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료(史料)로 살펴본 윤성덕(尹聖德)의 삶과 음악 활동

        장정윤 ( Chang Jeong Youn ) 한국음악학학회 2021 음악학 Vol.29 No.1

        본 논문은 근대 시기 음악유학을 경험한 여성 음악가 윤성덕(尹聖德, 1903~1968)에 대한 연구로서 지금껏 알려지지 않은 그녀의 삶을 당시의 신문기사, 잡지, 유학 기관에서의 기록, 미국 이민국 서류 등 새롭게 발굴한 1차 자료를 통해 구체화하고 음악 활동을 살펴보는 것에서 출발한다. 윤성덕의 삶과 음악 활동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평양의 기독교 가정에서 자라고 이화학당에서 교육을 받으며 음악에 대한 꿈을 키운 시기이며, 두 번째 시기는 선교사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미국 유학을 경험하고 이후 이화여전의 교수로 부임하여 음악 교육시스템의 발전에 헌신한 시기이다. 그리고 세 번째 시기는 미국의 발전된 최신 음악 교육시스템을 경험하고 조선으로 도입하기 위해 이화여전 교수의 신분으로 다시 미국으로 건너간 이후이다. 윤성덕의 삶과 활동 전반에 나타난 음악에 대한 소명은 개인적인 성공과 명성을 위한 자아실현보다는 당시의 기독교와 여성 교육정책이라는 강력한 영향 아래에서 음악교육자의 모습으로 발현되었다. 또한 그녀는 김애식 이후 이화학당출신 미국음악유학생으로 김메리, 김영의같이 보다 많은 여성 음악가들이 선교사들의 네트워크와 지원을 통해 미국 유학을 경험하고 귀국하여 이화에 교육자로 투입되는 연장선의 시작점에 있다. 본 연구는 윤성덕이라는 인물의 삶과 음악 활동을 보다 구체화하고 관련 인물들을 밝힘으로써 한국 근대 초기에 활동한 여성 음악가의 갈등과 욕망을 심도 있게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fundamental study on Mary Sungduk Youn (尹聖德, 1903~1968), a female musician who studied abroad in early modern Korea, and starts to discover her life and her musical activities based on primary sources and historical records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copies of personal documents and the records from the universities and the archives in the U.S. Based on them, Youn’s life can be divided into 3 periods. The first period is the time when she was raised and educated under the Christian family and Ewha Haktang. And the second is the time when she went abroad to study music in the U.S., supported by several missionaries involved in Ewha College and the time she devoted herself as a professor to improve the music educational system of Ewha College after coming back from America. The last is the time after she revisited the U.S. for having experience on the latest music educational system and for introducing it to Ewha College. The vocation for music that appeared throughout Youn’s life and activities was manifest as a music educator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Christianity and women’s education policy rather than self-actualization for personal success and fame. And Youn was an important figure after Alice Kim (1890~1951) who was the first music educator going abroad to study in the U.S., and as a pioneer Youn was at the beginning of studying abroad of female musicians such as Mary Chesik Kim (1906~2005) and Youngyi Kim (1908~1986), supported by missionaries within their strong network. By discovering Youn’s life and musical activities with the people involved, this study will provide the opportunity to examine the conflicts and desires of female musicians who were active in the early modern Korea.

