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전망대의 방문동기 간 영향관계 및 세분시장별 방문객의 특성 비교

        윤설민,하진영,장희숙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3 GRI 연구논총 Vol.2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s (push motivation factors: sociality, family friendliness, escape / pull motivation factors: historical experience of division, attractiveness, novelty) of visit motivation, and then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mean for satisfaction toward admission fee and overall experience among segmented groups based on delineated visit motivation factors. Also, it was another research question to analyze the moderating role of visit experience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push motivation factors and pull motivation factors. The results of various empirical analyzes are as follows. First, sociality and family friendliness among push motivation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ll pull motivation facto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scape among push motivation factors had a negative effect on historical experience of division among pull motivation factors,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novelty among pull motivation facto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sociality among push motivation factors when explaining all pull motivation factors was meaningful different between the first visit and the repeat visit.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average of the visit motivation (Cluster1, Cluster4), the higher the average of satisfaction with not only the admission fee but also the overall experience. Based on these main results,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further discus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본 연구는 다크투어리즘의 대표 관광장소 중 한 곳인 오두산통일전망대 방문동기의 구성개념들(추진 동기 요인: 사회성, 가족친화성, 일상탈출 / 유인 동기 요인: 분단역사체험, 매력성, 신기성) 간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그런 다음 설명된 방문동기 요인들에 따라 세분화된 집단 간 입장료 및 전반적 체험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또한 추진(push) 동기 요인과 유인(pull) 동기 요인 간 영향 관계에서 방문경험의 조절 역할을 분석하는 것은 또다른 연구 문제로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에 의한 결과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추진 동기 요인 중 사회성과 가족친화성은 모든 유인 동기 요인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그 외에 추진 동기 요인 중 일상탈출은 유인 동기 요인 중 분단역사체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유인 동기 요인 중 신기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제시된 요인 중 사회성의 회귀계수는 처음 방문과 재방문 간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셋째, 방문동기에 대한 평균(군집1, 군집4)이 높은 집단일수록 입장료뿐만 아니라 전반적 체험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 또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주요 결과를 토대로 다크투어리즘 관광목적지의 방문동기, 시장세분화, 방문경험과 관련한 다양한 학술적·관리적 시사점을 결론 부분에서 더 논의되었다.

      • KCI등재

        오지체험활동 잠재방문객의 방문동기 유형별 인식 분석

        김범수(Kim, Bum-Soo),임성수(Lim, Sung-Soo),이성철(Lee, Seong-Cheol) 한국산림휴양학회 2017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국내 오지체험마을 잠재방문객의 방문동기가 실제 방문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잠재방문객인 도시민을 대상으로 방문동기를 문화학습체험, 새로운 경험에 대한 기대, 비일상적 체험, 자아실현형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방문동기 유형별로 체험장소, 체험형태, 체험숙박, 동반자와 같은 방문의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문동기에 따른 오지체험장소의 선호유형 결과, 산지인 산과 숲에 대한 선호가 바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방문동기에 따른 오지체험행태의 선호유형 분석에서는 스포츠 및 동적 행태의 체험보다는 오지문화체험과 같은 정신적가치를 추구하는 정적 체험의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동기에 따른 오지체험 숙박형태는 전반적으로 문화적 체험을 위한 숙박형태로 전통가옥의 선호를 제외하곤 전체 방문동기에서 캠핑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방문동기에 대한 오지체험 참가그룹 즉 동반자와 관련된 분석 결과, 혼자서 방문하는 경우는 문화적 체험과 자아실현 및 비일상적 체험 등의 다양한 동기유형과 관련성이 높았으며, 다른 그룹의 참가 형태는 무차별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potential visitors to the backcountry experience villages in Korea and analyzed the impact of their motivation of visit to actual wills to visit. To this end, the motivation elements of visit were identified from the city dwellers, the potential visitors to backcountry experience villages and the impact of their motivation of visit on actual wills to visit including place and type of experience, accommodation for experience, and preferred companions. The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motivation elements of potential visitors to visit backcountry experience villages, 4 kinds of motivation elements were identified; ‘cultural learning experience’, ‘expectation on new experience’, ‘unusual experience’ and ‘self-realiz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n the preferred places for backcountry experience depending on the motivation of visit, the mountain area was the most preferred place for backcountry experience. The preference on mountains(highlands) and forest was relatively high. The analysis on the preferred backcountry experience types depending on the motivation of visit pointed out that the static experience type pursuing psychological value including backcountry culture experience was preferred more than sports or dynamic experience type. For the preferred accommodation type for backcountry experience depending on the motivation of visit, the preference on camping was relatively higher in general in all kinds of motivation of visit except the preference of traditional houses as the accommodation for cultural experience. In the analysis on the preferred group to participate for backcountry experience depending on the motivation of visit, individual visit was highly correlated to a variety of motivation types including cultural experience, self-realization and unusual experience and other types of group participation showed different types of preference.

