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뉴스 텍스트의 비판적 이해 과정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행위이론"을 검증틀로-

        박지윤 ( Ji Yoon Park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1 텍스트언어학 Vol.31 No.-

        As a p roving tool for the p roces s o f the readers`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text, this study referred to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Habermas mentioned ``life world`` and ``system`` as a way to understand a society; ``Life world`` plays a role as socialization, combination, and culture transferring of the members of a society, and ``system`` is a social domain of effective administration of a society and production of materials such as economy, administration, money, power, etc. The ideal society is in the balance and maintenance between ``life world`` and ``system,`` but Habermas pointed out that ``system`` can dominate and colonize ``life world`` This study considered online news text as an example of ``system`` because the media mislead the readers with false information in the commercialization and make them accomplish the certain understanding and identity. And more,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readers try to keep their ``life world`` through the public sphere called "comments." Through this, the readers can use the text inner world and text outer world in understanding the text. Text inner world is seen in the grammatical aspect in understanding the text, and text outer world is to activate the world knowledge, schema, value, situational context, etc in comprehending the text. This study shows the readers discuss through comments in public sphere, share schema, and understand the news text critically to keep the ``life world`` especially in the text outer world. This study has meaning in text-linguistical approach of the process of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development of discussion through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as a proving tool.

      • KCI등재

        독자의 장면적 텍스트 이해 방법 고찰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4 No.-

        This study explores the reader’s text comprehension method with the scene understanding presented by Lorenzer as a psychoanalytic method. Lorenzer’s understanding of the scene was proposed by Habermas as the basis for arguing about the limitations of Gadamer’s universality of understanding. The result of the argument is that scene understanding is also included in the universality of understanding. In the scene understanding, the counselor first composes the actual scene, the infancy scene, and the transference scene through conversation with the counselee(patient). Then, through the semantic association of these scenes, the counselor understands the counselee and treat his psychosis. This scene comprehension provides the logic that can explain the reader’s method of comprehension of the text. In text comprehension, the actual scene composition allows the reader to grasp the text content from the observer’s point of view. The infancy scene composition becomes the grounds scene, allowing the reader to find the basis for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tex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xplorer. Transference scene composi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elf-understanding by allowing the reader to directly experience the text situ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experienced person. By allowing these three scenes to interact structurally, the reader achieves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total association of meaning. The scene text understanding method enables the reader to realize the universality of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that generates one’s own life. 이 논의에서는 로렌쩌가 정신분석 방법으로 제시한 장면적 이해를 활용해 독자의 텍스트 이해 방법을 탐구한다. 로렌쩌의 장면적 이해는 하버마스가 가다머의 이해의보편성이 갖는 제한점에 대해 논쟁하면서 그 근거로 제시한 것이다. 논쟁의 결과는 장면적 이해도 이해의 보편성에 포함된다는 것이다. 장면적 이해에서는 먼저 상담사가 내담자(환자)와의 대화를 통하여 실제 장면, 유아기 장면, 전이 장면을 구성한다. 그다음 이들 장면의 의미연관을 통하여 내담자를 이해하고, 그의 정신증을 치료하게 된다. 이 장면적 이해는 독자의 텍스트 이해의 방법을 설명할 수 있는 논리를 제공한다. 텍스트 이해에서 실제 장면 구성은 독자가 관찰자의 입장에서 텍스트 내용을 파악하게 한다. 유아기 장면 구성은 근거 장면이 되어 독자가 탐구자의 입장에서 텍스트의 의미를 해석 할 수 있는 근거를 찾게 한다. 전이 장면 구성은 독자가 경험(참여)자의 입장에서 텍스트 상황을 직접 경험하여 자기 이해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 독자는 이들 세 가지 장면이 구조적으로 상호작용하게 함으로써 의미의 전체연관을 통하여 자기 이해를 이루게 한다. 장면적 텍스트 이해 방법은 독자가 자기 이해와 자기 삶을 생성하는 이해의 보편성을 실현하게 한다.

