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the Location and Outdoor Space Com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Seowons - Focusing on the Sosu and Bailudong Seowons -

        Qinhong Ren,Deugsoo Ahn 전북대학교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6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0 No.1

        This paper analyzes the location, landscape elements, and outdoor space composition in the Korean Sosu seowon and Chinese Bailudong seowon. The Sosu and Bailudong seowons were designed to fit well into similar valleys, and they share the approach of Jwa hak woo myo, which means the sacrificial space is on the right and the educational space is on the left. The two seowons each have unique layout characteristics, which reflect topographical features. In the case of the Sosu seowon, the buildings have different orientations, creating a natural arrangement of structures. By contrast, in Bailudong seowon, buildings have a fixed orientation and a formal serial-parallel arrangement along five abscissa axes and one longitudinal axis. Pedestrian systems were established in both seowons, designed to reflect the hierarchical order of the buildings. The Sosu seowon adopted the pedestrian system that encouraged strolling, while the Bailudong seowon’s orthogonal circulation system was set up lengthwise, in parallel with the transverse. The component buildings used for worshiping ancestors and giving lectures, as well as the supporting spaces, were created at the start of the building process, while various other buildings were built to meet the needs of later periods. The two waterscape facilities are also very different: the Takcheongji (pond) at the Sosu seowon symbolizes clarifying the mind through study, while the Panchi (pond) at the Bailudong seowon merges with the Lishengdian (shrine) to contain and represent Confucian culture. The rock carvings at the two seowons differ in both quantity and content. However both sets of rock carvings incorporate Neo-Confucian meanings designed to encourage students to cultivate themselves. From the perspective of earlier literature, both seowons took the meaning of trees very seriously, although they planted different types of trees in their grounds.

      • KCI등재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公的 기반 변화와 그 대응

        김자운(Kim, Ja-woon) 역사문화학회 201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8 No.2

