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3,4학년 미술과 교과서 분석

        류재만,박미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5 No.-

        To This study aims to draw up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and textbook development by analyz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collecting opinions of expert teachers. To this end, we have set the direction of textbook analysis based on the revis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ignificance of textbook compilation, and the textbook authorization. In addition,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need to collect opinions of expert teachers through preliminary review of textbooks for textbook writing experience and analysis. A total of six exper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clu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eachers with doctoral degrees in art education. We conducted a written interview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derived from textbook analysis and expert teacher opinion gathering. First, abilities that can be raised through art education, such as Art Subject Competencies, need to be presented in textbooks. Second, it is necessary to open the possibility of linking with various fields from the curriculum for the convergence of thinking at the level of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Third, in order to realize self-directed learning, more advanced changes are needed beyond the level of activity guidance presented in the current textbooks. Fourth, it is necessary to collect opinions of expert teachers and refiningon functions and content elements in the content system. Fifth, diversification of the evaluation methods presented in textbooks is needed.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분석 및 이에 대한 전문가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방향 및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 검정 기준을 토대로 교과서 분석의 방향을 세웠으며, 아울러 교과서 집필 경험 및 분석을 위한 교과서 사전 검토를 통하여 전문가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는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교사는 초등학교에 재직 중이면서 미술교육 박사과정 이상의 교사로 총 6명이 참여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대한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교과서 분석 및 전문가 교사 의견 수렴 결과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역량과 같이 미술 교육을 통해서 길러질 수 있는 역량, 능력들이 교과서에도 함께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3,4학년 군 수준에서도 융·복합적 사고를 위하여 다양한 분야와의 연계 가능성을 교육과정에서부터 열어둘 필요가 있다. 셋째, 자기 주도적 학습의 실현을 위해서는 현재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 안내 수준을 넘어 보다 발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내용 체계에서 기능 및 내용 요소에 대한 학교 현장 교사들의 의견 수렴 및 정제 과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과서에 제시되는 평가 방식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전통그림 읽기를 통한 감상지도 모색

        류재만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7 No.-

        전통 그림에서는 현실에서 존재하는 자연물일지라도 그림 속의 자연은 본래의 자연물이 아니라 그리는 이의 사상과 정서를 매개하는 상징물인 것이다. 우리는 이 상징성을 읽고 해석을 통해서 조상들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전통그림을 읽기 지도를 위한 방법에는 사회·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읽기, 우의를 중심으로 읽기, 동음이자의 원리로 읽기, 고전적 명구 관련하여 읽기, 일화와 관련하여 읽기 등이 있다. 학생들이 서양의 그림이나 미술문화에 더 익숙하고 우리 전통그림이나 미술문화에 대해서 더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전통 미술문화에 대한 막연한 자부심만 가질 것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전통그림에 대한 바른 읽기를 통해서, 우리미술문화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또 조상들의 생활과 문화를 이해하고 오늘날 우리의 삶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지를 찾을 수 있도록 지도되어야 한다. 전통그림 읽기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읽는 방법을 이해시키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전통그림의 읽는 방법을 소개하고 관심을 갖게 하는 데 있다. Although paintings are painted under the name of Korean paintings, it's difficult to find the Samjeol ideology, which is usually reflected in traditional paintings, and the spirit to present symbolism with nature in them. Today's reality is that the materials of traditional paintings are used to paint from the Western perspectives. It's time to search for the ways to shed new light onto traditional art, bring life to it, and accept and recreate it as cultures of no nationality are created. In traditional paintings, natural objects, which are present in reality, are not depicted exactly as they are but represent the painter's thoughts and emotions as symbols. By reading and interpreting such symbolism, we can understand the culture of our ancestors. There are several ways to instruct the students about how to read traditional paintings, and they include reading based on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paintings, reading based on allegories, reading in the principle of homonyms, reading in relation with famous lines from classical works, and reading in relation with anecdotes. Being accustomed to the Western culture and unfamiliar with the traditional one, the young generations should learn to read traditional paintings so that they can understand, inherit, and develop the originality and excellence of our art culture and use it as the foundation for creating a new cul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열린미술학습의 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류재만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1997 師鄕美術敎育論叢 Vol.5 No.-

        이 글에서는 열린 미술학습에로의 접근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열린 미술교육의 철학적 기초, 열린 미술교육의 교수 방법의 유형, 열린 미술학습의 수업모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화원교육에 대한 미술 교육적 재고

        류재만 한국조형교육학회 2006 造形敎育 Vol.0 No.28

        조선시대는 역사 이래 미술문화가 가장 번성했던 시기이며, 무엇보다도 국가가 필요로 하는 미술 전문 인력을 국립미술교육기관인 도화서라는 양성기관에서 배출했다는 점에서 미술교육이 존재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조선시대 화원미술교육에 관해 자료의 희소성과 오늘날과 다른 교육환경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화원교육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원관련 여러 사적 자료들을 근거로 현대교육학적 관점에서 재해석을 통해서 화원교육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Hwawon of the Joseon court were painters who specialized in painting under the command of Dohwaseo which was established as a national organization or Gyujanggak. The view of fine arts education in Joseon Dynasty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values for public interest which considered painting as a role of realizing political ideology based on Confucianism, ideology of various arts and crafts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regarding drawing as arts, and signal values which viewed drawing as a way of cultivating one's personality. The objective of fine arts education for Hwawon was to train for a skill to describe something exactly, and its curriculum attached importance to copying of picture books or fine works, minute description skill, sketching of real things, and ornamental and practical pictures. And its assessment laid its importance on exact depiction and reality that all things including even a strand of hair are depicted as they are. As an official organization of fine arts education, Dohwaseo under the system took charge of drawing realistic records, so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restricted by demands of the ruling class and the Royal House. Nevertheless, its meaning is laid on the fact that it cultivated painters in Joseon Dynasty through its systematic curriculum. Hwawon produced famous painters and the culture of fine arts led by them are taught as traditional fine arts in modern fine arts education. When it is said that the traditional fine arts is to succeed cultural asset of our ancestors, the succession means just education.

      • 三絶思想에 관한 考察

        류재만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2001 師鄕美術敎育論叢 Vol.9 No.-

        우리 나라 학교교육에 근대 미술교육을 도입한 이후 지금까지 서구미술교육사상에 대한 충분한 검증 없이 신사조를 뒤쫓기에 급급하다보니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어 왔다. 미술교육이 학교교육에 도입된 지 100여 년이 지난 지금 그 동안의 미술교육을 반성하고 새로운 모색이 이루어야할 시점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서구미술교육사상을 철저히 분석하고 비평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와 동시에 우리 전통 미술문화와 미술사상의 고찰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찾아보고 미술교육의 시사점을 찾아보아야 한다. 이제 우리 사고와 시각에서 우리의 풍토에 맞는 미술교육사상을 정립하고 새로운 미술교육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이런 새로운 모색을 위해 조선시대 삼절사상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조선시대에는 글씨나 그림의 토대로서 철학이나 사상성을 중요시하였다. 예술작품이란 예술가에게 온축된 학문이나 철학 내지 사상성의 구체화되어 표현된 것이지 손끝에서 나오는 잔재주가 아니라는 인식이었다. 그리하여 인문학의 핵심인 문학과 역사와 철학을 간단하게 지칭하는 문(文)․사(史)․철(哲)이 전공필수라면 시와 글씨와 그림의 시(詩)․서(書)․화(畵)는 교양필수였다. 전자가 이성훈련을 위한 것이라면 후자는 감성훈련을 위한 것이다(최완수 외, 1998: 4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