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음과 죽음욕동의 담론들: 프로이트, 라캉, 하이데거

        김성호(Sungho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12 비평과이론 Vol.17 No.2

        This essay is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ree discourses on death and/or the death drive. From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onwards Freud builds and rebuilds the hypothesis of the death drive. His initial idea is profoundly conservative as well as dualistic. It suffers substantial changes as he turns the death drive into an aggressivity working against “the Nirvana principle.” Still, the conservative character of the drive remains, for the pleasure of aggression means the taming of the death drive by Eros, at least in the masochistic subject. Lacan, likewise, explains the death drive in several different ways. It lies in the signifying chain as the cause of “aphanisis” (the disappearance of the subject); it suggests itself in various attacks on the human Gestalt resulting in imagos of the fragmented body; or it expresses the ontological“limit” of the historical subject as the returning past. Seemingly Lacan moves on from Freud’s biological conservatism, but things are ambivalent due to the everydayness of the function of the Lacanian death drive. It might even be said that, in comparison, Freud has more clues to the radical withdrawal from mundane modernity. Lacan’s invocation of Heidegger with regard to the “limit” is justified only to a limited extent. Heidegger promotes, as Freud and Lacan do, the idea that life and death (or nothingness) belong together. Yet the possibility of death, for the German philosopher, is also the sole source of Dasein’s singularity and authentic Being. An “anticipation” (Vorlaufen) of death makes Dasein free from its own tenaciousness at the same time as it renders Dasein’s “Being-with” (communality) authentic. These differences notwithstanding, the three discourses on death deliver insights into the negativity that introduces rupture and rejuvenation into life’s progress.

      • KCI등재

        1960년대 시의 죽음충동과 신체 훼손의 이미지 : 권일송, 조태일의 시를 중심으로

        조은주(Cho, Eun-joo)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5

        본 논문은 1960년대 시 문학에서 ‘죽음충동’이 재현되는 양상을 ‘신체 훼손’의 이미지를 통해 검토한 것이다. 지젝, 벤야민 등에 의하면 ‘혁명’은 창조적인 행동이자 ‘죽음충동’의 극단적인 침입이다. 즉 4·19 혁명은 죽음충동이 침입한 순간이며 5·16 쿠데타는 혁명을 저지하고 이를 상징계로 봉합하는 원리였다. 그러나 1960년대 참여시 계열의 시인들은 희생자들의 ‘죽음’을 지속적으로 회고함으로써 4·19 혁명의 이념을 실천하려고 애썼고 결과적으로 ‘죽음충동’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죽음충동’의 실현이란 곧 ‘죽음’(의 실천)이므로 대부분의 작가들은 그러한 강박에 정면으로 맞서지 못한 채 무기력과 자책, 수치심에 사로잡혔다. 죽음충동은 외부로 투사될 때 공격적인 속성을 보여주는 반면 내부로 투사될 때 자기 파괴적인 속성을 보여준다. 1960년대 시 텍스트에서 죽음충동은 주체의 내부로 투사됨으로써 ‘훼손된 신체’라는 각별한 이미지를 만들어 냈다. 본고에서 주목한 권일송과 조태일은 1960년대 참여시를 지향한 『신춘시』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4월 혁명의 계승의지를 밝혔고 자신들의 문학적 정체성을 ‘저항’에 정위한 시인들이다. ‘시신’, ‘주검’, ‘앓는’ 신체(권일송), ‘흐느끼는’ 육체, ‘상한 처녀막’(조태일) 등은 모두 죽음충동이 내적으로 투사된 결과 탄생한 이미지로 해석할 수 있었다. 두 시인의 텍스트에 나타난 죽음충동과 신체 훼손의 이미지를 검토하는 작업은 1960년대 ‘혁명’을 실현하려고 지속적으로 시도하며 ‘죽음충동’을 재현하였던, 소위 ‘참여시’가 지닌 특수성을 밝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images of ‘bodily injury’ shown in the poetry of the 1960s to identify how ‘death drive’ was materialized in them. According to scholars such as Zizek and Benjamin, a revolution is a creative act and an extreme penetration of ‘death drive’. Politically active poets of the 1960s did not forget ‘revolution’ and continued to recollect ‘death’ of the victims to practice the ideology of the April 19 Revolution. Since practicing ‘death drive’ means ‘death’, most writers could not confront this compulsion head on, and thus were gripped by a sense of lethargy, guilt, and shame. When projected externally, death drive usually reveals an aggressive nature, and when projected internally, it is manifested in a self-destructive way. In the texts of the poetry of the 1960s, death drive was projected into the inner self of the protagonists, creating unique images of ‘injured body’. Poets Kwon Ilsong and Jo Taeil participated in the coterie magazine ‘Shinchunsi’, clearly stated their intention to inherit the ideology of the April 19 Revolution, and aligned their literary identity with ‘resistance.’ Images of a ‘dead’ body and ‘ailing’ body(Kwon Ilsong), women with a ‘weeping’ body and ‘injured hymen’(Jo Taeil) can be seen as images that were created through internal projection of death drive. An examination of death drive and images of bodily injury as shown in the texts of these two poets’ work is expected to shed light on uniqu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ly charged poem of the 1960s that attempted to reconstruct a ‘revolution’.