      • KCI등재

        미국인 선교사와 기독교 지식인의 전통음악 인식과 실천: 『조선민요합창곡집 제1집』(1931)을 중심으로

        허지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2023 음악이론연구 Vol.40 No.-

        Korean Folk Songs, Vol. 1, published in 1931 by the department of music of Ewha College, is a significant literature in Korean music history in that it is an early case of arranging Korean traditional songs into Western music. This volume contains seven choir pieces based on Korean folk songs, arranged for soprano solo and female 3-parts with piano accompaniment. Missionary Mary Young (美理英, 1880-1967), who was the head of the music department at the time, and Keui Young Ahn (安基永, 1900-1980), a “Christian intellectual” who had just returned from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and was appointed as a teacher of Ewha College, were in charge of the arrangement. In this paper, I investigate Ewha’s folk song project in three aspects. First, the progress of the project is traced in detail. Second, the lyrics of choir pieces are compared with those in Lee Sang-jun’s songbooks. And third, the Western music techniques used for arrangement are analyzed. Through this, I reveal that the lyrics of Ewha’s folk songs were influenced by values of enlightenment, and the indigenous melodies were arranged by introducing various techniques of Western music. Furthermore, I argue that this project was deeply connected to the mission of evangelization and civilization through Christianity.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가 1931년에 발행한 『조선민요합창곡집』은 한국 창작음악계에서 여전히 유효한 화두인 ‘전통의 현재화’라는 문제의식을 드러낸 초기 사례라는 점에서 음악사적 의의가 크다. 『조선민요합창곡집』은 재래의 민요를 피아노 반주가 붙은 소프라노 독창과 여성3부 합창용으로 편곡한 일곱 곡을 수록하고 있다. 편곡은 당시 음악과장이었던 메리 영 선교사(Mary Young, 美理英, 1880-1967)와 막 미국 유학에서 돌아와 교원으로 임용된 ‘기독교 지식인’ 안기영(Keui Young Ahn, 安基永, 1900-1980)이 담당했다. 이화의 민요 합창 프로젝트는 편곡, 공개 연주회 출연, 음반 발매, 악보집 출판 등으로 이어지며 식민지 양악계의 시선을 모았다. 이 연구에서는 메리 영과 안기영이 주도한 이 프로젝트를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한다. 첫째, 프로젝트의 경과를 구체적으로 추적하며, 둘째, 합창곡의 가사를 이상준의 ‘속곡집’에 수록된 가사와 비교하고, 셋째, 편곡에 동원된 서양음악 기법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필자는 이화의 민요 합창곡이 계몽적 가치를 담은 가사를 채택하였고, 재래의 선율을 서양음악의 다양한 기법을 동원하여 편곡하였음을 밝혔으며, 더 나아가 이 프로젝트가 기독교를 통한 복음화와 서구 문명화라는 선교적 사명과 맥을 같이 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조선민요합창곡집(朝鮮民謠合唱曲集)』 연구

        신수정 ( Soo Jung Shin ) 민족음악학회 2015 음악과 민족 Vol.50 No.-

        This study will be mainly focused on the female choral works in three parts named “Joseonminyohabchanggogjib(朝鮮民謠合唱曲集, The choral book of Joseon folk song, 1931)”, which was published as a campaign to sing folk songs in The Music department in Ewha Women’s College. The seven songs were included in “Joseonminyohabchanggogjib”: Four songs were arranged by Gi-Young Ahn ‘Jajeunsan-taryeong’, ‘Nongbu-ga’, ‘Hannyangui bom’, ‘Yangsando’ and three songs were arranged by Mary E. Young ‘Doraji-taryeong’, ‘Ipalcheongchun-ga’, ‘Banga-taryeong’ recorded Phonograph Records in Columbia Record company through The Music department in Ewha Women’s College chorus before publication. In addition, it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people as much as these songs were performed a nationwide tour concert. These activities of the Music department in Ewha Women``s College can be a meaningful try, given that these expressed the value of folk song and tried to seek a new path for folk songs. What is clear is, it can be thought to be a pioneer in arrangement based on folk songs.

