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키네토그라피 라반(Kinetographie Laban)의 분석 방법을 통한 문묘일무의 춤사위 특성 연구

        김현주 한국무용기록학회 2005 무용역사기록학 Vol.9 No.-

        일반적인 춤의 발생 동기로 거론되는 종교의식은 초자연의 세계와 이에 대한 제의를 통해 생존을 보장받고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간의 삶과 직결된 의식무용의 움직임 형태에 대한 연구는 인간의 움직임에 대한 근원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대 의식무용으로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문묘일무의 춤사위 분석을 바탕으로 고대 의식무용의 동작 형태와 표현 방법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문묘일무는 대표적인 의식무용의 하나로 공자를 비롯한 유가의 성현을 제사하는 의식인 석전대제에서 추어지는 무용을 뜻한다. 이 춤의 연구 방법으로는 현존하는 무보법 중 가장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기록체계로서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고 통용되어오고 있는 키네토그라피 라반(Kinetographie Laban)의 분석 체계를 이용해 문묘일무를 기록한 무보에 나타나 있는 그림 형태에 따른 춤사위를 분석하고자 한다. 문묘일무보는 진행형의 기록체계를 갖추고 있지 않아 단편적인 움직임의 틀 안에서 춤사위의 특징을 도출해야 하는 제한점을 갖고 있어 기본적으로 그림을 통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남옹지(南雍誌, 1543)」의 무보를 기준으로 하여 문묘일무의 표현방법과 무구의 표현 방법을 분석하였다. 「남옹지」는 문묘일무보가 기록된 여러 종류의 문헌들 중 가장 오래된 「궐리지(闕里誌, 1504)」형의 무보를 따르고 있으며 「궐리지」와는 달리 그림뿐만 아니라 술어로서 동작의 설명까지 포괄하고 있는 무보이다. 또한 군무가 아닌 무보에 나타난 1인의 춤을 기준으로 제한하였으며 위의 분석 방법 중 '타이밍', 즉 동작의 소요시간(길이)에 대한 부분은 이 무보의 특성상 분석이 불가능하여 제외하였다. 무보에 나타난 동작의 형태 분석은 그림을 통해 먼저 무게 중심 움직임, 다리 움직임, 팔 움직임, 상체 움직임, 머리 움직임 등으로 나누었고 이외에 이 춤의 특성에 따라 무구의 형태를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팔 움직임의 경우 특히 무구를 들고 추는 이 춤의 특성상 무구에 의한 팔의 움직임과 방향, 각도, 높낮이 등의 분석이 이루어 졌다. 「남옹지」에 수록된 문묘일무보의 그림 형태를 분석한 결과 이 춤은 신체 그 어느 부분도 극히 제한적으로 움직이며 매우 단조롭게 움직임을 알 수 있었다. 외적 측면에서 살펴본 문묘일무의 춤사위의 형태적인 특징은 기교적인 면 보다는 형식에 치중한 부분을 엿볼 수 있었다. 또한 단순한 무보 그림을 통해 보여 지는 동작의 형태에 대한 분석에서 단편적인 형태만을 가지고는 움직임의 역동성, 또는 호흡으로 인해 변화될 수 있는 움직임의 분석과 무게 중심 이동에 따른 동작의 흐름 등은 분석이 가능하지 못했다. 이에 문묘일무보를 통한 고대 움직임의 분석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음악, 의상 및 시대적 배경에 대한 연구 등 다각적인 방향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무보와 술어에 대한 정확한 해석으로 진행형으로 이루어지는 완전한 형태의 춤을 통해 비로소 가능함을 인식하는 바이다. A rite is a traditional ceremony that is carried out by a particular group or within a particular society. We usually call the dance performed in course of the rite for Confucius collectively 『Munmyo Ilmu』. Munmyo Ilmu as a ritual dance has been transmitted until now as a cultural asset. "Ritual" means a kind of human activity for connecting things on earth with the heaven. Every time the rite for Confucius was carried out, Munmyo Ilmu has performed at the shrine of Confuci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ylistic features of Munmyo Ilmu through analysis of the dance in Kinetography Laban.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original form of Munmyo Ilmu, the changes of its dancing motions. For this study, an ancient version of Munmyo Ilmubo was selected. Therefor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translate the dances from Munmyo Ilmu which are diagrammatized in 『Namongji』,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analyze on them to be easy to see. Namongji includes Munmyo Ilmubo as well as the terms indicating meanings of the dances. For analysis of the movement in Namongji, Kinetography Laban, an advanced recording system for human movement, was employed in this study. Kinetography Laban is a highly articulated method for describing bodily movement in space and time. This study thus began with the work of analyzing of Kinetography Laban of Munmyo Ilmu based on pictures of the dance in Namongji. Findings of the analysis on the notation of Namongji are as follows: As a result, the analysis of Munmyo Ilmu in Kinetography Laban allows us to identify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dance by examining the structure and pattern of the dance movements. Munmyo Ilmu is a ritual dance having a rigid form, which gives symbolism to a dancing movement. In addition to that, for the precise analysis of this study includes ritual music, a ceremonial costume, the phases of the times as well as dance analysis with Kinetography Laban. This study finally suggests that it will be necessary in this field.

