spoken language learned in the classroom to the written language as it is. The results of measuring and analyzing author visibility in the Korean language learner corpu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learners learn writing in the editorial genre at the intermediate proficiency level, and the degree of author visibility tends to decrease sharply from level 4 or higher. Second, on the other hand, some items such as ‘yeo-gi’ and ‘je’ showed different usage patterns from native Korean speakers regardless of Korean proficiency level. Native Korean speakers used ‘yeo-gi’ and ‘je’ as referents in the text, Korean learners used it to refer to themselves and places in the real world

      • KCI등재

        생애필자를 육성하는 쓰기 학습자원의 개발

        박수자 ( Soo Jah Park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이 논문은 학습자 중심의 쓰기 수업이 학습자를 능동적이고 개성 있는 생애 필자로 양성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쓰기 수업에서 자율성을 체험하고 자신의 개성에 주목하는 학습자여야만이 장기적으로 유능한 성인 필자로 성장하리라 예측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적 행위로서 필자의 역할을 인식하고 자연스럽게 독자를 배려하는 쓰기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에 쓰기 지도를 위한 학습자원으로서, 자율성에 주목한 쓰기 계획 관련 활동과 필자의 개성에 주목한 문체 개발 학습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 생애필자의 핵심 요인을 자율성이라 보고, 학습자 스스로 쓰기 계획 활동을 수행하도록 안내한다. 다음으로, 현대 사회에서 필자의 고유한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문자 표현 능력은 필수적이다. 전문 작가로서 요구되는 문체 능력이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개성으로 요구되는 자심만의 문체를 개발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학습자 생각의 표현과 표현된 원고를 더욱 정교화 시키는 문체 관련 학습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생애 필자로서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이 연구는 지나온 쓰기 지도 연구나 현황에 비추어 앞으로 필요한 쓰기 학습 활동 유형을 예측하고 기존에 다루지 못했던 학습자원을 발굴하여, 미래형 쓰기 교과서 제작에 아이디어와 활용 자원을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ntended to review recent writing instructions based on writing process and strategies, and design the learner oriented syllabus of writing activities, which are focused on writer`s self-regulation in writing planning and self-expression opportunities. For cultivating the life-term writers living in 22nd century, writing instruction programs should be modernized and developed in the view point of learner oriented education : giving more choices to students on a writing planning step, encouraging students` self-regulations on their whole writing process, and cultivating their own written styles. Therefore, this paper supposed several writing instruction sources, focusing on supporting students` writing planning and elaborating their own styles. They will be important suggestions on making new textbooks for 2007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장 구성 교육 방안 연구

        박영희(Young-hee Park),이희원(Hee-won Lee) 한국중원언어학회 2014 언어학연구 Vol.0 No.33

        It might be true that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subject to make various L2 errors caused by interference from their native language knowledge, Chines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2 errors in L2 writing, allegedly caused by L1 interference, and to suggest a pedagogical approach to reducing this kind of L2 errors. For the primary purpose, this study analyzed writing samples (n=162) from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n=115), attending various errors shown in the samp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to reduce L2 errors syntactically, authentic Korean reading materials or audio/visual resources could be presented as teaching materials to the learners. Also the teacher could direct L2 learners to practice making sentences by having them arrange given words into the proper positions. The teacher could also guide them to make basic sentences first, and then could extend their L2 knowledge to understand the use of adding modifiers and/or other details.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reduce L2 errors are suggested at the end of this study.

