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광 서비스의 복고주의 전략: 중간 불일치 효과

        고선영 ( Ko Sun Young ),전기흥 ( Jeon Ki Heung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5

        교육수준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관광수요가 많은 경향성이 있다. 소득 등의 경제적 여유가 많아질수록 새로운 관광에 대한 소비욕구 역시 높아지는 경향성이 있다. 관광 서비스에서도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복고주의 전략을 시도하기도 한다. 통상 제품 및 서비스는 좋은 것, 멋진 것에 기반하여 제공하는데, 복고주의는 전혀 생각지 못했던 예전의 향수를 통해 색다른 새로움을 주는 전략이다. 복고주의는 향수를 기반으로 한다. 앞만 보고 달리다 뒤돌아본 과거에서 새로운 감동을 느끼게 하는 전략이다. 교육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에게도 매우 적절성이 높은 마케팅 전략이다. 일시적인 경제적 여유의 감퇴가 있는 경우에는 즐거웠던 과거를 더 생각하게 한다. 이럴 때 복고주의 전략이 더 효과적인 면이 있다. 2010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복고주의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다. 각 지역에서 한옥마을 개발하는 추세와 무관치 않다. 그러나 모든 한옥마을이 성공하지는 않았다. 복고주의에도 전략이 있다. 본 연구는 어떤 도시의 복고주의 관광 서비스가 효과적인지를 살펴보았다. 복고주의라고 해서 무조건 예전으로 돌아가는 복고가 효과적인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복고의 정도를 상, 중, 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를 진행한 결과, 도시 이미지가 복고와 일치성이 높은 도시가 그렇지 않은 도시에 비해 복고 관광 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호의적이었다. 복고의 정도도 중간 정도의 복고가 지나친 복고 또는 부족한 복고보다 평가가 더 호의적이었다. 복고와 일치성이 높은 도시에서 관광 서비스에서 중간 정도의 복고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일치하지 않은 도시에서는 관광 서비스의 복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more tourist demand. The more money you can afford, such as income, the more you want to spend on new tourism. In tourism services, they also try a restoration strategy to provide new services. Usually, products and services are provided based on good and wonderful things. Restoration is a strategy that gives a new twist through nostalgia that was never imagined. Restoration is based on nostalgia. It is a strategy that makes people feel new and impressed in the past when they look back. It is also a highly relevant marketing strategy for high-educational consumers. When there is a temporary economic downturn, it makes us think more of the pleasant past. In this case, the revivalist strategy is more effective. Restoration strategy has taken a certain place in Korea since 2010. The development of Hanok villages in each region is related to the trend. However, not all Hanok villages were successful. Restoration has a strategy. The study looked at the effectiveness of retrospective tourism services in certain cities. Restoration should not necessarily go back to the past. This study looked at the extent of the restoration divided by high, middle, and low.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re consistent cities with the image of the restoration, the more favorable the evaluation of the restoration tourism service. The evaluation of moderate restoration was more favourable than excessive or insufficient restoration. Moderate level effects were seen in cities consistent with the image of restoration. However, the inconsistent cities did not have the effect.

      • KCI등재

        탄소중립 및 국토환경 회복을 위한 녹색복원 종합계획의 4가지 전략적 접근

        손승우,이상혁,김병석,이길상,최희선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7 No.2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and restore the national environment,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policies to transform national land areas into green space, such as expanding nature-based solutions, increasing biodiversity, and improving ecosystem service functions. In addition to complying with international agreements such as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nd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green spaces to achieve the 2050 Carbon Neutrality goal, which can be achieved by restoring the damaged land in an ecological way. However, it is challenging to implement green restoration in a systematic and active way due to conflicts of interest among landowners and lack of institutional support and advanced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trategy to expand green restoration and implement it smoothly and systemat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green restoration in South Korea by investigating green restoration laws and systems and overseas trends, and by surveying the perceptions of 1,000 people selected from a pool of the public.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green restoration efficiently because the laws related to restoration are scattered. According to the relevant legal plans, the perception and direction of restoration is to pursue a sustainable national land environment, allow people to benefit from nature,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nurture related industries and human resourc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mentioned that green restoration contributes to achieving the 2050 Carbon Neutrality goal, revitalizing green industries, developing and applying advanced technologies, maintaining consistency in restoration-related policies, expanding citizens' access to green spaces, and adopting nature-based solutions. Both experts and the public ar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th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prefer restoration with human use rather than focusing on natural recover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direction of green restor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asks for the sustainable restoration of the national land environment and the zero-carbon era.