      • KCI등재

        4월혁명과 죽음충동- 1960년대 참여지식인의 정신사적 심층에 대한 시론(試論)

        박대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3 No.-

        4월혁명의 본질은 죽음충동이다. 1960년대 이후 한국 지식인들은 4월혁명의죽음충동에 주박당해 살아왔다고 할 수 있다. 지식인들은 군사정권이라는 상징계를 파열시키고자 하는 죽음충동을 지니고 있었으나, 그것은 거세되고 억압되어야했으며, 혹은 “보존적 원리”로서의 죽음충동으로 순치되어야 했다. 4월혁명단(김긴태)의 죽음충동과 대학생들의 시위가 지속적으로 벌어지긴 했으나, 196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지식인의 죽음충동은 점차 거세될 수밖에 없었으며, 문학에서의 죽음충동 역시 남정현의 「혁명이후」처럼 왜곡된 형태로 표출되곤 했다. 김주열은 4월혁명의 절대적 표상이자 죽음충동으로 존재했다. 그러나 오히려 4월혁명의 죽음충동은 지식인과 문인들에게 감당할 수 없는 압박감으로 존재했다. 이것이 바로 4월혁명문학의 불모성을 야기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1970년 전태일의 분신자살은 4월혁명의 죽음충동을 다시 지속시킨 역사적 사건으로서 혁명적 전환점에 해당한다. 김주열에서 전태일로의 죽음충동의 전이는 빈민․ 노동자 문제와 결합한 반독재 투쟁으로서 ‘생사투쟁’을 초래했던 것이다. 이로써 1960년대 지식인의 자기한계가 극복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essence of the April Revolution is ‘death drive’. After 1960s, Korean intellectualshave been living with being tied by death drive of the April Revolution. They haddeath drive which could break military regime as the symbolic, but it had to becastrated and repressed or obliged to be domesticated to “principle of preservation”. Despite sustaining death drive of the April Revolution’s corps(Kim, Gin-tae) anddemonst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s it had went toward the late 1960s, deathdrive of intellectuals could not more avoid of being castrated. And Death drive hadbeen often expressed in distorted form, like 「after Revolution」(Nam, Cheong-hyun). Kim, Ju-yeol had existed as a representation and death drive of the April Revolution,but death drive of the April Revolution had been unbearable pressure to intellectualsand writers. This is a cause of sterility in the April Revolution literature. Chun, Tae-il’ssuicide by fire in 1970 is a historical turning point that Korea society resumed deathdrive of the April Revolution. That is to say, death drive of the April Revolutionhad been transferred from Kim, Ju-yeol to Chun, Tae-il in the early 1970s. It hadbrought about “life-or-death-struggle” of anti-dictatorship combined with the poor andlabors. So intellectuals of 1960s could established oppotunity to overcome theirparticipatory limits.

