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CT 발전트렌드에 대응하는 공간정보의 환경이슈 적용 체계 구축

        이명진 ( Moung-jin Lee ),이정호 ( Jeougho Lee ),윤정호,김근한,오관영,박보영,한지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기본연구보고서 Vol.2016 No.-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공간정보와 발전하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기술을 융합하여 최근 발현하는 환경이슈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사례 발굴 및 기존 환경공간정보의 활용을 재구성하여 효율적인 활용 방안 제시를 연구 목적으로 한다. 환경공간정보와 ICT 기술의 융합·활용이라는 연구주제의 기술적 특성을 고려하여, 환경공간정보의 구축 현황과 ICT 기술의 환경 분야 활용 사례에 대한 선행연구 및 관련 사례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였다. 더불어 환경공간정보와 ICT 기술을 활용한 국내 환경 관련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기법 중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공간정보와 ICT 기술의 융합 활용을 통한 환경이슈 대응 방안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다면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환경공간정보 구축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 및 사례를 검토한 결과, 총 22개 기관(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생태원 등)에서 보유한 환경공간정보와 향후 환경공간정보로 구축 가능한 자료는 전체 시스템의 제공자료 837개 중 53.8%, 환경주제도의 경우에는 전체의 74.9%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ICT 기술의 환경 분야 활용 사례 및 현황과 관련해서는 ICT 기술과 환경 분야에 직접 활용한 9건의 사례를 정리하였다. 분석된 ICT 기술은 그린 ICT(공공 및 산업융합 서비스, 빅데이터(빅데이터플랫폼), 인공지능(인공지능·인지컴퓨팅) 등이 해당된다. 각각의 ICT 기술에 대하여 정의, 역할, 시장동향과 영국, 독일, 중국 및 국내에서 ICT 기술이 환경 부문에 활용되는 직접적 사례를 조사·정리하였다. 환경공간정보 및 ICT 기술의 환경 분야 활용 메타분석에서는 빅데이터 분석방법 중 비정형 데이터 및 자연어 분석방법인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문헌자료는 NDSL(http://www.ndsl.kr)을 통하여 획득한 국내논문으로, 총 1,228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분석결과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국내 환경공간정보 환경 분야 활용현황 분석으로 조사 시작 시점인 1996년부터 2015년까지 환경공간정보의 활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환경공간정보 환경 분야 활용현황 결과 중 키워드 빈도 분석에서는 농업, 환경교육, 토지피복 등 환경 분야의 일반적 내용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환경 일반`이 40.85%로 가장 높았다. 키워드 시계열 분석에서는 1996년부터 2000년까지는 `기후`에 대한 연구 비중이 높았으나, 2001년부터는 `환경 일반`에 대한 연구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2001년 이후 `농업`, `환경 교육` 등과 같은 환경기술 적용과 환경 교육 등에 관심이 높아진 것과 연관 지을 수 있다. 키워드 연관규칙 분석에서는 총 80개의 연관규칙이 생성되었다. 환경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관규칙을 나타낸 것은 `환경일반`으로 17개의 규칙을 보였으며, 그 외에 `기후` 16개, `생물다양성` 11개, `토양` 11개, `수질` 9개, `대기` 5개, `해양` 5개, `유해물질 및 보건` 3개, `쓰레기` 2개, `소음` 1개의 연관규칙이 생성되었다. 둘째, ICT 신기술 환경 분야 활용현황 분석으로, 1996년부터 2015년까지의 연구논문 발간을 분석하면 총 359건 중 2012년이 68건으로 가장 많은 논문이 발간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사료된다. 환경 분야 활용현황 분석 결과 중 키워드 빈도 분석에서는 `환경 일반`이 38.60%로 가장 높았다. `환경 일반`과 `기후` 분야는 앞서 제시된 환경공간정보 환경 활용 분야의 분석결과와 유사하게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키워드 시계열 분석에서는 `공공융합 서비스`가 가장 높은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고 있었다. 공공융합서비스는 구체적으로 의료, 국방 보건복지 등 각 부분의 ICT 활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적, 현황적 성격이 강하다. 즉, 각 부문에서 직접적인 ICT 기술의 활용보다는 개념적으로 ICT 기술의 접목을 통하여 개선되는 방향 설정의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 연관규칙 분석에서는 `환경 일반`으로 17개의 규칙을 보였으며, 그 외에 `기후` 15개, `수질` 9개, `대기` 7개, `생물다양성` 4개, `유해물질 및 보건` 2개, `인적재해` 2개, `토양` 2개, `해양` 1개의 연관규칙이 생성되었다. ICT 기술을 반영한 환경공간정보 활용 재구성 예시에서는 전술된 국내 환경공간정보의 실제 현황, ICT 기술의 최신성 및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정량적 결과 도출을 위하여 우선 텍스트 마이닝 결과를 기반으로 기술지도를 작성하였다. 기술지도 내용 중 현재 환경 이슈 에서 주요한 2개 부분(기후변화에 의한 폭염 및 자연재해 중 지진)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2개 부분 각각에 대하여 본 연구를 통하여 조사된 환경공간정보와 ICT 기술을 융합하여 현재 이슈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폭염에 ICT를 활용한 환경이슈 적용 체계는 우선적으로 환경공간정보 활용 가능 항목 5개(위성사진,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대기 관측 자료, 재난재해 관련 자료, 수자원 현황자료 및 환경통계 공간정보)가 필요하다. 각각의 활용 가능 환경공간정보는 국토지리정보원, 기상청, 환경부, 국토교통부 및 KEI 등에서 생산 및 관리하고 있다.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ICT 기술 중 그린 ICT에 해당하는 콘텐츠 기반의 `공공융합 서비스`, `인공지능인지 컴퓨팅`, `빅데이터플랫폼`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전 국민을 대상으로 폭염 정보를 제공하던 것을 보다 정밀한 정보 수요자 중심으로 개편할 수 있다. 지진에 ICT를 활용한 환경이슈 적용 체계에서 환경공간정보 활용 가능 항목 5개는 전술된 폭염의 경우와 유사하지만, 지진진원지 자료, 지진강도 자료 및 환경기초 시설물 등 사회 기반시설에 대한 자료가 추가되었다. 각각의 활용 가능 환경공간정보는 국토지리정보원, 기상청, 환경부, 국토교통부, 도로공사 및 환경관리공단 등에서 생산 및 관리하고 있다.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ICT 기술 중 그린 ICT에 해당하는 콘텐츠 기반의 `공공융합 서비스`, `인공지능인지 컴퓨팅`, `빅데이터플랫폼`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진 발생 시 경보 정보의 실시간 제공,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정보 제공, 대국민 민원에 대한 인공지능 기반 대응, 사회기반시설의 피해 예상 분석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정책제언에 대한 검토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첫째는 ICT 기술 및 환경 부문 융합 연구개발의 필요성이다. 현재까지 ICT 기술에 대하여 직접적인 적용 사례보다는 개념적 또는 기술 활용·응용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정도에 한정되고 있으며, 실제 대규모 환경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직접적 기술 적용 사례는 매우 드문 형편이다. 즉, 각각의 목적에 부합되는 환경공간정보 구축과 최신 ICT 기술이 적재적소에 융합되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 등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발현되는 환경이슈에 적극적 대응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범부처 융합 연구 개발의 필요성이다. `ICT 기술 및 환경 부문 융합 연구 개발`을 위해서는 환경공간정보 구축 기관, ICT 기술 개발 기관 등의 협력이 중요하다. 실질적 협력의 수행과 효율적 연구 개발 및 연구 성과 확산을 통한 환경이슈 해결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협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verge various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and advanced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y, to develop cases that are instantly applicable to the environmental issues that have recently emerged and ultimately to suggest their efficient utilization by reforming the ways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s utilized. Consider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eme of this study ― the convergence and utilization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and ICT ― this study reviewed the status of established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relevant cases and previous studies about how ICT is being applied in the area of environment. In addition, text mining analysis, one of the big-data analysis techniques, was performed on domestically-published papers in environmental areas that utilized spatial information and ICT. By doing so, this study attempted a multifaceted analysis to empirically review measures to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by using spatial information and ICT. Through the review of early studies and case studies of how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s established, it was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that 22 public agenci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etc.) have already obtained and can establish going forward accounted for 53.8% of the 837 data types of the entire system, and 74.9% in case of environmental thematic maps. To review the cases and the status of how ICT is used in environmental areas, we divided ICT into 9 categories including green ICT (public and industrial convergence services), big data (big data platfor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cognitive computing). The definition, role and market condition of each ICT was reviewed, and cases in