      • KCI등재

        통일전망대의 방문동기 간 영향관계 및 세분시장별 방문객의 특성 비교

        윤설민(Yoon, Seol-Min),하진영(Ha, Jin-Young),장희숙(Jang, Hee-Sook) 경기연구원 2023 GRI 연구논총 Vol.2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s (push motivation factors: sociality, family friendliness, escape / pull motivation factors: historical experience of division, attractiveness, novelty) of visit motivation, and then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mean for satisfaction toward admission fee and overall experience among segmented groups based on delineated visit motivation factors. Also, it was another research question to analyze the moderating role of visit experience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push motivation factors and pull motivation factors. The results of various empirical analyzes are as follows. First, sociality and family friendliness among push motivation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ll pull motivation facto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scape among push motivation factors had a negative effect on historical experience of division among pull motivation factors,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novelty among pull motivation facto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sociality among push motivation factors when explaining all pull motivation factors was meaningful different between the first visit and the repeat visit.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average of the visit motivation (Cluster1, Cluster4), the higher the average of satisfaction with not only the admission fee but also the overall experience. Based on these main results,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further discus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 KCI등재

        장소에 따른 방문자의 방문 동기 유형 및 평가 결정요인 분석

        최열(Choi Yeol),이재현(Lee Jae Hyun),성유정(Sung Yu Jeong)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2 No.3D

        본 연구는 동기와 방문의 관련성을 해안형과 도심형으로 장소 유형을 분류하여 부산지역 특정 장소를 방문하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문객들은 방문지를 선택하는 데 있어 다양한 목적과 동기를 가지고 참여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방문 동기는 방문객들의 방문 행동을 이해하거나 방문지 선택과정에 중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방문객들이 왜 특정 장소를 선택하여 방문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방문 대상지의 정책 수립이나 마케팅에도 강력한 도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접 설문을 통하여 이러한 동기와 방문의 관련성을 부산지역 특정 장소를 방문하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장소의 방문 동기별 방문의 관련성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관계를 직접적으로 조사 분석함으로써, 만족도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정한 속성 및 서비스의 집중과 대상지의 마케팅 계획수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의미 있는 근거를 Ordinal Logit Model을 이용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space management. It is not a simple question that why people visit specific place. People visit a place for escape from routine, to learn from other people, spend a time with their friends or lover, to take a rest and get some fresh idea, to relieve stress, and for shopping. It is depend on a various visit motivation with complicated a psychological phenomenon. Visitor participate in choice a specific place by various motivation and purpose. Generally, visitor motivation accepted understanding visitor behavior and process of selected a place. Understanding that why people visit specific place can use a marketing and policy making of visit place so we need to study about visitor motiv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ffline surveys from 501 people who have visited four survey place. Empirically analyzed the determinations of visitor motivation and estimate the place by using Ordinal Logit Model.