      • KCI등재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법칙의 시사

        김도남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about reader’s the understanding of text based on a macro level. The reader takes a piece of information, concept, idea and knowledge in reading, or he has the deepest insights for a matter of concern the subject. This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of text can be explained by the power law distribution. From the power law’s viewpoint, the number of the former of reader’s understanding is many, but the latter is a few. In the power law distribution, the part of the few is called the emergent understanding. The emergent understanding is beyond the reader’s present cognition level, and gain a new consciousness. This understanding is achieved through efforts to transcend the limits of the recognition of the text or the reader. Readers need to be interested in this emergent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 of power law for reader’s understanding of text are three matter. The need of awareness for the power law in reader’s understanding of text, Oriented towards emergent understanding, and Reading Education Reflecting Emergent Understanding. In short, we take an interest in the power law of reader’s understanding of text, and enables the reader to emergent understanding of tex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emergent understanding and the reading education for this. 이 논의는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대한 거시적 측면을 검토해 본 것이다. 독자는 텍스트를 읽으면서 개별적인 개념이나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상에 대하여 깊이 있는 통찰로 안목을 얻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텍스트 이해의 특성을 멱함수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멱함수는 반비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인데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서 작은 이해는 수가 많고, 큰 이해는 그 수가 적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그래프에서 오른쪽 부분에 분포하는 큰 이해를 창발적 이해라 하였다. 창발적 이해는 독자의 인식의 전환을 이루는 이해이다. 이 이해는 텍스트나 독자의 인식의 한계를 넘기 위한 노력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독자는 이 창발적 이해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법칙이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이해의 멱함수 존재, 창발적 이해에 대한 지향, 창발적 이해를 반영한 읽기 교육을 들 수 있다.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법칙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읽기와 읽기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멱함수 법칙에서 드러나는 창발적 이해에 대한 인과 관심이 필요하다. 창발적 이해를 설명하고 이를 추구하기 위한 읽기 교육적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교육사상 연구방법으로서 텍스트 다시 쓰기

        김상섭(Kim, Sang-Sup)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1

        문헌해석학의 역사는 한마디로 저자의 '의도 파악'에서 텍스트 '보다 잘 이해하기'로, 다시금 텍스트 '다르게 이해하기'로 발전해왔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그러한 성취를 수용하면서 데리다의 철학에서 텍스트 이해의 보다 구체적인 모습을 찾아내고자 한다. 데리다는 텍스트를 의미발생의 흔적으로 간주하면서, 텍스트의 표면과 이면이 서로 중첩되면서 분리되는 의미발생의 놀이를 활성화한다. 그러한 독서법은 텍스트를 매개로 개시되는 '차연'의 놀이에 적극 참여하는 구체적인 철학하기로 간주된다. 그런데 그의 해체적인 독서는 다시금 텍스트 다시 쓰기라는 실천으로 구체화된다. 반면에 글쓰기는 의미의 발생을 활성화하는 해체적 독서를 실제적으로 수행하고 완수하게 된다. 따라서 텍스트 다시 쓰기는 자기 자신을 '글을 쓰는 사람일 뿐만 아니라, 또한 글에 의해 써진 사람'으로 구성하고 이해하며 표현하는 텍스트 연구의 구체적인 모습이자 형태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began to discuss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ermeneutics that is to summarize as a shift from the understanding the author's 'intention' over understanding the text 'better' than the author to the understanding the text 'differently'. Accepting such results, I have tried to make concrete the method and process of the understanding differently by leaning on Derrida's philosophy. Derrida's philosophy is to characterize as a deconstructive philosophy which means to continue and maintain the game of meaning by confronting the overt meanings of a text with its covert ones. According to Derrida, the text is the place of traces that the appearance of meanings left behind.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of a text is not to repeat its contents, but to revitalize the game of meaning. Such a reading is here conceptualized as a deconstructive reading of text. The deconstructive reading of text is to regard as a philosophizing which is characterized as a active participating in the game of meaning engraved in the text. Reading texts deconstructively is again to concretize in form of their re-writing, because texts consist in the game of meaning, and furthermore because writing does not mean a mere recording of the thoughts, but an experimental and aggressive activity of thinking. In other words, the re-writing of texts is to count as an actual moment which accomplishes and completes their deconstructive reading. Therefore it seems plausible to conclude that the re-writing of texts is acceptable as a method to study educational thoughts, because the concrete form and figure of studying educational thoughts can be determined as finding the interpret himself as a described person by texts and their co-author simultaneously.