      • KCI등재

        사료를 통해 본 송대 이후의 문묘일무

        임학선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1

        문묘일무는 유교의 예악사상이 담긴 춤으로 스승을 공경의 마음으로 섬기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춤이다. 문묘석전에서 추게 되는 이 춤은 고대 중국에서 유래된 춤으로 고려 예종 11년(1116)에 우리나라에 유입된 이래 고려와 조선의 성균관을 거쳐 오늘에 이른다. 본 연구에서는 사료 분석을 통해 (1)고려와 조선시대의 문묘일무와 송나라시대의 문묘일무의 관계성 (2)조선시대에 행해진 문묘일무의 실제모습 (3)삼진삼퇴의 일무가 제자리에서 추는 일무로 바뀌게 된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조선시대의 문묘일무는 송나라시대의 것과 동일계열이다. 둘째, 조선시대에는 일무를 당상과 당하 사이 뜰에서 춤추었다. 셋째, 일무는 일무의 위치에 무표를 세우고 이를 따라 삼진삼퇴를 춤추는 것이 전통이다. 넷째, 제자리에서 추는 일무는 예의에 어긋나는 것으로 명나라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섯째, 공경·사양·겸양의 철학적 의미를 지니는 춤사위는 송대 이후 변함없이 일관되게 지켜졌다. 여섯째, 천지인합일을 의미하는 춤사위는 십자형(+)을 이루는 것이 원래의 모습이다. 엑스자(X)형과 십일자(11)형의 춤사위는 청나라에서 만든 춤사위이다. Munmyo Ilmu is a dancing performance with a special meaning for devotions to teachers with respectful minds as a dance containing Confucian decorums and music. This dance performed at Munmyo Seokjeon was originated from ancient China, and has been handed down to today via the era of Goryeo and Sunggyungwan of Chosun since its introduction to our country in the 11th year of King Yejong in Goryeo. This study examined through analyses on historical data; (1) Relationships of Munmyo Ilmu of Goryeo and Chosun with Munmyo Ilmu of Song Dynasty; (2) Actual appearance of Munmyo Ilmu performed during Chosun, and (3) Reasons of change on Ilmu performance into performance at one location from performance with three forward steps and three backward step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reached. First, Munmyo Ilmu of Chosun was the same line of Song Dynasty. Second, Ilmu was performed in a yard between Dangsang and Dangha in Chosun. Third, Ilmu is traditionally performed with three forward steps and three backward steps according to Mupyo which is established at the location of Ilmu. Fourth, Ilmu performed at one location is thought to violate decorums, which was originated from Ming Dynasty. Fourth, the dancing performance with philosophical meanings of respect, courteousness and humility has been consistently kept with no change since Song Dynasty. Sixth, the dancing performance meaning the unification of heaven, earth and human should be shown with a shape of a cross (+) in original appearance. The dancing performance in a shape of X or a parallel line (ll) was created in Qing Dynasty.

