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국의 금융교육

        이윤호 ( Yun-ho Lee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1 경제교육연구 Vol.28 No.2

        이 글의 목적은 영국의 금융교육에 대해 분석 소개하고 그로부터 우리나라 금융교육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영국 정부는 자금연금청(Money and Pensions Service)을 금융교육 전담 기구로 두고 있다. 자금연금청에서는 2020년에 ‘금융 복리를 위한 국가 전략’을 수립하여, 5개의 의제와 양적 및 질적 목표를 제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일상 경제생활에서의 전형적인 재무적 의사결정을 도와주기 위한 체계적인 안내와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영국의 학교 금융교육은 여러 과목을 통해서 분산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대표적인 금융교육 교과는 PSHE인데, 영국의 경우 초중등 학생을 위한 학교 경제교육이 가계 재무 금융교육을 중심으로 편제되어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선택 과목인 경제학이나 경영학에서 이루어지는 금융교육은 거시적 및 기업 재무 맥락의 내용으로 금융소비자 입장의 개인재무 금융교육과는 거리가 있다. 글의 결론에서는 영국의 금융교육이 우리나라 금융교육에 대해서 갖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nd analyze financial education in the UK to obtain useful implications for financial education in Korea. The UK government has the organization of the Money and Pensions Service for financial education. Money and Pensions Service has established a national strategy for financial well-being, and is presenting and implementing five agendas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oals. It also provides a service that provides systematic guidance and information on typical financial decision-making in everyday economic life. School finance education in the UK is characterized by being dispersed through several subjects. The representative financial education subject is PSHE, though it is not a legal, where financial education is placed at the center of economic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inancial education in economics or business studies, which are elective subjects, is far from personal finance education for financial consumers as it is the content of a macro perspective and the context of corporate finance. In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the implications of financial education in the UK for financial education in Korea are presented.

      • KCI등재

        자산수준별 재무교육이 재무행동과 주관적/객관적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창희(Chang Hee Ahn),정순희(Soon Hee Joung) 한국FP학회 2009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2 No.2

        본 연구는 재무교육이 자산수준별로 재무행동과 재무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재무행동과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자산수준별로 의사결정과 투자전략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자산집단에서 재무행동변화가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수준별 재무교육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저자산집단의 경우 경험유무에 따라 전반적 재무만족감과 위기관리만족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적 재무성과의 경우에는, 중자산집단에서 재무교육 경험자가 무경험자에 비해 성장성지표 중 저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고자산집단에서 재무교육 경험자보다 무경험자가 안정성지표 중 가계수지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자산수준별 재무성과에 미치는 재무교육의 영향에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수보다는 재무교육관련 변수가 재무행동변화와 객관적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서 적절한 재무교육프로그램(특히 교육방식의 고안)의 필요함을 시사했다.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financial education on the financial behavior and financial performance per wealth level, thus at analyzing variables affecting the financial behavior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result indicated that financial education made ositive changes in decision making and investment strategies in all wealth levels. In particular, changes in the financial behavior were more positive in the high wealth level group. As for the effect of financial education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per wealth leve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overall financial satisfaction and risk managem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inancial education experience status in the low wealth level group. In terms of the objective financial performance, those with financial education showed a higher rate of saving among the growth indices than those without financial education in the middle wealth level group. In the high wealth level group, those with financial education showed a higher rate of household income to expenditure among the stability indices than those without financial education. This indicated that financial education exerted impa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per wealth level. Lastly, the variables related to financial education had greater effects on changes in the financial behavior and objective financial performance than demographic variables. Therefore, this result suggested necessity of appropriate financial education program (especially, design of education method).

