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실과(기술·가정)과 교사의 인식 분석

        이재진,노은희,신호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3

        Recentl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interest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field for digital literacy have had great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schoo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In this movement of subject matter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perceptions of teachers responsible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and secondary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lasses in term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A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carried out a nation-wide surve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on the necessity and practic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subject matter education, the professionality and readiness of teachers, and education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plans. In total, 10% of schools nationwide by levels were selected in two surveys through stratified sampling. 4,760 elementary teachers and 3,689 middle school teachers had participated in the two surveys, 257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in middle school out of whom responded the surveys. The study identified five results as follows. Firs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ave a relatively higher perception on the necessity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subject matter education compared with other subject matters, while the extent which they put digital literacy into practice is just similar with others. Second, regarding the time of introduc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elementary teachers responded that 3-4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would be appropriat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spondence by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saying that 5-6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or 1st grade in the middle school would be better. Third, out of the purpose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curriculum, ‘proper understanding and using of digital technology’ appeared to be the highest as well as ‘explor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and contents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creating information and the contents through digital technology’ were considered important. Fourth, basic skills to use computer, keyboard typing, communication on the Internet, presentation using presentation applications, multimedia usage were identified major digital literacy related functions and skills necessary for students. Finally, elementary teachers appeared to mainly use digital literacy technology for motivating students’ learning, practicing, collecting data, exemplifying and advising for learning activities, whil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in middle school appeared to do it for motivating, explaining learning materials, collecting data, exemplifying and advising.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교과 교육계의 관심은 학교의 교육 방향과 교사들의 수업 방법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교과 교육의 변화 움직임 속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실과와 중학교 기술·가정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실과 및 기술·가정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현황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전국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실행, 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 교사 전문성과 준비도, 교육 여건과 개선 방안으로 구성하였다. 총 2차에 걸친 설문조사는 학교급별 전국 학교의 10%를 층화추출법으로 선정하였다. 2회의 설문에서 초등학교 교사 4,760명, 중학교 교사 3,689명이 참여하였으며, 그 중에서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사는 257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초등학교 및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교과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는 타 교과에 비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행의 정도는 타 교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도입 시기에 대해서 초등학교 교사들은 초등 3-4학년으로,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초등학교 5~6학년 또는 중학교 1학년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여 차이를 보였다. 셋째, 초등학교 실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목적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사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정보와 내용물의 탐색 및 활용’과 ‘디지털 기술을 통한 정보와 그 내용물의 창조‘가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넷째, 학생들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기능·기술로는 컴퓨터 활용 기초 능력, 키보드 타이핑, 인터넷 의사소통, 파워포인트 발표, 멀티미디어 활용이 주요한 기능과 기술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은 대체로 학습 동기 유발, 실습, 자료수집, 학습활동의 시범 및 조언을 위해, 중학교 기술·가정 교사들은 동기 유발, 학습자료의 설명, 자료수집, 학습활동의 시범 및 조언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기술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Critical Perspectives on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Jihyun Sohn(Jihyun Sohn) 한국아세아태평양교육문화융복합학회 2023 Asia Pacific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Vol.3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gital literacy and cases of teaching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Through this, it is to reconceptualize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Method :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organization reports and studies in education and art education. The studies in concept of media literacy and visual literacy in art education are analyzed. Results : Digital literacy was further expanded from the concept of traditional digital literacy focused on the technical and instrumental use of digital media to critical understanding, a concept beyond the aspect of technology or software use. It includes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such as creative production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as well as communication functions. Conclusion : Digital technology in art making from the perspective of pedagogical practice expands expressive possibility from physical materiality to new virtual materiality such as 'digital-handicraft', a combination of digital and craft. Students can also participate in virtual world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can solve problems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 KCI등재

        디지털 환경의 학습자를 위한 학교 미디어 교육 정책 분석 및 제언

        정현선(Jeong Hyeon-seon),장은주(Jang Eun-ju)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1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미디어 교육 및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된 개념과 용어를 살펴봄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에 도움이 될 이론적 토대와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행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한계를 중심으로 미디어 교육이 개정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환경에서 요구되는 시민역량으로서 학생들이 체계적으로 미디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학교급별 전략과 학습내용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였다. 정규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국가 수준 교육과정 총론에서 미디어 교육의 주요 개념과 각 학교 수준의 목표를 명확히 해야 한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는 ‘미디어 교육의 강화’라는 문구를 포함하거나 미디어 역량 을 핵심역량에 반영해야 한다. 디지털 시민성도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인재상 중 하나로 명시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의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학년(군)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내용을 명시하고 해당 학습 목표 및 관련 교과를 명시해야 한다. 또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은 교과 영역에 걸친 통합 교육과정이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를 명시해야 한다. 셋째, 학교급별 구체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에서는 정규 수업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확보하기 위해 미디어 특화 단원을 개설해야 한다. 중학교는 자유학기제에 적용할 수 있는 독립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등학교는 학생들의 선택을 반영하기 위해 독립적인 선택과목을 개설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s and terminologies related to media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in the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thereby providing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policy suggestion that can help develop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media education. This study also critically reviewed how media education had been reflected in the history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mainly focusing on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Strategies and learning contents for each school level were explicitly suggested to reinforce media educa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to enable children and young people to systematically receive media education as a civic competency required in a digital environment. The following three proposals were suggested as strategies to enhance children’s media literacy through formal education. First, the main concepts of media education and the goals for each school level should be clarified in the overview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needs to include the statement of the enhancement of media education or add ‘media competency’ as an additional core competency. Digital citizenship also needs to be clearly stated as one of the desirable outcom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link between the overview and the subject areas of the curriculum needs to be strengthened. The conten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each grade level should be specified, and the corresponding learning goals and subjects to be covered need to be specified. In addition,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specify how the integrated curriculum across the subject areas should be operat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crete strategies for each school level. This study argued that elementary schools should have specialized units of study to secure media literacy classes in regular classes. Middle schools operate independent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Free Semester, and high schools could open independent elective courses to accommodate students’ choices.