      • KCI등재

        동북아 문화교류의 관점에서 본 문묘일무

        김향선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1

        급격한 세계화에 따른 세계 문화의 획일화 경향은 동북아시아에 정치, 경제, 문화의 연대와 통합체의 필요성을 인식시켰다. 특히 한·중·일 동북아 3국은 경제 및 인구규모 외에도 오랜 시간 유교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동질적 문화권이라는 점에서 공동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반이 충분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북아 문화공동체는 21세기 세계 문화와 문명을 발신하는 주도적이고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 정부에서도 우리나라가 이러한 동북아 지역의 허브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유교를 기반으로 한 동질적 문화권인 동북아 권역에서 문묘제례는 악가무가 삼위일체를 이루는 유교문화권을 대표할 수 있는 종합예술이다. 이중 문묘일무는 공자를 기리기 위한 제례의 일환으로 전승되어 온 전통무용으로 동북아 3국이 공유하고 있는 유교 문화의 정수 중 하나로 특히 한국은 전통적인 문묘일무를 가장 발전적으로 계승해온 국가로서, 동북아 3국의 유교문화교류를 주도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까지 문묘일무의 원형을 복원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하기 위한 학문적·예술적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에 의해 온전한 문묘일무의 원형이 복원되어 문묘제례에서 시연됨으로써 동북아 지역의 유교문화교류의 주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역사적 첫발을 내딛었다. 문묘일무의 원래의 모습을 되찾고자 하는 이러한 노력과 함께, 고려 이 후 약 천여년 동안 지켜온 문묘일무가 중국과는 차별화되는 문묘일무로 변화, 발전된 근거를 분명히 하고, 우리나라 문묘일무의 역사성과 우수성을 입증하는 노력도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한국 무용계가 문묘일무의 원형복원과 함께 현대적 전승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노력을 경주함으로써, 동북아 유교문화 교류를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통하여 동북아의 문화적 허브 국가로 우리나라를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eed of unification of Northest Asia in the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rapid glob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Especially, Northest three countries of Korea․China․ Japan have sufficient bases for unification because of sharing Confucianism Culture. Therefore, North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will have a leading and main role in the development of global civilization. That is the reason for our government to make much endeavor to take a position of hub in Northest Asia. Munmyo Ilmu which is a kind of religious ceremony for Confucius is the representative composite art in Northeast Asian Confucianism Cultural Community. Especially, Korea has the capacity to lead the communication of Confucianism culture among the three countries as Korea has succeeded to traditional Munmyo Ilmu the most developmentally. The researches and performances in order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Munmyo Ilmu and to succeed to it creatively have been performed the most actively in Korea, and these activities resulted in the success of the restoration of original form of Munmyo Ilmu. That became one of the commencements of conducting the leading role of the communication of Confucianism culture. It will be required to differentiate Korean traditional Munmyo Ilmu from that of China while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Munmyo Ilmu. It will be also needed to establish the superiority and to find out more knowledge of the basic structures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Korean traditional Munmyo Ilmu. Korean dance societ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position of hub country of Northest Asia and to making bases for leading the communication of Confucianism culture among the three countries by making great efforts to restore Munmyo Ilmu and succeed to it creatively.

      • KCI등재

        문묘일무(文廟佾舞)에 내재된 절도(節度)와 교육적 기능

        정향숙 ( Choung Hyang Sook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무용역사기록학 Vol.41 No.-