      • KCI등재

        관광객 방문동기에 따른 관광만족 및 행동의도 간의 차이 분석: 안동 월영교를 중심으로

        전영록 ( Yeong Rok Jeo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7

        본 연구는 기존에 안동시가 지니고 있던 문화유산 중심의 관광특성과 다른 형태의 관광활동이 활성화됨에 따라 관광객 행동분석을 통해 그 배경을 밝혀내고자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안동시에 소재한 관광지인 월영교(月映橋)를 방문한 관광객의 동기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장세분화를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별 방문동기 요인이 관광만족과 행동의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월영교 방문동기는 ‘고유성’, ‘친교성’, ‘문화성’, ‘일탈성’의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이에 따른 관광객 집단은 ‘일탈성’과 ‘친교성’ 요인값이 높게 나타난 ‘일탈·친교 추구 집단’,과 모든 항목이 평균이상 고르게 나타난 ‘다목적 추구 집단’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 두 집단은 연령, 방문횟수, 소득수준에 따라 집단별 특성차이가 나타났으며, 관광만족과 행동의도와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방문동기 요인은 관광만족과 행동의도와 유의한 영향관계를 구축하고 있었다. 방문동기 요인 중 ‘고유성’요인이 관광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탈성’요인이 향후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방도시 관광자원 활성화 측면의 논의와 함께 현재의 월영교 개발정책을 진단하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ral intention according to visiting motivation of tourists. We examined whether the effect on tourists motivation to satisfaction and behaviral intention. To achieve the study goal effectively,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about visiting motivation, market segmentation, tourism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Moreover, we made 3 hypothesizes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targeting tourists visiting the Wolyeonggyo in Andong. Totally 332 copies of survey were collected, excluding 20 copies, 312 copies were used in analys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we obtained 4 dimensions of motivation, which are authentic, friendly, cultural, deviant factor from factor analysis. Second, we carried out cluster analysis, through tourists type according to visiting motivation., it was classified into 2 clusters such as ‘deviant·friendly seekers’, ‘multi-purpose seekers’.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of visiting motivation, tourism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ourth, the visiting motiva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tourism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were analyzed. Finally, multi-purpose seekers reporting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nd more likely to revisit with visiting motivation such as authentic factor or deviant factor. In addition to these primary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range of local tourism and tourists behavior.

      • KCI등재

        오토캠핑객의 방문동기와 행동의도 간의 몰입 역할 검증 -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대은,이수연,박득희 한국호텔관광학회 2016 호텔관광연구 Vol.18 No.1

        Increasing leisure time Auto-camping is one of the outdoor recreation activities has been upwards in Korea. In this respect, this paper addresses the need to better understand auto camper’s behavi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ree folds: 1) to identify visit motivation, flow, revisit intention of Auto-Campers; 2)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the visit motiva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and 3) to examine the mediator or moderator role of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it motivation and revisit intention.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auto campers who participated in auto-camping within 12 months. Data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program. The followings are the main results. First, factor analysis delineated 7 dimensions of auto-camping visit motivations from 35 items of motives: ‘Socialization’, 'Novelty', 'Dignity and Achievement', 'Escape', 'Nature Friendship', 'Convenience of Facilities', and 'Accessibility'.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isit motivation and revisit intention. The results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 of visit motivations on revisit inten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flow existed between ‘socialization and escape’ and revisit intention. Finally, the flow also played a role as a moderator variable between visit motivation, socialization, Dignity & Achievement, Convenience of Facilities, and Accessibility, and revisit intention of auto camp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rketing implications and strategies for auto-camping developer were provided in the conclusion section.

      • KCI등재

        소셜미디어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미술관 방문 동기 탐색

        정온,류재만 한국박물관학회 2023 博物館學報 Vol.- No.46

        국내 미술관은 양적으로 팽창하고 있으나 기관별 관람객 편차가 크다. 이 연구는 미술관 방문 경험을 서술한 소셜미디어 게시물을 텍스트마이닝으로 분석하여 관람객의 미술관 방문 동기를 탐색했다. 미술관 방문 경험은 미술관 공간 활용을 중심으로 ’전시 관람’, ‘미술관 이용’, ‘미술관 주변 탐색’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미술관 방문 동기는 ‘인지적 동기’, ‘문화유산 경험동기’, ‘여가 동기’, ‘친화 동기’, ‘심미적 동기’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미술관 방문 동기는 심미적 동기가 가장 많았고, 여가 동기가 그 뒤를 이었다. 미술관 공간 활용에 따라 방문 동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미술관 관람객 개발을 위해 전시의 질에 집중하되 미술관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일도 필요하다. Art museums in Korea are expanding in quantity, but there is a large variation in the number of visitors by institution. This study explores visitors' motives for visiting museums by text mining social media posts describing their experiences of visiting museums. The experience of visiting museum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viewing exhibitions', 'using museums', and 'exploring around museums', centered on the utilization of museum spaces. The motive to visit museums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cognitive motive, cultural heritage experience motive, leisure motive, socialization motive, and aesthetic motive. Aesthetic motives a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leisure motive. The motive to visit museums varies depending on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In order to develop museum audience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quality of exhibitions, but also to provide space for leisure in museums.