      • KCI등재

        학습자의 자율성을 고려한 협동형 글쓰기 과제 연구

        권미란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8 리터러시 연구 Vol.9 No.2

        This paper investigates various ways to utilize peer add-ons to create writing assignments that enhance learner's emergent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All writing activity can be regarded as the act of clarifying the idea of the writer and conveying it to the reader. This indicates that writing has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tension or intimacy that arises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will lead to new discussion topics and discussion points, so reading material is an important factor in making writing very creative. So, we set up the process of Cooperative writing in order to prepare reading material that can guarantee the activeness and autonomy as a learner. As learners read and write articles written by their colleagues, they experience the position of both writers and readers in both directions. This enables them to objectively compare and analyze their writings and other writings. In other words, as a sole author, he gets confidence in self - writing and possesses qualities to possess when evaluating the opinions of others. 이 논문은 학습자의 창발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협동형 글쓰기 유형과 함께 동료 첨삭의 다각적 활용방안을 새로이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모든 글쓰기 활동은 글쓴이가 자기견해를 명확히 밝히고이를 독자에게 전달하려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기능을 지닌다. 게다가집단이 하는 글쓰기 과제는 글쓴이와 독자와의 긴장 또는 친밀한 관계를 중심으로 글의 주제 및 글감 선정에 관한 새로운 논의나 논의 점들이 나타난다는점에서 매우 창의적인 사고력과 자율적인 말하기 활동을 하게 한다. 그래서교수자는 학습자의 능동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읽기 자료를 마련함으로써협의적 글쓰기에 참여하게 해야 한다. 본 글쓰기 과제는 여러 번의 글쓰기와말하기 활동을 한 뒤 그 활동자료를 읽기 자료로 활용한다. 그래서 학습자는동료의 글쓰기를 통해 글쓴이와 독자로서의 위치를 양방향에서 경험하고 자신이 쓴 글을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즉 단독 저자로서 자기글쓰기에 대한 확신을 얻게 되면서 평가의 기준을 익히게 된다.

      • KCI등재

        작문 교육의 목표와 실행에 관한  성인 학습자의 인식 연구

        최건아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2 No.-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provide writing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However, these programs have a shortage of analysis of adult learners’ needs and awar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establishing proper writing curricula by analyzing various adult learners’ needs for writing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texts that adult learners, as graduate school students, composed, to identify the type of writing curriculum they seek.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had specific needs about the purposes and implementation of writing education. Participants felt that there writing is important in their personal and career lives and, at the same time, felt an unwillingness to write. They also said there are problems in writing education because of its discontinuity and administrators’ opinions on writing programs. Participants’ desire for writing education was related to authenticity, accessibility, connecting other areas with writing, and career needs. These imply that an investigation of the contexts of adults’ writing will be important in the future.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작문 교육 프로그램들은 공교육과정의 주된 범위가 아닌 까닭에 대체로 평생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제공된다. 그런데 성인 학습자 들이 어떤 작문교육을 필요로 하는지, 작문교육을 둘러싸고 어떤 인식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성과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식에 따라 다양한 직업과 연령의 성인 학습자들이 작문 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 과 요구를 갖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추후 바람직한 작문 교육과정 수립에 이 바지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들에게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바람직한 작문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도록 하고, 프로그램 제안 서에 작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표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이 기술한 내용을 토대로 작문 교육에 대한 성인 학습자들의 인식과 요구에 대한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작문 교육의 목표와 실행 차 원의 인식을 드러내었는데, 세부적으로는 작문 교육 실행의 방해 요인, 바람직 한 작문 교육의 요건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었다. 참여자들은 작문이 일상과 대 인관계, 직업생활 전반에 걸쳐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대체로 작문이 어렵고 꺼 려지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작문 교육이 생애에서 불연속적으로 이루 어진다는 점, 관리자의 의지에 따라 교육 실행이 영향을 받는 점을 교육 실행의 어려움으로 들고, 실제적 교육, 성인 학습자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교육, 작문 외의 영역과 연계한 교육, 직업적 필요를 충족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 로 보았다. 연구를 통해 성인들이 처한 작문 맥락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이들 에게 적절한 작문 교육과정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아동 학습자의 담화적 능력 발달을 위한 상호적 쓰기 교육 방안

        최은지(Eun Ji Choi),노정은(Jung Eun Noh),류선숙(Seon Suk Ryu),이경(Kyung Lee),한하림(Ha Lim Han) 한국어학회 2014 한국어학 Vol.6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nteractive writing instruction for KSL children learner. It also aims to analyse a type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observed during the interactive writing instruction. Since KSL children learners are usually lack of literacy experience and language competence, it is important for teacher to provide a immediate scaffolding in order to involve those students in discursive writing.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o apply interactive writing instruction to KSL children learner. In addition, it attempts to figure out aspect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KSL children learner during the writing process. As a result, four types of interaction were identified in interactive writing class; interactions for developing composition discourse, interaction for overcoming writer`s block, interction for providing affective supports. In conclusion, the study could find out that the KSL children`s awareness of discoursive writing could be changed positively and teacher`s scaffolding was effective for those students who have attempted new type of discoursive writing process.