      • KCI등재

        한국 가계의 객관적·주관적계층 차이 결정요인 - 재무적 요인을 중심으로

        최홍철(Hongcheol Choi) 한국FP학회 2020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3 No.3

        본 연구는 한국 가계의 객관적 계층과 주관적 계층의 차이에 따라 집단을 3유형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유형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재무적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객관적계층과 주관적계층의 차이에 따라 객관적계층고집단, 계층일치집단, 주관적계층고집단의 세 유형으로 집단을 분류하였으며, 객관적계층과 주관적계층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 재무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재무적 요인은 다시 소득, 자산, 부채요인으로 나누고 각 요인을 구성하는 하위항목들을 영향변수로 사용함으로써 객관적계층과 주관적계층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재무적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노동패널 20차 자료를 사용하여, 총 6,819가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계층고집단은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이 높았으며, 소득과 자동차보유비율이 가장 높았던 반면, 주관적계층고집단은 연령이 높고, 취업가구 비율이 낮으며, 자가 비율은 가장 높은 모습을 보였다. 둘째, 객관적계층고집단은 근로소득과 기타소득, 금융자산과 금융기관부채가 높았던 반면, 주관적계층고집단은 이전소득, 사회보험소득, 부동산보유비율이 세 유형 중 가장 높았다. 셋째, 근로소득, 부동산소득, 이전소득, 기타소득, 은행예적금, 금융기관부채가 많을수록, 주거외부동산을 보유하지 않을수록 객관적계층고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던 반면, 근로소득, 이전소득, 사회보험소득, 기타소득, 은행예적금, 저축성보험, 금융기관부채가 적을수록, 주거외부동산을 보유한 가구일수록 주관적계층고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는 객관적ㆍ주관적계층 차이로 인한 재무적 불균형완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객관적·주관적계층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재무적 요인을 밝힘으로써 재무설계나 정책수립에 있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계의 재무설계와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inancial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of Korean households by dividing the group into three types. To this end, Korean households were classified into an objective-higher group, a coincidence group, and a subjective-higher group,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Financial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were divided into sub-items of income, assets, and liabilities. Using 20th of the data from KLIPS, a total of 6,819 households were analyzed, and SPSS 24.0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and apply a Chi-square test,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higher group had the lowest average age,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the highest ratio of income and car ownership, while the subjective-higher group had the highest average age, the lowest ratio of working households, and the highest rate of home ownership. Second, the objective-higher group had the highest earned income, income of others, financial assets, and financial institution liabilities, while the subjective-higher group had the highest ratio of transfer income, social insurance income, and real estate holdings among the three types. Third, households with higher incomes and no real estate holding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objective-higher group, while those with lower incomes and with real estate asse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subjective-higher group.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ducing financial imbalances due to differences in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It is meaningful that specific financial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have been identified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specific measures in financial planning or policymaking.

      • KCI등재

        The Formation of the Economic Value and Subsumption Mechanism under Financial Capitalism: On the Cultural Problem of Distance in the Making of the Economic Subject

        이완기 한국사회역사학회 2012 담론 201 Vol.15 No.1

        Analyzing the aspects of cultural practice of financial capit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reconfiguration of temporality and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I already underscored that contemporary financial capitalism is an apparatus of cultural operations beyond economic mechanism insinuating and thus internalizing the necessities of cognitive and behavioral transformations of the actor for furtherance of dominant economic value. In this paper, in critical extension of the theoretical concerns, I particularly adduce the notion of ‘distance,’ originally proposed by Simmel, to delve into the process of formation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in contemporary financial arrangements,reinterpreting the notion as the cultural device of representation and definition of the economic valu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ive value and the objective value is critically informed and suggested to overcome for identification with the main value. Marx’s inquiry of value forms, which are relative and equivalent form, along with Lenin’s consideration of finance capital is revisited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of the subjective value and the subsumption mechanism. In this regard, financial crises are investigated as the critical point of framing for a new objectifying field with the new modalities as the refined methods of imperial drives through which the subsumption of the object is ceaselessly re‐described to exist in the making of the new subjectivity. The Korean financial crisis and the Brady Plan are specifically exemplified as the financial strategy of containment to subsume the local object allowing the subject effect with restrictedness in transformation of the object as the bearer of the new economic value. A local financial crisis in the contemporary financial system is a critical point to establish financial imperialism, even redefining the condition of the object with the radical distancing and its overcoming game plan for the politics of inclusion by depolitisizing the object.

