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총독부 고적조사 사업에서 후지타 료사쿠(藤田亮策)의 역할

        김대환(Kim Dae hwan) 한국상고사학회 2016 한국상고사학보 Vol.91 No.-

        후지타 료사쿠(藤田亮策)는 1918년 도쿄제국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문부성 유신사료편찬소 및 궁내청 제릉료를 거쳐 1922년 신설된 조선총독부 학무국 고적조사과에 부임했다. 그는 야쓰이 세이이쓰(谷井濟一)의 후임으로 박물관 및 고적조사 사업을 비롯해 고적조사과 사업 전반을 기획했던 인물이다. 후지타 료사쿠가 기획한 조사 중 주목되는 것은 외부 자금과 사적 자금으로 발굴한 사례이다. 외부 자금으로 발굴한 것은 평양 낙랑 왕우묘와 서봉총 남분(데이비드총)이며, 금령총과 식리총, 서봉총 북분은 당시 총독이었던 사이토 마코토(齊藤實)가 제공한 사적 자금으로 발굴했다. 이 발굴의 기획과 추진에는 후지타 료사쿠가 깊이 개입하였는데, 이러한 조사방식은 1931년 조선고적연구회가 설립되는데 중요한 모델이 되었다. 조선고적연구회는 1931년 설립 이후부터 조선총독부를 대신해 조선고적조사 사업을 대행해 왔다. 무엇보다 가장 큰 특징은 외부 자금으로 운영되었다는 점이다. 후지타 료사쿠는 1931년부터 조선고적연구회의 간사가 되어 지방 연구소와 박물관 사업을 지원하고, 아리미쓰 교이치(有光敎一)와 같은 새로운 조사원을 양성하고 연구회 성과를 토대로 총독부 출판 사업을 도왔다. 후지타 료사쿠는 부임 이래 조선총독부 고적조사사업을 실제로 기획하고 업무를 시행했다. 하지만 그가 기획한 고적조사 사업은 조선총독부의 인력 상황 등으로 볼 때 현실적으로 무리한 사업이었다. 또 발굴 자체가 유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단’이었기 때문에 문화재에 대한 기본 가치관과 인식에 큰 문제가 있었다고 평가 할 수 있다. Fujita Ryosaku (藤田亮策) graduated from Department of History of Tokyo Empire University in 1918 and worked at Revitalizing Reform Historical Material Research Center (維新史料編纂所) of Board of Education (文部겛), and Imperial Household Agency (宮內廳). He started for his new post at investigation division for historical remains of The Education and Management Bureau(學務局) in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Fujita was in charge of general investigation work for historical remains and museums as a successor to Yatsui Seyiyitsu (谷井濟一). A notable investigation he planned is that he excavated with external and private funds. With the external funds, he excavated Pyongyang Nakrang King’s Tomb(王旴墓) and Seobongchong (瑞鳳塚) Nambun (南 墳, so-called David’s tomb). With the private funds from the voernor, Saiko Mako, he excavated Geumnyeongchong(金鈴塚), Singnichong (飾履塚) and Seobongchong(瑞鳳塚) North Tomb. Fujita Ryosaku was highly responsible for planning and works of the excavation and research method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build Korean Historical Site Research Institute(朝鮮古蹟硏究會). The Korean Historical Site Research Institute replace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dealt with Korean historic spot investigation after its establishment in 1931. The largest feature of the institute was that it was run by external funds. Fujita Ryosaku became an assistant administrator of Korean Historical Site Research Institute in 1931, supported local laboratories and museum projects, educated a new researcher such as Arimitsu Kyoichi(有光敎一) and helped publishment work by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based on the institute’s achievements. In fact, he planned and managed historic spot investiga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since he took over. The historic spot investigation that he planned, nevertheless, was not pratically available considering manpower situation. As the excavation was a means of to collect ruins, there was a severe problem with a basic value and attitude for the cultural properties.