      • KCI등재

        <보환연>과 <허영>의 동일성 및 번안 문학적 성격 연구

        강현조 ( Hyun Cho K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4

        이 논문에서는 난파 홍영후의 창작소설로 알려져 있는 <허영(虛榮)>이 이보다 약 6년 앞서 출판된 신소설 <보환연(寶環緣)>과 내용면에서 거의 유사한, 사실상 동일 작품이라는 사실을 입증하고 더 나아가 두 작품 간의 동일성이 형성된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비교 결과 두 작품이 서사 구조상의 동질성을 공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 장면 및 등장인물의 작중 역할 또한 거의 완벽하게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해서는 홍난파가 <보환연>을 표절했거나 <보환연>의 미완 부분을 마저 이어서 썼기 때문에 생긴 결과가 아니라, 두 작품 모두 동일한 원작소설을 모본으로 하여 번안 집필되었기 때문에 생긴 결과라고 보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 이른바 ``일본풍``이라고 부를 수 있는 번안의 흔적이 작품의 곳곳에 남아 있기 때문이다. <보환연>의 지면에 ``저작``이라는 용어 대신 ``편집``이 ``편술``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점, 홍난파의 작품이 대부분 번역물이라는 사실들 외에도 실제 작품에서 등장인물들에 대해 일본식 명명법이 사용된 점, 그리고 작중 설정이 한국의 현실과 부합하지 않는 점 등이 그러한 흔적에 해당한다. 실제로 이상과 같은 추론을 입증하기 위해 원작소설을 추적한 결과, 기쿠치 유호(菊池幽芳)의 <유자매(乳姉妹)>가 <보환연>과 <허영>의 원작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자매(乳姉妹)>의 줄거리는 약간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보환연>과 <허영> 두 작품의 줄거리를 합쳐 놓은 것과 거의 동일하다. 이로써 <보환연>과 <허영>이 동일 원작을 모본으로 하여 서로 다른 시기에 집필된 번안 텍스트라는 점이 사실로 확인되었다. 그런데 <유자매(乳姉妹)> 또한 창작소설이 아닌 서양소설의 번안물로서 영국여류작가 샬롯 브레임(Charlotte Mary Brame)의 대표작인 <Dora Thorne>(1871)을 번안한 것이다. 요컨대 <보환연>과 <허영>은 <장한몽>과 마찬가지로 일본을 경유해서 들어온 서양소설의 이중 번역/번안 작품이었던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보환연>과 <허영>의 원작은 확인하였으나 원문 대조를 통한 전반적이고 구체적인 번안의 양상에 대한 고찰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궁극적으로는 <Dora Thorne>에서 <유자매(乳姉妹)>, 그리고 <보환연>과 <허영>으로 이어지는 번안의 경로에 대한 고찰을 포함하여 원작과 번안작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비교·대조 및 그 의미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o-Whan-Yean(寶環緣)> that had been published in 1913 and <Heo-Young(虛榮)> that had been appeared as a serial in 『Maeilshinbo(每日新報)』(1919) are almost the same. This Coidentity is caused the fact that <Bo-Whan-Yean(寶環緣)> And <Heo-Young(虛榮)> are based on the same original work, actually they are an adaptation of the Japanese novel in the Meiji-Era(1868~1912). The original work of <Bo-Whan-Yean(寶環緣)> And <Heo-Young(虛榮)> is <Chi-Kyoudai(乳姉妹)> written by Kikuchi yuho(菊池幽芳), that had been published in 1904. And <Chi-Kyoudai(乳姉妹)> is also an adaptation of <Dora Thorne>, the famous English novel that had been published in a cheap edition in both Great Britain and United States in the 1800s. As a result, <Bo-Whan-Yean(寶環緣)> and <Heo-Young(虛榮)> have many features as an adaptation and especially the former is notable.

      • KCI등재

        이화학당 창립50주년기념 노래책 《리화의 노래》(1936)에 담긴 역사와 현실

        김은영 ( Kim Eun Young ),신혜승 ( Shin Hye Seung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0 이화음악논집 Vol.24 No.4

        Ewha Womans University, which established the first music department in Korea with the establishment of Ewha College in 1925, will celebrate its Centenary in 2025. Therefore,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100 years of women’s music education, which has approached four years in the future, is intended to take a look at the meaning of 100 years of women’s music education, Songs of Ewha published in 1936, as the main text, from a new perspective. And we reconsider the history of Ewha 50 years in this songbook. The songs in the songbook contain the history of Ewha, the spirit of the nation, the enlightenment and freedom of women, and the zeitgeist of Ewha in the 1930s even in colonial conditions. The important meaning of this book is that it contains 50 years of Ewha’s history, and that all the archetypes of the current church family are in “Songs of Ewha.” Through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history contained in this songbook in a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we will encounter the education status of the 1930s and the history around it.