      • KCI등재

        기호-자본 시대의 주체와 시의 역할

        윤지영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2

        The consumm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financial capitalism is reorganizing the whole way of perceiving and thinking about the world.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when the language is separated from the specific context of life and abstracted into information units, numbers, and symbols. Considering that the subject is constituted by language, it is no doubt that this change in language causes the subject's crisis. Individuals are being abstracted into fragments that are isolated from emotions, desires, memories, and life energies and are easily replaced with others. The poetry which arises from the desire of the utterance is summoned as a way to fight against symbolic abstraction of the subject in the point of excess of the language. It is because of the belief that the poetry can recover the subjectivity of the individual who utter poetry and recover the body's sense by promoting the continuous process of semantics by the unfinished interpretation. However, the work of how to constitute subject by speaking poetry, in other words, poetry reading and poetry writing, is only discussed on the theoretical level. It is communicated only within the community that is supposed to share a common code for poetry. This tendency is even more serious, especially for poetry escaping from traditional lyricism, so called poetry of non-identity, such as non-personal-poetry, multiple-subject poetry. It is only communicated between insiders who shares a philosophical concept. Therefore it is failing to respond to the role of the poem that is demanded by the age of the sign-capital.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reading poetry, including poetry of anti-identity, for constructing a 'speaker' that implies a speaking person is a useful way of constructing a subject by initiating poetic utterance, and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invite ‘the others’ of the community to bring the live to the reduced subject again. 정보기술과 금융자본주의의 결탁은 세계를 인식하고 사유하는 방식을 전면적으로 재편하고 있다. 이는 특히 언어를 구체적인 삶의 맥락으로부터 분리하고 정보 단위, 숫자나 기호로 추상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주체가 언어에 의해 구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언어에 가해지는 이러한 변화가 주체의 위기를 초래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개인은 정서나 욕망, 기억, 생의 에너지 등으로부터 절연된 채 파편화되어 교환이 용이한 부분으로 추상화되고 있다. 언표행위의 욕망하는 힘에서 발생하는 시는 언어의 과잉(초과)이라는 점에서 주체의 이와 같은 기호적 추상화에 대항할 수 있는 방편으로 소화된다. 시를 읽는 발화 행위는 종결되지 않는 해석으로 인한 지속적인 의미화 과정을 추동함으로써 시를 읽는 개인의 주체성을 회복하고 신체의 감각을 회복할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그러나 시에 재현된 주체의 양상을 파악하거나 그 의미를 논구하는 일에 비해 정작 시를 읽거나 쓰는 일 같은 언어적 실천이 주체를 구성하는데 어떻게 관여하는가에 대해서는 논의가 소홀하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전통적인 자아 동일성을 거부하는 최근의 탈주체적 시와 관련하여 더 심각한데, 이와 같은 작품들은 철학적 개념을 공유한 공동체 내부에서만 소통됨으로써, 기호-자본 시대가 시에게 기대하는 바, 주체 구성에 실제적인 역할을 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발화하는 인격적인 존재를 함의하는 ‘화자’를 구성하는 일이 시적 발화를 개시함으로써 주체를 구성하는 유용한 방법이라는 가정 하에, 탈주체의 시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방법론이 적용가능함을 보이고, 시를 읽는 언어적 실천이 기호화되어 가는 주체에 생기를 불어 넣을 수 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 KCI등재

        금융파생상품의 작동 원리와 문화적 효과

        강내희(Kang Nae-hui)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12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9 No.4