        본 연구는 석전(釋奠)에서 추어지는 문묘일무에 내재된 교육적 기능을 찾아봄으로써 현대인들을 위한 교육수단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엿보고자한다. 문묘일무는 현재까지 공자를 모시는 성균관의 석전의례에서 추어지고 있는 춤으로서 몸에서 몸으로 전승되는 무용과는 그 의미나 가치적인 면에서 차별화된다. 유가(儒家)의 윤리도덕(倫理道德)과 철학사상을 내포하는 의식적 춤동작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형식과 구조는 매우 절도 있고 규범적이며, 추모와 경배라고 하는 의례적·종교적(儀禮的·宗敎的) 성격이 조밀하게 융합되어 있다. 즉, 유희나 감정의 표현, 새로운 시도를 통한 변화·변형과 같은 일반적인 무용의 목적과는 달리, 우주와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이를 관통하는 질서(秩序)와 조화(造化)라는 보다 교육적인 근원(根源)을 지향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문무는 마음자세를 위한 정신수양의 춤이며, 무무는 신체 단련을 위한 춤으로서 형상화되었다. 문묘 일무는 하늘과 땅과 인간을 이어주는 춤이며 공자와 앞서 가신 성현들에 대한 감사의 표현이며 인간의 삶에서 우러난 경험 즉 서로간의 예의와 존경심을 미적으로 승화시킨다. `성균(成均)`은 고대 주대(周代)의 5개 대학 중 하나로서 `악교(樂敎)`를 통하여 덕(德)을 키우는 교육을 하던 곳이었다. 제사를 지내는 존현(尊賢)과 교육을 통한 양현(養賢)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러한 학궁의 석전에서 추어지는 문묘일무의 기능을 윤리적, 사회적, 예술 교육적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문묘일무는 윤리적으로 인격교육의 가장 근본이 되는 수신서인 소학(小學)의 핵심내용인 삼절(三節)과 사도(四道)를 형상화한 춤으로서 `절도(節度)의 춤`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 문묘일무는 제사의 의식무를 넘어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신과 인간, 사회와 인간, 인간과 인간간의 관계를 조성한다. 예를 갖추는 행위로서 문묘일무는 언어를 초월한 의사소통의 춤으로 서로간의 마음과 마음을 나누는 `수수지례(授受之禮)`의 춤이며 `평화(平和)`를 상징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일무는 고대로부터 문헌에 지속적으로 기록되어온 역사의 춤이며 예악을 기반으로 전통예술을 계승하는 교육적 의미 속에 자신을 발견하는 `위기지학`의 춤인 것이다. 문묘일무는 예를 춤으로 실현한 것이며 이는 결국 `몸공부`이다. 문묘일무를 `몸공부`로 활용하여 춤을 교육하고 결국엔 자신의 수양과 더불어 덕(德)을 쌓고 소통의 예의 즉 `마음의 공부`가 되는 춤으로 발전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 문묘일무의 교육이 될 것이다. Munmyo-Ilmu (文廟佾舞) is a dance that has been performed in Seokjeon-Uirye (釋奠: the rite for laying out offerings) at Sungkyunkwan (成均館) deifying Confucius. It is distinguished in its meaning and value from other dances that have been passed down physically through the human body to body. Since the Munmyo-Ilmu consists of ritual dancing steps that portray the ethics and philosophical ideology of Confucius, its formality and structure are very modest and normative, and merge with the rituals and religious characters of cherish, memory, and worship. In other words, unlike common dances that express amusement and emotions, and the transformation through a new attempt, Munmyo-Ilmu may be considered a dance that has an educational and philosophical origin in which order and harmony g exist between human beings or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The scholarship dance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dance of the spiritual culture for the mindset and the martial arts dance for physical training. Munmyo-Ilmu is a dance that connects heaven, earth, and human beings, expresses gratitude to Confucius and the old sages, and sublimates the experiences, such as courtesy and respect, infused from human life into an aesthetic. Sungkyun was the school that was in charge of music for the five colleges of the Ancient Zhou Dynasty, in which educating virtues harmonized with human characters through `Akgyo (樂敎: music education)`. The Munmyo-Ilmu, which has been danced in Munmyo-Seokjeon-Uirye at Sungkyunkwan, can be considered as `the dance of modesty` that was based on three passages and four doctrines that form the core contents of Sohak (小學: Confucian disciplinary textbook) and are at the base of Confucian character education. Furthermore, Munmyo-Ilmu,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yond a ritual dance, creates a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god and human being, and society and human being. Munmyo-Ilmu, as the exchange of courtesies, can be considered to be a communicational dance that transcends language; it is a dance of `Susujirye (授受之禮: the exchange of courtesies)` in which dancers share one mind in a dance symbolizing peace and harmony.