        이 연구는 소수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서원 교육의 토대였던 공적 기반 변화와 그 대응 방식에 따라 서원교육의 정체성과 성격이 어떻게 변화해왔는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시대 서원은 공적 기반 확보를 위해 국왕에게 사액을 요청하여 국가의 공식적 승인과 지원을 획득함으로써 서원의 위상을 확립하는 한편, 지방관의 행 재정적 지원을 통해 서원교육의 실질적 기반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서원 운영에 있어, 관권을 배제한 향촌자치제를 강조했던 퇴계의 서원론을 따르던 영남 남인계 서원들 역시 조선후기로 가면서 경제적 기반이 약화되자 점차 관권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었다. 지방관의 행 재정적 지원 없이 서원교육의 유지는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였으므로, 교육 이념과 내용 면에서는 관권의 개입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한편, 행 재정적 지원 확보를 위해 서원에서는 끊임없이 관권을 개입시키고자 하는 이중적 태도를 취하였다. 이와 같이 관권의 개입과 배제라는 모순적, 이중적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조선시대 서원이 처했던 딜레마와 다양한 대응 방식을 소수서원 사례를 통해 엿볼 수 있다. 한편, 16세기 소수서원은 공적 기반 뿐 아니라 교육의 성격에 있어서도 사학보다는 관학에 더 가까웠다. 16세기 풍기군수 주세붕과 경상감사 안현은 서원을 관학과 다름없는 교육기관으로 인식, 관학에 버금가는 특전을 제공하고, 교육 내용에 있어서도 철저하게 과거 대비를 위한 교육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후 도학으로 무장한 사림들이 정계에 진출, 풍기군수로 부임하면서 서원을 관학의 연장선에서 바라보던 서원관에 변화가 일어났고, 서원교육이 이념적으로 관학에서 독립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17세기 풍기군수 이준은 지방관이자 동시에 사림의 일원으로서, 서원의 공적 기반을 제공하는 한편, 교육 이념에 있어 관학적 성격의 탈피를 주장하며 파격 논쟁에서 파격의 근거와 논리를 확립하였다. 우여곡절 끝에 그의 논리가 관철되면서 그는 서원교육이 관학적 성격에서 벗어나 주자와 퇴계가 주장한 서원의 사학 정신을 소수서원에 확립한 계기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18세기 소수서원은 과거공부만하던 관학적 속성에서 벗어나 비로소 주자의 사학 정신과 이념을 확립하고 이를 실천하는 도학서원으로 재탄생할 수 있었다. 18세기 소수서원은 이념적으로는 관학에서 독립하였으나 18세기부터 지방관의 전폭적 지원이라는 특혜가 사라지면서 서원교육의 공적 기반을 상실하였다. 이에 삼동거재와 윤번거재, 양사청의 설치 등 다양한 자구책을 동원하여 교육을 지속하고자 도모하였다. 그러나 18세기 말 양사청이 완전히 폐지되면서, 교육을 지속하기 위해 다시 관의 지원을 확보할 묘안을 강구해야 했다. 이에 겸원장 제도를 마련하여 다시 관권을 개입시킴으로써, 공적 기반을 확보하고 수령의 지원과 참여를 끌어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공적 기반 확보를 위해 의도적으로 관권을 개입시킨 결과 수령의 지원과 참여는 또 다시 과거공부의 폐단을 낳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19세기 서원의 지도자들은 과거공부가 도학을 방해하고 서원 본래의 교육이념을 해칠까 우려하며, 관권을 개입시켜 공적 기반을 확보하는 한편, 교육내용에서는 과거공부에 치우치지 않고 道學과 科業의 균형과 조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강구하였다. 19세기 소수서원 동주 이가순과 강운의 사례에서 그 고군분투의 과정을 엿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rough a positivistic examination of Sosu Seowon, how the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 of seowon education have changed and how the public foothold of private academies changed during the Joseon Dynasty. Conventional views hold that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dynasty made a transition from centralized to decentralized, with the government yielding its educational authority to local literati, thus shifting the nature of education from a government-operated education system to a private education system. A micro-historical analysis of Sosu Seowon, however, shows the coexistence of government initiatives and the local literati’s educational influences, as well as a mixture of public and private characteristics. This is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view that there was a linear change in the Joseon Dynasty education system. Sosu Seowon continuously secured a public foothold and maintained its identity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playing the role of a public academy at one time and a private academy at another, respon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changes in Sosu Seowon’s public foothold have been closely linked to changes in its educational ideology and content. Understanding Joseon Dynasty seowon education, therefore, requires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in the public foothold of seowon. Characterizing seowon education in a dichotomous way, without a thorough analysis, as “public” or “private,” or “government-centered” or “private academy-led,” might distort the realities of seowon educ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a case study,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s in seowon education’s public foothold and its responses to changes of the times from the 16<SUP>th</SUP> to 19<SUP>th </SUP> centuries.