      • KCI등재

        박인환 시의 정신분석적 접근 : 죽음'과 '여성'의 문제 the subjects of [death] and [women]

        한명희 한국어문학회 2003 語文學 Vol.0 No.8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onsciousness of death in the poetry of Park In-Whan not through the phases of the times, i.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existentialism but through the psychoanalytical approach. And I deal with 'death' in a psychological way, not a biological one. This would be a very useful way of studies when we consider the fact that the poetic word 'death' was used before the outbreak of the war, that 'death' was not showed as something terrifying but as an aim to incline one's steps, and that a lot of his poetry which poetized 'death' is related with 'women' in the poetry of Park In-Whan. Man has 'drive for death' that can demolish everything, while he (or she) has 'struggle for life' that tends to lead to the cohesive power and unity. There is a fundamental contrast between the two desires. In the poetry of Park In-Whan, 'death drive' is more saliently conspicuous. In the poems of [Something coming into question], [Until there is a living thing], [Mr. Mo's life and death], etc., the poet evinced the bitters of life and represented 'death' as 'bliss.' In these poems of him, death is presented as 'the realization of the superlative desire.' On the other hand, in many of his poems, Park In-Whan related 'death' to 'women'. That is another counterexample of the fact that he concentrated all his energies on 'death drive.' In the poems of Park In-Whan, most of his works related to 'death' represent 'the images of woman' - bride, girl, prostitute, angel, lady, goddess, mother- and eroticism. And these images of woman were considered as the projection of 'imaginary mother', that is already premised to his mind. In [A flight of 7 steps] the poet successfully reflected the desire of regression to maternity. Especially 'child' in this poem can be understood to mean 'imaginary phallus'. In this vein, I regard death drive as the nostalgia for the lost harmony, that is, a desire to return to the preoedipal fusion with the mother's breast. And then, the desire to return to the fusion with the mother's breast was expressed as death drive. Death in the works of Park In-Whan, I think, is the poetization of such desire.