      • KCI등재

        사유의 형식과 독자의 텍스트 이해 특성 고찰 - 들뢰즈와 가타리의 사유의 형식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

        여수현,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3 No.-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is based on the form of thought. Property of text comprehension vary depending on which form of thought the reader chooses. In this paper,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forms of thought of Deleuze and Guattari, we explore three forms of thought related to the reader's text reading. The first form of thought is ‘forced thought’, which captures and binds the people’s thoughts in a magical way. The second form of thought is ‘submissive thought’, which seeks to become a master through obedience. The third form of thought is ‘nomadic thought’ formed through connection with the environment. These thought forms act on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The first is text understanding that seeks totality resulting from forced thought. The second is text understanding that seeks subjectivity resulting from submissive thinking. The third is text understanding that seeks to create a difference resulting from nomadic thinking. The reader must recognize the form of thought that his or her understanding of the text came from. Reading education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reader's text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form of thought. 독자의 텍스트 이해는 사유의 형식에 기초한다. 독자가 어떠한 사유의 형식으로 이해를 전개하는가에 따라 텍스트 이해의 속성은 달라진다. 본 논의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천 개의 고원』의 12장에서 논의한 사유의 형식을 토대로, 독자의 읽기에 작용하는 세 가지 사유의 형식을 거시적 관점에서 탐구한다. 첫째는 강요된 사유이다. 사람들의 사유를 마법적인 방식으로 포획하며 속박하는 사유이다. 둘째는 복종적 사유이다. 개별적인 사유를 지향하지만 그 실체는 복종을 통해 주인이 되려 하는 사유이다. 셋째는 유목적 사유이다. 매끄러운 공간에서 부딪히는 환경과의 접속으로 형성되는 사유이다. 각각의 사유의 형식은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작용한다. 첫째는 전체성 지향의 텍스트 이해로 제국적 사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통일된 보편성을 추구하는 이해이다. 둘째는 주체성 지향의 텍스트 이해로 계약적 관계에서 비롯된 전문가의 해석에 동의하면서 동시에 자유로운 정신적 사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는 이해이다. 셋째는 유목성 지향의 텍스트 이해로 국가-형식의 사유를 벗어난 유목적 사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차이 그 자체인 의미를 생성하는 이해이다. 독자는 자기의 텍스트 이해가 어떠한 사유의 형식을 바탕으로 하는지 인식해야 한다. 읽기 교육에서도 사유의 형식에 따른 읽기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창의적인 수업: 글재료의 이해와 창의력 개발

