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国BOT相关法律问题硏究

        Su, Shuai,Song, Yang-Ho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9 No.-

        본 논문은 현재 중국 BOT와 관련된 여러 법적 체계 및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중국이 1985년에 광둥싸죠(广東沙角)화력발전소에 BOT방식을 도입한 후, 중국학자들은 BOT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시작했고,1996년부터 BOT 실험 프로젝트의 실시에 따라, 운영 중의 구체적인 문제점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하였고,2000년 이후에는 BOT 응용 범위의 확대, 특히 2001년WTO(세계무역조직)에 가입되면서 국제화 BOT 의 운영에 대해 일련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중국 법률, 관리 체제 등의 방면에서 새로운 요구를 제기했다. 최근에는 중국학자들의 BOT에 관한 연구는 주로 법 방면에 시작되어 있다. 곽소명(2000) 중국이 BOT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관리기구의 결핍으로 관련 정책 및 법률 체계가 불완전하다고 지적하였다. 주제홍(2005)은 정부가 외국투자자에게 과도한 승낙과 우대를 남발해서는 안되고 투자환경을 완벽하게하고 관리를 규범화하여야 하며, 또한 법률과 법규를 완벽화하고 다양한 BOT투자 방식의 운영과 내국 자본의 BOT투자의 참여를 독려해야 한다고 이 영역에서 중국학자들은 주로 BOT방식 도입의 장애에 대해 분석하였고, 동시에 몇 가지 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중국에서의 BOT 관련 현황을 소개하면서 법체계가 정비되지 않고 부분적인 행정규정으로 규율하고 있는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ese economy, the inefficiency of infrastructure and public projects has become a barrier for the growth of national economy. BOT is now the popular way of international investment, which is being paid more and more attention by the government of our country, and also becomes an important way of using foreign capitals to invest the basic installation buildings. The author analyzes the development situation of BOT in China, the present situation of BOT legislation and legislation barrier as well as the suggestion on consummating BOT system in China, and so on. She attempt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BOT in China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Though Chinese government has begun putting BOT into practice since 1990s to solve the problem, there is no mature legislative system to ensure its performance. Therefore, it is urgent to set up practicable legislative rules to regulate BOT based on an analysis of the legislative status quo and barriers of carrying on BOT. BOT is now the popular co-way of international investment, which i s more and more attached by the government of our country , and also becomes a important way of using foreign capitals to invest the basic installation building s. But there are no concrete law s and rules for it in China, and legislation for regulating BOT investing ways isn’t perfected. So , how to set up and perfect BOT investing-ways system has already become an urgent matter in China.

      • KCI등재

        중국BOT상관법률문제연구

        소수,송양호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9 No.-

        본 논문은 현재 중국 BOT와 관련된 여러 법적 체계 및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중국이 1985년에 광둥싸죠(广東沙角)화력발전소에 BOT방식을 도입한 후, 중국학자들은 BOT에 대 한 연구를 진행하기 시작했고,1996년부터 BOT 실험 프로젝트의 실시에 따라, 운영 중의 구 체적인 문제점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하였고,2000년 이후에는 BOT 응용 범위의 확대, 특히 2001년WTO(세계무역조직)에 가입되면서 국제화 BOT 의 운영에 대해 일련의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는 중국 법률, 관리 체제 등의 방면에서 새로운 요구를 제기했다. 최근에는 중국학 자들의 BOT에 관한 연구는 주로 법 방면에 시작되어 있다. 곽소명(2000) 중국이 BOT에 대 한 이해가 부족하고 관리기구의 결핍으로 관련 정책 및 법률 체계가 불완전하다고 지적하였다. 주제홍(2005)은 정부가 외국투자자에게 과도한 승낙과 우대를 남발해서는 안되고 투자환 경을 완벽하게하고 관리를 규범화하여야 하며, 또한 법률과 법규를 완벽화하고 다양한BOT 투자 방식의 운영과 내국 자본의 BOT투자의 참여를 독려해야 한다고 이 영역에서 중국학자 들은 주로 BOT방식 도입의 장애에 대해 분석하였고, 동시에 몇 가지 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중국에서의 BOT 관련 현황을 소개하면서 법체계가 정비되지 않고 부분적인 행정규 정으로 규율하고 있는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ese economy, the inefficiency of infrastructure and public projects has become a barrier for the growth of national economy. BOT is now the popular way of international investment, which is being paid more and more attention by the government of our country, and also becomes an important way of using foreign capitals to invest the basic installation buildings. The author analyzes the development situation of BOT in China, the present situation of BOT legislation and legislation barrier as well as the suggestion on consummating BOT system in China, and so on. She attempt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BOT in China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Though Chinese government has begun putting BOT into practice since 1990s to solve the problem, there is no mature legislative system to ensure its performance. Therefore, it is urgent to set up practicable legislative rules to regulate BOT based on an analysis of the legislative status quo and barriers of carrying on BOT. BOT is now the popular co-way of international investment , which i s more and more attached by the government of our country , and also becomes a important way of using foreign capitals to invest the basic installation building s. But there are no concrete law s and rules for it in China, and legislation for regulating BOT investing ways isn’t perfected. So , how to set up and perfect BOT investing-ways system has already become an urgent matter in China