which ICT was directly used in environmental areas in the United Kingdom, Germany, China and South Kor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a meta analysis of the utilization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and ICT in environmental areas, a text mining technique used to analyze atypical data and natural languages among big data analysis methods was employed. In total, 1,228 domestically-published papers acquired from the NDSL (http://www.ndsl.kr)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text mining analysi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First, the status of the utilization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n environmental areas in South Korea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tilization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has continued to increase from 1996 to 2015. The results of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of the utilization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showed that the area with the highest frequency rate was “environment in general“ covering agriculture, environmental education, land coverage and others (40.8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keyword time series analysis, for the period between 1996 and 2000 the share of the studies on “climate“ was the highest, but since 2001, the share of the studies on “environment in general“ has been on the rise. The results can be attributable to the growing attention t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technology to areas like “agricultur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since 2001. Through keyword correlation analysis, 80 correlation rules were generated in total. The category that generated the most correlation rules among environmental areas was “environment in general (17),” followed by “climate (16),” “biodiversity (11),” “soil quality (11),” “water quality (9),” “air quality (5),” “marine health (5),” “hazardous materials & health care (3),” “waste (2),” and “noise (1).” Second, the status of the utilization of ICT in environmental areas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for the period between 1996 and 2015, the largest amount of papers (68) among the 359 collected papers were published in 2012, and the number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then. The results of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of the utilization of ICT showed that the frequency rate of the “environment in general” category was the highest (38.60%). The analysis results of the “environment in general” and “climate” categories were very high, similar to those of the utilization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keyword time series analysis, the share of the studies on “public convergence service” was the highest. The analyzed studies on “public convergence service” roughly covered the concepts and status of the utilization of ICT in medical, national defense, and health care fields. In other words, instead of discussing detailed measures to directly utilize ICT-based technologies in each field, they focused only on setting a conceptual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such fields through the integration of ICT. Through keyword correlation analysis, 17 correlation rules were generated in the “environment in general” category, followed by “climate (15),” “water quality (9),” “air quality (7),” “biodiversity (4),” “hazardous materials & health care (2),” “man-made disaster (2),” “soil quality (2),” and “marine health (1).” To provide an example of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by reflecting ICT, the current status of South Korea`s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mentioned above, and the up-do-date status and applicability of ICT were reviewed. First, technology maps were formul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xt mining analysis to obtain quantitative results. Among the contents of the technology maps, two key environmental issues (heat wave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earthquake among natural disasters) were selected. Measures were suggested to address each of the two issues by converging the reviewed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and ICT in this study. A framework for addressing heat wave by tapping into ICT first requires 5 types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that can be utilized (satellite image, climate change scenario & atmospheric observation data, disaster-related data, water resource data, and environmental statistics & spatial information). Each of the applicable spatial information is being produced and managed by public agencies including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Based on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form the current heat wave alert service for the public into a more detailed and consumer-centered alert service by utilizing content-based green ICT such as “public convergence service,” “artificial intelligence cognitive computing,” and “big data platform.” A framework to address earthquake by utilizing ICT also requires the same 5 types, in addition to information on seismic center and magnitude, and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Each of the applicable spatial information is produced and managed by public agencies such as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and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By utilizing content-based green ICT such as “public convergence service,” “artificial intelligence cognitive computing,” and “big-data platform”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current earthquake alert service can be improved to include real-time alert system, information distribution through various media, AI-based system to handle civil complaints, and social infrastructure damage estimation. Policy recommendations were made from two perspectives. The first is the necessity of R&D on the convergence of ICT and environmental areas. Early studies only focused on the concept and possibility of the utilization and application of ICT rather than discussing cases of direct application. There is almost no case where ICT was directly applied to address large-scale environmental issues. In other words,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case, and to converge ICT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By doing so, a proactive respons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address the issues that continue to occur due to climate change and natural disasters. The second is the necessity of pursuing R&D on convergence across agencies. For the convergence of ICT and environmental areas, it is essential to facilitate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agencies that establish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and those that develop ICT. Thus, cross-organizational collaboration is needed to promote actual cooperation and to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efficient R&D and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results.

