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돌봄교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이준식 ( Lee Jun-sik ) 한국무용교육학회 2021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32 No.1

        Elementary child care classes have been increasing since they were introduced in 2004 due to the increasing social needs for the changing parenting environment and care, and as elementary child care classes increase, the demand for specialized programs including cultural experience, specialty, aptitude, an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ill also increase.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have a similar purpose to the elementary child care class’ group activity program in that it grows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rough arts, which shows that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s suitable for the elementary child care classes.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and revitalize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elementary child care classes, we intend to present the development direction so that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child care class can be developed as follows: First, if the child care class is a place to protect children, the child care class’ program should be a time for children to grow their ability to regulate and control themselves. Second, low-grade students should be organized around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through arts, and high-grade students should be organized around contents that can discover and grow their specialty and aptitude. Third, in the annual plan, it is desirable to organize the program with one flow, but to operate each session independently so that achievements are not accomplished over multiple stages. Fourth, it is recommended that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child care classes is linked with the elementary child care class’ program and use th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tools of the child care classes.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child care class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of the elementary child care classes.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programs that children can participate safely and joyfully, programs that can contribute to the fulfillment and internalization of demand for increasing elementary child care class’ program, and various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elementary child care classes will be created.

      • KCI등재

        중학교 미술 수업과 지역문화예술의 연계 방안

        노정길(Noh, Jung Gil)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4

        2016년도부터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과 학교 내 미술 체험영역에 대한 보완으로 학교 밖 미술관련 체험활동에 대한 수요가 점점 커지고 있다. 그리고 최근 지역문화예술 공간의 증가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문화예술 공동체들이 날로 확장되고 있다. 현시점에서 지역사회의 일부인 학교가 지역문화예술과 연계하여 미술 수업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기존의 지역문화예술과 학교 수업의 연계에 대한 연구들은 지역 예술가를 학교 강사로 초빙하는 것과 지역 미술관, 박물관 관람 교육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미술수업과 지역문화예술의 연계 방안으로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체험을 중심으로 한다. 또한 연구자가 오랜 기간 거주해 온 부천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의 다양한 문화예술공간 및 문화예술공동체 프로그램들을 찾아보고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미술체험 수업과 어떻게 연계해볼 수 있을지를 탐색하고 연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학교 미술수업에서의 체험영역을 확장하고 현장 교사들이 지역문화예술과 연계한 미술수업을 설계할 때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Since 2016, the demand for do extracurricular field work related to art has become so great as a complement to intramural art experience area due to overall execution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Recently, the space of local cultural arts has grown and local cultural art communities have increased. At the present time we consider that schools need to seek for solution to start art class as parts of the local community, in conjunction with local cultural arts. Most of existing studie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local cultural arts and school classes are mainly related to inviting local artists as school lecturer and visiting local art galleries or museums.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eriences made out of school as a cooperation method between junior high school art classes and local cultural arts.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how various spaces of local cultural arts and programs of local cultural art communities could be connected to art experience class and suggesting cooperation method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fter visiting those places based on Bucheon region where researcher has lived for a long time.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in that it would be helpful when field teachers try to expand experience area of students in art classes and to design art classes connected to local cultural arts.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대학생의 문화예술향유 지속력 탐색 -문화예술향유 교양수업을 중심으로-