      • KCI등재

        1980년대 한국영화에서의 죽음과 에로스의 단면 - <변강쇠>에서의 노동과 유희의 불가능한 병치

        이윤종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7 No.-

        1980년대 주류 한국영화, 즉 흔히 ‘에로영화’라 불리는 극장용 성인영화들 대다수는 주인공의 죽음으로 끝맺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에로영화에서의 죽음으로의 이러한 귀결은 성애와 에로티시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성적 본능이나 유희에 충실한 나머지 생활현장에서의 노동 전반에 대한 충성도와 밀도가 떨어지는 가공의 인물들에게 죽음이라는 윤리적 징벌을 가하는 아이러니를 낳는다. 즉, 프로이트(Simund Freud)가 인간 삶의 이원론적 에너지로서 상정한 성욕을 통한 삶에 대한 건설적 갈구, 즉 ‘에로스(Eros)’와 삶 이전의 무생물 상태로의 비밀스러운 회귀를 꿈꾸는 자기파괴적 욕망인 ‘죽음 충동’이 1980년대 에로영화 속에서 변증법적 합(synthesis)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대립적 갈등 끝에 죽음 충동으로 인한 비극적 결말로 치닫는 것이다. 본고는 1980년대 한국영화에서 이렇게 빈번하게 드러나는 죽음 충동의 에로스에의 승리라는 가학적 종결을 전두환 정권의 은근히 과도한 영화 검열 정책과 박정희 정권의 뒤를 이어 국민을 문화시민보다는 선진 산업자본주의 사회 건설을 위한 일꾼으로 복무시키기 위한 푸코(Michel Foucault)적 생체권력의 집행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1980년대 제5공화국은 3S 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소위 3S라는 영화(스크린), 스포츠, 성 산업(섹스)을 장려한다는 미명 하에 국민의 유희와 쾌락을 권장하는 척 하는 가면을 쓰고 있었지만, 실제로 3S에서 섹스와 스크린의 두 가지 요소가 결합된 에로영화 속에서는 성적 쾌락, 에로스에 과도하게 탐닉하는 이들은 스스로 죽음 충동의 덫에 빠져들어 자살 내지는 타살이라는 최고의 형벌을 받을 수밖에 없음을 강조함으로써 국민의 적극적 유희 추구를 저지하는 것이다. 본고는 1980년대 한국 에로영화 속에서 노동하지 않고 유희와 성적 쾌락만을 추구하는 이가 다다르는 귀결이 죽음이라는 강력한 예증을 보여주는 영화로 <변강쇠>(1985)를 들어 영화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서구 자본주의의 유입이 어떤 식으로 노동과 유희의 불가능한 병치를 재현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베버(Max Weber)가 제시한 바 있듯 서구 자본주의는 프로테스탄트 금욕주의와 배금주의가 기묘하게 결합되어 쾌락 추구를 죄악시하고 노동을 강조하고 있는데, <변강쇠>라는 사극에서 이것이 한국적 토속주의와 맞물려 노동하지 않는 성적 신체에 대한 천벌로서의 죽음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The closure of ero film, the mainstream adult-targeted theatrical cinema of South Korea in the 1980s prevails with the death of its main protagonists. Given that ero film is a genre utilizing eroticism and sexuality at its best, it is ironical that its conventional ending with death aims to morally punish those who are not eager to work hard in their pursuit for sexual pleasure. In other words, a dialectical synthesis between Freudian Eros and death drive cannot be made but undone by their struggling conflicts in many ero films, which incurs the tragic end in them. Postulated by Sigmund Freud, Eros and death drive are dualistic energies propelling human life, in which the former is a constructive force led by libido and sexual reproduction and the latter is a mystic self-destructive drive into an inanimate state prior to the life. This paper attempts to construe this conquest of death drive over Eros, namely the sadistic endings prevalent in the 1980s ero film not only as the result of the Chun Doo-Hwan regime’s implicitly excessive censorship of the national cinema but also as the regime’s cultural succession to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by enforcing Foucauldian ‘biopower’ that had turned the nationals into working machines serving to construct their fatherland as the advanced industrial capitalist country. The 5th republic of South Korea masqueraded as a promoter of cultural liberalism under the banner of the 3Ss Policy encouraging 3Ss, namely screen, sport, and sex so that the production of ero films could be invigorated by the Policy in that the film genre is combined screen with sex. However, the republic, in fact, discouraged South Koreans to actively seek (sexual) pleasure and leisure by emphasizing that those who were engrossed with Eros and sexual pleasure in the ero film not only trapped themselves into self-destruction caused by the death drive, but are also literally punished with death, whether suicidal or homicidal. This paper analyzes the film, Byun Gangswoe (1986) as an exemplary text among the 1980s ero film showing that those who seldom work but play are punished with death. In so doing, it inquires into how the ero film represents the incompatibility of labor and enjoyment in South Korean society of the 1980s inasmuch as it was influenced by the spirit of Western capitalism that Max Weber explained as the peculiar union of protestant asceticism and mammonism. Insofar as Byun Gangswoe ends with the hypersexual punished by Korean indigenous religious figure, jangseung rather than the Christian God, this paper seeks the meaning of the incompatibility and vernacular linkage between Eros and death in ero films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n society in the 1980s rather than Christian asceticism.