      • KCI등재

        무무(武舞)의 지향점 탐구를 통한 한국 문묘일무의 독자성 연구

        박지선 한국무용연구학회 2020 한국무용연구 Vol.38 No.3

        Munmyo Ilmu, the dance of Seokjeon Daeje, is divided into two types: Munmu and Mumu. The study begins with the study of Mumu, which is the only thing that Korea has inherited, to find out that the coexistence of Munmu and Mumu is indispensable. The aim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umu and reveal the identity of Munmyo Ilmu in Korea. In response, I searched for the direction of Mumu by linking the paintings of Munmyo Ilmu with the contents of the ancient text containing the records of Mumu. As a result, Mumu described war, but ultimately it was a dance of peace. This appears in the process of consciousness of ‘以文止武,’ which aims to establish a ruling system with virtues after establishing order by war, and ‘建櫜,’ which expresses its determination not to start another war by sealing weapons used in the war. Thus, it was revealed that political punishment was only the second best measure for the peaceful era, so that Munmu and Mumu's goals were in line. Munmu and Mumu, which look different but have the same goal, coexist in harmony between yin and yang. However, China and other Eastern countries that honor Confucius hold rituals only by Munmu. Only Munmyo Ilmu in Korea preserves the original form of dance that combines yin and yang, academic virtues and military exploits. This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Korean Munmyo Ilmu. I hope to expand our awareness of preserving Munmyo Ilmu, a Korean cultural heritage that continues its old meaning without any distortion. 석전대제의 춤인 문묘일무는 문무(文舞)와 무무(武舞)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는 한국만이 유일하게 전승하고 있는 무무 연구를 통해 문무(文武) 공존이 필수불가결한 것임을 규명하는 것에서 출발하며, 무무의 지향점을 탐색해 한국 문묘일무의독자성을 밝히데 목적을 둔다. 이에 문묘일무의 무보(舞譜)와 무무에 관한 기록이 담긴 고문헌의 내용들을 연결시켜 교차연구함으로써 무무의 지향점을 탐색했다. 그 결과 무무는 전쟁을 묘사했지만 궁극적으로 평화를 추구하는 춤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전쟁으로 질서를 세운 후 문(文)으로 통치체제를 구축한다는 ‘이문지무(以文止武)’와전쟁에서 사용한 무기들을 봉함으로써 다시는 전쟁을 일으키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한‘건고(建櫜)’의 의식절차에 나타났다. 이로써 정벌은 태평성대를 위한 차선책일 뿐, 반드시 문(文)으로 귀결됨으로써 문무와 무무는 지향하는 바가 일치함을 밝혔다. 모습은 다르지만 지향점이 같은 문무와 무무는 음양의 조화를 이루며 공존한다. 그런데 중국을 비롯하여 공자를 기리는 여타 동양의 국가에서는 문무만을 제사에 올린다. 한국문묘일무만이 음양과 문무(文武)를 겸비하는 춤의 원형을 보전하고 있다. 이것은 한국 문묘일무의 독자적인 특성이다. 옛 뜻을 왜곡됨 없이 이어가고 있는 우리 문화유산인 문묘일무를 더욱 소중히 보전하고자 하는 인식의 지평을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문묘일무의 사의적(寫意的) 표현과 간고(簡古)의 미학 연구