        이정숙 ( Jeongsook Lee ),박진영 ( Jinyoung Park ),김동진 ( Dongji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이 문화예술 교양수업 경험을 통해 인식하고 있는 문화예술향유 지속력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분석자료는 광주광역시 A대학의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 릴레이 특강으로 진행되는 교양수업을 수강한 184명의 13회차 성찰일지를 수집하였다. 빅데이터 기반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화예술향유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은 수업(강의)을 통해 문화예술 및 작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신기하고 흥미로운 생각과 느낌을 갖게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양수업 후 대학생이 인식하는 문화예술향유 지속력의 변화는 문화예술 작품에 대한 관심을 넘어 참여와 집중, 노력 등 문화예술 일상화를 위한 적극적인 향유 의지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향유 교양수업을 통해 대학생은 문화예술향유 지속력을 갖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의 문화예술 일상화를 위한 대학교양교육의 방향과 정책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persistence in cultural and artistic enjoyment that university students had perceived through their experience in cultural arts classes. The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3th reflection diary of 184 students who took a special lecture on the relay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of culture and arts at A university in Gwangju. The analysis method used a text mining technique based on big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culture and arts enjoyment classes, it was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increased their interest in culture and arts and works through classes (lectures). they have confirmed that they will have amazing and interesting thoughts and feeling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persistence of cultural and artistic enjoymen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was not only interested in cultural arts, but also confirmed participation, concentration, and efforts. This study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the ability to enjoy culture and arts through arts class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and policy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everyday use of culture and arts for university stud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순수 공연예술 지원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최윤영 ( Yun Young Choi ) 대한무용학회 2011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6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government`s art policy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its support, to analyze their problems, and to suggest issues for developing performing ar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ight to enjoy culture has to be expanded. And universal access to the right has to be enlarged. Policy studies for promoting consumers` ability to enjoy culture and arts have to be involved. Second, the government`s support system for culture and arts must be improved. And policy for art foundation is needed. Building justice in culture and arts policy is required, too. Third, policy support for the weak people in culture must be more reinforced. A customized supporting system has to be devised. Fourth, the opportunity to receive culture and arts education must be enlarg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a very useful way to develop sensitive ability and creativity, and to form preference for culture and arts. Fifth, establishing work structure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s needed. The central government has to concentrate on a national strategic project and the local government must focus on a region-specialized one. Seventh, long-term strategies to establish and continuously implement support policy are needed. And the policy has to concentrate on investments to develop arts groups. Finally, the government has to accept paradigm changes of culture and arts. In the policy, it is necessary to not only support amateur artists who are consumers of culture and arts, but also evolve them into producers.

      • KCI등재

        明代 四民의 교양과 예술에 대한 인식

        김지선 중국어문학회 2023 中國語文學誌 Vol.- No.83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four classes people of the Ming Dynasty have begun to value culture in their daily lives, and aims to examine the four classes people's interest and admiration in culture and art such as calligraphy, paintings, antiques, and the four treasures of study. Calligraphy, paintings, antiques, and the four treasures of study wer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on of high-quality material culture and noble spirit as surplus materials far from the problem of survival. For this reason, the minority elite has been enjoying it, but the situation that the scope of the enjoyment class has begun to expand is confirmed in the Ming Dynasty. The traces of the Ming Dynasty's four classes people's devotion to culture and art can be found in Encyclopedias for Daily Use.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culture and art contained in Encyclopedias for Daily Use are not those of the real aristocratic culture. The purpose is to feel satisfied by just enjoying the high-end culture, and accepting the profound and deep culture of the noble people was not an object of interest to the four classes people. The low-level culture contained in Encyclopedias for Daily Use, the four classes people's sense of culture, and the aesthetic view of art began to speak of contemporary life, destroying the authority and hierarchy of high-end culture. It was a way for the four classes people to recognize the world and exist, and it became the basis for creating a completely different sense of solidarity and community from the upper class society. More research is needed on this becaus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the Ming Dynasty society and to microscopically look at the culture that was hidden by mainstream discourse. 본 연구는 明代 四民이 일상에서 ‘교양’을 중시하기 시작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書畫, 골동품, 文房四友 등 교양과 예술에 대한 四民의 관심과 흠모를 살펴보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삼는다. 書畫, 골동품, 文房四友 등은 생존의 문제와는 동떨어진 잉여의 ‘物’로 고급 물질문화와 고상한 정신을 나타내는 표상으로 여겨졌다. 이 때문에 소수 엘리트 계층이 주도적으로 향유해왔으나, 향유 계층의 범위가 확장되기 시작한 상황은 明代에서 확인된다. 이는 《金甁梅》 등의 문학작품에서도 묘사된 바, 四民들이 교양과 예술에 대해 열중하였던 흔적을 日用類書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日用類書가 담고 있었던 교양과 예술이 진짜 사대부 문화의 그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그저 고급문화를 향유해봄으로써 만족감을 느끼는 데 목적이 있을 뿐 심오하고 깊이 있는 사대부 문화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그렇기에 사대부 문화를 흉내 내면서도 이를 독자의 입맛에 맞게 모방, 축소, 삭제, 변형하는 과정이 일어났다. 日用類書가 담고 있는 저급문화, 四民의 교양 의식, 예술에 대한 심미관 등은 고급문화의 권위와 위계질서를 파괴하며 동시대적 삶을 말하기 시작하였다. 그것은 四民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이자 존재하는 방식이었고, 상류사회와는 전혀 다른 연대감과 공동체 의식을 만들어가는 근거가 되었다. 明代 사회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주류 담론에 가려져 있었던 문화를 미시적으로 바라볼 수 있기에 이에 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예술 치유 시범사업 평가 및 발전방안