      • KCI등재

        B-Corr Model for Bot Group Activity Detection Based on Network Flows Traffic Analysis

        ( Dandy Pramana Hostiadi ),( Waskitho Wibisono ),( Tohari Ahmad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0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 Vol.14 No.10

        Botnet is a type of dangerous malware. Botnet attack with a collection of bots attacking a similar target and activity pattern is called bot group activities. The detection of bot group activities using intrusion detection models can only detect single bot activities but cannot detect bots' behavioral relation on bot group attack. Detection of bot group activities could help network administrators isolate an activity or access a bot group attacks and determine the relations between bots that can measure the correlation. This paper proposed a new model to measure the similarity between bot activities using the intersections-probability concept to define bot group activities called as B-Corr Model. The B-Corr model consisted of several stages, such as extraction feature from bot activity flows, measurement of intersections between bots, and similarity value production. B-Corr model categorizes similar bots with a similar target to specify bot group activities. To achieve a more comprehensive view, the B-Corr model visualizes the similarity values between bots in the form of a similar bot graph. Furthermore, extensive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using real botnet datasets with high detection accuracy in various scenarios.

      • KCI등재

        벋(bot): 한 베트남 해안 도시의 상생의 경제

        이준원 ( Joon Won L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2 韓國文化人類學 Vol.45 No.2