      • KCI등재

        최승자 초기 시의 죽음의식 연구―『이 시대의 사랑』을 중심으로

        문혜연 국제언어문학회 2024 國際言語文學 Vol.- No.57

        본고에서는 최승자 첫 시집 『이 시대의 사랑』에 나타나는 죽음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폭력적인 시대라는 외부 구조가 가하는 억압이 내면화되며 최승자의 시적 주체는 죽음을 운명으로 인식하게 된다. 삶에 대한 부정으로 죽음을 갈망하던 시적 주체는 죽음이라는 운명이 수행되지 않음을 깨닫게 된다. 폭압의 시대 속에서 실제적 죽음이 아니라 상징적 죽음을 맞이하게 된 최승자의 시적 주체는 두 죽음 사이에 놓이게 되고, 난처한 삶이 지속되면서 삶의 부정으로서의 죽음까지 부정된 시적 주체는 죽음보다 못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런 맥락에서 최승자의 죽음의식이 단순히 삶의 부정이나 삶을 긍정하기 위한 방법적 태도로만 단정 지을 수 없으며, 필멸을 향한 몸짓이 시적 주체를 불멸로 나아가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프로이트가 말한 유기체가 비유기체의 상태로 나아가기를 바라는 죽음본능보다는 죽지 않는 영원한 삶을 향해 가는 라캉의 죽음충동과 맞닿아 있다. 본고는 최승자의 시적 주체가 극복해야 할 것은 죽음이 아니라 삶이라는 점에 주목해 죽음의식을 살핌으로써 최승자의 시 세계를 통과하고 있는 죽음의식에 대한 해석의 단초를 발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death consciousness that appears in Choi Seung-ja's first poetry collection, "Love in This Age". The oppression exerted by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violent era is internalized, and Choi Seung-ja's poetic subject recognizes death as fate. The poetic subject, who longed for death due to denial of life, realizes that the destiny of death cannot be fulfilled. In the era of oppression, Choi Seung-ja's poetic subject, who faced a symbolic death rather than an actual death, is placed between the two deaths, and as the embarrassing life continues, the poetic subject that even the death as a denial of life is denied is placed in a state worse than death. In this context, it can be seen that Choi Seung-ja's consciousness of death cannot be concluded simply by denial of life or a methodical attitude to affirm life, and that the gesture toward annihilation is driving the poetic subject to immortality. This is in line with Lacan's Death Drive toward an eternal life that does not die, rather than Freud's Death Instinct that wants organisms to progress to a non-organic stat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what Seungja Choi's poetic subject must overcome is life, not death, and hopes to discover a clue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death that passes through Seungja Choi's poetic world by examining death consciousness.

      • KCI등재

        마종기 초기 시의 "이주민" 의식에 대한 연구 ― 1960년대 시를 중심으로

        윤종환 한국시학회 2023 한국시학연구 Vol.- No.73

        Ma Jong-Gi's poems, which have been famous among Korean sholars and readers from 1960, have been analyzed by the poet's identity as a doctor who always experiences death, a diaspora, and a christian. However, research on his early poems is overlooked, and most studies ever have been based on the biographical fact that he had immigrated to the U.S. Regarding of these context above, this study examines the consciousness of "immigrants" in his early poems, especially based on the expression ; "we have been endless immigrants", which was repeatedly revealed at <Stand as Flowers Too> written in 1960, much earlier than the moment that he had immigrated in 1966. There is no doubt that poetic images and his thoughts about "death" are important in reading his poems. However, this death was not only experienced by facing the death of a patient as a doctor, but also lies in a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massacre absurdity that experienced during the Korean War, in which South and North Korea began to clash in 1950s, and with facing the dead bodies that time. The attitude as spectator that the poetic subject shows before death is a way to respond to affect of anxiety triggered when the impression imprinted from the death experienced in childhood appears as symptoms. It stems from the conflict between empathy to make a place for the others without judging the "death" by himself, and the inevitable reality that has no choice but to judge death as a social self of a doctor. The poetic subject goes as far as transforming himself through an island image and an image that dissects and decomposes himself into a corpse. Thus, the before representation system of life and death is neutralized, and coexistence with the others is sought in the void revealed there. This void mediates 'epoche', where the judgment on death is being stopped, 'death drive' which connote that even the manager of death is eventually going to death, and 'uncertainty' that a fixed meaning cannot be secured. Ma Jong-Gi constantly confronts the affect of anxiety that exists around these, and sublimates the anxiety into a "immigrant"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the "immigrant" consciousness of early Ma Jong-Gi' poems is read as a literary practice not to encroach on the others by judging the death transcendentally but to secure the others' own places incessantly. 1960년부터 작품활동을 시작해 문단의 주목을 받아온 마종기의 시 세계는 의사로서 경험한 죽음, 이민자와 디아스포라, 기독교라는 시인의 정체성을 키워드로 분석되어 왔다. 하지만, 그의 초기 시에 대한 연구는 간과되었고, 그간의 연구도 시인이 도미(渡美)했다는 전기적 사실에 기댄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는 마종기 시인이 도미한 1966년보다도 일찍인 1960년, 그가 시에서 “우리는 끝없는 이주민이었구나”를 반복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초기시의 “이주민” 의식을 살펴본다. 마종기의 초기 시 세계에서 ‘죽음’이 중요한 문제임은 틀림없다. 다만, 이 죽음은 의사로서 환자의 죽음을 마주한 데서만 기인한 것이 아니라 6·25 전쟁시 경험한 살인 부조리와 타자의 죽음과 구조적 인과 관계에 놓여 있다. 시적 주체가 죽음에 보이는 관망자적 태도는, 유년에 목도한 죽음으로부터 각인된 인상이 징후적으로 나타날 때 촉발되는 불안에 대응하는 방식이다. 그것은 죽은 타인을 마주할 때 그 죽음을 판단하지 않고 타자의 자리를 마련하려는 공감과, 의사라는 사회적 자아로서 죽음을 판단할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현실 간의 충돌로부터 비롯되었다. 시적 주체는 불안에 대응하기 위해 시에서 스스로를 섬, 시체 등의 이미지로 해부·분해하는 이미지 변용을 시도한다. 그리하여 삶과 죽음의 기존 재현체계(representation system)을 무화시키고, 그곳에서 드러나는 공백(void)의 자리에서 타자와의 공존을 모색한다. 이 공백은 죽음에 대한 판단이 중지되는 에포케(epoche), 죽음의 관리자도 결국 죽음으로 가고 있다는 발견의 죽음충동(death drive), 죽음에 고정된 의미를 부여할 수 없다는 불확정성(uncertainty)을 매개한다. 마종기는 이 배후에 존재하는 불안의 정동과 끊임없이 대결하며, 그 불안을 세계와 타자에 대한 지적판단과 상징적 정착을 우회하는 “이주민”의 의식으로 승화해낸다. 즉, 마종기 초기 시의 “이주민”의식은 시의 언어와 이미지를 통해 타자를 잠식하지 않고 끊임없이 타자의 자리를 마련하려는 문학적 실천으로 읽히는 것이다.