      • KCI등재

        발굴조사 유적지의 복원과 활용 연구 - 자연환경의 디지털 복원을 중심으로 -

        허의행 영남고고학회 2017 嶺南考古學 Vol.- No.77

        The technological progress and development of IT devices and the expansion to the public have brought about changes in preserva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properties. Currently, discussions are underway to restore and study archaeological data using this technology. However, the research on restoration of archaeological data is still insufficient in spite of securing and researching and analyzing many excavation data, and there is a limit to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subject. There were many reasons for lack of interest in realistic conditions and research topic setting. In this regard, digital restoration method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recent restoration research method. Digital restoration is to transform not only analog data of the past but also all the data of recent IT equipment to digital, and then to make the past using various graphic programs. However,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ancient terrain and the natural environment only to the archaeological data, and to perform the realistic restoration based on the character of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or example, digital restoration of Bronze Age sites was conducted. The ruins are the ruins of the Bronze Age sculpture on the natural embankment. An analysis of the ancient terrain of the site and its surroundings revealed the direction of the old river in the site and the analysis of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showed that the coniferous forest such as the pine growing in the cold climate was distributed. Along with this, the upper structure was restored. The reconstructed sites and natural environment were digitally reconstructed and visualized. Through this method and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completed restoration plan will be utilized in various directions. Especially, it can be used as education and exhibition data us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In this regard,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research and utilization of the museum by establishing a virtual museum that introduces the concept of virtual cultural heritage only for archaeological materials. IT기기의 기술적 진전과 발달, 대중으로 확대는 문화재 보존과 보호, 활용에 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현재 이의 기술을 이용하여 고고자료를 복원 및 연구하려는 논의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고고자료의 복원에 대한 연구는 많은 발굴조사 자료의 확보와 연구, 분석에도 불구하고 논의는 매우 부족하며, 연구 주제의 범위로 확장되는데도 한계가 있다. 물론 여러 가지 현실적인 여건과 연구 주제 설정의 관심이 부족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최근 복원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디지털 복원 방법론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복원은 과거의 아날로그 방식의 자료 뿐 아니라 최근의 IT기기를 이용한 자료 모두를 디지털로 전환한 후, 여러 그래픽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문화재의 원상과 함께 과거의 모습을 시각화하는 것이다. 유적지는 당시의 지형, 자연환경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필요로 하며, 유구는 성격 검증을 바탕으로 사실적 복원이 이루 어져야 한다. 그러한 예로 청동기시대 유적지에 대한 디지털 복원을 진행하였다. 대상 유적은 자연제방상에 자리한 청동 기시대 분묘유적이다. 복원분석결과, 유적과 주변의 고지형 분석을 실시하여 하도의 방향과 유적지의 형성 관계를 밝혀내었고, 주변의 자연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한랭한 기후에서 확인되는 소나무 등의 침엽수림이 유적지 내 분포한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개개 유구별 상부구조물의 복원도 실시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환경과 유적에 대해서는 디지털 기기로 복원하여 시각화하였다. 이러한 방식과 방법을 통해 완성된 복원도는 여러 방향에서의 활용이 예상되는데, 연구적 측면에서는 유적의 3차원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므로 과거 문화의 이해 틀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며,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가상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교육과 전시자료로서의 높은 활용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디지털고고학의 연구적 측면과 가상유산의 개념을 도입한 가상유적전시관의 구축을 위한 사회 활용적 측면의 논의가 본격 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2021년 개정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른 자연환경복원제도 도입의 의의와 한계