      • KCI등재

        16세기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김자운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Seowon in Choseon dynasty focused on Sosu-Seowon. Choseon Seowon is usually regarded as a private school not a government-operated Academy. Also, people think Seowon was built and managed by gentry and they explored dohak(道學) in Seowon. However, Jusebung who established the first Seowon was more close to a meritorious retainer rather than gentry and the education in 16th century was somewhat different with dohak. In addition it was very ambiguous to regard Sosu-Seowon in 16th century as government-operated Academy or private school. Thi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hoseon Seowon has gone to change over time. Then, what was the educational purpose of Sosu-Seowon in 16th century and how the education was accomplished? The government-operated Academy of Choseon was losing the educational function in 16th century. So Jusebung regarded Seowon as the replacement of government-operated Academy. As the result, the education in 16th century was focused on preparation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the result of this education was very effective. Although Jusebung did not inherit Chu hsi’s educational philosophy with Seowon, he successfully carried out his duty to reconstruct school as a local magistrate. Since the 17th century,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actice of Sosu-Seowon began to change, finally, Seowon was a place to explore and practice the do-learning(道學) not prepare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이 연구는 학교로서 조선조 서원이 수행한 교육의 성격과 그 성격의 변화 과정을 소수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1543년 주세붕에 의해 창건된 이래 조선의 서원은 흔히 ‘官學’이 아닌 ‘私學’으로, ‘士林’이 그 설립과 운영의 주체가 되어 본받을만한 스승이나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道學’을 講明한 곳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조선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을 설립한 주세붕은 사림보다는 공신 계열에 가까운 인물이었고, 16세기 소수서원에서 행해진 교육도 道學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으며, 운영 주체나 학교의 성격 면에서도 官學과 私學의 구분이 매우 모호한 상태였다. 이는 학교로서 조선조 서원의 성격이 시대를 거치면서 변화해갔음을 말해준다. 그렇다면 16세기 소수서원에서는 과연 무엇을 목표로, 어떤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을까. 백운동서원은 설립된 지 3년 만에 ‘이 서원에서 공부하면 5년도 안되어 모두 과거에 급제한다’고 회자될 만큼, 과거 공부를 가장 효율적으로 시키는 科學(科擧之學)의 명소로 급부상하고 있었다. 또한 1558년 스무살의 나이에 소수서원에서 공부하던 학봉 김성일은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 과거 공부만 하고 자신을 위하는 학문을 알지 못한다면, 이는 아주 부끄러운 일이다’고 하며 과거에 뜻을 접고 도학을 탐구하기 위해 소수서원을 떠나 도산서당으로 가서 퇴계의 문하가 되었다. 이 일화들은 16세기 소수서원의 교육 실제와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즉, 16세기 소수서원은 교육의 내용과 효과 면에서 무엇보다 科業을 충실히 수행하는 곳이었다. 그렇다면 16세기 소수서원 교육이 이와 같은 식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배경은 과연 무엇이고, 그 교육은 어떤 이념 하에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의미는 과연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또 16세기 이후 소수서원 교육의 이념과 실제는 과연 어떻게 변화해갔는가? 본고는 이와 같은 물음에 답함으로써 조선조 서원 교육의 성격과 그 변화 과정의 일단을 살피고자 한다.

      • KCI등재

        16세기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金紫雲 ( Kim Ja-woon )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8 No.-

        이 연구는 학교로서 조선조 서원이 수행한 교육의 성격과 그 성격의 변화 과정을 소수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1543년 주세붕에 의해 창건된 이래 조선의 서원은 흔히 ‘官學’이 아닌 ‘私學’으로, ‘士林’이 그 설립과 운영의 주체가 되어 본받을만한 스승이나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道學’을 講明한 곳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조선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을 설립한 주세붕은 사림보다는 공신 계열에 가까운 인물이었고, 16세기 소수서원에서 행해진 교육도 道學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으며, 운영 주체나 학교의 성격 면에서도 官學과 私學의 구분이 매우 모호한 상태였다. 이는 학교로서 조선조 서원의 성격이 시대를 거치면서 변화해갔음을 말해준다. 그렇다면 16세기 소수서원에서는 과연 무엇을 목표로, 어떤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을까. 백운동서원은 설립된 지 3년만에 ‘이 서원에서 공부하면 5년도 안되어 모두 과거에 급제한다’고 회자될 만큼, 과거 공부를 가장 효율적으로 시키는 科學(科擧之學)의 명소로 급부상하고 있었다. 또한 1558년 스무살의 나이에 소수서원에서 공부하던 학봉 김성일은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 과거 공부만 하고 자신을 위하는 학문을 알지 못한다면, 이는 아주 부끄러운 일이다’고 하며 과거에 뜻을 접고 도학을 탐구하기 위해 소수서원을 떠나 도산서당으로 가서 퇴계의 문하가 되었다. 이 일화들은 16세기 소수서원의 교육 실제와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즉, 16세기 소수서원은 교육의 내용과 효과 면에서 무엇보다 科業을 충실히 수행하는 곳이었다. 그렇다면 16세기 소수서원 교육이 이와 같은 식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배경은 과연 무엇이고, 그 교육은 어떤 이념 하에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의미는 과연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또 16세기 이 후 소수서원 교육의 이념과 실제는 과연 어떻게 변화해갔는가? 본고는 이와 같은 물음에 답함으로써 조선조 서원 교육의 성격과 그 변화 과정의 일단을 살피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Seowon in Choseon dynasty focused on Sosu-Seowon. Choseon Seowon is usually regarded as a private school not a government-operated Academy. Also, people think Seowon was built and managed by gentry and they explored dohak(道學) in Seowon. However, Jusebung who established the first Seowon was more close to a meritorious retainer rather than gentry and the education in 16th century was somewhat different with dohak. In addition it was very ambiguous to regard Sosu-Seowon in 16th century as government-operated Academy or private school. Thi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hoseon Seowon has gone to change over time. Then, what was the educational purpose of Sosu-Seowon in 16th century and how the education was accomplished? The government-operated Academy of Choseon was losing the educational function in 16th century. So Jusebung regarded Seowon as the replacement of government-operated Academy. As the result, the education in 16th century was focused on preparation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the result of this education was very effective. Although Jusebung did not inherit Chu hsi’s educational philosophy with Seowon, he successfully carried out his duty to reconstruct school as a local magistrate. Since the 17th century,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actice of Sosu-Seowon began to change, finally, Seowon was a place to explore and practice the do-learning(道學) not prepare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 KCI등재