      • KCI등재

        라캉의 “죽음충동”과 주체의 자유

        남경아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3 No.2

        The concept, “Death drive” from Jacques Lacan explains two different sides caused by the Phallus when the subject faces to the Symbolic. Although ‘letter kills (the Real)’ as Lacan said, a paradoxical situation arises ‘beyond the Phallus’ at the same time when the separation by the signifier occurs. Lacan articulates the subject as an “effect of language”, however that does not mean he defines the subject either as a being subordinated to language or as an appendage of language. For Lacan, the enunciating subject does an active role in the world of signifier and creates the meanings by using signifier as a tool. Lacan grasped a will of “Speaking subject” not to be completely subordinated to the Symbolic, even he keeps heading for the death of the Real; he expressed it as that ‘the subject drives to death’. In this article, I try to provide a description about the process which will elucidate how the subject in the Symbolic structure is split and liberated by “Death drive”. The final purpose for this article is to make the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Death drive” sharper. The full description will also aim an explanation about the two different functions of the signifier: one is killing and the other is producing. In addition, I expect that it could justify how human subject loses his subjectivity and acquires it back in the Symbolic structure as the “Speaking Subject”.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죽음충동(Death Drive)”이라는 개념은 주체가 상징계에 직면한 순간 팔루스를 기점으로 야기되는 상반되는 두 가지의 차원을 설명한다. 라캉의 말처럼 “문자는 실재를 살해”하지만, 기표에 의한 분리가 발생하는 순간 동시에 ‘팔루스 너머’에서는 실재의 창조라는 역설이 발생한다. 라캉에게 있어서 주체는 “언어의 효과”로 표현되지만, 이는 결코 언어에 완전히 종속된 존재나 언어의 부가물로서의 주체를 일컫는 것이 아니다. 라캉이 말하는 “언술행위의 주체”는 능동적인 역할자이며, 언어를 도구로서 사용하며 의미를 창조해 나가는 존재이다. 계속해서 실재의 죽음으로 향하는 “말하는 주체”에게서 그는 “상징계”에 전적으로 종속되지 않으려는 주체성의 의지를 파악해냈다. 그리고 그것을 ‘주체가 죽음을 충동한다’고 표현해냈다. 본고에서 필자는 “상징계”라는 구조 속에 위치한 주체가 “죽음충동”을 통해 어떻게 분열되고 또 동시에 해방되는지 그 과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일련의 기술을 통해 필자가 최종적으로 목표하는 것은 “죽음충동”이라는 본고의 핵심주제어에 대한 보다 입체적이고 선명한 이해이다. 그러한 기술 과정은 살해자이면서 동시에 생산자인 기표가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설명해 줄 것이다. 그 과정은 또한 “상징계”를 필생지로 삼는 “말하는 주체”(Speaking Subject)로서 인간 주체가 그의 주체성을 상실하면서도 어떻게 다시 획득하는지 동시에 잘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고착된 이마고(Imago)와 파괴된 이마고, 타나토스의 문을 두드리다 -주남저수지 살인사건과 작품 ‘레베카’의 댄버스 부인에서 보이는 죽음욕동의 두 얼굴-