      • KCI등재후보

        사례연구를 통한 ICT기반 기술 가치평가 방법의 고찰

        오선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1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up-to-date ICT technology and ICT based convergence technologies recently, the efforts of the technical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re realized actively. However, valuation methods of these technologies are mainly based on the existing valuation method of enterprise and business value review, not for the technology itself. Therefore, there are obvious limits for the accurate valuation of the up-to-date technology in ICT field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valuation result of the case study, in which the existing valuation method of the enterprise and business value review is applied to the rapid growth up-tp-date ICT technology. Then, we explore the problems of this valuation method consider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ICT technology and suggest the feasible solution. 최근 첨단 ICT 기술과 다양한 ICT기반 융합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이들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와 기술 이전 및 기술 사업화 노력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한 기술 가치평가 방법들은 주로 기술 그 자체에 대한 평가가 아닌 기존의 기업 사업성 검토와 기업 가치평가 방법에 근거하고 있어 첨단 핵심 기술인ICT 분야의 기술에 대한 정확한 가치평가를 하는데 분명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 이전 및 사업화를 위한 기술가치 평가 방법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첨단 기술인 ICT 분야의 기술 가치평가에 접목한 사례연구를 통해 그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ICT 기술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 평가방법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 ICT 발전트렌드에 대응하는 공간정보의 환경이슈 적용 체계 구축 : 빅데이터 분석과 위성영상 활용을 중심으로