        嶺南地方 書院藏書의 淵源과 性格

        裵賢淑(Pae, Hyon-Suk)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6 No.-

        본고는 올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가 결정될 9서원 가운데 영남지방의 6서원을 대상으로 그 문고의 성립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6서원은 소수서원・남계서원・옥산서원・도산서원・도동서원・병산서원이다. 이들 서원은 장서를 하였고, 서적을 수장할 공간으로 문고 또는 장서각을 건립하였다. 이들 서원문고의 장서는 오늘날 대학도서관의 기능을 한 것으로 보인 다. 장서는 장서마다 특징이 있게 마련인데, 서원의 장서도 마찬가지이다. 서원은 설립자와 원규에 따라 장서의 성격에 차이가 있었다. 서원의 장서는 주향자의 수택본 이관본, 국왕・지방관인・사인 기증본과 구입본으로 증대되었다. 서원의 초기 장서 가운데 주향자의 서적을 이관한 경우는 소수서원・남계서원・도동서원은 전무한 상태이고, 도산서원의 경우 일부 서적은 확인되었고, 병산서원・옥산서원은 가능성은 있지만 확신할 수 있는 서적은 찾지 못한 상태이다. 6서원 초기의 장서에는 서원 자체 간본이 나 교환으로 증대된 서적의 증거는 볼 수 없었다. 다만 도산서원에는 송지인책본이 극소수 있었을 뿐이다. 서원마다 기증본 가운데 지방관인 기증본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 국왕하사본은 소량이지만 중시되었다. 구입본은 소수서원의 경우 장서의 기반이 되었고, 도산서원은 지방관인의 기증본 다음으로 큰비중을 차지하였고, 남계서원・옥산서원・도동서원・병산서원은 주기가 없어 알 수 없다. 자체제작본은 병산서원에서는 하권의 대다수를 차지할 정도로 상당히 큰 비중을 보이고 있다. 서적의 주제는 대개 유학의 경서와 유가의학설이 중심이고, 다음이 역사 서적이었다. 그러나 여타 자부서적은 거의볼 수 없었다. 신재는 교육에 있어 서적은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것 같다. 그리하여 서원의 장학과 관계되는 尊賢錄 ・ 學田錄 ・ 藏書錄 을 동등한 수준으로 작성한 것이다. 그 결과 소수서원 창립기 서적의 규모와 입수방법을 알 수 있다. 신재는 서원의 창설뿐만 아니라 장서구축과 서목의 작성에큰 공을 남겼으니, 그 공이 적지 않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origion of book collections stored in 6 seowons in Yeongnam Province, which are going to be registered in UNESCO. They are Sosu, Namgye, Oksan, Tosan, Todong and Pyungsan seowons. All of these seowons had book collections and library buildings to store them. These collections acted as college libraries of nowadays. The collections of seowons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like other collections. The characteristics vary depending on the founders and regulations of seowons. In the process of collections, books were accumulated by donations from the persons whom enshrined, kings and provincial officials, privately donated and from purchases. The books donated from the person whom enshrined were not found at Sosu, Namgye and Todong seowons. At Tosan seowon, only a few books were fou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ksan and Pyungsan seowons had them, but they were not found. There was no evidence found that books published in each seowon and exchanged. Although at Tosan seowon there were 2 kinds of books stored which papers were sent to other publisher and printed there. It looks like a large number of collections of seowons were accumulated by books donated from provincial officials. Books donated from kings were small amounts, but were regarded highly. At Sosu seowon majority of them were books purchased, but at Tosan seowon majority were books donated from provincial officials. Namgye, Oksan, Todong, Pyungsan seowons had no records to show. At Pyungsan seowon a large proportion of books stored were written at its own seowon. The main subjects of collections at most seowons were the Confucian classics, Confucianism and history. Other philosophical books were hardly found. Sinjae Ju Sebung, founder of the first seowon ie. Sosu seowon realized that books were an indispensable part of education. He wrote 「On the sage of seowon」・「On real estate of seowon」 and 「On the book collection of seowon」, all of them on the same level. Through these books, we can understand the founding, the size of collection, and the means of acquisition of the book collections. Sinjae is credited with not only founding the seowon but also the collection and making a compilation of catalogues of the seowon books. His dedication to making a compilation of catalogues was admirable.