        박종원 한국환경법학회 2022 環境法 硏究 Vol.44 No.2

        The Revised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of 2021 introduced provisions regarding the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project, including its definition, preparation of priority list, establishment and approval of the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project plan, recommendation and cost support, and so on. This article analyzes its main contents, examines its leg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nd suggests several legislative alternatives. First, the Act introduced restoration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s a key element of the term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Project.”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which is that it is only valid for projects implemented under the Act. The Act excludes projects implemented by other agencies under other Acts from the scope of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Project.” The legal definition of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or “Ecological Restoration” should be provided by law. Second, the basic principles are only applicable to the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Project” implemented or recommended by the Minister of Environment under the act. The principles should be set up to be applicable to all types of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regardless of the department in charge. Third, the natural environment subject to restoration is a mixture of various types of ecosystems and landscapes.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embraces forest restoration, wetland restoration, lake restoration, river restoration, landscape restoration, and so on.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are currently implemented under the auspices of individual acts, each of which applies to only one type of ecosystem, such as rivers, wetlands, and forests. This must be a considerable obstacle to the effective promotion of ecological restoration. Integrated approach should be introduced. Fourth, although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hich has relatively more provisions regarding ecological restoration, addresses some procedures of ecological restoration, including the establishment and approval of the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project, details such as the criteria for approval are unclear, and compliance with the procedure is not legally enforced but rather subject to a recommendation or a cost support requirement. Substantive requirements for setting the strategy, method, and criteria should be developed and adopted.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for those conducting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law so that persons with ecological expertise in characteristics of the ecosystem in question can participate in each stage of the project. Fifth, a top-down approach from national or local governments without the cooperation of other stakeholders has legal and practical limitations. The wider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local communities, NGOs, and experts, is necessary from the planning stage to the post-management stage of an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Institutional mechanisms should be established to ensure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by establishing a committee or entering into voluntary agreements with community residents or landowners. Sixth, local governments face financial issues when promoting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alone. The establishment of a fund to restore damaged ecosystem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support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some of which may need to be initiated urgently and others of which may be long-term schemes, a stable financial ground and flexible management of the fund are indispensable. Moreover, the Act should be revised so that the project operator can acquire or use the land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an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and justly compensate the landowners for their loss. Amending the current laws, each of which focuses on a different type of ecosystem, poses difficul... 이 글은 2021년 개정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른 자연환경복원제도의 주요내용을 분석하고, 자연환경복원 관련법제에 대하여 종래부터 지적되어 온 문제점과 한계에 비추어 개정법상의 자연환경복원제도가 갖는 의의와 한계를 진단하고, 앞으로의 입법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개정법이 종래의 자연환경복원 관련 법제가 가진 여러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일정한 제도적 장치를 도입하였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종래부터 지적되어 오던 문제점 가운데 다수가 여전히 해소되고 있지 못하다. 유럽집행위원회가 얼마 전 제안한 자연복원에 관한 규칙안을 비롯하여 주요 외국의 입법동향을 주시하면서, 앞으로 지속적으로 그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입법적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 될 것이다. 첫째, ‘자연환경복원사업’이 아니라 ‘자연환경복원’ 또는 ‘생태계복원’ 그 자체의 개념을 법적으로 정의하여야 한다. 둘째, 자연환경복원의 기본원칙은 환경부는 물론 범부처를 횡단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며, 제도적으로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산림, 습지, 호소, 하천, 해양 등 모든 생태계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통합적인 자연환경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여야 한다. 넷째, 자연환경복원사업계획의 수립, 사업의 시행, 유지・관리 등 각 단계에 걸쳐서 절차적 통제뿐만 아니라 복원의 목표, 기준, 절차, 전문인력 등에 관한 실체적 통제가 가능하여야 한다. 다섯째, 국가,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지역주민, 시민단체, 전문가, 토지소유자 등이 자연환경복원사업계획의 수립, 사업 시행은 물론 사업 완료 후의 유지・관리 단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참여할 수 있는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여섯째, 기금의 설치 등 자연환경복원사업에 소요되는 재원확보수단을 강구하여야 하며, 자연환경복원사업의 시행이나 사후관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산권 제한, 토지의 수용이나 사용 및 그에 대한 손실보상 등에 관한 법적 근거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들 입법과제를 제대로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자연환경보전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방안 외에도, 가칭 ‘자연환경복원법’과 같은 부처횡단적인 단일법 제정을 위한 입법전략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함께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네트워크분석적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철도사고 임시복구시나리오 개발