        이명진 ( Moung-jin Lee ),이정호 ( Jeongho Lee ),윤정호,심창섭,김근한,채성호,이선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기본연구보고서 Vol.2017 No.-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공간정보 중 위성영상을 중심으로 최근 주요 이슈가 되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융합을 통하여 해외 선진 사례와 국내 주요 환경 이슈에 대응하는 시범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년도 연구 성과를 통하여 위성영상이 환경공간정보 전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외 위성영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환경 분야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고찰하였다. 더불어 해외 선진 사례 중 실제 위성영상과 ICT 기술을 융합한 사례(토양수분 변화 분석을 통한 가뭄 감지)를 국내에 적용하기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술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범연구(전북지역)를 수행하였다. 전년도 연구 결과를 통하여 피력한 바와 같이 최근 다양한 환경이슈의 해결을 위하여 실질적인 도구로서 위성영상의 활용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에 정밀 지구관측을 통한 환경문제 대응을 위하여 우리나라는 2020년까지 총 8대 이상의 위성을 운용할 예정이다. 이러한 기조에서 위성영상의 환경공간정보와 ICT 기술의 융합·활용이라는 연구주제의 기술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구관측 위성, 기상·해양·환경 위성, 정지궤도 환경위성으로 분류되는 위성영상 비교 분석 및 이기종 위성영상의 활용 사례 특히, 위성영상과 ICT 기술의 융합 활용의 해외실증 프로젝트 사례를 조사하였다. 더불어 빅데이터(Big Data) 분석 중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을 활용하여 기존의 국내 위성영상의 활용 현황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위성영상이 주류로 활용되고 있는지, 시기별·분야별로 정밀 분석을 수행하여 이기종의 위성영상의 환경공간정보와 ICT 기술의 융합 활용을 통한 환경이슈 대응 방안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다면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토양수분의 실질적 사례에 대한 위성영상과 ICT 기술 융합 활용의 기술적 체계인 기술지도를 작성하였으며, 기술지도 내용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연구지역을 선정하여 시범연구를 진행하였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관측 및 검증에 필요한 정보를 ICT 기반으로 연계하여 분석·활용하는 방안을 구현하였다. 추가적으로 향후 발전된 ICT 기술과 위성영상의 융합 활용에 대하여 재구성을 통한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및 향후 환경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국내외 위성영상의 특징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지구관측 위성(아리랑 시리즈, Landsat 시리즈) 및 기상·해양·환경 위성(천리안 시리즈 등), 정지궤도 환경위성(TEMPO, 천리안-2B GEMS 등)으로 대분류하여 국내외 위성의 제원을 조사·정리하였다. 이기종 위성영상의 활용 사례 조사에서는 국내 지구관측(아리랑 시리즈) 위성, 기상·해양·환경(천리안 시리즈) 위성, 환경 주제도를 활용한 55건의 문헌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지구관측 위성의 활용 사례는 수문학적 재난 등 총 15건, 국내 기상·해양·환경 위성의 활용사례는 토양수분 증발량에 관한 연구를 포함하여 총 18건, 환경 주제도의 활용 사례는 토양 침식계수 선정 등 총 22건이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조사된 총 55건의 융합 활용 사례는 재난재해, 농업, 산림, 해양, 수질, 및 기후의 6개 분야로 구분되어 분석되었다. 국내의 대표적인 아리랑과 천리안 위성 사례 및 환경주제도 사례를 분석한 결과, 55건의 사례 중 약50%의 연구가 토양수분과 직·간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재난재해분야에서 14건 중 9건, 농업분야에서 7건 중 7건, 산림분야에서 8건 중 3건, 해양분야에서 3건 중 1건, 수질분야에서 17건 중 5건, 기후분야에서 6건 중 1건에서 토양수분과의 직·간접적인 연관성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국내 위성과 환경분야 주제도 중심의 융합 연구로서 토양수분에 대한 연구가 적합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토양수분 관련 위성영상과 ICT 융합 활용 실증 사례를 조사하였다. 분석된 위성영상 및 ICT 융합 활용 해외 선진 사례는 ‘Afsis 프로젝트’, ‘WEAM4i 프로젝트’, 및 ‘ERMES 프로젝트’ 등이 해당된다. 각각의 사례에 대하여 위성영상과 ICT 기술이 토양수분의 환경이슈 부문에서 어떠한 기술적 역할을 담당하며 활용되는지 조사·정리하였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이기종 위성영상 융합 활용 분석에서는 빅데이터 분석방법 중 비정형 데이터 및 자연어 분석방법인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는 전년도에 개발한 R프로그램 기반의 텍스트마이닝 프로그램의 자체 개선을 통한 네트워크 분석으로 수행되었다. 기존의 국내 위성영상의 활용 현황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어떠한 위성영상이 주류로 활용되고 있는지, 시기별·분야별로 정밀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기종 위성영상 융합의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이는 위성영상의 공간해상도, 분광해상도 및 시간해상도로 구분하여 융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이기종의 위성영상의 환경분야 융합 활용에서 기반이 되는 중심 분광 파장대역, 공간 해상도 등을 도출하였다. 이기종 위성영상의 융합 활용방안으로서 공간해상도가 좋은 지구관측 위성과 시간해상도가 좋은 기상·해양·환경 위성을 융합하여 보완 활용이 필요하며, 특히 향후 천리안 2B호에서 제공하는 300~500nm 파장대역에서 융합 활용할 수 있는 지구관측 위성의 활용이 필요하다. ICT 기술을 반영한 위성영상 중심의 환경공간정보 활용 재구성에서는 전술된 융합 활용방안을 토대로 토양수분의 실질적 환경이슈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토양수분에 대한 위성영상 및 ICT 기술의 적용 및 활용 체계 구축을 기술지도 작성을 통하여 제시했으며, 이는 토양수분 관련 해외 실증 프로젝트(위성영상과 ICT 융합)의 국내 적용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해외 실증 프로젝트의 1) 위성영상 이용 토양수분 정보 획득, 2) ICT 플랫폼 구축을 통한 외부데이터 연계, 3) 분석·활용 서비스 제공의 세 단계의 구성을 통한 토양수분 관련 위성영상 및 ICT 기술의 융합 활용을 국내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체계를 구축하여 제시하였다. 기술지도 내용 중 국지적 토양수분 관측 및 ICT기반 외부데이터 연계를 통한 분석·활용하는 방안을 구현하기 위하여 실제 시범 연구지역을 선정하여 시범연구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위성영상 중심의 환경공간정보 및 ICT 기술을 융합하여 토양수분의 환경이슈를 해결하는 활용 방안을 토양수분 시공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토양수분에 위성영상 및 ICT를 활용한 환경이슈 적용 체계는 우선적으로 지구관측 위성 및 환경관측 위성의 이기종 위성영상을 중심으로 기후·대기 관측정보, 토양수분 관련 실측자료 및 관련 주제도가 필요하다. 각각의 활용 가능한 환경공간정보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기상위성센터, 국가환경위성센터, 기상청, 농촌진흥청 및 KEI 등에서 생산 및 관리하고 있다.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ICT 기술 중 ‘빅데이터 플랫폼’, ‘인공지능인지컴퓨팅’, ‘클라우드컴퓨팅’, ‘IoT(Internet of Things)’, ‘5G 유·무선 네트워크’의 기술을 활용하여 농업생산량 예측, 가뭄피해 예측, 농사정보 등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및 정책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정책제언에 대한 검토는 네 가지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첫째, 환경주제도 갱신(내용 및 주기) 고도화의 필요성이다. 현재 환경주제도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토지피복지도이고, 토지피복지도는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기초로 제작된다. 즉, 향후 토지피복지도 갱신, 더 나아가 환경주제도 갱신 및 고도화를 위해서는 위성영상 중심의 기본 자료 및 최신 ICT기술이 적재적소에 융합되어야 한다. 이는 4차 산업혁명 기반 일반 국민 대상의 신산업가치 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적극 활용할 수 있으므로 토지피복지도 및 관련 환경주제도의 갱신을 위한 적극적 기술 개발 투자 및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위성영상의 제도적 위상 재정립의 필요성이다. 현재 위성영상과 관련한 국내 법·제도적 규정에서는 위성영상은 위성정보(통신, 음향 및 음성 등을 포함)의 일종이며 위성의 정보 생산 목적 및 활용에 따른 위성정보의 구분 및 정의는 명시하지 않고 있다. 원격탐사 방식의 위성영상 정보는 환경뿐만 아니라 기상, 국토 관리, 교통, 재난재해, 기후변화 등 다양한 국민생활 이슈에 공간정보 형태로 활용이 가능하고, 이종 원격탐사 위성 간의 자료 융합 및 분야별 융합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향후 이에 대한 수요처가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원격탐사 방식의 위성정보에 대한 관리와 이용에 대해 별도의 새로운 제도적 체계가 필요하다. 셋째, 위성영상 정보 접근성 확장의 필요성이다. 위성영상의 고유의 활용 및 ICT 등 타분야 융합을 통한 정책 적용 잠재성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위성정보의 접근 통제 환경을 점진적으로 완화할 필요가 있다. 위성영상 정보 관련 법 및 제도 내 정보 보안에 관한 조항 등의 수정은 물론, 정보보안 및 군사안보와 관련된 정부부처 및 산하기관에서 운용하는 위성영상 관련 보안규정 역시 정보 접근성 완화를 골격으로 한 개선이 시급히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신정부 정책의 실천을 지원하는 민간기업의 참여 확대의 필요성이다. 신정부 100대 국정과제 내 주요 전략은 일자리 창출이며, 이는 원격탐사 방식 위성정보 활용 서비스의 핵심인 처리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미래 신성장 동력의 핵심 기술로서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다. 또한 시장 규모로 볼 때 대기업이 아닌 중소 전문기업 또는 스타트업 규모에서 집중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아이템이다. 따라서 원격탐사 분야와 ICT 분야, 이를 융합 활용하는 분야에서 활용 서비스 스타트업 및 전문 중소기업의 육성을 신정부 내 국정운영의 한 축으로 하는 게 중요하며, 원시 위성영상 생산 이후 자료 처리 및 유통 단계서부터 정부 또는 국가기관 주도가 아닌 민간기업의 참여를 정책적으로 장려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ase study of best practices overseas and a pilot study to deal with major environmental issues in Korea through integration of ICT that has recently become a major issue, focusing on satellite images among various kinds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The study analyzed the case in which satellite images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all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made in the previous year. In addition,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atellite images in Korea and overseas, and examined the cases in which they were used in the field of environment. Furthermore, an applicable technology roadmap was drawn up to apply the case in which satellite images and ICT are integrated ― detecting drought by analyzing the variation of soil moisture ― to Korea, and a pilot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roadmap in Jeonbuk. There is more and more use of satellite images as an actual tool to resolve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as shown in the previous year’s research findings. Thus, to cope with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precise earth observation, South Korea will manage at least 8 satellites by 2020. Consider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opic which is integration and use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of satellite images and ICT,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satellite images classified into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meteorological/ocean/environmental satellites, and geostationary environmental satellites. In addition, it studied cases in which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are used, especially verifiable projects from overseas about integration and use of satellite images and ICT. Moreover, multifaceted analysis was attempted to empirically review measures against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integration and use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of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and ICT by conducting a detailed analysis by period and field in order to determine which satellite images in particular are mainly used in Korea, using text mining among big data analysis. Based on this analysis, a technology roadmap was drawn up, which is the technical system of integration and use of satellite images and ICT in the actual case of soil moisture.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study area for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technology roadmap. Then a method was implemented to analyze and use the data required for observation and verification using satellite images based on ICT. In addition, an application plan was presented based on restructuring of integration and use of ICT and satellite images developed later.