      • KCI등재후보

        紹修書院 關聯 詩文에 나타난 退溪의 선비정신 연구

        이정화 한국공자학회 2012 공자학 Vol.23 No.-

        This research paper is aims to study Toegye Lee Hwang of the poetry and prose about spirit of a man of virtue based on the Sosu seowon of orthodox Neo-Confucianism. Also this research paper is to discuss about true disciple and true master of life through Toegye Lee Hwang of the poetry and prose about spirit of a man of virtue based on the Sosu seowon of orthodox Neo-Confucianism. The Sosu seowon is mainly made up of the Zhu Xi school of Neo-Confucianism development. Toegye Lee Hwang was set up by the Sosu seowon. Including men of virtue, Confucians who attended the Sosu seowon and 4,300 people. They were mostly Toegye Lee Hwang’s favorite pupil. Toegye Lee Hwang was a symbol of teacher on related Sosu Soeson. He knew well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His joy was teaching his beloved pupil. His teachings were to live right. This research paper is to based upon on academic spirit of Toegye Lee Hwang. He liked the Sosu seowon and the surrounding scenery located under the Sobak mountain. Written by the poetry and prose on related Sosu Soeson, he became one with nature in mind. 퇴계는 스스로 ‘천석고황(泉石膏肓)’이라 할 정도로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고질병처럼 깊음을 고백한 바 있다. 산수자연을 좋아한 퇴계의 삶은 자연친화적이었다. 퇴계가 지향한 자연친화적인 삶은 자연합일(自然合一)의 시경(詩境)을 이룩하였는데 이는 그가 선비의 참마음을 자연을 통해 깨달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러한 참마음의 본질은 세속의 부귀영화에 뜻을 둔 속인(俗人)들은 체득할 수 없음은 물론이다. 참선비상(像)은 글공부만 열심히 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배운 것을 제대로 실천할 때 실현 가능한 것이다. 퇴계는 죽는 날까지 재주도 없고 덕도 없는 무식쟁이를 자처하며 공부에 전념하며 살았다. 자기완성을 향한 끊임없는 정진이야말로 퇴계가 추구한 삶의 목표였던 것이다. 그는 환로(宦路)에서 영광을 누리는 것보다는 신재와 같은 참선비들과 더불어 성학(聖學)을 궁구하는 생활 속에 인생의 진미(眞味)가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성현이란 존재는 하늘의 달이 영원하듯이 시대를 초월해 선비의 롤모델로 자리한다. 인간의 삶이 고결할 수 있는 까닭은 시대를 초월해 영원한 가르침을 주는 성학(聖學)을 실천하기 때문이다. 선비의 진정성 역시 이러한 삶의 가치를 추구하며 살아가면서 확보되는 것이다. 호학(好學)하는 사람이면 미천한 신분이라 할지라도 제자로 받아들여 유생들과 똑같이 가르쳤던 퇴계야말로 참스승의 길을 간 선비라 할 수 있다. 퇴계는 소수서원에서 수많은 제자들을 길렀는데, 그 가운데 대장장이 배순을 제자로 기른 사실은 신분의 귀천 및 지위고하(地位高下)에 따라 사람을 차별하였던 그 당시에는 획기적인 일임과 동시에 그의 성품이 성현과 다를 바 없음을 보인 일이다. 퇴계는 평생 스스로를 대학자라든지 스승으로 내세우지 않고 겸허하게 살았으므로 참스승이 될 수 있었다.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배향 인물 영정의 현상적 접근