        정여주(Chung Yeo Ju),정현주(Chong Hyun Ju),김나영(Kim Na 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1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일환으로 예술의 치유적 특성을 중심으로 예술 치유 사업을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그 의미와 성취도 그리고 효과에 대하여 평가하는 데에 목적으로 두었다. 예술 치유사업은 사회적 또는 경제적인 여건으로 인해 문화예술을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소외계층 집단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2005년 3월부터 12월까지 다양한 예술 치유 사업을 실시하였다. 참여 대상은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집단으로 총 14개의 집단에 130명이 참여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소년원 보호 청소년, 결혼여성 이민자, 독거노인, 탈 성매매 여성(결혼여성 이민자)들이 포함되었다. 문화예술 치유 프로그램은 음악, 미술, 무용, 연극 중심의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를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진행자, 참여자, 기관 담당자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예술 치유 사업에 대한 양적 및 질적 평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는 예술교육의 다양한 의미와 기능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 치유 프로그램은 예술 매체가 지닌 치유적 특성을 중심으로 개인의 심리적, 사회적 정서적 건강을 도모하였으며 더 나아가 예술을 통한 치유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재인식하고 개선과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cultural arts education project which was facilitated to experience arts" healing essence in its education. Cultural arts healing project was purported to provide positive and healing experience to those who are not exposed to cultural activities due to social or economical conditions. A total of 130 people participate in the project including children, adolescents, adults and elderly people. There were 14 groups including group homes,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abandoned elders, ex-prostitutes, immigrants, etc. Cultural arts healing project involves various music, art, dance, and play activities. For its evaluation, different surveys were developed for participants, educators, and directors. The surveys were used to collec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regarding the achievement of project and essential information on the meaning and role of arts educ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ultural arts education project has brought psychological, soci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participants and that it can be used to facilitate healing aspect of people"s lives. The study further provided various prospective strategi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project and recognition of healing aspect of arts education.