        박지선 ( Jee Seon Park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1

        문묘일무는 공자를 비롯한 성현을 기리는 제사에 봉행하는 춤이다. 이 춤은 공자가 존숭(尊崇)한 성인, 요임금과 순임금이 주고받았다는 ``수수지례(授受之禮)``에서 사상적 배경을 찾으며 육대대무(六代大舞)에 기원을 둔다. 유가사상을 그려내는 문묘일무의 춤사위는 형상보다 정신에 치중하는 사의(寫意)적 표현으로 나타난다. 공자님과 앞선 성인들의 훌륭한 인품을 송축하는 문무의 춤사위는 덕성스럽게, 무사의 씩씩한 기상과 의로운 절개를 치하하는 무무의 춤사위는 위풍당당하게 드러난다. 이처럼 문묘일무는 덕을 밝혀 천지의 조화를 이루는 경지와 맞닿아 있으며, 평화를 기원한다. 춤사위 형상으로 성인의 정신을 그림[以形寫神]으로써 신묘함을 얻어[遷想妙得] 천지인합일(天地人合一)을 염원하는 춤, 이것이 바로 문묘일무이다. 만고불변의 지극한 이러한 뜻은 간략한 형상에 실려 전달된다. 일자일무(一字一舞)의 간결한 춤 형식은 간고(簡古)의 미학으로 나타나며 이 춤의 큰 뜻을 널리 전파하기 적합하였다. 전통춤으로 자리매김한 문묘일무의 사의적 표현과 춤 형식체계의 미적 고찰은 ``옛 것을 익히고 미루어 새것을 안다``는 온고지신의 정신으로, 오늘날의 춤 예술계에 대두되고 있는 소통의 문제를 환기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현재를 위해 근원지를 되돌아보는 이 연구가 오늘을 위한 움직임에 동행하기를 바란다. Munmyo-Ilmu is a dance paying tribute to a ritual memorializing the sages, including Confucius. The dance originates from Yukdae-Daemu of ancient China. The dancing posture of Munmyo-Ilmu focuses on its spirit rather than on the form of the dance, because it depicts Confucian philosophy. As the dance was composed to reflect such deep meaning and philosophy, we say that it uses ``Saeui``-style (spritual) expression. The posture of the Mun-Mu dance, which celebrates Confucius and his preceding prominent saints, represents virtuousness; and the posture of the Mu-Mu dance, which praises the valiant spirit and righteous fidelity of warriors, symbolizes majesty. As such Munmyo-Ilmu, enlightening virtue, reaches a state that evokes harmony of heaven and earth and, furthermore, expresses a prayer for peace. The extreme significance of unchangeable eternity is expressed and communicated to the audience in the form of this simple dance. The one-movement, one-posture style of the brief dancing mode emphasizes the simple aesthetics of ``Gango`` (simplicity & modesty), so the dance is able to impart its essence freely. Today, aesthetic research of Munmyo-Ilmu`s ``Saeui`` (spiritual) style of expression and the dance`s formal Gango system is a good example of a method to inform emerging opinions in the contemporary art world, through so-called Ongojisin,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

      • KCI등재

        『춘관통고(春官通考)』 문무 춤사위의 호흡패턴 연구

        유혜진 한국무용학회 2021 한국무용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문묘일무 춤사위의 호흡 구조를 분석하여 호흡패턴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로 문묘일무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춤사위의 실제적 호흡 모델링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임학선의 호흡 표기법 이론에 입각하여 본 연 구자가 직접 실연한 문무 영상의 동작을 캡처하고 호흡 분석표를 작성하여 악장별 호흡패턴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중심으로 문무가 상징하는 춤사위의 특징에 따른 호흡패턴을 살펴보았으며, 그것은 삼진삼퇴의 춤사위, 읍의 춤사위, 사의 춤사위, 겸의 춤사위, 수수지례의 춤사위이다. 문묘일무의 실연은 결국 자기완성을 위한 수 신의 경지를 구현하며, 자신을 성찰하고 인격을 수양하여 어질고 덕성스러운 인애덕행을 몸소 체득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가 문묘일무에 담긴 교육적 가치를 고취시키고, 문묘일무의 교육 현장에서 의미 있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actual breathing modeling of the dance required at the Munmyo Ilmu training site as a study to derive breathing patterns by analyzing the breathing structure of the Munmyo Ilmu dance. Focusing on Lim Hak-seon's theory of breathing notation, the researcher captured the behavior of the written image and prepared a breathing analysis table to derive breathing patterns for each movement. Based on the results, we looked at the breathing patter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symbolized by Moon-moo, and it is a Three steps forward, three steps back, a dance move by Eup, Sa, Gyeom, and Susuji-rye. The realization of Munmyo Ilmu eventually embodies the level of reception for self-completion, reflecting on himself and cultivating his character, which leads him to learn the virtuous acts of Inae-deok.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mote the educational value contained in Munmyo Ilmu and be used meaningfully in the educational field of Munmyo Ilmu.