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and global satellite image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current and future environment field. Data of local and global satellites were also investigated and summarized by classifying them into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Arirang series, Landsat series), meteorological/ocean/environmental satellites (Chollian series, etc.), and geostationary environmental satellites (TEMPO, Chollian-2B GEMS, etc.). In the case study of using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total 55 literatures were examined, which used domestic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Arirang series), meteorological/ ocean/ environmental satellites (Chollian series), and environmental thematic maps. Total 15 cases including hydrologic disasters were examined in the case of using domestic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total 18 cases including studies on soil moisture were examined in the case of using domestic meteorological/ocean/environmental satellites, and total 22 cases including selection of soil erosion factor were used in the case of using environmental thematic maps. These 55 cases were analyzed in 6 fields: disaster, agriculture, forest, ocean, water quality and climate. As a result of analyzing cases of Korea’s leading satellites Arirang and Chollian as well as environmental thematic maps, about 50% of 55 cases we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soil moisture. More specifically, direct or indirect correlation with soil moisture was found in 9 out of 14 cases in the disaster category, 7 out of 7 cases in the agriculture category, 3 out of 8 in the forest category, 1 out of 3 in the ocean category, 5 out of 17 in the water quality category, and 1 out of 6 in the climate category. This showed that research on soil moisture is adequate for research on integration and use of domestic satellites and thematic maps in the field of environment. Based on the above,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integration and use of soil moisture-related satellite images and ICT. The advanced cases about integration and use of satellite images and ICT included ‘AfSIS project’, ‘WEAM4i project’, and ‘ERMES project’. This study examined and summarized which technical role is performed by satellite images and ICT in the environmental issues of soil moisture for each case. In analyzing the integration and use of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using big data, the text mining method was used, which is a method of analyzing unstructured data and natural language among various methods of big data analysis. This was conducted in a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self-developed text mining program based on the R program developed in the previous year. A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time and field regarding which satellite images are mainly used in Korea. In addi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ntegration and use of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was analyzed. This was categorized into spatial resolution, spectral resolution and temporal resolution to present integration method. Based on the above, central spectral wavelength range, and spatial resolution were elicited, which form the basis of integration and use of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in the field of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and use the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with good spatial resolution and meteorological/ocean/environmental satellites with good temporal resolution as a integration and utilization of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use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that can be ingegrated in 300-500 nm wavelength band provided by Chollian 2B. In restructuring the use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focusing on satellite images that applied ICT, a measure to resolve actual environmental issues of soil moisture was present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plan of integration and use. To this end, a technology roadmap was drawn up to establish the application and utilization scheme of satellite images on soil moisture and ICT, which is intended to apply global advanced projects related to soil moisture (integration of satellite images and ICT) in Korea. More specifically, a technological system is established and presented to apply the integration and use of soil moisture-related satellite images and ICT from overseas verifiable projects in Korea through the following steps: 1) acquiring soil moisture data using satellite images, 2) linking external data by establishing the ICT platform, and 3) providing analysis and utilization services. A pilot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n actual study area for demonstr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method to analyze and use the data by linking ICT-based external data and observing local soil moisture among the content of technology roadmap. Finally, this study restructured the plan to integrate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focused on satellite images with ICT to resolve environmental issues of soil moisture into a soil moisture time-space monitoring system. The system to apply to environmental issues using soil moisture satellite images and ICT need soil moisture data and climate/air observation data derived from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of earth and environmental observation satellites, as well as in-situ data on soil moisture and related thematic maps. The available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are produced and managed by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 Cente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KEI. Based on this data, ICT such as ‘big data platform,’ ‘artificial intelligence cognitive computing,’ ‘cloud computing,’ ‘IoT (Internet of Things),’ and ‘5G wired and wireless network’ can be used to predict agricultural production, forecast drought damages, provide customized services for consumers such as farming data, and support policy decision making. Review of policy suggestions was carried out in four views. The first is the need to renew and upgrade the environmental thematic maps (content and cycle).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of the environmental thematic map is land cover map, which is made based on satellite images and aerial photographs. In other words, to renew and upgrade the land cover maps as well as environmental thematic maps,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basic data focusing on satellite images and latest ICT in the right place. This can be actively used as the basic data to create new industrial values for the general public based on quaternary industries. Thu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vest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onduct research to renew land cover maps and related environmental thematic maps. The second is the need to reestablish the systematic status of satellite images. In the current legal-systematic regulations related to satellite images in Korea, satellite images are a type of satellite information (including communications, sound and voice), without providing their purpose of creating information and distinguishing or defining satelli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ir use.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s in the form of remote sensing can be used as spatial information in various issues of national life, such as environment, climate, land management, transportation, disaster and climate change. integration of data among multi-sensor remote sensing satellites and integration among different fields can be relatively easy, and demands for this is expected to grow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new system regarding management and use of remote sensing satellite information. The third is the need to expand accessibility to satellite image data. To actualize the potential for policy application with the use of satellite images as well as integration with other fields like ICT,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ease the current access control of satellite information. Provisions about information security in laws and systems related to satellite image data must be amended. In addition, security regulations related to satellite images managed by government departments and affiliated agencies related to information security and military security must also be improved immediately, with focus on alleviating access to information. The fourth is the need to increase participation of private enterprises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government policies. The major strategy in the 100 major government projects by the new government is creating jobs, and development of processing software, which is the essence of remote sensing satellite information service, can be acknowledged as the key technology of new future growth engine. Furthermore, not large companies bu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or startups can focus on this business in terms of market siz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nurture service startups or specialized SMEs in the fields of remote sensing, ICT and integration and use of these fields as a major part of governance in the new government. It is also necessary to politically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enterprises instead of having the government or a national institution lead the entire project from data processing and distribution after producing raw satellite images.