      • KCI등재

        사회문화예술교육 수업사례 연구 : 사례내적 및 사례간 분석을 중심으로

        박진영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평생교육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단일사례연구에서 포착하기 힘든 수업의 공통점, 특징에 중점을 두고 국가 사회문화예술교육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16개 수업을 대상으로 관찰, 심층면담, 비개입데이터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복수사례연구를 수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교육환경 및 분위기는 어떠한지,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강사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포함하여 교수-학습과정은 어떻게 전개되는지,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특징은 무엇인지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교육환경 및 분위기에 있어서는, ‘향유기관과 문화예술교육 수행 단체 간의 협력 구조의 중요성’, ‘1년 단위의 운영 시스템: 소외계층의 또 다른 상처에 대한 고려 필요’ 등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둘째,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교수-학습과정에 있어서는, ‘학교수업의 과정(도입-전개-정리)과 유사하지만 기능숙달이 아닌 라포형성과 의미창출에 큰 비중’, ‘다양한 교과의 통합과 문화예술교육의 정체성을 구현하는 도구로써 인식되는 스토리텔링’, ‘강사-학습자 상호작용(반응, 견해): 쌍방향적 상호작용, 즐거움’ 등의 주제들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특징으로는 ‘표현과 소통, 그 다음이 창의성’, ‘수업이 곧 치유의 과정’, ‘자율과 방임 사이에서’ 등의 주제들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문화예술교육 학계와 현장에 대해 시사점과 해결해야 할 실질적인 과제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done to analyze how the class of social arts and cultural education by nation is performed by the means of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non-intervention data. Extracted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environment and atmosphere of class?: ‘the cooperational importance of favored institution an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corporation’, ‘educational operation system is divided by year: need about considering another pain of the unprivileged’. Second, how is the process of school class including teacher-student interaction?: ‘similiar to school class, but not the master of skill but the form of rapport and the creation of meaning’, ‘the combination of various curriculum and storytelling recognized as a tool that realizes the identity of social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two-way interaction and pleasure’. Last, what is the feature of class?: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rather than creativity’, ‘social arts and cultural education class is healing’, ‘between autonomy and neglect’.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 applied in the academia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in the field of it.

      • KCI등재후보

        문화자본론의 관점에서 본 영어의 한국적 의미와 구조

        최샛별(Choi Set-Byol),최유정(Choi Yu-Ju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11 문화와 사회 Vol.10 No.-

        ??본 연구는 부르디외의 문화 재생산론에 근거하여 대표적인 문화자본으로 전제되어 온 문화예술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영어가 차지하는 위상과 내적 구조를 탐색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영어가 지니는 문화자본론적 함의와 실제 다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계급재생산 기제들의 지형에 대한 경험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705명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과 영어에 대한 인식과 태도, 문화예술적 교양과 영어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의 이미지 등을 조사해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요도에 있어서 영어가 문화예술보다 더 높이 평가되었고 계급이 높을수록 중요성을 강조하는 양상도 영어에서 더 명확히 나타났다. 높은 계급일수록 투자 의향 또한 커지는 문화예술 영역에 비해, 영어에 대한 계급의 효과는 미비했다. 실제 자신의 능력에 대한 평가는 계급이 높아질수록 확연히 비례해 높아졌다. 영어를 잘하는 사람들의 이미지를 보면 그 구성 요인들이 문화예술적 교양을 가진 사람들의 그것과 거의 유사했다. 특히 국내 교육만으로 뛰어난 영어 실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이미지는 문화예술 관련 교양을 지닌 사람들의 이미지와 완전히 일치하는 구조를 띠었다. 또한 문화예술적 교양과 마찬가지로 영어 실력도 그 소유자 개인의 능력이나 고급스러움, 성공의 이미지로 비추어지는 경향이 강했다. 각 요인별 평균 점수의 계급별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영어와 영어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은 문화예술을 준거로 했을 때 영어가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문화자본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케 하는 동시에, 응답자의 계급적 배경이 보다 체계적으로 반영되어 나타난 문화예술에 비해 영어의 경우 부분적으로 계급별 인식이 혼재되어 있는 ‘과도기’적 과정을 거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status and inner structure of English compared with cultural art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be a representative cultural capital according to Bourdieu’s cultural reproduction theory. Through this study, an empirical explanation toward the implication and the feature of class-reproduction mechanism of English in the Korean society is delivered. For such explanation, investigation on 705 people residing in Seoul, Kyeongki and Incheon region has been done toward the awareness, attitudes and images on people with high cultural art refinement and English skill. As a result, English has been evaluated to be more important than cultural art. Moreover, higher the class, the importance of English has been clearly defined. Also, higher the class, the intention toward cultural art was higher. However, the class-effectiveness was inadequate for English. Evaluation toward one’s actual ability was definitely proportionally higher as the class was higher. Also, the image components of people with high English skill reflected the components of people with high knowledge in cultural art. Expecially, images of people with high English skills from domestic education coincided with the images of people with high cultural art knowledge. Like cultural art refinement, English ability also reflected a person’s exclusivity and successive image. The average scores of each factors did not have class deferences. The overall awareness toward English and people with high English skill complied with cultural art, it has been found that English skill should be understood as cultural capital in the Korean society. Moreover, English can be implied to be in a transformation period with mixed class awareness when compared with cultural art which systematically reflected the respondents’ class backgrounds.

