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ACUM 기법을 활용한 CS강사의 직무분석

        박지우(Park, Jiu),윤관식(Yoon, Gwansik) 한국서비스인력개발학회 2022 서비스HRD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uty and task performed by CS instructors through job analys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job to the first CS instructor,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cess to foster CS instructors. For the above research, DACUM workshops were conducted centering on field exper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s CS instructors to derive responsibilities, tasks, and work factors. The content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were verified by a group of four experts with a related degree and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at the manager level in the CS education fiel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of a CS instructor was derived from 6 responsibilities, 26 tasks, and 111 working elements. The derived responsibilities are 'A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B employee service monitoring', 'C CS education plan establishment', 'D CS education development and progress', 'E CS education follow-up management', and 'F CS education promotion marketing', and each responsibility includes 3 to 5 tasks. Second,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or each task were derived to perform 26 tasks. Among the six responsibilities, the most work and work elements were derived from 'Monitoring B Employee Service' and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DCS Edu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to perform them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분석을 통해 CS강사가 수행하게 되는 책무(duty)와 작업(task)을 도출하고, 작업별 작업요소와 지식·기술·태도를 도출하여 초임 CS강사에게 직무의 방향을 제시하고, CS강사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과정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를 위해 CS강사로써 10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현업전문가를 중심으로 DACUM 워크숍을 실시하여 책무와 작업, 작업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내용은 관련 학위를 소지하고 CS교육 현장에서 관리자급으로 15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4명의 전문가그룹에 의해 검증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강사의 직무는 6개의 책무, 26개의 작업, 111개의 작업요소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책무는 ‘A 고객만족도 조사’, ‘B 직원 서비스 모니터링’, ‘C CS교육 계획 수립’, ‘D CS교육 개발 및 진행’, ‘E CS교육 사후관리’, ‘F CS교육 홍보마케팅’이며, 각각의 책무마다 3∼5개의 작업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26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작업에 대한 지식·기술·태도를 도출하였다. 6개의 책무 중 ‘B 직원 서비스 모니터링’과 ‘D CS교육 개발 및 진행’에서 가장 많은 작업과 작업요소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기술·태도의 양이 상당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학업열의의 이중매개효과

        박지우(Jiu Park),임규연(Kyu Yon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학업열의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1차년도 자료에서 중학교 1학년 학생 총 2,590명 데이터의 결측치를 EM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의존도를 독립변수, 학업성취를 종속변수, 자아존중감과 학업열의를 직렬 이중매개 변수로 상정하여 SPSS 23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직렬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6를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스마트폰 의존은 자아존중감, 학업열의, 학업성취에 대한 인식 모두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학업열의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나, 학업성취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다. 셋째, 학업열의는 학업성취에 대한 인식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스마트폰 의존과 학업성취 인식 간의 관계에서 학업열의의 단순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 및 학업열의의 직렬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학습 상황에서 스마트폰 활용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긍정적인 학업성취를 돕고 청소년들의 스마트폰과의존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대처가 요구된다. 또한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학습 상황에서 청소년들의 학업열의를 촉진하기 위한 정서적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academic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Panel data of 2,59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colle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for the first year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EM method was used for the imputation of missing values. Smartphone dependence was analyz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self-esteem and academic engagement as a series of dual mediation parameters. SPSS 23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especially PROCESS macro model 6 was used to analyze the dual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the level of smartphone dependence had negative effects on self-esteem, academic engagement, and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Second, self-esteem predicted academic engagement but not the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Third, academic engagement affected the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Fourth, self-esteem and academic engagement had a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the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Adequate interventions in smartphone us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re required to facilitate positive academic achievement and prevent youth from overreliance on smartphones. In addition, emotional support is needed to promote academic engag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hen learning with a smartphone.

      • 반부패·청렴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박지우(Jiu Park),황윤정(Yoon-Jung Hwang) 한국서비스인력개발학회 2023 서비스HRD Vol.2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반부패·청렴교육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지금까지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10년간 국내 학술지를 수집하여 총 14편을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전체 분석대상 문헌의 연구시기, 연구대상, 주제어, 연구방법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로 나누어 각각의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부패·청렴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는 빈도수와 증가율이 높지 않아,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연구대상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으로 제도적인 측면의 정비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대상별로 분석한 결과, 크게 청소년과 공직자로 양분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청렴에 대한 개념이 공직자뿐 아니라 모든 사회구성원이 지켜야 할 부분이므로, 민주시민 양성 교육으로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방법을 살펴보았을 때, 질적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주로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았으며, 이에 대한 수치적 검증으로 연구의 완결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질적연구의 방법론을 살펴보았을 때, 조선시대의 사상을 탐색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역사적인 내용에서 교훈을 찾는 것은 물론 중요한 부분이나, 현대사회의 청렴에 대한 의식과 개념을 재구성하여 교육생의 입장에서 반부패·청렴의 필요성을 검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on anti-corruption and integrity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to identify the trends of research so far and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To this end, a total of 14 domestic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ver the past 10 years from 2013 to 2022. Bas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object, subject word, and research method of the entire analysis target literature were analyzed, and each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Domestic research on anti-corruption and integrity education did not have a high frequency and increase rate, indicating that research was not being activat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study subject, it was largely divided into adolescents and public officials. Since integrity is a part that not only public officials but also all members of society should protect, it is necessary to expand to education for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 Third,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litative research. There were many studies mainly on content development. Fourth, when examining the methodology of qualitative research, the most common research was to explore the ideas of the Joseon Dynasty to derive implications. Historical lessons are also important, but efforts should be made to review the need for anti-corruption and integrity from the perspective of trainees by reorganizing the consciousness and concept of integrity in modern society.