      • KCI등재

        특허정보를 활용한 경북지역 ICT 개발동향 분석 및 유망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한장협(Jang-Hyup Han),김채복(Chae-Bogk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1

        본 논문에서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산업 관련 기술을 주제로 경상북도의 특허출원 동향과 특허맵 중 하나인 특허 포트폴리오 분석을 적용하여 ICT 기술의 향후 방향을 살펴본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북지역 ICT 산업의 기술 동향 및 기술개발 실태를 특허정보를 통해 살펴보고, 특허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한 지역 ICT 산업의 기술방향 정도를 가늠하여, 연구개발 전략 수립에 활용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경상북도에서 출원된 특허를 대상으로 국제특허분류(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별 기술동향 파악을 하였고 향후 미래유망기술 도출에 대해 분석하였다. 동향파악을 위해서는 ICT 분류코드에 의거하여 각 부문별로 출원된 특허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상북도의 특허 출원 동향과 기술별 점유율 및 구간별 특허활동 현황, ICT 중분류 기술별 특허 출원 동향, ICT 기술시장 성장단계현황, 연구주체별 특허 출원 동향, 연구주체 간 공동연구 현황, 주요 출원인 특허 출원 동향 분석 등의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유망기술 도출을 통해 경북 ICT 산업의 기술적 방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북 ICT 산업의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고, 더불어 향후 ICT 산업기술의 지향 방향과 기술정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 of the patent application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ICT in Gyeongbuk Province by employing patent portfolio analysis, one of the methodology of map analyses for industry-related ICT issues.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CT development trend based on ICT patent information in Gyeongbuk Province. The promising technologies in ICT industry are extracted by applying patent portfolio analysis, one of the patent map analyse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applied to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ies. This study extracts ICT trend by applying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to the patents registered in Gyeongbuk. For promising technologies, this study analyzed the patents based on the ICT Classification Cod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e trend of patent application, technology share, patent activity status, the trend of patent application by each technology according to ICT classification, the growth stages of ICT market, registration parties for patents, joint researches of research parties, and primary parties of patent applications. After drawing promising technologies, this study provides the future progress direction of ICT industry in Gyeongbuk Province. The research results also can be applied to securing technology competence and developing strategy of technology policy.

      • KCI등재

        A Study of Technology Trade in The Korea ICT Industry

        Baek, Eun-Young,Oh, Keun-Yeob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20 무역보험연구 Vol.21 No.2

        본 논문은 유형의 ICT산업의 무역수지흑자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시점에서, ICT산업을 유⋅무형(기술무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기술무역내 정보통신 기업을 대상으로 해 당기업의 기술수출과 부가가치액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먼저, 유형의 ICT산업은 대규모의 무역수지 흑자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ICT와 관련된 제조업 과 서비스업이 망라되어 있기 때문인 것이며 이에 유형의 ICT 업종을 각각 세부업종으로 세분 화하여 업종간 차별화된 전략 구축이 시급함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무형의 기술무역 중 정 보통신산업에 속하는 272개 기업을 선정하여 각 기업의 기술수출과 부가가치액 증가에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대표적인 R&D 변수인 연구원 수와 단계별 R&D투자규모 중 기업의 기술수출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발단계에 있는 R&D 투자규모가 많을수록 정보통신 산업의 기술 수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정보통신 기술무역기업들의 부가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술수입과 R&D투자 규모가 클수록 기업의 부가가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기술수입보다는 R&D투자 규모가 많을수록 정보통신기업의 부가가치 증가 에는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GDP대비 R&D 투자비중이 세계1위이면서도 기술무역수지 적자가 OECD최하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정보통신 기업들의 기술수출 증 가를 위해서는 개발단계에 있는 R&D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국내 R&D투자의 방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유형의 ICT산업을 기술 무역에서 적용하고 있는 업종별로 세분화하여 각 세부업종별, 기술별로 효율적인 R&D투자 전 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 In this paper, the ICT industry was classified into tangible and intangible (technical trade) at a time when the trade surplus of the tangible ICT industry was maintained.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factors affecting the technology export and value-added increase of the ICT industry companies in the technology trade through empirical analysi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selected 272 companies belonging to the ICT industry among intangible technology trade, and derived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each company's technology export and value-added increase through empirical analysis. Results :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R & D investments by stage, factors affecting the company's technology exports increased as the number of R & D investments in the development phase increas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as the factor influencing the added value of domestic ICT technology trade companies, the larger the technology import and R & D investment, the more the added value of the company.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it is effective to invest in R & D in the development stage in order to increase the technology export of domestic companies. This suggests the direction of domestic R & D investment, which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suggests that a strategy to segment and invest in each sector is necessary.