      • KCI등재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분석

        박하나 ( Park Hana ),진명화 ( Jin Myunghwa ),박지우 ( Park Jiu ),임규연 ( Lim Kyu Y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디지털 리터러시는 현대 사회의 필수 역량 중 하나로, 각 국가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이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를 반영하여 균형 있고 충분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고 있는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아일랜드, 영국, 호주, 캐나다 5개 국가의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학습목표를 분석하였다. 먼저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요인을 기준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각 국가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목적에 따라 구성 비율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과 아일랜드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요인 중 컴퓨팅 사고 역량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반면에 영국과 캐나다에서는 디지털 윤리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Tyler가 제시한 교육목표 유형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의 목표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분석대상 5개 국가의 교육목표가 모두 정보 획득과 사고력 개발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Digital literacy is considered an essential competency in modern society, and related curricula have been developed and operated across the world. As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has gradually changed and expanded,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domestic and foreign digital literacy curricula provide diverse digital literacy educational experiences.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icula for digital literacy to derive implication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Five countries, South Korea, Ireland,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Canada, were selected for the curricular analysis. The learning objectives in the curricula were analyzed regarding the components of digital literacy and the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suggested by Tyl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rtion of digital literacy components vari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purpose of each country. Specifically, computational thinking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Korea and Ireland, while digital ethics accounted for the highest in England and Canada. Additionally, the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have been biased toward information acquisition and critical thinking development in most countries. Thes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a curriculum for digital literacy.

      • KCI등재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반영된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진로와직업, 정보통신활용 교과를 중심으로

        곽하은,이옥인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igital literacy is reflected i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y period and subject. For the study,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analyzed from 2008 to 2022. Six subjects in middle school were analyze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and Career and vocation,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utilization. As an analysis standard, the digital literacy curriculum framework of Lee Woon-ji et al. (2019) was applied. The total number of texts analyzed was 1,858, and the total number of data analyzed was 3,953.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537 digital literacy items appeared i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y period and subject. The competency to understand and utilize digital technology appeared the most. Digital literacy by period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e order of the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Digital literacy by subject appeared most often in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utilization, followed by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Science,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Careers and vocations. By period, digital literacy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e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350 items, 65.2%), followed by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177 items, 33.0%). In addition, digital literacy by subject appeared most often in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utilization (320, 59.6%), followed by Korean language (75, 14.0%), Science (41, 7.6%), Mathematics (38, 7.1%), Social studies (34, 6.3%) was followed by Career and vocation (29, 5.4%).

      • KCI등재

        역량 중심 접근의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이인태 ( Lee In Tae ),장의선 ( Jang Eui Seo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2 No.1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정보, 미디어, 디지털 기술을 효과적, 비판적, 창의적, 윤리적으로 다루기 위해 필요한 통합적 역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개념은 디지털 기술을 올바르게 활용하고 정보와 미디어 콘텐츠를 윤리적으로 소비 및 생산하며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과 연대에 참여하는 도덕적인 사용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리터러시 관련 연구 성과들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라는 개념을 명료하게 정의하고 구성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역량 중심 접근의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차기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Digital media literacy refers to the integrated competencies necessary to effectively, critically, creatively and ethically utilize information, media, and digital technologies in a digital media environment. Therefore, this concept can be used as a competencies for ‘moral users’ who properly use digital technology, ethically consume and produce information & media content, and participate in activities and solidarity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rough online networks. In this study, we clearly define the concept of digital media literacy and derive competenci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Delphi research. And after analyzing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digital media literacy, we propose the improvement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r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with a Competency-based Approach.

