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슬기로운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문성환,김오범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많은 학생들이 슬기로운생활 교과 수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발명교육을 접해볼 수 있 도록 교과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슬기로운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총 15 차시)은 교과 내의 내용에 10가지 발명기법(새롭게 생각하기, 더하기, 자연을 따라하기, 큰 것을 작 게 하기, 반대로 생각하기, 모양을 바꾸기, 두꺼운 것을 얇게 하기,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재미있게 하기, 빼기)을 적용하여 생각해보기, 발명기법 알기, 아이디어 생성하기, 아이디어 평가하기의 활동 순서로 구성하였다. 슬기로운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 기 위해 실험집단으로 경기도 파주시 소재 S초등학교 2학년 27명을 선정하였고, 통제집단은 같은 S초등학교 2학년 27명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Torrance가 개발한 TTCT 창의성 검사지를 우리말 로 번안한 ‘Torrance 창의력 도형 검사’(김영채, 2002)를 사용하였으며 통계해석 프로그램으로 는 i-STATistic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시간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자 연스럽게 발명교육을 접해볼 수 있는 15차시 분량의 슬기로운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슬기로운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가 있 었다. 창의성의 하위 3개 영역(유창성, 독창성, 정교성)중 사후 유창성 총점이 34.50으로 사전 유창 성 총점 26.74보다 통계적으로 p <0.001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독창성 총점의 경우 사후 독창성 총점이 22.85점으로 사전 독창성 총점 15.11보다 통계적으로 p <0.001에서 유의미한 차이 를 보였다. 학교현장에서 발명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 연구에서 개발한 슬기로운생활 교과 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슬기로운생활 교과에 적용한다면 발명 교육의 일반 화에 좀 더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과학교과의 웹 기반 탐구학습 관련 연구 동향

        박현경,노지예,정연화,이정민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에서 진행된 과학교과 웹 기반 탐구학습에 관한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 및 설계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대상 논문은 국내·외의 과학교과, 교육공학 관련 저명 저널 15개 학술지에 게재된 웹 기반 탐구학습 관련 연구이다. 논문 목록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된 검색 키워드는 ``웹 기반 탐구학습``, ``웹 기반 교육``, ``웹 기반``, ``탐구학습``, ``WBI``, ``Web-based inquiry learning``, ``Web-based learning``, ``inquiry learning``, ``WISE`` 이었다. 검색 결과 중 K-12를 대상으로 하는 과학 분야의 양적연구로 범위를 축소시켜 최종 분석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국내 16편, 국외 41편으로 총 57편이다. 분석 내용은 이들 논문의 교수학습 모형, 테크놀로지 활용유형, 효과성 검증을 중심으로 분류되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한 웹 기반 탐구학습 연구는 국내·외 모두 모형을 제시하고 적용하여 효과성을 보는 연구들이었다. 둘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웹 기반 탐구학습 연구에서 국내 연구의 경우 대다수가 웹 기반 탐구학습을 위해 프로그램을 새로 설계하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국외연구의 경우 기존에 설계된 WISE 등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웹 기반 탐구학습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효과성을 측정하는 변인으로 학습자의 과학탐구능력의 변화, 과학 학습에 대한 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는 변인들이 가장 많이 측정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웹 기반 탐구학습 과정에서 고려돼야 할 연구방향이 제언되었다.

      • WISE 센터와 PPL에 의한 과학교육 활동의 효과

        한은주 水原大學校 2015 論文集 Vol.29 No.-

        WISE center has been established to raise future scientists and especially to successfully achieve the mission of establishing the substructure of raising female scientists. As many programs with similar objectives had been established afterwards, now it has been reorganized and being run as the WISET program. Therefore, the former mentees were focused on the young children with scientific talents but now it has been changed to be focused on raising higher level of female scientists. In order to reinforce the equity of science education, The Suwon University's WISE Center is currently and steadily active to voluntary science education service in cooperation with PPL, which is a science study society in the department of physics, and is highly rated to science teachers and parents of nearby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