        김정금 ( Kim Jung-kueme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1

        정신분석사전을 펴낸 장 라플랑슈는 융이 사용했던 언어 ‘이마고’를 두고 주체가 타인을 파악하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무의식적 인물의 원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 원형은 가족관계에서 현실적이거나 환상적인 주체간의 최초의 관계로부터 만들어 진다고 정의하기도 했다. 또한 몇몇 논문들에서 밝히는 ‘이마고’는 우리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는 어떤 형상에 대한 생각으로, 어린 시절 초기 양육자들과의 관계 행위들과 사회화 과정에서 받은 영향들이 개인의 주요 성격적 특질들로 형성되어 무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는 복합적인이미지로서 타인과의 관계양상에서 표출된다고 말해진다. 본고에서는 이 이마고와 죽음욕동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프로이트에 의해 처음 개념화 된 죽음욕동은 이후 라깡에 이르러 좀 더 정밀하게 정리되었는데 흥미로운것은 ‘이마고’ 라는 것이 본래는 ‘구성’ ‘묶기’의 개념에 가까워 사실상 생명욕동과 연결짓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서는 ‘해체’ ‘파괴’의 문제즉, 죽음욕동의 문제와 이마고를 조우시켜보려고 한다. 고정된 틀로서의 이마고, 고착으로서의 이마고의 형태와 그 반대인, 파괴로서의 이마고가 과연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 것인지, 그 까닭은 어디에서 연유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두 가지의 사례를 살핀다. 하나는 2012년 11월 창원에서 발생한 실제 살인사건 이름 하여 ‘주남저수지 사건’의 사례를 통해서이며 다른 하나는 소설로, 영화로 그리고 얼마 전 성황리에 막을 내린뮤지컬 ‘레베카’를 통해서다. 그 결과 자기만의 거울, 자기만의 세상인 이마고와 죽음욕동이 만나 어떤 파괴적인힘을 발현하게 되는지 확인하게 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language of psycho-analysis written by Jean Laplanche and Jean-Bertrand Pontalis, the definition of the imago can often be an unconscious representation. It should be looked upon, however, as an acquired imaginary set rather than as an image: as a stereotype through which, as it were, the subject views the other person. This pap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o and Freud ``s theory of the death drive. In some perspectives of these theories, the theory of the death drive is often described as ‘de·construction’ and ‘destroy’ and a traditional perspective of the imago is more directly linked to concepts of ‘construction’ and ‘binding’. The research was initiated from thoughts: the first is the connection between an established-imago and the death drive, the second is a possible mutation form of the stereotype imago after a possible changing into a destructive form of the imago, and causes of the process. For the research, this paper closely examined two cases: one is an actual murder case occurred in 2012, Nov “Junam reservoir murder”. And the other is a fictional novel and musical “Rebecca.”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established imago merged with the death drive can possibly produce a powerful destructive form of the imago.