      • KCI등재

        동서양 예술론을 통한 한국 문묘일무의 예술교육적 가치정립 및 그 활용방안 - 공자와 존 듀이의 예술론 교차연구 -

        박지선 ( Park Jee-seon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9 한국무용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동서양의 거장인 공자와 존 듀이의 예술론 교차연구를 통해 한국 문묘일무의 예술교육적 가치를 정립하고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자와 존듀이의 이론은 ‘도덕론·교육론·예술론’의 유기적 체계 속에서 이해의 폭을 넓힌다. 그들은 인간 본성에 의거한 도덕을 교육의 중심에 두었다. 또한 교육의 장에서 직접경험을 쌓는 예술교육을 지향하며 개인과 사회에 이로운 영향력을 행사하길 원했다. 본 연구의 주제인 문묘일무는 유가의 가르침에 따라 인성을 계발하고 사회구성원으로서 갖춰야할 덕목들을 익혀 세상에 나아가는 수기치인을 실천하는 춤이다. 최근 교육동향에 따라 문묘일무의 예술교육은 주입식 교육을 뛰어넘어 자연스레 사람의 몸과 마음에 체득되는 교육 콘텐츠로서 다양한 교육현장에 활용될 수 있다. 우리의 귀중한 문화유산인 문묘일무가 창의인성을 함양한 사회인을 배양하고 건전한 사회를 이룩하는데 이바지하길 바란다. 더불어 이 춤의 예술경험을 통해 삶의 지혜를 얻으며 인간의 오랜 염원인 행복으로 나아가는 삶의 질적 측면을 채울 수 있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Establishing artistic education value of Munmyo-Ilmu in korea' and 'Suggesting its application plans' through a Case-crossover Study for Art Theory of Confucius and John Dewey. Confucius and John Dewey's theory broadens the scope of understanding in the theory of 'morality, education, and art'. They put morality on the basis of human nature at the center of education. They also wanted to have a influence on individuals and society in order to pursue art education by gaining experience in the field of education. Munmyo-Ilmu is a dance practicing Sugi-chijin, who develops character and learns the virtues of a member of society, and advances to the world. According to recent educational trends, arts education of Munmyo-Ilmu can be used in educational sites as educational contents that are learned in the body and mind of a person. I hope that Munmyo-Ilmu will serve to build a healthy society by creating a career path for developing into a creative culture. I also hop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art experience of this dance.

      • KCI등재

        유가 수양론과 문묘일무의 교육적 가치

        박지선 ( Park Jee-seon ) 한국무용교육학회 2017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8 No.1

        Time passes, and once new creations vanish into the realm of history. However, `mankind` has been in the center of the creation and the extinction of all things. Current civilization devotes itself into STEAM education and foster autonomous, proactive individual for preservation of humanity and betterment of the society. Confucian moral cultivation coincides with modern educational trend in regard that its goal is perfection of personality and establishment of moral community by disciplining one`s body and mind. Munmyo-ilmu is a Confucian ritual dance presenting manners and rights to be shared among people which has been a means to educate liberal arts and train body and soul for ages. As said in a Confucius saying: "Arts produce a kind of pleasure which human nature cannot do without.", the dance is a guide for developing self-taught, global talents. From cultivating human nature and building creativity to enhancing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leadership skills, qualities more emphasized nowadays, Munmyo-ilmu suggests deep implications to present education of arts. Munmyo-ilmu education will provide its trainees the opportunity to grow into trust-worthy, influencial leaders with increased creativeness and highly effiecient communication and collboration skills based on enhanced solitude by learning the ethics of Confusian and building chacacters on it. Nourishing cultural citizens and making a better society is not different from now as in the old times. It is not only for personal or national interest, but for epigyny of human and nature. This study is presented such that it can be used to pave the groundwork for nurturing creative and cultural talents.