        성덕룡(Sung,Deok-Yong),박용걸(Park,Yong-Gul)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1 No.5D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철도사고괸리 및 복구작업을 위한 임시복구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문헌조사 및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통하여 임시복구 Worst Case 선정시기준이 되는 고려항목과 임시복구 시나리오 수립에 필요한 중요항목(event)을 도출하였으며, 임시복구가 가장 힘든 Worst Case로는 터널구간에서 발생하는 철도사고가 선정되었다. 이는 신속한 임시복구를 위해 좁은 공간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복구절치를 갖추고 숙련된 복구요원 양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통계학적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임시복구 시나리오 수립 시 중요항목(event)간 중요도(우선순위)를 선정한 결과 임시복구유형중 시설물 붕괴를 가장 우선적으로 복구하고 선로매몰, 차량탈선 순으로 처리함이 복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복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순으로 임시복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낸다. 임시복구 시나리오는 임시복구 Worst Case, 임시복구유형별 중요항목(event)을 종합하여 표준운영절차(안) 11개를 제안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철도사고 DB관리 및 신속한 사고복구를 통해 정시성을 확보하여 열차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The emergency restoration scenarios for efficient railway accident management and restoration were developed. The emergency restoration procedures defined by the worst case of emergency restoration and the important events was proposed based on questionnaires from specialists and the result of survey. Via these studies, the railway accident in the tunnel could be the worst case among ail railway accident types. Therefore, educations for a restoration team in confined area condition should be planned and performed to recover the worst case accident. In order for the emergency restoration, when a railway accident is occurred, the restoration should be performed in orders of handing collapse of facilities, burying track, and derailment of vehicle in tunnel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of priorities were established by the period of restoration. The standard operation system for efficient railway accident management was developed by synthesizing the worst case for rapid emergency restoration, and important events for the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according to each emergency restoration type. Through this study, the restoration operation system of railway accident are recommended. This paper suggests to develop emergency restoration scenarios for the efficient railway accident management and recovery system. The study results will contribute not only for insuring punctuality, but also for minimizing delays from accidents. Therefore, emergency restoration scenarios will play a major role in the SOP for the damage limitation and the prevention of accident spread.

      • KCI등재

        디지털 매체와 기술을 활용한 회화 문화재 복원 모사 방법 연구-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보물 <대동총도>모사본 제작사례를 중심으로-

        권지은,이지민 동서미술문화학회 2022 미술문화연구 Vol.23 No.23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restoration method of replicating the painting cultural heritage, and it is a summary of the simulation method applied to the restoration of 《Daedong Chongdo (大東摠圖)》, among the old map production project from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conducted in 2017. The restoration method that has been applied to the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paintings in the meantime was to analyze the materials used in the original painting through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to contrast the original through the production of pigment color tables and partial restora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time constraint to compare the original painting, and the difficulty in revising the partial restoration replica and the consumption of a lot of material. In this paper, recognizing these limitations, we additionally applied a print color scheme investigation and digital restoration method that can protect the artifacts as much as possible and verify restoration several times. This attempt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possible to set the direction of restoration within a limited time and to simulate restoration in various forms, and it is a method that can be used for the restoration of various cultural heritages in the future.