      • KCI등재후보

        『잘자요, 엄마』에서 보여 지는 구원적 의미의 죽음 충동

        김영지(Kim Young-J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5

        『잘 자요, 엄마』('night, Mother, 1983)는 1970년대 등장한 미국의 여류 극작가 마샤 노먼(Marsha Norman)의 대표작으로서, 자살을 결심한 딸 제씨(Jessie)와, 딸의 죽음을 막아보고자 애쓰는 엄마 델마(Thelma)사이의 대화로 구성된 작품이다. 극의 구조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작가는 이 안에서 가부장제 사회로부터 억압받고 있는 여성들의 현실과, 주체성을 지닌 인간으로서 얻고자 하는 진정한 자아의 해방, 나아가 삶의 의미를 박탈당한 개인에게 있어 죽음이 가져다주는 의미에 대해 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노먼은 제씨의 죽음을 예고에 그치지 않고 실행에 옮김으로써, 주체적 자아를 추구하는 그녀에게 현재 죽음이란 것이 얼마나 '필요한 것인지를 강조한다. 그리고 작가는 두 모녀 사이의 마지막 대화를 통해 비참했던 제씨의 지난 삶의 모습들을 드러내고, 그러한 현실 속에서 제씨가 느꼈을 고통을 표현해냄으로써, 그녀가 선택한 죽음의 당위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제씨는 자신의 의지대로 살 수 없었던 고통스러운 삶으로부터의 해방을 원했으며, 어느 순간부터 죽음만이 이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깨닫는다. 작품 속에서 쭉음을 자신 삶의 최종 목적지로 여기며 이를 간절히 갈망하고 바라는 제씨의 심리 상태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죽음 충동 이론을 통해 더욱 자세히 이해해 볼 수 있다. 인간이 견딜 수 없는 극한의 상황에 처했을 때 아무런 고통도 느낄 수 없는 무(nothingness)의 상태 즉, 죽음을 추구한다는 프로이트의 이론은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을 가져다준다는 점에서 제씨가 죽음을 바라보는 시각과 상당한 유사점을 보인다. 그녀에게 있어 죽음은 자아를 파괴하는 행동이 아닌, 진정한 자아 존재를 위한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다시 말해, 죽음을 향한 충동은 '삶을 위한' 마지막 희망 이었고, 그녀는 자신의 삶을 구제해줄 가장 확실한 수단으로 자살을 택하게 됨으로써, 그녀 삶의 고통을 죽음과 함께 제거해 버린다. 가부장제의 숨 막히는 억압과 실존의 무의미함 속에서 지금까지의 삶 자체가 죽음이었던 제씨에게, 자살은 포기가 아닌 자신의 삶을 의지대로 통제하고자 하는 최초의 선택이자 권리로써 작용한다. "night, Mother' (1983), representative work of American playwright Marsha Norman who made her debut in the 1970s, is a play of a relatively simple plot, which traces the conversations between a daughter, who decides to kill herself and a mother, who tries to dissuade her daughter. Through their dialogue, the author talks about women oppressed in patriarchal society, their desires as an independent human, and finally what is the real freedom that the characters want to have at the cost of death. The author also explains what made Jessie, the daughter choose such an extreme end, suicide and how her oppressed independence is restored by her suicide. In addition, psychological factors in her unconsciousness which made her decide to kill herself are examined on the basis of Sigmund Freud's concepts of death drive and life drive. As these two kinds of drive coexist in human unconsciousness, rather than conflicting with each other, Jessie also tries to maintain tensions of intense life drive to survive. Despite her effort, however, the world does not give her fair reward, and thinking continually how absurd life is, she believes that committing suicide as planned is the only way to help her become an independent self in this world where she cannot obtain what she wants. She chooses death not for 'self destruction,' but for real 'self establishment.' In other words, death drive is her last hope 'for life,' and she removes absurdity of her life by choosing suicide as a most secure means to save her life. For Jessie whose life itself has been death amid the choking patriarchal oppression and existential meaninglessness, suicide is the first ever choice that she makes in her life and a right to control her life as she wants, not to give it 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