        김영채 대한사고개발학회 2009 사고개발 Vol.5 No.2

        학교교육의 핵심은 교과수업에 있고, 교과수업에서는 글재료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교과수업에서 교과목의 내용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토록 하는 교과내용목표와 창의적 사고기능과 태도를 개발해야하는 창의력 교육 목표가 자전거의 두 바퀴처럼 하나의 전체적인 과정으로 통합되지 못한다면 교과수업은 물론이고 창의력 교육은 여전히 미흡하고 부족하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는 교과수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글재료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을 가르치는 것(교과내용의 수업목표)과 창의적 사고기능과 태도를 개발하는 노력(창의적 사고목표)이 전체적인 하나의 수업과정 속에서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를 논구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먼저 창의력과 창의력 수업을 간단하게 정의해 보았다. 창의력이란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이며 특히 수업과 관련하여 보면 발산적 사고의 창의력 교육에서 발산적-수렴적 창의력 교육으로 그리고 다시 창의적 문제해결의 창의력 교육에 이르는 3개의 위계적 수준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해의 수준으로는 내용 이해(뼈대이해), 비판적 이해, 및 창의적인 이해(종합, 조합의 독서)의 세가지로 나누어 위계적이면서 동시에 교행적인 것으로 접근하였다. 아울러 글재료의 성질, 구조 및 글재료 이해의 세 가지 수준에 대하여 음미해 보았다. 글재료는 응집적이고 구조적이며 그리고 메시지 전달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런 다음 글재료를 글의 일차적이 목표에 따라 이야기 글 (서사문)과 논설문으로 나눈 다음 각기의 이해의 수준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사고기능들을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교과내용의 습득과 창의력 개발은 떨어져 별개인 수업목표가 아님을 보여줄 수 있는 수업전략 몇 가지를 같이 제시해 보았다. This paper addressed how the creativity development/teaching could be feasible and accessible in teaching of curricular contents. In other words, it explored how the teaching/understanding of reading materials (curricular purpose)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hinking and disposition (creativity development purpose) could be integrated within the whole process of instruc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t examined foremost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and creativity instruction and, then, nature and structure of text - the reading materials - and levels of text understanding. And then, thinking processes needed to understand deeply at different levels of content understanding, critical understanding and synthetic understanding were analyzed and discussed with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separately. Finally, based on the discussions, specific teaching tips for the integration of text understanding and creativity development had been specifically suggested.

      • KCI등재

        문자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하채현 ( Chae Hyun H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9 No.-

        이 글은 ``매체``가 다른 문자와 영상에 대한 학생의 이해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문사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에 대한 학생의 이해에 관한 기초 연구는 조사 연구(survey research)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연구문제로 설정한 것과 관련된 설문 문항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표집된 설문지를 spss로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대학교 교양 수업 수강자를 대상으로 전체 학생 266명이 설문 작성에 참여하였고, 강의를 맡고 있는 교수자 26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문자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지적 즐거움, 지혜, 성숙을 위해서, 영상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감각적 즐거움, 흥미와 몰입을 위하여 한다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문자 텍스트 수업과 영상 텍스트 수업에서 두 수업의 목표가 동일하다고 보는 인식이 두드러졌다. 만약 두 수업의 목표가 다르다면 문자 텍스트 수업은 표현력과 상상력의 향상, 문학적 지식의 획득을, 영상 텍스트 수업은 영상 예술의 이해, 문화생활의 영위를 지향해야 한다고 학생들이 대답했다. 마지막으로 서사 이해에서 내용 이해와 인물 이해를 더 잘 할 수 있는 텍스트는 영상 텍스트라고 보는 응답이 우세했다. 그러나 상상력을 더 잘 발휘하게 하는 텍스트는 문자 텍스트라고 보는 응답이 많았다. 기억의 지속성에서는 영상 텍스트가 약간 우위에 있지만 문자 텍스트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고는 매체에 따른 학생과 교수사의 인식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인식도 조사를 통하여 여전히 학생들과 교수자들이 매체에 따른 학습의 차이점에 그다지 주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수자들은 문자와 영상이 주는 인식적 차이를 무시한 채, 내용 파악의 용이함을 매체 활용의 중요한 이유로 생각하고 있는 반면 학생들은 영상을 내용 파악이 용이한 매체로 여기지 않고 있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교육 현장에서 교수자와 학생의 매체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서 학습 목표와 목적에 맞는 매체의 적절한 활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bout media in the other paper and images are different from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how the research is to look at. Paper text and visual text based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academic research method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set up a research problem involved creating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Sampled were analyzed by SPSS questionnaire were reviewed. University of the classes to target the entire student participants created 266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instructor responsible for teaching 26 people were involv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ersonal experience of paper text and intellectual pleasure, wisdom, maturity, to the personal experience of visual text sensual pleasure, excitement and commitment that you replied to. Paper text and visual text classes have the same goal of seeing that perception was found. If the two classes of the goals in different characters, text lessons expressiveness and imagination improved, literary knowledge acquisition for the class should be, and visual text class visual arts,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life of the lead for the teaching point should be the student replied. And understand the contents and characters in narrative comprehension can better understand the text was the visual text. However, a better exercise of the imagination that the text was paper text.