      • KCI등재

        하천생태계의 건전성 복원을 위한 법적 과제

        박종원 ( Park Jong Won ) 한국환경법학회 2021 環境法 硏究 Vol.43 No.1

        이 글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대한 반성적 시각에서, 그리고 2018년과 2020년 두 차례에 걸친 「정부조직법」 개정과 「물관리기본법」의 제정·시행 등으로 본격화되고 있는 통합물관리 시대의 도래를 기회로 삼아, 하천생태계 복원에 관한 현행 법제의 문제점과 한계를 되짚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입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하천생태계 복원에 관한 현행 법제의 주요내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미국의 관련 법령과 사례를 살펴본 후, 주요 쟁점별로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조직법」 개정이 종래부터 지적되고 있는 하천생태계복원의 문제점과 한계를 해소하고 보다 체계적으로 제도설계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이 틀림은 없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하천법」상의 국토교통부장관을 환경부 장관으로 바꾸어 쓰는 것만으로는 그 문제점과 한계가 결코 해소될 수 없다. 「물환경보전법」과 「하천법」 등의 개정은 물론 관련 조항을 연계하고 그 정합성을 갖추기 위한 입법적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하천생태계복원의 개념이 법적으로 정의되어야 하며, 생태계의 기능 회복과 건전성 회복이 그 핵심적 개념표지가 되어야 한다. 둘째, 하천생태계복원의 기본이념과 원칙이 법정화되어야 하며, 이것이 국가물관리기본계획, 국가물환경관리기본계획, 하천기본계획, 그리고 수생태계복원계획으로 연계되고 구체화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누가 복원사업을 실시하든 법령상의 일정한 기준대로 복원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그 절차 가운데 지역주민, 시민단체, 전문가 등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나 수생태계 연속성 조사 등의 결과를 토대로 하천생태계복원이 시급히 요구되는 복원대상 지역목록을 작성·공표하도록 함으로써, 복원사업의 추진이나 비용지원 등에 관한 판단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다섯째, 훼손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우선복원대상 하천생태계목록상 일정 순위 이내에 포함된 하천에 대해서는 수생태계복원계획의 수립을 의무화하고, 복원계획의 승인을 위한 요건으로 복원목표의 설정에서부터 설계, 복원사업의 시행, 사후모니터링 및 사후관리 등 각 단계에 관한 기준이 보다 구체화되어야 한다. 나아가 사업단계에서의 정기적인 보고, 사업완료 이후의 추진실적 제출과 평가, 사후모니터링과 사후관리에 관한 점검 등을 제도화하고, 그 실적평가나 점검 결과에 따라 비용지원, 시정명령 등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그 실효적인 이행을 확보하여야 한다. 여섯째, 국가하천이든 지방하천이든 그 생태계는 연결되어 있는 것이므로 복원사업의 재원을 지방보조금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 그 비용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여야 하며, 하천생태계의 훼손에 보다 직접적으로 관여해온 원인자에 대한 부담금 등을 복원사업의 재원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상의 개선점 중 다수는 「물환경보전법」 개정을 통하여 달성가능하나, 「하천법」이나 「물관리기본법」의 개정도 수반되어야 한다. 하천생태계복원의 기본이념이나 원칙이 관련 계획으로 적정하게 연계될 수 있기 위해서는 「물관리기본법」 개정을 통하여 「하천법」상의 하천기본계획 등이 국가물관리기본계획과의 부합 여부에 대한 심의대상으로 명시되어야 할 것이며, 「하천법」상 하천관리청이 하천기본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복원지구 등을 지정하는 경우 우선복원대상 하천생태계목록을 고려하도록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하천법」에는 하천기본계획상의 복원지구 등의 지정에 관한 사항만을 남기고, 복원계획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사항은 「물환경보전법」으로 일원화하는 방안이 적극 고려되어야 한다. Reflecting on the failure of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and welcoming the era of integrated water management, this article presents a legislative solution to restore the health of the river ecosystem. To achieve this, this article examine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It also analyzed some laws and programs on the restoration of the aquatic ecosystem in the United States, aiming to obtain some lessons from them. The revised Government Organization Act of 2020 certainly provides a good opportunity to solve the chronic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legal system of river ecosystem restoration. However, merely replacing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ith the Minister of Environment under the current River Act can never address these issues. More legislative efforts are required to link related provisions of the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the River Act, the Framework Act on Water Management, and so on and ensure their mutual consistency.