      • KCI등재

        초등 교과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현황 분석을 통한 초등 정보 교과 독립 적용 탐구

        성영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2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이 기능과 도구 활용 중심에서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의사소통과 참여의 범위까지 확장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원격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더 욱 중요하고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분석과 점검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기초적 지식, 기술 및 역량으로 구성된 준거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과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은 기 능과 도구 중심으로 제시되고, 특정 영역 등에 편중되어 있고 체계성, 연계성 등에서 부족한 부분이 발견되었다. 이에 초등 정보교과 독립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과 체계 구성과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구성 방안 및 예비 교사의 실천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is expanding from the focus of function and tool utilization to the extent of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particular, learners'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are more important and necessary in remote learning environments such as Corona19. In this study, we studied how to improve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analysis and inspection of digital literacy shown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o this end, we analyze it through compliance consisting of 8 fundamental pieces of knowledge, 20 sub technical skills, and 10 keys of competencies that constitute digital literac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tent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presented centered on functions and tools, and as they were biased in certain areas, they were found to be lacking in systematicity and connectivity. Therefore, it proposed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system of digital literacy through the independence of elementary informatics curriculum, the specific composition of curriculum, and the strengthening of pre-service teachers' practical skills.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서수현,옥현진 한국어교육학회 2020 국어교육 Vol.0 No.170

        As the social demand for education on digital literacy has increased, this study has received input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on how to incorporate digital literacy into the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a written survey through e-mail, and a total of 30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participated. The results showed that experts generally agree that the Korean language should lead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that digital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more than it is in the current curriculum. Experts have also generally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the need for education in digital literacy from the lower grades than from the current curriculum. Last, experts judged that the proposed achievement standards of digital litera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re also important and appropriat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ollow-up tasks and studies are discussed, such as collecting diverse opinions from parents and teachers, analyzing the Language Arts curricula of other countries, theorizing a hierarchical framework of digital literacy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and communicating with experts from other subjects and academic areas.

      • KCI등재

        정보 교육을 위한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분석

        최정원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1

        원활한 정보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어느 수준 이상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갖추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약 10여년 간 정보 교육의 부재에 따른 학습자의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으로 인해 원활 한 수업이 어렵다는 학교 현장의 목소리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 중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을 원활하 게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요소를 분석한 후 중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컴퓨팅 기기와 소프트웨어에 부분적으로 능숙한 편향된 사용을 보였고, 학습에 필요한 하드웨어 사용, 온라인 협업을 위한 기초 용어와 운영체제에 대한 이해, 정보 검색, 생산성을 위한 문서 작성 등에는 많이 미숙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정보 교육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향과 체계적인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가이드라인이 되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order for effective informatics education it is premisd that students have digital literacy. But the absence of informatics education for about 10 years has make students have low digital literacy, and as a result, there are many voices in the school field that it is difficult to have a smooth clas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lements of digital literacy required to efficiently operate the 2015 middle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and digital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students showed biased use of the computing devices and software the frequently use. They were inexperienced in using hardware necessary for learning, understanding basic terms for online collaboration, understanding operating systems, information searching, and producing docu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that serves as a guideline for the direc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effective informatics education.

      • KCI등재

        시각문화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 연구

        손지현(Ji-Hyun Sohn)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과 교육 Vol.22 No.3

        본 연구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특성을 알아보고, 디지털 리터러시를 위한 교수·학습 원리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특성과 원리를 살펴보고, 포스트휴먼, 복합양식성과 아울러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우선 시각문화 연구의 용어와 미술사적 탄생 배경을 통해서 시각문화 연구가 추구하는 사회학적, 기술적 접근을 설명하였다. 또한, 디지털 텍스트적 맥락에서 시각문화의 복합양식적 특성(multimodality)을 살펴보고,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해 메타버스(metaverse)로서, 가상과 현실을 결합한 새로운 대안적 공간을 논하였다. 시각문화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로 연구자는 세 가지로 설명하였다. 첫째, 예술가적 배움을 지향하고, 둘째, 참여문화를 통한 자발적 학습과 아울러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에서 초학제적 접근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디지털 테크놀로지로 “보기”의 논의는 층위가 복합화되는 가상세계에서 하이브리드된 주체와 관련된다. 결국 미술교육에서 시각문화 연구는 기술을 활용한 공감 증진과 감성을 중심으로 한 휴머니티적 세계관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gital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discusses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for digital literacy. Literature review on teaching visual culture in art education is presented, and posthuman, cultural research, multimodality with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were discusse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s an epistemology and can be viewed as a semiotic practice. In addition, the multimodality of digital visual culture in the context of critical pedagogy on metaverse and educational approaches were suggested. Next, the researcher discussed a new alternative space combining virtual and reality as a metaverse for the network society and artistic practice. As a teaching and learning for visual culture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researcher explained three ways for pedagogy. First, artistic learning was oriented, and second, voluntary learning through participatory culture and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were discussed in the curriculum. The discussion of ‘viewing’ with digital technology goes beyond the traditional category, and suggests a hybrid subject in a virtual world where layers of digital spaces and identity. In the end, the study of visual culture in art education should focus on a humanistic worldview centered on affects so that it can pursue empathy using technology and the reconceptualization of a humanized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