      • KCI등재후보

        한국근·현대사 텍스트로서『해방전후사의 재인식』에 대한 검토

        이명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7 교과교육학연구 Vol.11 No.1

        본 논문은 민주화 시기의 역사의식을 대표하는 역사서술이 「해방 전후사의 인식」이며, 선진화시기의 역사의식을 반영하고 있는 역사서술이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이라고 전제한다. 이러한 전제 위에서 새로운 역사교육의 텍스트로서 후자의 의의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그것은 후자가 지금 이 시점에서 ‘선진화 시기’의 새로운 역사인식을 제안하고 있는 텍스트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선진화 시기 새로운 역사교육의 목표는 대한민국을 자유민주주의에 의해 선진화와 통일로 이끌 한국인의 육성을 목표로 하면서, 역사적 사고력도 기르고 민주 시민적 자질도 육성하는 방향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새로운 역사교육 텍스트의 기준도 새로운 목표에 부응하여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설정 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옹호하고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둘째, 자유민주주의에 의한 평화적 통일을 지향해야 한다. 셋째, 글로벌 지식기반 사회를 배경으로 대한민국의 선진화를 추구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역사적 사고력을 기룰 수 있고, 민주 시민적 자질도 육성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논의의 결과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먼저, 새로운 역사교육 텍스트로서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옹호하고 정체성의 확립을 추구하는 측면에서는 요건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평화적 통일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선진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역사에 대한 상대화를 통해 민주 시민적 자질의 기초를 함양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has the following two prerequisite. First, the historiography which represent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period of democratization' is 'Korean history of the before and after time of liberating from Japanese colony 「해방전후사의 인식」'. Second, the representative history description which reflect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period of pursuing a advanced nation' is 'New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of the before and after time of liberating from Japanese colony 「해방전후사의 재인식」(From below, 'New understanding') On this above prerequisite, I will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e latter('New understanding') as a text of new Korean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through this paper. Why do I investigate 'New understanding'? It is not because I evaluate 'New understanding' representative historiography of 'the period of pursuing advanced nation', but because I think 'New understanding' a good text, which involve the new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period of pursuing advanced nation'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It can be set with aim of the new history education that they will rear the Korean who will conduct Republic of Korea with advanced and unified nation by freedom and democracy. With this together, it also may be set with aim of the raising of historical thinking and citizenship. The text of new history education must correspond with the following three direction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 First, the text must guarantee to support the justifiability of ROK & to establish the true identity of ROK. Second, it must aim at a peaceful unification of ROK which will be come true by freedom and democracy. Third, it must pursue the advancement of ROK on the background of globalization and knowledge base society. With this together, it must pursue the raising of historical thinking and citizenship. As a result of discussion in this paper, I can assert that the 'New understanding' involve the following kind of significance. Above all, it seems that the 'New understanding' as a text for new history education satisfies the conditions on which it must guarantee to support the justifiability of ROK & to establish the true identity of ROK. But, it seems that the 'New understanding' is holding a problem from the view point that it must aim at a peaceful unification of ROK. Also, the 'New understanding' have both a limit and a possibility from the view point that it must pursue the advancement of ROK. And then, 'New understanding' will be permitted with affirmative evaluation from the view point that it must pursue the raising of citizenship.