      • 항공사 승무원의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박지우(Jiu Park) 한국서비스인력개발학회 2023 서비스HRD Vol.2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항공사 승무원 대상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양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지금까지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연구가 처음 진행되었던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11년간 국내 학술지를 수집하여 총 21편을 분석하였다. 전체 분석대상 문헌의 연구시기, 주제어, 측정도구와 하위요인을 분석하였고, 변인 간 관계를 고찰하여 긍정심리자본이라는 변인의 역할을 규명하여, 이에 대한 통합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한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국내 양적 연구는 2012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주제어는 어느 한쪽에 편중되어 있지는 않았으며, 리더십, 조직 내 갈등, 개인의 부정적 정서와 관련된 변인이 다수 발견되었다. 셋째, 측정도구는 원문항 그대로 사용되기보다는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일부 문항만 수정되어 연구되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의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긍정심리자본이 매개변인으로 사용된 연구가 10편으로 가장 많았고, 선행변인으로 사용된 연구가 7편이었으며, 조절변인으로 사용된 연구는 5편이었다. 결과변인으로 사용된 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변인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전체 영향 관계에 대한 통합 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quantitative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airline flight attendants in Korea to identify the trends of research so far and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Through this process, it was intende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for airline flight attendants. To this end, a total of 22 domestic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ver the past 11 years from 2012 to 2022. The research period, subject word, measurement tool, and sub-factors of the entire analysis target literature were analyzed, and the role of the variable calle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identifi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an integrated model was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omestic quantitative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airline flight attendant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2. Second, the subject word was often studied along with negative variables such as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rather than using the original question as it is, the measurement tool was often studied by modifying only some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er. Fourth, in terms of the role of variables, 10 studies were used as mediating variables, 7 studi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5 studies were used as regulatory variables. No studies were found used as dependent variables. Finally,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 integrated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presented.

      • KCI등재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 분석

        박하나 ( Park Hana ),진명화 ( Jin Myunghwa ),박지우 ( Park Jiu ),임규연 ( Lim Kyu Y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디지털 리터러시는 현대 사회의 필수 역량 중 하나로, 각 국가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이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를 반영하여 균형 있고 충분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고 있는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아일랜드, 영국, 호주, 캐나다 5개 국가의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학습목표를 분석하였다. 먼저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요인을 기준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각 국가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목적에 따라 구성 비율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과 아일랜드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요인 중 컴퓨팅 사고 역량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반면에 영국과 캐나다에서는 디지털 윤리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Tyler가 제시한 교육목표 유형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의 목표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분석대상 5개 국가의 교육목표가 모두 정보 획득과 사고력 개발의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Digital literacy is considered an essential competency in modern society, and related curricula have been developed and operated across the world. As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has gradually changed and expanded,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domestic and foreign digital literacy curricula provide diverse digital literacy educational experiences.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icula for digital literacy to derive implication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Five countries, South Korea, Ireland,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Canada, were selected for the curricular analysis. The learning objectives in the curricula were analyzed regarding the components of digital literacy and the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suggested by Tyl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rtion of digital literacy components vari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purpose of each country. Specifically, computational thinking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Korea and Ireland, while digital ethics accounted for the highest in England and Canada. Additionally, the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have been biased toward information acquisition and critical thinking development in most countries. Thes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a curriculum for digital literacy.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실과교과서 SW교육 단원 학습 문제 분석

        임지영(Ji Young Lim),김윤진(Yoon Jin Kim),박지우(Jiu Park),임규연(Kyu Yon L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2

        컴퓨팅에 기반한 문제해결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SW교육에서 ‘문제’는 주요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된다. 그러므로 SW교육 콘텐츠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현행 SW교육에서 학습자에게 어떤 문제가 제공되는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교과서 SW교육 단원의 학습 문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목표는 인지적 과정 중에서 ‘이해하다’, ‘적용하다’, ‘개발하다’, 지식 유형 가운데 ‘절차적 지식’과 ‘사실적 지식’ 영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학습 문제는 다양한 내용요소를 포괄하였으나, 그 맥락성은 개인적 맥락에 집중되어 있었다. 비구조성의 경우, 복잡성과 실제성이 낮은 문제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SW교육에서 문제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roblem” is an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in SW education that aims to improve the problem-solving skills of students based on computation. Therefore, discussions concerning the learning problems provided to the students in SW education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is study, researchers analyzed the problems presented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which ar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learning objectives included “understanding,” “application,” and “development” in the cognitive processes, and “procedural knowledge,” and “factual knowledge” in the types of knowledge. The problems included various content elements. However, most problems covered personal contexts, rather than social or career contexts. With regard to the level of structuredness of the problem, those with low complexity and authenticity appeared at a high rate. Further, the implications for designing problems in future SW education have been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