      • KCI등재후보

        해수욕장의 방문동기, 관광만족 및 재방문 의도 연구- 부산지역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

        최나리 대한관광경영학회 2005 觀光硏究 Vol.20 No.2

        This research is about the visit motivation, tourism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of the beach in Busan.Various kinds of visit motivation and tourist studies have been progressed vigorously at the existing general tourist resorts. But, unfortunately, studies about beaches have been implemented more less than other tourist resorts, compared with high degree of the ocean tourism resources dependency, advantages of geographical condition of peninsula.That's why people in Busan need to maintain the attraction in more accurate and concrete way, why a number of tourists visit the beach and what attracts many people to this beautiful city.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isit motivation affected tourism satisfaction.Second, tourism satisfaction affected revisiting intention.Third,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vital stastistics(sex, age) and destination, there was difference in visit motivation.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해운대 해수욕장, 광안리 해수욕장, 송정 해수욕장을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이들이 해수욕장을 방문하게 되는 동기와 만족 및 재방문 의도를 조사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기존의 일반 관광지는 관광동기, 관광객 연구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우리나라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해양관광자원의 의존도가 높은 반면에 다른 관광지에 비해 해수욕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해수욕장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방문동기와 만족간의 관계, 만족과 재방문 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방문동기는 관광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관광만족은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방문동기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구논문 : 경주지역 관광객의 관광동기와 재방문객 유치를 위한 방안에 관한 연구

        박진영 ( Jin Young Park ),이성각 ( Sung Gak Lee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경주관광 경험자의 재방문을 통해 경주 관광에 대한 충성도를 높여 단골 관광객을 확보함으로써 경주관광의 활성화를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실증조사를 통하여 경주관광의 재방문 요인을 추출하고 이러한 요인 중 경주의 재방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관광동기 군집과 경주 재방문요인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광동기 군집별에 따른 경주 재방문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5개의 모든 관광동기에서 군집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검증 결과 적극적 활동형, 주변권유형, 사교형 일수록 각 관광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소극적 활동형 일수록 각 관광동기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주관광 재방문 유발요인이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주 재방문화 요인이 경주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결과 서비스성, 교통편의성, 홍보성, 유희성 요인이 경주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성은 경주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보성 요인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교통편의성, 서비스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희성 요인은 경주 재방문 의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igorate tourism in Gyeongju by boosting the loyalty to Gyeongju tourism through repeat visits of those who have visited the city and securing regular visitors. To this end, factors for a repeat visit to Gyeongju were establish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among them, those with positive effects on repeat visits to the city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lusters of tourism motivations and the factors for repeat visits to Gyeongju.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luster in terms of all of five tourism motivations. Second, we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factors for repeat visits to Gyeongju on repeat visit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of service, traffic convenience, promotion, and amusement had effects on repeat visit intention. The factor of promotion had the most positive effects, followed by traffic convenience and service. The factor of amusement had negative effects on repeat visit intention.

      • KCI등재

        외래관광객의 한옥 방문동기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동․서양간 비교를 중심으로 -

        이대은,이충기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9

        Korean Traditional Houses (Hanok) provide unique heritage experience for visitor in South Korea. In light of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Hanok’s, this study aims to further identify foreign tourists’ motivation for Hanok experiences, to examin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ivation between Asian and Western visitor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foreign visitors who stayed at T-Guest house in Bukchon, Seoul. Factor analysis delineated six dimensions of Hanok motivations from 24 items of motives: Cultural exploration, Escape, Socialization, Family togetherness, Hanok experience, and Novelty. The results of t-test indicate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ation between Asian and Western visitor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the motivation factors of Cultural exploration, Socialization, Hanok experience and Novel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urthermore, Z-test show that the coefficient of Hanok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sian and Western visitors. 본 연구의 목적은 1) 한옥 게스트하우스를 찾는 외래관광객의 방문동기를 확인해내고, 2) 동양인과 서양인 방문객의 인구통계적 및 관광행동적 특성과 방문동기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며, 3) 동기와 만족도 및 행동의도와의 상호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는 한옥 게스트하우스 중 하나인 북촌 티게스트하우스를 방문한 외래관광객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인분석결과 24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한옥 방문동기는 ‘문화탐험성’, ‘일상탈출성’, ‘사교성’, ‘가족친화성’, ‘한옥체험성’, ‘신기성’의 6개 동기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한옥 방문동기와 문화권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한 결과, ‘문화탐험성’, ‘가족친화성’, ‘한옥체험성’, ‘신기성’ 동기에 있어서 동양인과 서양인 방문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양인에 비해 서양인의 방문동기가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한옥 방문동기와 만족도 및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동․서양 방문객간 공통적으로 ‘문화탐험성’, ‘신기성’, ‘한옥체험성’, ‘사교성’이 한옥 방문 만족도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한옥체험성’이 동양인과 서양인 방문객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Z-test를 통해 검정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