      • KCI등재

        특허정보를 활용한 ICT 기술융합 분석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장협,나중규,김채복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5 지식재산연구 Vol.10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tent trend of ICT in Kyungbuk area and develop new technology or industry because of the convergence of ICT patent technology as well as other technologies. Then, the strategies for future industry are provided by patent network analysis on technology and industry convergence. Patent information in Kyungbuk area is used for research analysis. Generally, patent data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technology codes, IPC Co-occurrence. If there are several IPC codes in single technology, we consider it convergence technology. Pathfinder network analysis is used for grouping IPC codes. Mobile technology is classified into seven groups and display technology is classified into eight groups. ICT industry including mobile and display is evolving rapidly by integrating with other industries. The analysis results shows that PC and telephone will be integrated with other devices. Then, next generation smart devices can be developed by coevolution. Also, ICT industry shall be integrated with traditional manufacturing industry by upgrading ICT infrastructure and networking.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applied to forecast the future perspectives of ICT convergence industry. This study addresses on the convergence technology by using objective patent information in Kyungbuk area with proposed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and develops the future road map of ICT industry in Kyungbuk area.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최대 IT 생산기반 및 ICT 연구역량이 집적화된 지역인 경북의 ICT 특허동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ICT 특허기술과 타 기술 간의 융합을 통해 나타나는 신기술 또는 신산업을 발굴한다. 이를 위해 특허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그룹(군집)별 기술 및 산업 융합 분석을 실시하여 궁극적으로는 향후 미래산업에 대한 전략 제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경북지역에서 출원된 특허자료를 활용하였다. 일반적으로 특허는 하나의 기술이 아닌여러 개의 기술코드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IPC Co-occurrence라고한다. 만약 하나의 기술에서 IPC 코드가 동시에 여러 개가 나타날 경우, 이를 융합기술로 판단할 수 있다. IPC 코드를 활용하여 이를 시각화 및 그룹(군집)화 할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인 패스파인더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모바일 기술 분야의 경우 7개의 그룹(군집)으로 구분되었고,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의 경우 8개의 그룹(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최근의 모바일, 디스플레이로 대표되는 ICT 산업은 타 산업과의 기술융합화를 통해 급속히 진화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적용기술들을 통해 단순연결 위주의 PC, 유선전화기는 다수의 디바이스와 주변 환경이 상호연동으로 통합되어 실감·지능·융합되어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로 공진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ICT 산업은 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ICT 인프라 고도화 및 네트워킹을 중심으로 자동차·선박· 전력·의료·농업 등의 전통 제조업과의 3세대 융합 추세로 급속히 진화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ICT 산업의 핵심 특허기술과 융합기술, 이와 관련된 연관산업 연구를 토대로, 향후 정부의 창조경제 기반 핵심기술개발 및 ICT 융·복합산업의 발전방향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과 연구구조를 이용하여 객관적 자료인 특허자료로 융합기술을 설명함으로써 융합기술에 대한 파악을 가능케 한 연구이다. 더욱이 지역의 특허를 분석함으로써 지역산업의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정책적·실무적 함의가 크다.

      • KCI등재

        범용기술 관점에서 ICT 공급자의 경쟁적 노력에 관한 연구

        홍희정,정재원,이정훈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3

        ICT의 파급으로 다양한 응용은 기술 수용자뿐만 아니라 기술 공급자에게도 새로운 기회가 되며 그들 간에는 경쟁적 관점에서의 기술혁신 노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수밖에 없다. 범용기술의 혁신적 보완의 특징으로 인해 급격한 기술 변화는 분명 높아지는 지식 장벽을 형성하여 높은 기회와 전유성을 보장하게 되지만 이러한 ICT의 슘페터적 패턴 속에서 과연 ICT 공급자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한다. 혁신의 확산에서 말하는 혁신의 존재에 대한 지식을 수용자가 갖게 하기 위해서 혁신 기술 시도와 기술 공급자의 흡수 역량이 필요하다는 가설 검증을 위해 5,700여개의 북미 상장사를 대상으로 ICT 기업이 출원하는 기술 특허의 확산을 실증적으로 관찰한다. 기술의 출현으로 생겨나는 기술 적소(Technological niche)의 개념을 도입하고 이후 이 기술 적소에 참여하는 후발 비 ICT 기업의 참여 사건의 발생 위험률을 독립변수로 하는 생존분석을 통해 혁신적인 기술 시도와 흡수 역량의 유의성을 밝힌다. The research analysis will be proceeded with a specific question: The kind of endeavors the ICT providers must focus on within the ICT industry’s Schumpeterian pattern of using barriers of knowledge during the rapid technological transformation and pursuing appropriability of guaranteed opportunities.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targeting and conducting empirical observations on the proliferation of technological patent applications made by ICT companies among approximately 5,700 listed North American corporations. The risk of arising cases, in which late-coming non-ICT companies adopt and participate in the technical pertinence and concept derived from the technological advent, will be trea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a survival analysis. Through this analysis, innovative technological attempts and absorption capabilities indicate significance.