      • KCI등재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한 대학 작문의 교수-학습 모형 - 공학적 설계와 작문 원리의 연계를 중심으로 -

        김규훈,고희성 한국작문학회 2019 작문연구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college writing considering a factor of learning writers. Especially this study has a focus on connections the engineering design and the writing principles for the engineering college learning write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confirms the fact that a study of the college writing must concern factors of the learner because the college writing’s aim is to get the conventions of scholastic community. Particularly the engineering design which are emphasized in the engineering college, could connect with the writing principles. So this study closely connects the each elements of the designing and writing process. As a result, this study makes the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the engineering design, by comparing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Capstone design and the principles of writing as a process of the problem solving. Concretely, the writing activities are suggested as per “the integration step of the design and writing” following below: <Define the problem> → <Generate Ideas and Choose solution by evaluation ⇄ Organize the idea> ⇄ <Draft collaboratively> ⇄ <Prototype and Test solution> ⇄ <Revise and Text Producing> And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this model is examined by practicing it in a college writing class. 이 연구는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하여 대학 작문의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공과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공학적 설계(engineering design)’와 ‘작문 원리’의 연계에 논의의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학 작문은 학문 공동체의 관습을 체득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므로 학습 필자의 변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공과대학에서 중시하는 공학적 설계와 작문 원리가 연계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설계 과정과 작문 과정을 비교하여 설계와 작문의 제 요소가 긴밀히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그 결과 캡스톤 디자인의 교육적 적용 모형과 문제해결 과정으로서의 작문 원리를 비교하여, 공학적 설계 기반 작문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문제 확인하기> → <아이디어 탐색 및 평가를 통한 해결책 결정하기 ⇄ 아이디어 조직하기> ⇄ <협력적 초고쓰기> ⇄ <문제 해결 및 검증하기> ⇄ <고쳐쓰기 및 글 완성>’의 ‘설계-작문 통합 단계’를 제안하였고 각 단계별 활동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에 따른 대학 작문의 수업 사례를 통해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역번역문에 나타난 ‘이/가, 은/는’의 번역 양상과 그에 따른 인식 연구

        허용(Heo, Yong),박은정(Park, Eun-jung) 한국언어문학회 2016 한국언어문학 Vol.9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how foreigners with advanced Korean skills translate 이/가 and 은/는 in original Korean text in the back-translation of B(Korean) → A(mother tongue) → B(Korean) and examine their perceptions in two surveys based on it. A look at the use and recognition patterns of top-notch Korean learners in translation majors shown showed the type of translation into 이/가 and 은/는 and the type of translation into 이/가 → 은/는 ‘은/는 → 이/가 and there were examples of translations that were unusually omitted. First, the type translation into 이/가 → 은/는 showed that learners would recognize the meaning function of contrast by relying on a word with the opposite meaning and would unconditionally translated it as 은/는 without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descriptive language. The second type of ‘은/는 → 이/가 translation, 은/는 is a translation of old information into 이/가 . Becourse simply recognizing the meaning function of the old information as a simple subject. and because of a weak perception of the subject of the sentence, the main word of the sentence was translated as 이/가 rather than 은/는. Finally, the type of omission that does not translate to 은/는 or 이/가 is a 은/는 , which is not replaced by 이/가’.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verse translation, the learners could see that they were interpreting and translating with an emphasis on meaning. Korean learners were able to check the semantic functions of ‘은/는’ they had not been exposed to in the course of learning Korean. This study may be meaningful in that it was conducted on top-notch learners of Korean language using a learning translation method called back-translation.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text of the Korean-More speaker in reverse translation, rather than using arbitrary sentences as an analysis target, is different from the discussions of ‘은/는’ and ‘이/g가’ so f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