        이 글은 ‘파생상품’의 비판적 이해를 위한 시론이다. 파생상품은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에서 작동되는 문화의 정치경제학을 파악하는 데 핵심적인 통찰을 제공해주는 ‘기묘한 물건’인 것으로 여겨진다. 파생상품, 특히 금융파생상품이 등장함으로써 자본주의적 축적 논리와 삶의 방식에는 중대한 변화들이 생겨났다. 이런 변화 가운데 특히 눈여겨볼 것이 축적을 위한 새로운 경쟁 방식, 그리고 이 과정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주체형성 방식이다. 이 글은 파생상품의 등장 배경, 그 작동 원리와 기능, 그리고 이런 것들이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봄으로써 파생상품 시장 형성을 통해 야기된 오늘날의 정치경제, 문화경제, 문화정치의 변동을 살펴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at a critical understanding of “derivatives.” The derivatives can be understood as “queer things” the analysis of which may provide an insight into the cultural political economy that prevails in today’s capitalist society. With the rise of derivatives, financial derivatives in particular, the capitalist logic of accumulation and the ways of life related to it seem to have gone through significant changes, which means that there have appeared new ways in the competition for capital accumulation and in the formation of subjectivitie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hus to look into the background of the rise of new derivatives, their operating principles and functions, and their impacts on today’s capitalist society, also considering political economic, cultural economic, and cultural political issues related to financial derivatives.

      • KCI등재

        주관적 성과평가에서의 전이효과와 사업단위 특성의 조절효과

        이경태,최병현,이상철 한국관리회계학회 2019 관리회계연구 Vol.1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구분한 객관적 성과가 주관적 성과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다. 또한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가중치, 재무적 성과평가 측정치로 매출액을 사용했는지 여부, 사업단위의 성과등급이 낮은지 여부, 그리고 사업단위의 규모가 비재무적 성과와 주관적 성과평가 사이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연구방법]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개년 간 A기업의 287개 사업단위/년 자료를 최종 표본으로 선정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주관적 성과평가 점수이며, 독립변수는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구분된 객관적 성과평가 점수이다.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가중치, 재무적 성과평가 측정치로 매출액을 사용했는지 여부, 사업단위의 성과등급이 낮은지 여부, 그리고 사업단위의 규모를 조절변수로 사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객관적성과평가 점수와 주관적 성과평가 점수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조절변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재무적 성과평가와 비재무적 성과평가로 구분한 객관적 성과평가는 주관적 성과평가에 모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무적 성과평가의회귀계수와 표준화회귀계수가 비재무적 성과평가의 계수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검증결과는 주관적 성과평가가 객관적 성과평가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전이효과가 존재하며, 재무적 성과평가가 비재무적 성과평가보다 주관적 성과평가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가중치과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 재무적 성과평가 측정치로 매출액을 사용했는지 여부와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 그리고 사업단위의 규모와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는 유의적인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업단위의 성과등급이 낮은지 여부와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는 유의적인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검증결과는 비재무적 성과평가 점수의 가중치가 높은 경우, 재무적 성과평가 측정치로 매출액을 사용하는 경우, 사업단위 성과가 높은 경우, 그리고 사업단위 규모가 큰 경우에 비재무적 성과평가가 주관적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전이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실험에 의한 선행연구와 달리 객관적 성과평가가 주관적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전이효과를 실제 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했음은 물론, 객관적 성과평가를재무적 성과평가와 비재무적 성과평가로 구분하여, 각각이 주관적 성과평가에 미치는 효과의차이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 불가능한 요인이외에 성과평가의 공정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비재무적 성과평가가 주관적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전이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실증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전이효과와 관련한 실증연구를 진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자료로활용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실무적인 성과평가 과정에서이러한 전이효과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 [Purpose]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 performance and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weigh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use of sales or EVA a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and business unit siz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subjective performance. [Methodology] This study samples 287 business unit data of a Korean company from 1999 to 2003.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the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both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evaluation scores. At the same time, the moderating variables are the weigh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use of sales or EVA a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and business unit size. The study sets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including the interaction terms to test moder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subjective performance. [Findings] Both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scores are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performance score. At the same time, financial performance scores are more influential to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than non-financial performance scores ar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is directionally influenced by objective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score is more likely to be spilled over to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than non-financial performance score is. In addition, the weigh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use of sales or EVA a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and business unit siz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subjective performance score. On the contrary, the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has negative impact on subjective performance score. These test results imply that when the weight of nonfinancial performance is high, sales is used a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or the size of the business unit is large, non-financial performance is more likely to be spilled over to the subjective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is high, non-financial performance is more likely to be spilled over to the subjective performance. [Implication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which differentiates it from earlier studies, is that it has empirically verified not only the spillover effects of objective performance toward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spillover effects of non-financial performance toward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Thus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effects of spillover effects and the differences in such effects depending on the business unit characteristics. A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result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spillover effects of non-financial performance toward su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will serve as basic information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business units fairly.