        오수원(吳壽元),권혁중(權赫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portraits of enshrined characters in the World Heritage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and to identify the role and status of the portraits of each Seowon at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Seowon was in charge of Neo-Confucianism education and served as a ritual for the enshrined person. The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y, which was added to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2019, is home to nine portraits of Ahn-hyang(安珦, 1243-1306) and Joo Se-bung(周世鵬, 1495-1554) in Sosu-seowon, Namgye-seowon, Oksan-seowon, Dosan-seowon, Piram-seowon, Piram-seowon, Dodong-seowon, Gyeongsan-Seowon, and Donam-seowon. Namgye-seowon only houses the portrait of Jeong Yeo-chang(鄭汝昌, 1450-1540), and Choi Chi-won(崔致遠, 857-?) in Museong-seowon. In all Seowon, rituals are held according to strict procedures, and in Seowon, where portraits are enshrined, rituals are held by serving portraits along with memorial tablets. Given that Sosu-seowon, who received the Bestowal of Title Boards for the first time, is being held as an example, it is hoped that Seowons necessity will be recognized even in a Confucian academy without portraits in the future.

      • KCI등재

        투고논문 : 소수서원(紹修書院) 관련(關聯) 시문(詩文)에 나타난 퇴계(退溪)의 선비정신 연구

        이정화 ( Jeong Hwa Lee ) 한국공자학회 2012 공자학 Vol.23 No.-

        퇴계는 스스로 ``천석고황(泉石膏황)``이라 할 정도로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고질병처럼 깊음을 고백한 바 있다. 산수자연을 좋아한 퇴계의 삶은 자연친화적이었다. 퇴계가 지향한 자연친화적인 삶은 자연합일(自然合一)의 시경(詩境)을 이룩하였는데 이는 그가 선비의 참마음을 자연을 통해 깨달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러한 참마음의 본질은 세속의 부귀영화에 뜻을 둔 속인(俗人)들은 체득할 수 없음은 물론이다. 참선비상(像)은 글공부만 열심히 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배운 것을 제대로 실천할 때 실현 가능한 것이다. 퇴계는 죽는 날까지 재주도 없고 덕도 없는 무식쟁이를 자처하며 공부에 전념하며 살았다. 자기완성을 향한 끊임없는 정진이야말로 퇴계가 추구한 삶의 목표였던 것이다. 그는 환로(宦路)에서 영광을 누리는 것보다는 신재와 같은 참선비들과 더불어 성학(聖學)을 궁구하는 생활 속에 인생의 진미(眞味)가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성현이란 존재는 하늘의 달이 영원하듯이 시대를 초월해 선비의 롤모델로 자리한다. 인간의 삶이 고결할 수 있는 까닭은 시대를 초월해 영원한 가르침을 주는 성학(聖學)을 실천하기 때문이다. 선비의 진정성 역시 이러한 삶의 가치를 추구하며 살아가면서 확보되는 것이다. 호학(好學)하는 사람이면 미천한 신분이라 할지라도 제자로 받아들여 유생들과 똑같이 가르쳤던 퇴계야말로 참스승의 길을 간 선비라 할 수 있다. 퇴계는 소수서원에서 수많은 제자들을 길렀는데, 그 가운데 대장장이 배순을 제자로 기른 사실은 신분의 귀천 및 지위고하(地位高下)에 따라 사람을 차별하였던 그 당시에는 획기적인 일임과 동시에 그의 성품이 성현과 다를 바 없음을 보인 일이다. 퇴계는 평생 스스로를 대학자라든지 스승으로 내세우지 않고 겸허하게 살았으므로 참스승이 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paper is aims to study Toegye Lee Hwang of the poetry and prose about spirit of a man of virtue based on the Sosu seowon of orthodox Neo-Confucianism. Also this research paper is to discuss about true disciple and true master of life through Toegye Lee Hwang of the poetry and prose about spirit of a man of virtue based on the Sosu seowon of orthodox Neo-Confucianism. The Sosu seowon is mainly made up of the Zhu Xi school of Neo-Confucianism development. Toegye Lee Hwang was set up by the Sosu seowon. Including men of virtue, Confucians who attended the Sosu seowon and 4,300 people. They