      • KCI등재

        비판적 실재론에 의한 제도변화 설명가능성 탐색: 역사적 제도주의와 비교를 중심으로

        김선희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9 行政論叢 Vol.47 No.2

        Institutional change is a theoretical concept which has gained intensive atten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science.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fundamental limits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explaining institutional change and to suggest a new alternative explanatory model based on critical realism. This research suggests four problems with how historical institutionalism explains institutional change. The first is casuality which is related with conditions and mechanisms in the course of setting cause and effect. The second is emergence, the matter of 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structure and micro-actor. The third is historicity which deter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 flows and contextual space. This study shows that critical realism will provide a theoretical alternative to historical institutionalism's explanation for institutional change. 제도변화는 행정학 및 정책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핵심 연구주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도변화를 설명하는 역사적 제도주의 설명방식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한계를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비판적 실재론(critical realism)을 통해 재구성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제도변화와 관련해 역사적 제도주의가 ① 변화와 연속에서 원인과 결과 간 관계설정과 관련된 조건과 기제의 문제인 인과성(causality), ② 거시적 구조와 미시적 행위자간 관계설정의 문제인 발현성(emergence), ③ 시간의 흐름과 공간적 맥락간 관계 설정 문제인 역사성(historicity), ④ 연속과 변화의 통합설명이라는 차원에서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역사적 제도주의에서 제도의 변화와 연속을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모형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쟁점들에 대한 근본적 재검토가 요구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실재론이 이에 대한 이론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신제도주의 관점을 적용한 교육정책연구 동향 분석

        이영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policy research based on the theory of new institutionalism and analyzed the trend of educational policy research applying the new institutionalism perspective from 2013 to 2021 to provide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al policy research. Methods For this purpose, 58 studies using the new institutionalism perspective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through three stages of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the trends were analyzed by opening related research materials. In the first stage,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lected by examining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trend of education policy research applying new institutionalism. In the second stage, the related papers were investigated with the keywords ‘new institutionalism’ and ‘education’, and then the educational policy research materia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In the third stage, each research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area and standard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educational policy research applying the theory and concept of new institutionalism has been actively conducted so far, an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using integrated analysis frameworks emphasizing interest in institutional change and the role of actor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58 papers from 2013 to 2021 were conducted evenly in the whole of educational policy studies based on new institutionalism.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educational polic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mainly on literatur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2013, but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has been relatively low. Conclusions The new institutionalism theory can be a useful approach to analyze educational policy, and it can increase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theory if it is applied to the education policy research after highlighting the issues of the analysis theory by grasping the issues and limitations of the theory. 목적 본 연구는 신제도주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 교육정책연구를 살펴보고 향후 교육정책연구의 방향성을 제공하기 위해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신제도주의 관점을 적용한 교육정책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3단계를 거쳐 국내의 교육정책연구에서 신제도주의 관점을 활용한 58편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관련 연구물을 개관하여 동향을 분석하였다. 1단계에서는 신제도주의를 적용한 교육정책연구 동향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봄으로써 분석 기준을 선정하였고, 2단계에서는 ‘신제도주의’와 ‘교육’을 키워드로 관련 논문을 전수 조사 한 뒤 분석 기준에 따라 교육정책연구물을 분류하였다. 3단계에서는 각 연구물을 분석 영역과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신제도주의 이론 및 개념을 적용한 교육정책연구가 현재까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제도 변화에 대한 관심과행위자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통합적 분석틀을 활용한 연구가 다수 존재하였다. 연구주제 측면에서 2013년 이후 2021년까지 58편의 논문들이 신제도주의를 기반으로 한 교육정책연구가 전반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측면에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교육정책연구가 상당히 이루어져 왔고, 질적연구도 2013년 이후 점차 증가하였지만 상대적으로 양적연구와 혼합연구의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결론 신제도주의 이론은 교육정책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접근 방식이 될 수 있으며 이론이 갖고 있는 쟁점과 한계를 파악하여 분석이론의 쟁점을 부각시킨 뒤, 교육정책연구에 적용한다면 이론이 갖고 있는 설명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신제도주의에 기반한 국내 교육정책연구의 동향과 과제