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article suggests several legislativ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of river ecosystem restoration. First, the concept of river ecosystem restoration should be legally defined with the restoration of the ecological function and health as key elements. Second, the basic ideas and fundamental principles of river ecosystem restora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law, which can be linked and embedded in several related administrative plans, including the National Water Management Master Plan, the National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Master Plan, the Basic River Plans, and the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Plans. Third, no matter who conducts the restoration project, the restoration plan should b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legal criteria, and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ng in each stage of the restoration project should be guaranteed to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the local community, NGOs, and experts.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atus and health assessment of aquatic ecosystems, or the examination of the continuity of aquatic ecosystems, the priority list of sites for restoration should be prepared and published and sh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determining whether to implement the restoration project or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it. Fifth, for sites whose ecosystems have been degraded severely or which are highly ranked in the priority list, it should be mandatory to establish their restoration plans and the requirements for their approval should be further specified, including the criteria on setting goals, designing and conducting the project, postmonitoring, and postmanagement. Furthermore, regular reporting at the stage of conducting the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s after project completion, and postmonitoring and postmanagement inspection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r inspection can be used as a basis whether or how much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the project and whether to issue the correction order to ensure effective enforcement. Sixth, the law should state that the national government can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the restoration project, whether it is performed on a national or regional river, as all rivers are ecologically connected and interact with one another. Also, charges incurred by persons who have been more directly involved in the ecological degradation of the river ecosystem should be used as financial resources for conducting the restoration project. Many of these solutions can be achieved by revising the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but the revisions of the River Act and the Framework Act on Water Management should also be included. For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river ecosystem restoration to be properly linked to relevant plans, the Basic River Plan under the River Act should be reviewed whether it conforms to the National Water Management Master Plan. The river management agency must also be required to consider the priority list when it designates restoration sites under the Basic River Plan. In addition, it should be positively considered that the River Act shall address only the designation of restoration sites under the Basic River Plan, and the stage of establish the restoration plan and subsequent steps shall be covered by the 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 KCI등재