      • KCI등재

        여가활동으로서 문화예술체험에 관한 시론

        한숙영(Suk Young Han),류시영(Si Young Ryu) 한국관광연구학회 2011 관광연구저널 Vol.25 No.5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growth of the arts and culture experience as a leisure activity and figure out the reason of that rise. Also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future of the arts and culture experience as a leisure activity throughout those proces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appreciate the concept of the arts and culture and examine the concept change of the arts and culture with the sociocultural shift. Moreover the study is to look into the effort of the arts and culture industry to meet the needs of the consumers of arts and culture, arts and culture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arts and culture is the specialized culture field including the arts. (2) the need of the arts and culture experience as a leisure activity seems to be increasing due to de-differentiation, anti-aura, and new middle class in postmodern society. (3) The art and culture industry, specially museum and performance industry, would persevere in their efforts to meet the needs of the arts and culture experience. (4) Also, the government would support the arts and culture industry in various means: space, contents, and evaluation system, etc.

      • KCI등재후보

        창조도시 전략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창조적 학습도시 발전전략에 대한 새로운 논의

        이병준,박응희,박지연 한국문화교육학회 201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5 No.2

        최근 창조도시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교육과 학습의 창조도시와의 연관성에 주목할 필요가 높아졌다. 2000년 이후 문화예술교육진흥을 위한 법과 제도가 정비되면서 문화예술교육이 학교와 사회속에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문화예술교육을 평생교육의 연장선속에서에 대한 논의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문화와 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발전전략인 창조도시와의 연관성속에서 바라보는 것도 흥미롭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창조도시논의는 크게 창조적 환경에 대한 논의, 창조인력에 대한 논의, 창조산업에 대한 논의, 그리고 문화발전에 대한 논의 네 가지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창조도시에 대한 논의중 문화와 예술을 경제에 활용하는 의미에서의 창조산업에 대한 논의가 가장 활발하나 이러한 논의는 매우 근시안적 사고라고 판단된다. 창조도시는 개별 도시가 가지는 자발적 시스템속에 창조성과 지역성, 네트워크와 미학화, 그리고 학습과 지속가능성이라는 핵심가치를 추구하고 있으며 또 그래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창조도시의 핵심가치는 바로 문화예술교육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현재의 문화예술교육은 단순한 프로젝트성 보다는 창조도시를 만들어가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은 장기적인 비전속에 지속가능성을 담보해야 하며 예술체험을 넘어서 문화역량을 강화하고 학습망을 구축하며 문화리더를 양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As the discussion on creative city has become active recently, th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learning and creative city was increased. While law and system for promoting Culture & Arts Education have been reorganized since 2000, Culture & Arts Education spreads into schools and society. However, it's meaningful to discuss Culture & Arts Education simply in an extension of lifelong education but it's interesting to examine it in the correlation with creative city which is a strategy to develop the city based on culture and arts. At present, the discussion on creative city is unfolded by dividing largely into 4 discussions; discussion on creative environment, discussion on creative man power, discussion on creative industry and discussion on cultural development. Among the discussions on creative city, the discussion on creative industry which means to apply culture and arts to economy is the most active but it is judged to be a very short-sighted thinking. The creative city is seeking core values such as creativity / regional characteristic, network / aestheticization and studying / sustainability in the voluntary system of each city as well as must to seek them. Those core values of creative city are related with Culture & Arts Education much closely in that aspect. Current Culture & Arts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by an important strategy for making creative city, rather than by simple project. Therefore, Culture & Arts Education must to guarantee sustainability in a long-term vision, strengthen cultural capability beyond the art experience, establish learning network and advance to the direction cultivating cultural le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