      • KCI등재

        재무설계를 통한 재무복지의 향상에 관한 연구

        오종윤(Jong Yoon Oh),최현자(Hyuncha Choe) 한국FP학회 2010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3 No.2

        사람은 누구나 전 생애에 걸쳐 객관적 재무복지와 주관적 재무복지를 누리고자 한다. 하지만 직장 내 재직 연한의 단축, 평균수명의 증가 등이 개인이 벌어들일 수 있는 소득창출의 제약을 가져와 생애전반에 걸친 부의 획득에 제한을 가져온다. 반면에 사교육비의 증가, 주택마련 비용의 증가, 소비 수준의 상승 등으로 인하여 생애전반에 걸쳐 소비해야 하는 화폐의 양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는 향후 저출산, 인구고령화로 인하여 국가의 사회적 비용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직·간접적으로 개인과 가계의 재무복지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무설계가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고 개인의 객관적·주관적 재무복지를 향상시키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국내 실증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2008년 3월에 임관하여 2010년 6월에 전역 예정인 ROTC 임관장교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재무설계 유경험자들은 재무설계 무경험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객관적·주관적 재무복지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재무설계 정착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any people want to enjoy their objective and subjective financial wellness over their whole life. But there are many obstacles in their life. A short term of office, extension of the average life span, etc may restrict to generate income over the whole life. And they will undergo a aged society. These factors will impact their financial wellness in these situation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financial planning on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wellness using the data of 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ROTC).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study, objective and subjective financial wellness status of ROTC those who had experienced financial planning and counseling services were compared with those who had not experienced financial planning and counseling services. Data for this study were from a questionnaire and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used. In the empirical tests, officers who had experienced financial planning and counseling services have higher objective and subjective financial wellness status than the other officers who had not. Based on this result, followings could be suggested that the application of financial planning is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consumer"s financial wellness and comprehensive financial planning and counseling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as a basic product by financial intermediaries.

      • KCI등재후보

        금융소비자의 재무지식수준과 재무설계상담 비용지불의사에 관한 연구

        김병태(Byoung Tae Kim),조혜진(Hye Jin Cho),최현자(Hyun Cha Choe) 한국FP학회 2014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7 No.3