      • KCI등재

        이화여전 글리클럽 연구: 1927-1935년의 활동을 중심으로

        김은영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이화음악논집 Vol.23 No.1

        This study will be mainly focused on the Glee Club at Ewha College from 1927 to 1935. Ewha Hakdang, established by Mary F. Scranton in 1886, was reorganized as the first women's specialized college with the Liberal Arts Department and the Music Department in 1925. As Choseon’s folksongs were recogniz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Choseon’s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music research and the Glee Club were introduced as a curriculum for the Music Department. Since 1927, Ehwa College, led by Mary E. Young and Gi-Yong Ahn, published Choseonminyohabchanggogjib as record albums, which was a modern act. Moreover, the concert, which toured the country by arranging Choseon folk songs in chorus, generated a syndrome so-called ‘the Folksong Choir of the Joseon New Women,’ drawing a huge public response. However, these acts of Glee-Club were criticised and condemned by patriarchal society and the Christian community. It is possible that behind the criticism has been the response of discipline authorities who have been wary of girls producing social meaning through music. Nevertheless, as of 1935, when Ewha College was relocated to Sinchon, the Glee club’s activities have turned around to reproduce and imitate Western choir music. Also, by the end of the 1930s, when the energy of war was at its peak, it was mobilized for state-led music events such as ‘National Music Night’ and ‘The Night of the Feast’ and joined the ranks of the Empire’s faithful people. Although it’s been less than 10 years, Glee Club’s movement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the ‘Western music-centred community’ as they tried to achieve their goal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criticism and condemnation by the conservative society were possibly made by their fear of Glee Club’s liberal movement. Thus, the success of the glee club project in this period and the resistance of the institutional community to this period are also signs of colonial modernity, which was once again in conflict and confusion, such as ‘traditional society’ and ‘modern society,’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Christian) music,’ ‘women’s social advancement’ and ‘resistance of paternal discipline power.’ 본 논문은 1927-1935년 사이 이화여자전문학교(梨花女子專門學校) 글리클럽(Glee Club)에 대한 연구이다. 1886년 스크랜턴(Mary F. Scranton)에 의해 설립된 이화학당은 1925년, 문과와 음악과를 갖춘 여성 최초의 전문학교로 재정비한 후 조선민요를 조선 전통문화의 요체로 인식하면서 국악연구 및 글리클럽을 음악과의 커리큘럼으로 도입하였다. 1927년 이후, 이화여전 음악과는 선교사 메리 영과 안기영의 합작(collaboration)으로 『조선민요합창곡집』을 출판하고 레코드로도 전곡을 취입하는 등 매우 근대적인 행보를 이뤄내었다. 또한 전국순회 연주회를 통해 ‘조선 신여성의 민요합창’이라는 신드롬을 일으키며 대중으로부터 큰 호응을 이끌어 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글리클럽의 음악활동은 음악계 및 기독교계 모두로부터 비난과 공격을 받았다. 음악계에서는 조선 재래음악을 오선보로 만들고 합창음악으로 편곡하여 서구화하였다는 이유로, 기독교계로부터는 미션스쿨 여학생들의 민요합창이 기생을 연상시킨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결국 1935년 이후 글리클럽은 서구 합창음악을 재현하고 모방하는 레퍼토리로 전환하고 1930년대 말에 이르면 ‘국민음악의 밤’이나 ‘기원절봉축의 밤’ 등 관주도의 음악행사에 동원되면서 제국의 충실한 국민이 되어가는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비록 10년이 채 못 되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이 시기 글리클럽의 활동은 서구음악의 일방적 수용자를 넘어 한국의 전통음악을 통해 선교지 현장을 반영하려고 시도했던 음악적 성취였다. 당시 제도권 사회의 공격과 반발은 글리클럽의 사회적 행보에 불편함과 위기의식을 느낀 가부장제 사회의 반발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 글리클럽 프로젝트의 대중적 성공과 이에 대한 제도권 사회의 저항은 ‘전통사회’와 ‘근대사회’, ‘전통음악’과 ‘서구(기독교)음악’, ‘여성의 사회진출’과 ‘가부장제 규율권력의 저항’ 등 갈등과 혼돈을 거듭하던 식민지 근대성의 징후로 해석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이화여자전문학교 선교사 음악교사 연구: 연합감리회아카이브 소장자료를 중심으로