      • KCI등재

        문묘석전 일무의 위치 연구

        임학선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2

        Ilmu, a Confucius ritual dance, is the dance performed in the Seokjeondaeje of Munmyo. It is originated from the ancient China, and closely related to myths. The myth as an important part in the history of mankind had been transmitted by words, and thanks to the record of myths in scriptures, today we can have some knowledge of the dance style of the ancient times. The dances originated from the age of myths include <Unmum(雲門)> of the Emperor, <Hamji(咸池)>, of the king Yo, <Daeso(大韶)>of the king Sun, <Daeha(大夏)> of the king Woo, <Daeho(大濩)>of the king Tang, and <Daemu(大武)> of the king Mu; these six types of dances are called Yookdaedaemu (六代大舞),and these dances are those performed at the rituals dedicated to Chunjiin (the heaven, earth, and human) in the ancient China.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location of Ilmu originated from Yookdaedaemu (六代大舞). Determined by the ideology of Chunjiin samje and that of yin yang, the location of Ilmu is the garden of Myojeong between dansang (堂上) and dangha (堂下), representing the idea that human business is in between the heaven and earth(天地). When placing munmu and mumu, the former was placed in the east, while the latter the west, as mun was regarded as superior to mu, as the east was regarded as superior to the west. Being the space where dance is played, the location of Ilmu is intimately associated with the movements of dance. As the movements of dance and its meaning can vary according to the space where dance is played, the location of dancer had been highly regarded since long time ago. It had been recognized that the location of Ilmu and all movements of dancer are contingent on the principle of the movement of cosmos so that special meanings were attached to them. Therefore, a basic study into the prototype of the location of Ilmu from which the history of dance stems is substantially significant and meaningful. 일무는 유교제례무로 문묘 석전대제에서 추는 춤이다. 그 유래는 고대 중국으로부터 비롯되며 신화와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인류의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신화는 구전으로 전해지고 그 구전이 경전의 기록으로 남겨지는 `신화의 경전화`로 인해 오늘날 우리는 그 옛날 신화시대의 춤을 살필 수 있다. 신화시대로부터 비롯되는 춤은 황제의 <운문>, 요임금의 <함지>, 순임금의 <대소>, 우왕의 <대하>, 탕왕의 <대호>, 무왕의 <대무>로 이 여섯 종류의 춤을 육대대무라 부른다. 이 육대대무는 고대 중국에서 천지인에게 제사할 때 각각 추어졌던 춤이다. 본 연구는 육대대무로부터 유래되는 일무의 위치에 관한 연구이다. 일무의 위치는 천지인삼재 사상과 음양 사상에 의해 정해지게 되는데, 그 자리는 당상과 당하 사이 묘정의 뜰로 천지 사이에 인사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곳이다. 이 위치에 문무와 무무를 배치하게 된다. 문무와 무무를 배치할 때는 문을 무보다 위로 여기고 동을 서보다 위로 여겨 문무를 동쪽에 배치하고 무무를 서쪽에 각각 배치하는 것이 예로부터 전해지는 전통이다. 일무의 위치는 춤을 추는 공간으로 춤사위와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춤을 추는 공간에 따라 춤사위와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춤추는 위치를 매우 중요시 하였다. 이와 같은 일무의 위치와 춤사위는 모두 우주의 움직임 원리와 이치에 따라 그 자리가 정해지고 몸동작이 만들어진 것으로 특별한 의미가 부여되어 있어 일무 위치의 원형을 찾아서, 그 위치를 바로 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