        해양의 사회ㆍ생태복원에 관한 법정책적 연구

        최석문,박종원 한국환경법학회 2023 環境法 硏究 Vol.45 No.3

        이 글은 해양생태계의 훼손 또는 파괴로 인하여 해양이 인류에게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가 현저한 저하가 나타나고 있는 시점에서, 사회・생태복원의 이론적 논의를 기초로 인간 사회와 해양생태계가 함께 공존하기 위한 법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사회・생태복원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고, 국내 해양생태계 복원정책을 진단・평가한 후 해외 해양생태계 복원정책의 동향과 시사점을 도출하여 해양의 사회・생태복원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사회・생태복원은 사회・생태시스템 이론에 따라 인간 사회와 자연 생태계가 하나의 시스템 속에서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양자의 리질리언스(Resilience) 리질리언스는 1973년에 생태학자인 홀링(C.S. Holling)이 최초로 학술 용어로 사용하였다. 그는 리질리언스를 변화나 교란을 흡수하는 생태계의 수용력으로 정의내렸다. 이후 학자들은 리질리언스를 공학적 리질리언스(engineering resilience)와 생태적 리질리언스(ecological resilience)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다가 최근에는 사회・생태를 포괄한 사회・생태 리질리언스(social ecologcial resilience)로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리질리언스란 자기 조직화할 수 있고 학습을 통한 적응 능력이 있어 교란을 흡수할 수 있는 시스템의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전진형, 리질리언스 개념의 등장과 확장, 환경과조경, 339호, 2016, 116면. 를 유지・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법제도와 정책적인 측면에서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성과 연결성의 확보, 느린 변수와 피드백의 고려, 지속적인 학습과 지역사회 참여 제고, 다중심거버넌스 구축 등 리질리언스의 특성을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UN과 EU는 물론 미국, 호주 등 주요 국가에서는 인간사회와 생태를 연계하는 복원목표 설정, 지역사회 관련 지식 정보 통합, 이해관계자 중심의 폭넓은 거버넌스 구축, 육상과 해양생태계를 통합한 복원계획 수립, 다양한 복원사업의 연속적・전주기적 시행 등을 통해 사회・생태복원의 특성을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해양생태계 복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우리나라는 갯벌복원, 바다숲 조성, 해양생태계 서식처 기능 개선 및 복원 등으로 구분하여 복원사업을 분절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생태 중심의 복원 목표 설정, 국가 조사에 의존한 정보 수집, 정부 주도의 사업추진체계, 개별법에 따른 복원계획의 분산 및 연계성 결여, 단편적・사후적 복원 사업 시행 등의 한계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해양생태계 복원정책이 사회・생태복원 개념을 수용하여 개선되기 위해서는 해양의 사회・생태복원 목표 설정, 해양생태계 복원 정보의 통합관리, 해양시민 참여 생태지역 거버넌스 구축, 해양생태계 복원 주류화 정책 계획 수립, 다양한 복원사업의 전주기적 시행이 필요하다. 특히 이 글에서 제시한 법정책적 과제가 적극적으로 검토되어 소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해양생태계 복원정책이 활성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present a legal policy for the coexistence of human society and marine ecosystem based on the discourses of social-ecological restoration at a time when the ecosystem service provided by the ocean to mankind is significantly deteriorating due to damage or destruction of the marine ecosystem. To this e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ecological restoration were analyzed, the domestic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policy was diagnosed and evaluated, and the trends and implications of overseas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policies were derived to present legal challenges for marine social-ecological restoration. Social-ecological restoration refers to maintaining and securing the resilience of both on the premise that human society and natural ecosystem are intricately connected and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one system according to social-ecological system theory. In order to implement this in terms of legal systems and policies, it is necessary to embody the characteristics of resilience, such as securing diversity and connectivity, considering slow variables and feedback, continuous learning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nd establishing polycentric governance.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as well as the United Nations and the EU, are promoting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policies in a way that em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ecological restoration by setting restoration goals linking human society and ecosystem, integra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local communities, establishing broad stakeholder-centered governance, establishing restoration plans integrating land and marine ecosystems, and continuing and implementing various restoration projects. On the other hand, Korea is pushing for restoration projects in sections by dividing them into tidal flat restoration, sea forest creation, marine ecosystem habitat function improvement and restoration, and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setting ecological restoration goals, collecting information dependent on national surveys, government-led project promotion systems, lack of distribution and linkage of restoration plans under individual laws, and implementation of fragmentary and post-restoration projects. Therefore, for Korea's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policy to be improved by accepting the concept of social-ecological restoration, it is necessary to set goals for marine social-ecological restoration, integrate management of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information, establish governance of ecological areas participating in marine citizens, establish a policy plan for mainstreaming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and implement various restoration projects in a full cycle. In particular, it is hoped that the legal policy presented in this article will be actively reviewed and the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policy, which is being promoted passively, will be activated.

