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제정의교육에의 두 가지 접근

        김재근 ( Jaegeun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7 경제교육연구 Vol.24 No.1

        본 논문은 그 동안 경제교육의 관심사에서 멀어져있던 `경제정의`의 문제를 두 가지 대비되는 접근방법을 통해 다시금 조명해보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경제정의에 대한 주류적인 접근은 무엇이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고, 이러한 주류적 접근의 한계는 무엇인지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지금까지 경제정의에 대한 접근이 공정한 분배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 하는 정의의 방법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것의 제도적 해결에 의존한다는 점, 근대적 주체개념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 등이 비판점으로 제시된다. 이어서 이러한 비판적 분석에 기초하여 경제정의와 경제정의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즉 타자지향적 경제정의교육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특히 경제정의에 대한 타자지향적 접근은 왜 정의가 필요한지, 누구를 위한 정의인지에 대답하려 한다는 점, 그리고 주체의 근본적인 존재원리를 타자로부터 찾고자 한다는 점 등이 주로 논의된다. 이에 타자에 대한 조건 없는 환대와 비대칭적인 책임으로서의 경제정의의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타자 지향적 접근이 경제정의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 탐색해본다 This study examines two different approaches to the issue of economic justice: Subject-centered approach and Others-oriented approach. The Subject-centered approach to economic justice is based on the question of `How to achieve justice?` Since it focuses on the `method` of justice, the ensuing answers are tied to principles and theories of justice, and the creation of just institutions. In general, economic justice from this approach is regarded to be a just distribution of economic resources such as wealth and income. Compared to that, an Others-oriented approach asks the question of `Why justice?` and the answer for the reason of economic justice is `the face of Other,` which comes up to us as an irresistible imperative. It demands us to respond to the vocation of the Other, to give away what we possess, to replace my space for the suffering Other, and to offer unconditional hospitality.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se two different approaches, this study suggests to re-conceptualize economic justice education as responding to the vocation of the Others.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 분석: 정의지향적(Justice-Oriented) 접근을 중심으로

        엄수정(Um, Sujung),박하나(Park, Hana),조현희(Cho, Hyunhee)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민주시민교육의 정의지향적 접근을 토대로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사례를 분석하고 주요 쟁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이 있는 8명의 초중등 교사들과 협력탐구집단(collaborative inquiry group: CIG)을 운영하였으며, CIG의 방법론적 원리와 절차에 따라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실천 지식’을 생성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민주시민교육 실천양상은 크게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사회쟁점수업, 사회참여활동으로 범주화되었다. 각 범주의 민주시민교육 실천 의의와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은 다양한 경험과 학습양식을 지닌 학생들에게 포용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었으나, 정의지향적 민주시민교육을 위해 어떠한 주제를 선정하고, 그것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대한 지속적인 고민이 필요했다. 둘째, 사회쟁점수업은 학생들이 쟁점을 둘러싼 다양한 관점과 이해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입장을 형성하도록 돕는다는 의의가 있었으나, 사회쟁점 배후의 제도적․구조적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 합의지향적 토론 문화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했다. 마지막으로 사회참여활동은 학생들의 앎과 삶을 연결하는 데 의의가 있었으나, 사회문제의 구조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해 사회참여활동이 어떻게 재조직되어야 하는지, 지역사회와 긴밀한 연계를 위해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등에 관한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지향적 민주시민교육 실천에 관한 학문적,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eachers day-to-day practices of democratic education and its related issues drawn upon a justice-oriented approach to democratic education. Guided by the Collaborative Inquiry Group (CIG) principles and processes, the researchers compiled knowledge of practice in collaboration with eight participating teachers. The findings highlight three types of curriculum/instruction and their related issues that emerged from the teachers practices of democratic education. First, the topic-centered integrative curriculum contributes to creating an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for diverse students in democratic education, but it raises further questions regarding what kinds of topics are fundamental to justice-oriented democratic education and how teachers could deal with those topics in the classrooms. Second, issue-centered instructions help students see contested issues from diverse perspectives and build their own perspectives. However, it remains a question of how students could/should deal with the institutional/structural injustices underlying these issues, as well as the dominant culture of consensus-oriented decision making. Finally, the social action approach makes it easier for students to connect learning with their lives, but it remains a question of what critical social actions look like and what types of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help schools and communities work together to cultivate social action skills. Based on th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olicy-leve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정치프로젝트 수업 사례 분석