were mostly Toegye Lee Hwang`s favorite pupil. Toegye Lee Hwang was a symbol of teacher on related Sosu Soeson. He knew well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His joy was teaching his beloved pupil. His teachings were to live right. This research paper is to based upon on academic spirit of Toegye Lee Hwang. He liked the Sosu seowon and the surrounding scenery located under the Sobak mountain. Written by the poetry and prose on related Sosu Soeson, he became one with nature in mind.

      • KCI등재

        한국 소수서원과 중국 백록동서원의 비교고찰: 건립배경과 자연환경의 풍수적 특성을 중심으로

        조인철 한국도교문화학회 2019 道敎文化硏究 Vol.50 No.-

        This study compares Sosu-Seowon, the first Korean seowon and Bailudong-Shuyuan, the first Chinese shuyuan. Bailudong and Sosu which was originally called Baiyundong have a significant similarity from the name itself. The figures who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foundation of Baekrok-dong Seowon are Kuangsu 匡俗, Taoyuanming 陶淵明, Libo 李渤, Sonchen 孫琛, and Zhuxi 朱熹. A symbolic word related to the foundation background of Bailudong-Shuyuan is ‘hermit[隱遁]’. The main people involved in the foundation of Sosu-seowon in Korea are Anhang 安珦, as the representative of Sun Hung-an family, Keumsengdaegun 錦城大君, Jusebung 周世鵬, and Toegye-Yihwang 退溪李滉. A symbolic word related to the foundation background of Sosu-seowon is ‘integrity[節槪]’. When it comes to the site plan of Bailudong-Shuyuan, the four courts[院] are placed in parallel at the north of the Kwandaoxi 貫道溪, facing Wulaofeng 五老峰 of Lishan 麗山. Meanwhile, Sosu-seowon is located under Yeongyubong 靈龜峰 and at the westside of Jukgyecheon 竹溪川. Since, Sosu-seowon of Korea is established in the ruins of temple, it reflects the Buddhist temple’s site plan. 본 연구는 중국서원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과 한국서원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 소수서원)의 건립배경과 건립지 주변의 자연환경, 건물의 배치 등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서원이라는 시설이 성리학적 교리에 따라 인재를 교육 양성하는 기관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유교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분석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그러나 유교적 측면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도 존재하기에 본 연구는 유교적 측면과 더불어 풍수적 측면을 포함한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서원이라는 건축 시설을 최초로 세운다고 할 때는 형이상학적인 성리학의 교리만으로는 실제적으로 구체화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특정한 시기, 특정한 장소에 서원과 같은 어떤 건축 시설물이 특이한 모습으로 건립되어 있는 상황을 이해하려면 성리학적 교리 외에도 다양한 관점의 해석이나 분석이 필요한 것이다. 예를 들어 지역성을 갖는 전통 건축 시설들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민간신앙이나 풍수적 관점은 매우 유익한 관점이나 분석도구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특히 풍수(風水)는 특정한 터에 자리한 특정한 시설의 의미에 대해 살피는 학문이므로 서원과 관련해서도 유의미한 시점을 끌어낼 수 있다. 중국의 백록동서원과 백운동서원이라고 불리었던 한국의 소수서원은 그 명칭과 여러 기록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서원이라는 용도적 측면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가진다. 하지만 역사적 맥락이나 지역적, 민간 신앙 등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양자 간에는 특이성과 차이점도 분명 존재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서원(書院) 강학(講學) 관련 자료의 유형과 특징