      • KCI등재

        돈황석굴과 골굴석굴의 전실 건축 비교 연구

        한동수 ( Han Dongso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21 강좌미술사 Vol.56 No.-

        본 논문은 돈황의 석굴 막고굴과 경주의 골굴암 석굴의 전실건축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시간과 공간에 차이가 있지만, 발굴 조사를 통해 전면에 처마가 있는 다양한 전실이 확인되는 돈황석굴 막고굴의 전실건축 가운데 주요한 사례를 기반으로 한 일부 복원 계획을 살펴 보았다. 또한 경주 골굴암 석굴 앞에 조영되었을 전실 복원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석굴사원의 전실 건축에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와 사례를 조사한 후 관련 용어의 차이점을 분석 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둔황 석굴 막고굴의 전실 건축 변화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문서와 사진을 통해 어느 정도 현실을 파악할 수 있는 전실 건축의 원형을 추적하였다. 고고학 발굴 상황은 대부분의 석굴 앞에 남아 있는데 제72-77굴 석굴 복원 계획 포함해서 제53굴 및 제55굴은 중국의 건축역사학자 소묵와 오소가 제안한 둔황 석굴 전실 건축의 복원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이를 통해 전실 건축 복원의 원리와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지형적 특징을 고려하여 골굴암 석굴 복원 계획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복원 계획에 의거하여 석굴 전실은 표준화 된 구조가 아니라 지형 조건에 따라 목조틀로 구성된 간략한 구조체의 가능성을 추정해 보았으며 그 근거로서 유사한 구조로 판단되는 일본의 가케즈쿠리 (懸造り) 건축의 사례를 참고하였다. 돈황 석굴 막고굴과 관련해서는 발굴, 문헌 기록, 벽화 등 다양한 자료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원의 문제는 여전히 피할 수 없는 것이며 완전한 복원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더욱이 석굴 안팎의 종교적인 활동을 고려할 때 훨씬 더 어려운 일이다. 사실, 다양한 전실 구조가 있는 둔황석굴 막고굴의 경우는 참고할 수 있는 단서가 적지 않지만 복원을 시도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다. 경주 골굴암의 전실 건축 복원을 위해서는 현재 심각하게 훼손된 지형을 비롯한 전체 환경을 과학적 방법을 통해 원래의 형태로 추적하고 상세한 현장 조사를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복원 시점을 설정하는 것이다. 골굴암 석굴을 보호하기 위해, 현재 유적과 부조화를 이루며 중앙 부처만을 보호하기 위해 지어진 보호 시설 대신 신자와 숭배자들이 골굴암 석굴 전체에 효과적으로 접근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현재의 상황에서는 유적 전체를 보호 할 수 있는 보호 시설이 오히려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복원은 다양한 관점과 상상력으로 수시로 할 수 있지만, 고고학 유적지에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주의가 필요하다. This thesis examines the front-room architecture of the Grottoes Mogauku in Dunhuang and Golgulam Grottoes in Gyeongju.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ime and space, we looked at some of the restoration plans based on the excavation surveys and major examples of the Buddhist Caves with eaves in the front and with chambers in Dunhuang Grottoes Mogauku.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possibility and problems of the restoration of all rooms in the Mogauku Temple, which may have been projected in front of Gyeongju Golgulam Grottoes. To this end, first, various terms and examples of front chamber architecture among stone caves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lated term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is paper tried to trace the original form of the front chamber architecture that can grasp the reality to some extent through documents and photographs in different stages of the changing process of the front chamber architecture in Dunhuang Mogauku. Also, the state of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remains of all chambers of Grottoes no. 72-77, including the restoration plan of Grottoes no. 53 and no. 55 suggested by the Chinese architectural historian Xiamo(蕭黙) and Wuxiao(吳筱) each, who argues to b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restoration on the entire chambers of the Dunhuang Cave. They reviewed the principle and process of restoration of the all-chamber architecture of the Seokgul Mogauku. Based on this analysis, this research makes a restoration plan on the Golgulam Grottoes in consideration of the topographic features. In the case of the restoration plan, all chambers are not standardized structures. It is assumed to be a simple wooden structure entangled with a timber frame according to the terrain conditions. The restoration plan complet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xample of Japanese Gakezukuri (懸造り) architecture, which is judged to be a similar structure. There are various data expressed in excavations, literature records, and murals at the site. Nevertheless, the problem of restoration is still inevitable, and perfect restoration is practically impossible. Moreover, considering the religious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the cave, it is an even more difficult challenge. In fact, the case of the Dunhuang Grottoes Mogauku, where there are various front-chamber architectures, provides some clues that can be referred to, but this also faces many limitations in attempting a restoration. For the restoration of the Gyeongju Golgulam’s front-chamber architecture, the entire environment, which is currently damaged a lot, has to be traced to the original form through a scientific method and be carried out through detailed field investigations. Next, setting the point of restor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tasks. For the protection of Golgulam Grottoes, w should consider a way that believers and worshipers can effectively access the entire Golgulam Grottoes in place of the facilities built to protect only the central Buddha causing current inconsistency. A protection facility that can protect the entire ruins is rather suitable in this situation. Restoration can be done anytime with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imaginations, but it is necessary to take care to implement it on the archaeological remain.

      • KCI등재

        멸종위기종 복원을 위한 인식 개선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정영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awareness-raising program for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to residents in areas where restoration is possible and areas where restoration is impossible, and to improve awareness of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5 people from the Gangwon-do group, which is an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area, and 38 people from the metropolitan area, an area where restoration is not possible.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 was implemented for each group, and pre- and post-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K-ESRA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data analysis, t-test was conducted with statistical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verified that there is an effect on the perception of endangered animals, awareness of restoration of endangered animals, awareness of problems with the local community, attitudes about restoration of endangered animals, attitudes about endangered animals, and overall percep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an awareness-raising program for endangered species restoration and can help improve the awareness of residents in areas where restoration i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