        허지연 ( Jeeyeon Huh ) 한국음악학학회 2013 음악학 Vol.21 No.2

        본 논문은 20세기 전반,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1925-1945)의 교육을 주도하였던 미국인 독신 여성선교사들의 삶을 미국 연합감리회아카이브에 소장된 일차자료에 기초하여 추적함으로써 그들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화여전 음악과에서 전임으로 재직한 선교사 음악교사는 매리 영(Mary Young, 1880- ? ), 캐서린 베이커(Catherine Baker, 1879-1972), 조세핀 대머론(Josephine Dameron, 1885-1966), 그레이스 우드(Grace Wood,1904- ? )이다. 이들은 고등교육을 받았으며, 선교사의 소명을 받아들였고, 결혼 대신 직업인의 길을 선택하여 독신 여성선교사 신분으로 한국에 왔다. 필자는 한국에서는 추적할 수 없는 이들에 대한 전기적 정보와 활동상을 밝혀줄 일차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미국 연합감리회아카이브센터를 방문, 조사하였다. 본고에서는 그곳에서 열람한 문서들을 토대로, 선교사들의 전기적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그들을 파견한 미감리여선교회와 독신 여성선교사의 사역을 미국의 시민전쟁(남북전쟁) 및 산업혁명이 초래한 미국사회의 변화라는 논점에서 분석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지금까지의 근대음악사 논의에서 “선교사”라는 집합명사에 갇혀 있던 선교사 음악가들을 개인별로 조명하는 것이 이 논문의 일차적인 목표이다. 더 나아가 음악과 선교사들의 한국 방문이 20세기 초 고등교육을 받은 미국 여성들이 선택할 수 있는 자기실현의 장이었음을 확인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identities of American single women missionaries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 in the music department at Ewha College (1925-1945), based on the primary sources of the United Methodist Archives. The missionary music teachers of Ewha College were Mary Young, Catherine Baker, Josephine Dameron, Grace Wood. They received higher education and came to Korea as single women missionaries, choosing to pursue their careers as single women instead of accepting marriage and motherhood. Since it was impossible to find information on these missionaries in KoreaI visited the United Methodist Archive Center, Madison, NJ in the United States to collect primary sources to reveal the biographical information and activities of the missionaries. In this paper, I summarize the bi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missionaries, based on the primary sources. I also analyze the works of the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C and single women missionaries in the context of the changes of American society after the Civil War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missionary musicians “personally”, since they have been called missionaries “collectively” in Korean modern music history. Furthermore I insist the coming of the missionary music teachers to Korea indicated the opportunities for well-educated American wome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o pursue their professional careers.

      • KCI등재
      • KCI등재

        군산의 3.1운동과 기독교학교의 참여

        김은주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9 신학과 사회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rch 5th Independent Movement in Kunsan, which is the first movement occurred among the locals in the south of Han river. Although much research on the March 1st Independent Movement in Jeon-buk province has been conducted thus far, most of them are based on the data of dealing with the particular leaders in the specific area and how the movement is unfolded from the perspective of mission or history. Considering this reality, the author explores the March 1st Independent movement in Kunsan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in particular. Largely,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scrutinizes the context of the times including social, economic, and missional situation. The second part tra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and mission schools as well as curriculum of the school. Lastly, some tasks and insights for Christian educ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and reflection. 본 논문은 한강이남에서 최초로 만세운동이 일어난 군산지역의 3.1 만세운동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 동안 다루어진 전북 지역의 독립운동에 관한 대부분의 논문은 주로 어느 지역에서 어느 인물이 중심이 되어 운동을 전개했는가를 선교 혹은 역사적 관점에서 논하고 있다. 반면에 본 논문은 ‘군산’이라는 특정 지역의 3.1 운동을 연구하되 특히 기독교 교육의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첫째, 당시 군산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 및 선교활동을 포함한 시대적 상황을 탐구한다. 둘째, 당시 만세 운동과 기독교학교의 연관성을 고찰하고 어떤 교육과정이 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구체적 교육의 현장을 추적한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고찰을 통해 도출된 과제와 도전을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제시한다.

      • KCI등재

        누구의 목소리인가: 서구식 음악교육과 여성의식의 변화

        채현경 ( Hyun Kyung Chae ) 세계음악학회 2013 음악과 문화 Vol.29 No.-

        Modern school education for girls/women in Korea started with the arrival of women missionaries/teachers from the West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students, either orphans or those from impoverished families, came to the boarding schools to be fed and have a place to stay. They were truly the ``subaltern`` of Korea, who did not have ``voice.`` Through collective hymn singing, an integral part of education, they were taught to write and speak to ``express`` themselves but also acquired Western ways of living and think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Western teachers and their Korean students has led to the assumption that they found a voice of their own. However, I will argue that the so-called ``liberated`` voice was only a mere gesture of a ``real`` one. Women`s ``outcry`` represented by the singing style of Korean folk music, was repeatedly corrected by the teachers in hymn singing, reflecting the imposition of Western esthetics. By observing women`s musical activities in their relation to political, cultural,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Korea at that time, I will argue that behind women`s seemingly ``independent`` voices, obtained from ``modern`` education and religion of the West, there were other hidden, highly political (colonial and nationalistic) and old (Confucian) belief systems that adroitly generated or manipulated the women`s voice. As has rightly been stated, “It is not so much that subaltern women did not speak, but rather that the others did not know how to listen” (Spivak 1996: 287-308). Thus, my focus is not to retrieve their voices but rather to ``interpret``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