      • KCI등재

        ICT 문화 환경이 아이디어창업과 기술창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재희(Moon, Jae 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 (ICT)의 문화 환경에서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창업자들과 기술을 보유하고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창업자들이 창업아이템을 결정하고 창업 후 성장하는 과정에서 받을 수 있는 ICT 문화 환경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ICT의 문화 환경과 관련기기 사용에 익숙한 청년세대와 ICT 기기 활용성이 낮고 다소 문화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지는 장년세대가 창업을 계획할 때 ICT 환경이 창업아이템 결정과 사업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다양한 기술을 보유한 예비창업자의 창업아이템 결정과 창업후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ICT의 문화 환경으로 부터 받는 영향 연구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창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학생 중심의 청년층과 사회경험이 많고 퇴직을 앞둔 직장인 중심의 장년층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6개의 변수를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만들어 관계도와 이론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ICT의 활용 아이디어를 갖고 창업을 하는 경우 아이템별로 성공의 가능성이 있고, 기술을 갖고 창업을 하는 경우는 아이템별 성공과 지속 성장의 관계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아이템을 선정할 때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된 아이디어 창업은 ICT 문화 환경의 영향을 받아 성공과 지속 성장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연구되었다. 그리고 ICT 기술 친화력이 성공에 매개 역할을 하므로 현재는 청년 창업의 성공률이 장년에 비해 낮지만 앞으로는 그 차이가 점차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창업을 준비하는 다양한 연령과 기술을 가진 예비 창업자들에게 창업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의미가 있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is a survey of the impact of the ICT cultural environment that prospective entrepreneurs who possess technology and prepare for a business start-up decide on business items and grow after starting business. Specifically, it is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ICT environment on the decision of start-up items and business growth when the young generation who are familiar with the ICT cultural environment and the use of related devices and the elderly generation who have low use of ICT devices and somewhat less adaptable to the cul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ICT cultural environment on the decision of startup items of prospective entrepreneurs with various technologies and the growth potential after startup was also conducte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young people centered on college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have high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and the seniors centered on office workers who have a lot of social experience and are about to retire.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six variables were set and a research model was crea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nd the validity of the theo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growth by item when starting a business with an idea of using ICT, and there i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by item and sustainable growth when starting a business with technology. When selecting a start-up item, it has been studied that the idea start-up incorpora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a high possibility of success and sustainable growth, affected by the ICT cultural environment. And since ICT technology affinity plays a mediating role of success, the success rate of young entrepreneurs is currently lower than that of the elderly, but it is predicted that the gap will gradually decrease in the future.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a meaningful milestone that can present the direction of start-up to prospective founders of all ages and skills preparing for a start-up.

      • KCI등재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통한 노인의 건강관련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신문 보도 분석

        강한나,안순태 한국소통학회 2019 한국소통학보 Vol.18 No.2

        Given the impact of digital divide on health disparities of older adults, this study analyzed how and to what extant the news articles targeting older adults encourage adoption of health relat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s a theoretical framework, message components of 100 news articles were assessed in terms of perceived usefulness(PU), perceived ease of use(PEOU), and indirect factors that increase PU and/or PEOU.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PU, PEOU and indirect factors were included in the articles defined users of the ICT as surrounding people such as family and caregivers, instead of older adults themselves. In particular, few articles provided self-efficacy components. Results illustrate that news articles fail to include necessary message components that can motivate older adults to adopt health related ICT. Rather news reports depict older adults as the object of being taken care of and discourage older adults’ active pursuit of information seeking through ICT. 노인층의 정보격차(digital divide)는 건강정보 불균형을 야기하고, 이는 노인층의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건강과 관련된 신문보도가 노인의 정보통신기술(ICT)의 수용을 장려하여 정보격차를 줄일 수 있는 메시지 요소를 포함하고있는지 분석하였다. 기술수용모델을 분석틀로 사용하여,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인지된 이용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과 유용성과 이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노인의 건강 관련 정보통신기술(ICT)을 다루는 신문기사에 어떻게 제시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이용용이성, 유용성과 이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노인보다, 노인 주변사람을 이용주체로 하여 정보통신기술(ICT)의 수용을 권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특히 노인의 정보통신기술(ICT) 의 사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언급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연구결과는 신문기사가 노인의 정보격차를 줄이는데 효과적이지 않고, 오히려 노인을 돌봄의 대상으로 인식시켜 노인의 적극적인 정보추구나 획득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KCI등재

        국가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성과 평가: 자료포락분석과 맘퀴스트지수 분석을 중심으로

        양창훈 ( Chang Hoon Yang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3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1 No.3

        정보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활용이 국가 경제구조 및성장에 급격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추세에 맞춰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과 맘퀴스트지수를 활용하여 국가별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성과를 상대적 효율성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투입요소로 ICT환경과 ICT이용준비도 그리고 산출물로 ICT활용도를 이용하여 총 28개 국가를 대상으로 2008년부터 2011년 동안 정보통신기술 활용성과를 진단한 결과, 자료포락분석에서는 전체적인 ICT 효율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외형적 성장에 비해 실질적인 ICT 활용 부문은 부진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맘퀴스트 지수 분석결과에서도 전체적인 ICT 생산성은 지난 3개년 구간 동안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ICT 활용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추진해온 물리적 요소의 양적 투입에 의존하는 외형적 개발정책보다는 투입요소와 산출물을 합목적적으로 연계시키고ICT 활용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각적인 운영 합리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this study, a comparison has been made among the countries regarding recent ICT practices being performed based on the measures of relativ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growth that use multiple inputs and outputs. Efficiency measures a country`s ICT performance relative to a benchmark at a given point of time and productivity measures a country`s performance over a period of time. An output-oriented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Malmquist Index has been used for comparison among 28countries over the period 2008-2011 by incorporating 9 variables. The empirical findings disclose gross inefficiencies in national ICT practices, which show that there is room for enhancing output gains through increased efficiency in their operations. In addition, 13countries have performed better than others in total factor productivity mainly because of their improvement in the underlying technological progress in ICT. For those technically inefficient countries, however, technical inefficiency may hamper the growth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ICT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