        본 연구는 금융소비자의 재무지식수준과 재무설계상담 비용지불의사 및 그 영향요인을 통해 유료 재무설계상담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어떻게 생겨나는지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금융소비자들의 금융이해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스스로 재무관리가 어려워서 비용을 지불하고라도 재무설계상담을 받으려고 하는 것인지, 아니면 금융역량이 높은 소비자들이 재무설계상담을 비용을 지불할 만큼 가치 있는 재무관리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재무 지식수준은 객관적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기과소의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무설계상담 경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객관적 지식수준에 비해 주관적 지식수준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았다. 셋째, 재무설계상담에 대해 비용지불의사가 있는 비율은 전체의 43.3%로 매우 높은 수준은 아니었지만 매년 그 비율은 계속해서 증가하였다. 넷째, 재무설계상담 경험은 객관적 지식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재무설계상담 경험이 없는 사람에 비해 경험이 있는 사람의 주관적 지식수준이 높았다. 객관적 지식수준은 비용지불의사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주관적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재무설계상담 경험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재무설계상담 비용지불의사가 높았다. 또한 재무설계상담 경험은 주관적 재무지식수준과 비용지불의사 모두에 중요한 영향 요인이었는데, 재무설계상담 경험이 있는 사람이 비용지불의사(재구매)가 컸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재무설계상담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향후 재무설계상담이 제도적으로 자리매김하여 재무설계업 또는 금융자문업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있음을 검증하고 이에 대한 잠재적 수요기반을 확인하는 기초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level and willingness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of financial consumer, and identifi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ose two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and the willingness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service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ether consumers" financial capability affects the willingness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services. That i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which consumer group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financial capability are more likely to be willing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servic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is largely underestimated relative to the level of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Second, those who have financial planninf experience have higher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relative to their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Third, 43.3%, which is not so high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are willing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services, but the percentage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every year. Fourth, financial planning expericence does not affect the level of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but those who have financial planning experiences showed the higher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The financial planning experience is the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and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financial planning service. Those who have financial planning service experience are more likely to be willing to pay for the financial planning service.

      • KCI등재

        중국 선전시 80 후 및 90 후 세대의 부채보유 특성에 관한 연구

        BAO XIAMEI,LIU YI,ZHOU JING,주소현(So-Hyun Joo) 한국FP학회 2021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4 No.1

        본 연구는 중국 80 후 및 90 후 세대의 부채 상황을 알아보고 부채보유에 대한 특성, 부채 원인, 부채보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등을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 재무역량 및 재무교육 수혜여부 등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 선전시에 거주하는 80 후 및 90 후 세대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재무적 특성 중 재무역량은 중간수준이었으며, 절반 이상(51.9%)은 재무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었고, 부채보유 비율은 66.8%로, 주택구입(63.6%)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채보유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월 소득, 자동차자산, 부동산자산, 재무기능이고, 부채잔액 규모의 영향요인은 금융자산 및 부동산 자산, 주관적 부채부담의 영향요인은 금융자산 및 재무기능으로 나타났다. 남성일수록, 월 소득이 평균집단보다 높은 경우, 재무기능수준이 낮을수록, 자동차 및 부동산자산이 많을수록 부채를 보유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금융자산과 부동산자산이 많을수록 부채잔액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융자산 수준이 높을수록, 재무기능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부채부담을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젊은 계층의 부채보유 및 부채부담은 주택 보유와 밀접한 관련을 보이고 있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여 남성인 경우 부채를 보유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보유 행동은 재무역량에 영향을 받으므로 재무역량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bt situation of the people born in the 80s and 90s in China. The respondents’ demographics, economics, and personal financial characteristics, such as financial capability and financial education,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debt holding, cause of debt, and subjective debt burden. A survey was conducted on 214 individuals born in the 80s and 90s who live in Shenzhen, China.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personal finance of the surveyed people, the financial capability was at the mid-level, and the financial satisfaction level was low at 2.80 points. Among the respondents, 51.9 percent did not receive any financial education, and 66.8 percent of the respondents held household debt. Home purchases were one of the main reasons for debt, at 63.6 percent.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debt holding are gender, monthly income, auto assets, real estate assets, and financial functions. The factors affecting the debt level were financial assets and real estate assets.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debt burden were financial assets and functional financial capability. Men, those with a higher than middle-range monthly income, lower levels of functional financial capability, and higher levels of auto assets and real estate, were more likely to hold debt. Those with higher levels of financial and real estate assets tended to have higher debt levels. Those with higher levels offinancial assets and functional financial capability tended to have a higher subjective debt burden. For young Chinese consumer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debt holding is housing purchases, and men are more likely to hold debt than women. Financial capability, particularly functional financial cap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related to the debt behavior of Chinese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