        한학범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3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eacher competency for democratic citizenship cultivation classes through the case of political project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o this end, class ca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ree approaches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irst, in the class scene of cognitive content access, teachers promoted students to specify the problem situation in their lives according to the values of "freedom and competition," "equality," and "sharing and welfare." Second, in the class scene of the participatory content approach, the teacher led the student to reveal his voice in the public sphere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public value of the issue. Third, in the class scene of justice-oriented content approach, the teacher provided an experience of critically approaching how to coordinate conflicts between individual interests and communities in a dilemma situation while collecting student opinions fairly. As such, the implications requested by teachers to cultivate students' citizenship according to the approach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ere presented in terms of cognitive, participatory, and justice-oriented approaches, respectively. At this time, a transformational approach can be expected through a multi-layered approach to deal with these three approaches in a reciprocal manner.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정치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해 민주시민성 함양 수업을 위한 교사 역량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 민주시민교육 접근 방식에 따라 수업사례를 분석하였다. 첫번째, 인지적 내용접근의 수업장면에서 교사는 학생에게‘자유와 경쟁’, ‘평등’, ‘나눔과 복지’가치에 따라 학생이 처한 삶의 문제상황을 구체화하도록 촉진하였다. 두번째, 참여적 내용접근의 수업장면에서 교사는 학생에게 자기 목소리를 공론장에서 드러내도록 이끄는 가운데 쟁점이 갖는 공적 가치에 대해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세번째, 정의지향적 내용접근의 수업장면에서 교사는 학생에게 공평하게 학생 의견을 수렴하는 가운데 딜레마 상황에서 개인의 이해와 공동체 사이의 충돌을 어떻게 조율하며 공존의 가치를 마련한 것인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경험을 제공하였다. 이처럼 교사가 민주시민교육 접근에 따른 학생의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해 요청되는 시사점을 각각 인지적 접근, 참여적 접근, 정의지향적 접근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이때 이 세 가지 접근방식을 다룸에 있어서 상호간 호혜적으로 다루려는 다층적 접근을 통해 변혁적 접근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교급별 민주시민교육,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

        박하나 ( Park Hana ),엄수정 ( Um Sujung ),조현희 ( Cho Hyunhee ),김종훈 ( Kim Jonghun ),정수정 ( Jung SuJ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를 통해 학교급별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학교급에 따른 민주시민교육 내용 및 실행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단계에 걸쳐 질적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교사 8명 및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급별로 주제별 영역 확대 전략이 필요했다.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개인적 삶에서 사회적 삶으로, 보다 큰 공동체와 보편가치 지향으로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었다. 초등에서는 민주적 절차의 간소화를 통해 학생들이 쉽게 민주주의에 참여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야 하며, 일상에서 민주시민으로서 효능감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중요했다. 중등단계로 나아갈수록 의사결정의 절차를 스스로 생성하고, 나아가 사회문제를 기존방식과는 다르게 일상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창출해내는 등 창의적인 민주시민성 함양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었다. 이 같은 학교급별 민주시민교육의 특성을 토대로 연구진은 정의지향적 민주시민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과 교육목표를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민주주의의 이해’, ‘더불어 사는 삶’, ‘사회정의와 연대’라는 3개의 대주제와 하위 범주로 총 10개의 소주제(민주주의, 인권과 시민, 언론과 미디어, 다양성, 평화, 노동, 지속가능한 공동체, 사회정의, 연대, 사회참여)를 선정하였다. 이를 수준별로 세분화하였으며 구체적으로 1수준~4수준에 이르기까지 교사가 다룰 수 있는 내용 요소를 제시하여 사회과교육과정의 확장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급별로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이 어떻게 다를 수 있을지 조명하고, 민주시민교육이 추상적이고 모호하다고 느끼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교급별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contex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accordingly, to explore what and how to teach during each school-level. The Justice-Oriented approach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ffer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A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8 teachers and 10 experts who have years of experience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as conducted. The research participants reported that younger students need experiential learning with specific and concrete topics relevant to their daily lives while older students need to grasp the complexity and ambiguity of issues associated with democracy. The findings show that the breadth and depth of learning needs to be increased as school levels become higher. Based on the school-level characteristics, the study presents a way of enacting the justice-orient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t identifies the goals, main topics (i.e., understanding democracy, living together, social justice and solidarity), sub topics (i.e., democracy, human rights and citizen, the press and media, diversity, peace, labor, sustainable community, social justice, solidarity, participation), and four levels of conten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학교폭력의 해결과 예방을 위한패러다임의 전환 : 회복적, 생태체계적, 그리고 성장지향적 개념틀을 중심으로

        최중진 아시아교정포럼 2013 교정담론 Vol.7 No.2

        최근 학교폭력의 해결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범정부 차원의 학교폭력근절종합대책이 제시되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학교폭력은 더욱 저연령화, 집단화, 범죄의 악질화, 장기화 등의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은 학교폭력에 대응하는 우리의 접근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학교폭력에 대한 그 동안의 접근방법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좀 더 효과적인 대응방법을 도출 할 수 있는 대체적인 개념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교폭력은 무엇이며, 그 영향 은 어떤 것인가?; 그 동안의 학교폭력을 다루는 우리의 접근은 어떤 것이었으며, 그 효과는 어떠한가?; 대안적 개념틀을 위해 유용할 수 있는 접근은 무엇인가?; 대안적 개념틀은 학교폭력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주요발견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해자를 갈등의 해결과정에서 소외시켰고, 둘째, 학교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개입이 아니라 단편적인 프로그램과, 셋째, 처벌 위주의 문제중심적 사후대책이 주를 이루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의 효과적 예방을 위한 정책의 방향전환을 위한 대책으로 회복적 실천, 생태체계론, 강점중심의 성장지향적 접근을 대체적인 개념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에 선행되어야 할 탐색적 연구로의 한계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