        윤인재,나민주 한국교육정치학회 2013 敎育政治學硏究 Vol.20 No.2

        이 연구에서는 신제도주의에 기반한 국내 교육정책연구의 동향, 성과, 한계를 정리하고, 향후 연구 방향과 과제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신제도주의의 이론적 동향을 개관하고, 교육정책 분야에서 신제도주의적 관점을 활용한 국내 연구의 특징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정책연구에서 신제도주의적 접근의 향후 전망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동안의 국내 연구들은 대부분 경험연구로서 초기 신제도주의의 주요 개념을 원용하였고, 제도변화를 정권교체라는 외생요인에 의해 단절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제도 및 정책 변화에서 행위자가 배제되어 엄밀한 논리적 메커니즘을 결여하고 있었다. 주로 문헌연구에만 의존하는 등 연구방법상의 취약점도 안고 있다. 앞으로 신제도주의적 교육정책연구에서는 분파별 이론적 강점 공유를 통한 현실 타당성 제고, 교육현장에 대한 경험연구의 확대, 사회현상의 인과기제를 설명할 엄밀한 연구방법, 그리고 구조와 행위의 통합에 대한 보다 전향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rends, results and the limitations of studies of educational policies that are based on new institutionalism, and accordingly explored possible future directions and issues. To achieve this, this study first took a general view of the theoretical trend of three schools representative of new institutionalism; historical new institutionalism, 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and sociological new institutionalism. Afterwards, their features and the limitations of those domestic studies that had applied a view of new institutionalism in the educational policy field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findings, directions for a new institutional approach in the educational policy field are presented. Previous studies were mostly empirical research that quoted the main notion of early new institutionalism, and explained a punctuated equilibrium model on institutional change through a change of political power, an exogenous factor that lacked a strict logical mechanism, since it excluded the agency in change of institution and policy. Moreover,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flaws in their method of research in that they have greatly depended on documentary records. Henceforth, the study of new institutional education policy requires more prospective discussion on the increase of reality validity by sharing the theoretical strengths of each school and extending the empirical research of educational fields. And it also needs strict research method that will elucidate the cause-and-effect mechanism of social phenomena and meta-theoretical study and application research based on the integration of structure and agency.

      • From Classical Naturalism to Neo-Institutionalism: the Role of the American Judge in Judicial Decision-Making

        Xin Li 행정언어와 질적연구학회 2014 행정언어와 질적연구 Vol.5 No.1

        Classical legality tried all its might to keep law safe from politics; adjudication was either cast in declaratory terms or seen as strict application of rules; the judge was depicted as a featureless shadow of the law. General acknowledgment of the “open tex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rew light on the dark box of judicial decision-making; the rise of legal realism initiated an unprecedented open discussion over the long obscured fact that judges, besides determining facts and interpreting laws, do make public policy choices. In the mid 20th century, political jurisprudence, including behavioralism and neo-institutionalism, offered a unique and revolutionary perspective by presenting judicial decision-making not as an autonomous organism but an integral part of the larger political process. Behavioralism saw judicial decision-making as a conscious and deliberate policy choice judges make in accordance with their partisan allegiance. New insitutionalism, however, criticized the exclusion of law and institutions in the behavioralist analysis and conceptualized the judicial decision-making process as a dynamic interplay of the legal doctrines, the judge and the institutions. Through a critical investigation into the academic terrain of judicial decision- making, its unfolding development and internal contentions,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role of the American judge within the judicial decision-making scenario. The main body of this thesis consists of three chapters. Chapter One critically reviews the traditional jurisprudence, including the classical common law jurisprudence and the legal positivism that characterized the judge as either the detached interpreter or solely devoted to the scientific application of law. The rest of this chapter is devoted to a critical examination of American legal realism’s deconstruction of the mechanical, faceless, rule-bound figure of a judge. Against this historical backdrop, Chapter Two looks into the mid 20th century inroads made by political jurisprudence and the attitudinal model that swept through the academic terrain of judicial decision-making. This position, later known as the attitudinal model, was to be vehemently criticized by neo-institutionalist scholars as simplistic in its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reductionist in its erasure of legal doctrines and institutional restraints, and utilitarian in its notion of human rationality and autonomy. Chapter Three tries to probe into the theoretical core of the three branches of new institutionalism and their internal debates, building upon the eclectic, path- dependent, and multi-dimensional historical institutional paradigm to explore the dynamic and mutually constitutive interplay of legal doctrines, the judge and the institutions.