        김자운 ( Kim Ja-w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8 No.-

        이 연구는 소수, 도산, 도동, 옥산, 돈암서원 등 5개 서원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서원 강학(講學)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유형화하고 서원별 강학의 특징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학 자료를 분류하기 위한 타당한 분류 기준을 확립하고, 자료의 내용과 성격에 따라 크게 규약류·강학 시행 기록·강학 의례·강학 재정 관련 기록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규약류 자료를 통해서는 학파, 당파별 원규의 계승과 절목에 나타난 원규의 변용, 서적의 간행과 유통이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학 시행 기록 중강안류 자료를 통해서는 참여자의 규모와 소임 및 고강성적, 일기류 자료에서는 강학의 절차와 시행 방법 및 서원에서의 하루 일과, 강록류 자료에서는 통독 시 토론 방법과 문답의 수준, 토론 시 훈장의 역할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강학 의례에서는 정읍례나 상읍례의 정식적 의례 외에도 경독, 개접례, 파접례, 지례(贄禮), 수창시 등 관습적 의례를 살펴보았다. 넷째, 강학 재정 관련 자료를 통해서는 조선 후기 각 서원의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양사청, 강학계 등 강학 전담 재정기구를 설치하여 강학 개설을 시도하고자 했던 각 서원의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강학 의례 중 ‘지례’는 조선시대 관학에는 없었던 ‘택사(擇師)’의 교육적 의미, 근대교육이 결한 사제관계의 교육적 함의를 드러내며, 상읍례와 정읍례를 통해서는 도덕적 마음과 관계의 훈련이 의례를 통해 어떻게 훈련되고 내면화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원 강학의 마지막 절차가 시험이나 평가가 아니라 각자 강학에서 얻은 교육의 성과를 나누고 공유하는 수창시로 갈무리된다는 사실은, ‘이택지력(麗澤之力)’을 실현하는 교육공동체로서 서원의 의미를 잘 보여준다. 이 같은 서원 강학 의례의 교육적 의미는 관계에 대한 훈련의 문제가 매우 절실한 현대 교육에 하나의 대안으로서 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o classify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an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rchi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osu-Seowon, Dosan-Seowon, Dodong-Seowon, Oksan-Seowon, Donam-Seowon.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nature of the archives, I divided educational archives into four types: the record of rules of Seowon education, the record of actual education, the record of ritual, and the record of financial. First, through the record of rules, I have identified how the rules are passed down and changed from Seowon to Seowon and impact of book publishing and distribution on changes in Seowon Curriculum. Secondly, through the record of educational practice, I have examined the siz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eowon education, the role of officers,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education, the daily routine in Seowon, the methods of discussion and questions in lectures, and the role of teachers in discussions etc. Third, through the record of rituals, I examined customary rituals such as Gyeongdok(敬讀), the rites for opening class(開接禮) and the last class(罷接禮), and the rites for Master-Disciple Relationshipe(贄禮) in addition to official rites such as Jeongeuprye(庭揖禮) and Sangeuprye(相揖禮). Fourth, through the record of financial, we could see howthe late Joseon Seowon tried to continue the education by setting up a financial institution dedicated to education despite severe financial difficultie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 typification method of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that have been attemp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odel for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However, this needs to be supplemented and discussed further. In addition, if a methodology can be developed to collect a wide range of materials that have been scattered over various materials through the classification and typification of the materials, it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 of Seowon research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