      • KCI등재

        텍스트 이해를 위한 상호텍스트 활용의 실제 - 문학 텍스트와 미디어 텍스트의 징표와 변형을 중심으로 -

        박지윤 ( Ji Yoon Park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4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과정은 독자가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과정과 같다. 이때 독자는 자신의 경험과 스키마를 바탕으로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데, 이때 상호텍스트는 텍스트 이해에 중요한 수단이 된다. 이 글은 텍스트 이해를 위해 상호텍스트성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 실제를 들어 보이는 데 목적이 있다. 상호텍스트가 텍스트 이해를 돕는다는 논의는 몇 차례 있었지만, 추상적이고 원론적이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문학 텍스트와 미디어 텍스트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텍스트 이해를 위한 상호텍스트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살펴본다. 상호텍스트에서 중요한 징표와 변형을 미디어 텍스트에서는 각각 반복과 복합으로 보고, 반복 징표의 하위 범주로는 내용, 통사 구조, 사회적 맥락, 거시 구조 등의 유사성으로 보았다. 문학 작품 중 ‘봉산탈춤 제6과장’의 상호텍스트는 개그콘서트 ‘달인’ 텍스트로, ‘구운몽’의 상호텍스트는 영화 ‘매트릭스’로 보고 이의 징표와 변형을 확인하여 미디어 텍스트가 문학 텍스트와 친연성이 있으며 상호텍스트로서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효용성과 의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rocess of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texts is the same as the reader`s organizing the meaning of it. At this time, the reader organizes the meaning based on his own experience and schema. Here the intertexts play a great role in helping people understand the texts. This paper is to show you how the intertextuality was used for helping people understand the texts and how it was used with the actual examples. There were some discussions that the intertexts help people to understand the texts. But as they were abstract and theoretical, it is now required that the specific and empirical proposals are to be suggested. According, I will try to find out how the intertexts should be used for understanding the texts by focusing on the similarity between literary texts and media texts. I deemed that the important mark and transformation in intertexts are repetition and combination each in media texts and that the subcategory of the repetitive mark includes the contents, syntax structure, social context and macro structure. I deemed the intertexts in "Bongsan Mask Dance Section 6" as the text of "a Master" in Gag Concert and also deemed the intertexts in "Guunmong" as the movie "Matrix" and checked their marks and transformations in order to find out that the media text has some affinity to the literary texts and that they are effective in readers understanding the texts as the intertexts.

      • KCI등재

        텍스트 타자와 독자 자아-레비나스의 타자 철학을 중심으로-

        김도남 한국국어교육학회 2018 새국어교육 Vol.0 No.114

        Reading is done for several purposes. Self-understanding of readers is also one purpose of reading. The self-understanding of the reader is related to defining the self. According to Levinas, people need others to know their selves. It is because the recognition of the other leads the self to the surface of consciousness. The reader-self is revealed when you meet a text-other. When the reader reads a text, he meets a text-other, and then the self is recognized. The perceived self speaks to the text-other, and the text reader informs his consciousness. The perceived self speaks to the text-other, and the text-other informs the reader self of the contents of his consciousnes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reader-self and the text-other occurs. Through this communication, the reader-self identifies and defines the content of consciousness. The reader-self compares the contents of consciousness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text-other. The difference in this comparison reveals that the reader-self has a question of what to do. The answer to this question comes from communicating with the text-other. The reader-self will be able to define the self using the answer of the text-other. 읽기는 여러 가지 지향을 갖는다. 독자의 자기 이해도 읽기의 한 지향이다. 독자의 자기 이해는 자아를 규정하는 것과 관련된다. 자기 이해는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그 의식내용을 밝혀 인식하는 것이다. 레비나스에 따르면 사람이 자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타자가 필요하다. 타자의 인식이 자아를 의식의 표면으로 이끌어내 주기 때문이다. 독자 자아는 텍스트 타자를 만났을 때드러난다. 독자는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텍스트 타자를 만나게 되고, 이때독자 자아가 발현한다. 발현된 독자 자아는 텍스트 타자와 소통하여 텍스트타자의 의식내용을 인식하게 된다. 소통의 과정에서 독자 자아는 텍스트 타자와 의식내용을 비교하게 된다. 이 비교에서 차이점이 드러나면서 독자 자아는자신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의문을 갖게 된다. 이 의문에 대한 답을 텍스트 타자와 소통하면서 얻게 된다. 독자 자아는 텍스트 타자의 답을 이용하여 자아를 규정할 수 있게 된다. 레비나스의 타자 철학의 논리에서 보면 독자 자아의규정은 텍스트 타자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텍스트 타자와의 소통에 기초한 자기 이해를 위한 읽기 연구는 아직 구체화되지 못한 면이 많다. 이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