      • KCI등재

        지방공기업제도의 ‘역자치적’ 변화에 대한 통합적 분석 : 역사적 신제도주의의 구조-제도-행위 통합모형을 중심으로

        강나은(Kang, Na-Eun),김찬동(Kim, Chan-Do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지방의 자율과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제도변화가 지속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에 있다. 따라서 지방공기업제도의 역자치적 변화를 대상으로 하여 역사적 신제도주의의 관점에서 구조(거시)-제도(중범위)-행위(미시) 수준에서 통합 분석하고, 근본적 원인과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우리나라는 대통령 중심의 수직적이고 계층적인 정치체제의 고착으로 자치분권적 제도변화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공기업제도는 정권교체가 공공부문 개혁의 촉발기제로 작용하여 기재부의 공공기관제도에 영향을 미치면, 주무부서인 행안부에 의하여 지방공기업제도의 상위제도인 지방자치제도보다는 공공기관제도에 동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지방공기업 설립·운영은 지방의 고유 사무임에도 불구하고 중앙집권적 정치체제의 고착으로 인하여, 정권교체의 영향과 입법권, 재정권 등 주요권한을 보유한 중앙정부로부터 통제의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근본적 방안으로 지방분권형 개헌과 함께 재정 권한의 지방 이양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공기업제도변화 사례에 역사적 신제도주의의 통합모형을 적용하여 제도의 고착성과, 제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간의 복합적 상호작용에 따라 중앙집권적 정치체제 하에서는 자치분권적 제도변화가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설명하고, 지방공기업 및 지방자치 분야 연구에 새로운 접근방법을 시도한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is study is the reason why institutional change is difficult to continue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local autonomy and responsibil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grated analyze the changes in the local public enterpris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new institutionalism at the structure(macro)-institution(meso) -action(micro) level, and to present the fundamental causes and measur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utonomous decentralized institutional change was difficult to achieve in Korea due to the vertical and hierarchical political system centered on the president. if the regime change acts as a trigger for reform of the public sector and affects the public institution system, The local public enterprise system is becoming more Isomorphismed to the public institution system than the local autonomous system, which is the upper system of the local public enterprise system. despite the fact tha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ocal public enterprises is a unique work of the local government, due to the centralized policy-decision structure, the vicious circle of control continue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has major powers such as legislative and financial powers. Therefore, in this study proposed that Constitutional Revision for Decentralization and transfer of financial powers to region as a fundamental measure. This study explains why the local public enterprise system is difficult to change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local autonomy and responsibility by applying an integrated model of historical new institutionalism. It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d a new approach.

      • KCI등재

        부패의 생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네트웍 제도주의와 ‘Lock in’

        이선엽 ( Lee Sun Yeop ) 한국행정사학회 2017 韓國行政史學誌 Vol.41 No.-

        이 연구는 부패를 비공식적인 네트웍 제도로 보고, ‘네트웍 제도주의’와 ‘역사적 제도주의’를 이론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부패 네트웍’은 내부의 행위자가 작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 속에서 행위자의 ‘전략적 행위 및 선호’가 ‘역사적제도주의’의 제도변화 메카니즘과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네트웍 구조와 행위자의 작용을 살펴서, 부패제도의 산출과 변화의 메카니즘을 발견하고자 한다. 셋째, 네트웍 내부의 행위자적 ‘선호’ 내지 ‘전략적 선택’이 어떠한 조건에서 어떠한 시기에, 어떻게 제도변화에 관계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넷째, 한국정치와 사회에서 어떠한 ‘역사적 분기점’이 제도변화를 가져오는 것인지에 대해여 살펴본다. 특히, ‘외생적 사건’과 네트웍 내부의 ‘변증법적 상호작용’의 관계성을 알아본다. 연구의 결과, 네트웍 행위자들의 학습된 '기술'과 '자원'은 변증법적으로 네트웍 상호작용의 행위자에 이어지며, ‘네트웍 구조’와의 작용을 통해 부패가 산출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부패제도의 변화에 대하여서는 ‘결정적 분기점’에서 ‘외생적 사건’이 ‘네트웍 구조의 변환’을 가져올 때, 제도변화의 ‘조건’이 만들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외생적 사건’이 ‘구조변환’을 가져 오는 경우, '새로운 제도'로 이행할 수 있는 변화의 ’필요조건’을 충족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T3’에서 ‘네트웍 행위자’의 ‘전략적 선호’는 부패의 산출과 제도변화의 ‘충분조건’으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 결국, ‘2016 촛불혁명’과 ‘2017의 탄핵’이 ‘새로운 반부패 구조’를 재구성하는 제도변화의 ‘필요조건’을 충족하였다고 할 것이며, 문재인정부의 ‘전략적 선호’와 행위는 제도변화의 ‘충분조건’인 것이다. 끝으로, 네트웍내 행위자들 간의 ‘등가성’과 ‘응집성’의 증대는 ‘행위자적 선호’를 강화 내지 ‘단선화’(linearize)함으로써, 제도의 ‘Lock-in’에 관계한다고 보았다. This study views corruption as informal network institutions, and connect theoretically ‘network institutionalism’ with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ince ‘corruption network’ is a structure operated by inner actor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framework about how the ‘strategic action and preference’ of actors connect to institutional change mechanism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it. Second, the study intends to discover the mechanism of outcome and change of corrupt institutions by examining network structure and actors. Third, the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inner network actors ‘preference’ to ‘strategic choice’ are connected with institutional change in any conditions and in any timing. Fourth, the study examines what ‘historical junctures’ results in institutional change in Korean politics and society;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exogenous event’ and inner ‘dialectical interactions.’ The research results explained that the learning ‘skil’ and ‘resources’ of network actors are dialectically connected to inner network ‘dialectical interplay’ and corruption come out through interactions with network structure. And it could be seen that as for change of corruption institutions' when ‘exogenous event’ results in ‘transformation of network structure’ in ‘decisive junctures,’ the ‘condition’ of institutional change is made. That is, it can be seen that when ‘exogenous event’ causes ‘structural transformation,’ changing ‘necessary conditions’ to transform into new institutions are satisfied.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in ‘T3,’ the ‘strategic preference’ of ‘network actor’ is connected to ‘sufficient conditions’ of corruption outcome and institutional change. Accordingly, since ‘2016 Candlelight Revolution’ and ‘2017 Impeachment’ satisfied ‘necessary conditions’ for institutional change by reconstituting 'new anti-corruption structures'. and Moon Jaein government's 'strategic preference' and action apply to 'sufficient conditions' of institutional change. Finally, it was seen that an increase in ‘equivalence’and ‘cohesion’ among network actors is related to ‘Lock-in’ of institutions by reinforcing or linearizing ‘actors' preference.’

      • 피해자 복지를 위한 신제도론에 관한 연구

        강길봉 한국피해자복지학회 2008 피해자복지연구 Vol.- No.1

        환경오염, 교통사고, 화재, 자연재해, 특히 범죄로부터 피해자 집단은 점차 다양화되고 그 규모 또한 커지고 있다. 피해자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여 사회안전과 사회통합을 구현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적실하다 할 것이다. 범죄발생시 피의자와 피해자 보호를 위한 기존 메커니즘인 구제도론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제도론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거나 극복하기 위해 신공공관리론에 서 사회현상을 분석하고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지식체계를 제공해 주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신제도론에 관한 검토를 하고자 한다. 피해자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적합한 보호를 위한 지식체계를 정립하려는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해 먼저 제도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일반이론을 파악하고, 그 다음으로 구제도론의 내용과 특성 및 그 한계를 분석했으며, 마지막으로 신제도론이 무엇이고 어떤 분파이 론이 있으며 각 이론을 문제해결에 어떤 메시지를 주고 있는 지를 검토하였으며, 최근에는 다시 어떤 변화양태를 지니는 지를 파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ange a sum of knowledge grounds for the victim's protection and welfare. On that account, The main attemp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 First attempt of this article is to grasp general formation and change of institution. Second attempt is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the traditional institutionalism and the new institutionalism by it's founding background, the concept of institution, the correlation of institution and human behavior,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s formation and change, and it's value in use. Third effort is to discriminate theoretical stances among the three variantes of the new institutionalism, what is called historical institutionalism 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sociological institutionalism by it's founding background, the concept of institution, the correlation of institution and human behavior,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s formation and change, it's utilities as each domain, the durability of institution and a path-dependency. As a consequence, the three variantess of the new institutionalism is useful as it's case, context, time, interest equilibrium point.

      • KCI등재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독일과 한국 사회적기업의 등장 배경과 의미 비교 : 역사적 제도주의와 행위자 중심의 제도주의를 중심으로

        김태근,김학실 한국비교정부학회 2014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8 No.3

        This article studies the change of the function and role of government and various actors based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nd actor-centered institutionalism in the new institutionalism. In contrast to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e actor-centered institutionalism focuses the change of institutions by the actors like government, enterprises, and the civil organizations, in order to adjust to changing circumstanc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is article focused on the two theories shows that in Germany the various actors including social enterprise endeavor adapt to the changing circumstances in society, while the government transfers it’s role from the steering to the regulation of the society. But the Korean government remains in the role of steering while the actors in the Korean society still depend on the governm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ocial enterprise delays, although the government and actors make an effort. In this article, the authors try to make a proposal that the government must transfer it’s role from the steering to the regulation in order to promote social enterprise.

      • KCI등재

        신제도주의: 정부론에 관한 연구, 1960-2000

        김왕식 ( Wang Sik Kim ) 한국행정사학회 2015 韓國行政史學誌 Vol.37 No.-

        선진국과 후진국 사이의 지속되는 빈부의 차에 대한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많은 학문적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종속 이론가들은 1960-70년대 제3세계 국가들의 빈약한 경제성장에 대한 원인으로 서방선진국의 자본침투를 들고 있다. 최근의 행정학은 종속이론에 반하여 정부의 역할과 제도가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신제도주의 학자들은 정부를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는 수동적인 종속변수라고 간주하는 기존의 이론적인 견해에 반대하며 정부의 자율성과 능력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신제도주의의 두 가지 다른 접근방법을 살펴보고 그 중에서 시민들을 규칙을 따르는 만족자로 여기는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방법이 시민들을 합리적인 극대화 추구자로 여기는 경제적 제도주의 접근방법보다 더 효과적임을 분석하였다. 특히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방법은 1960대를 거쳐 1990년대에 이르는 경제발전 과정에서 정부와 시장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다양하고 능동적인 논리를 설명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신제도주의는 현재 개발도상국들에게 유용한 경제정책과 정부발전의 다양한 궤적을 설명하며 시사점을 도출하는데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제도주의가 다양한 정부의 상황들과 문제들에 대하여 더욱 더 유용하게 사용되고 발전되기 위해서는 역사적 제도주의와 경제적제도주의 접근방법의 장단점을 유연하게 서로 접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Much scholarly effort has been devoted to understanding the persistent differences between rich and poor societies. In the search for why, dependent theorists attribute poor economic performance of Third World Nations to capital invasion by First World Nations from 1960s to 1970s. Recent works in Public Administration have been increasingly focused on the role of government and institutions in economic performance. New institutional theorists, opposing existing theoretical perspectives that regard state as a dependent variable, focus on the autonomy and capacity of the government. This paper argues that among the two different institutional approache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ending to see individuals as rule-following satisfiers, is more effective than economic institutionalism as see them as all-knowing rational maximizer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especially shows its effectiveness in pointing towards the importance of multiple logics in the interaction of governments and markets in the development process from 1960s to 1990s. It will continue to draw attention in the multiple trajectories of economic policy and governmental development available to present-day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in order to develop a more useful approach for various individual problems and topics, we need to integrate other approaches flexi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