        베트남 섬선시(Thi xa Sam Son)의 어민과 상인의 교환 과정에서 가격은 흥정에 의해 결정된다. 가격흥정 과정에서 어민과 상인은 가격 깎기를 하며, 지불 과정에서는 덤과리베이트와 유사한``벋``을 한다. 벋은 지불 과정에서 어민이 상인으로부터 가격의 일부를 받지 않는 것으로"사회적으로 반드시 해야만 하는 행위"로 간주된다. 벋은 단순히 가격을 낮추기 위한 행위가 아니며 어민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섬선시 어민들은 자신에게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도 없는데 왜 벋을 하는 것일까? 이 논문에서는 어민과 상인의 교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벋의 규칙과 목적에 대한 분석을 통해벋이 가진 사회적·경제적 의미를 고찰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 논하는 벋은 덤이나 리베이트와는 다른 속성을 가지고 있다. 덤과 리베이트와 달리 벋은 흥정을 통해 가격을 정한 후 물건 값을 지불하는 과정에서 어민이 추가로 상인으로부터 가격의 일부를 받지 않는 것이다. 모든 사람이 벋의 적용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며, 장기적 교환관계의 형성을 위한 것도 아니다. 어민은 시장에서 판매할목적으로 해변에 와서 수산물을 구입하는 상인에게만 벋을 하는데, 그 이유는 상인들의 원활한 판매활동과 높은 이익을 보장해 주기 위해서이다. 벋은 어민과 상인이라는 특정한 사회적 관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 이루어지며, 두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첫째, 벋은 교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만을 해소하는 장치이다. 둘째, 벋은 각 경제 주체의 경제적 안정과 어획된 생선의 원활한 유통을 보증하는 수단이다. 벋의 두 가지 기능은 공동체의 유지와 관련이 있다. 교환 과정에서는 가격과 관련된 갈등이 발생하고, 이익을 얻는 사람과 손해를 입는 사람도 발생한다. 경제적 교환에서 발생한 갈등은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악영향을 준다. 벋은 교환 과정에서 발생한 갈등을 해소시켜 주고 공동체 구성원의 원활한 경제활동을 보장해 주며, 이것은 공동체 유지와 연결된다. When fishermen sell fish to traders in Sam-son city, Vietnam, their prices are determined through a process of bargaining and haggling. Another critical aspect of the fish trade is" bot"in the process of making payments in Sam-son city. Following the procedures of bot, the fishermen do not receive a part of the price for which their fish is sold to the traders. People in Sam-son city claim that" bot is a behavior that fishermen must do socially."Bot is not intended to slash prices nor to bring the fishermen directly economic profits. Although fishermen do not have the profits, why must they practice bot? In this paper, I delineate the socio economic characteristics of bo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ationale and the rules of bot in the process of economic exchange. Fishermen do not practice bot with all purchasers. They engage in bot only for the traders who buy and then go to the market to sell. Futhermore, fishermen engage in bot for the sake of the traders, to enable them to sell fish to customers smoothly and profitably. Bot is practiced only between fishermen and traders who have a particular social relationship, and bot has two functions. The first of which is to resolve conflict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the economic exchange. The second function is to guarantee a stable passage of the value of the fish. The two functions are related to stability of the community. There is conflict surrounding prices as well as that between the persons who gains and the person who loses in the process of the economic exchange. The conflict affects daily life in the community. However, bot resolves the conflict and guarantees a stable economic life, and it contributes to stability of the community.

      • KCI등재

        악성 Bot에 대한 악성코드 분석을 통한 탐지 및 대응방안

        김소의,최두리,안병구,Kim, Soeui,Choi, Duri,An, Beongku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3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2

        최근의 해킹은 초기의 단순한 호기심에서 이루어졌던 차원을 넘어서서 범죄적인 성향을 많이 띄고 있다. 그 일례로 최근 사용되고 있는 공격 기법인 악성 Bot을 들 수 있다. 악성 Bot은 악성 IRC Bot 중의 하나로 유포자의 명령에 따라 특정 IP 대역을 공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유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악성 Bot의 한 종류인 shadowbot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서 접근 방법 및 동작 과정 등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VM ware와 각종 분석 툴을 통해 분석을 진행한다. 둘째, 악성 Bot의 접근 방법과 동작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한 가설을 세워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안한다. 성능평가는 제안한 대응 방안을 직접 적용시켜 실제로 악성 Bot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Recently, hacking is seen as a criminal activity beyond an activity associated with curiosity in the beginning. The malignant bot which is used as an attack technique is one of the examples. Malignant Bot is one of IRC Bots and it leaks user's information with attacker's command by attacking specified IP range. This paper will discuss an access method and a movement process by analyzing shadowbot which is a kind of a malignant Bot and will suggest possible countermeasure. This study has two distinct features. First, we analyze malignant Bot by analyzing tools such as VM ware. Second, we formulate a hypothesis and will suggest possible countermeasure through analyzing malignant Bot's access method and movement. Performance evaluation will be conducted by applying possible countermeasure to see if it can prevent attacks from malignant bot.

      • KCI등재

        해외기업의 중국 수처리 BOT시장 참여 저해 위험요인 분석 : 국내 EPC 건설기업의 관점

        최재호(Choi Jae-ho),Li Shoushuang,이승호(Lee Seungho)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5D

        중국 수처리 시장의 지속적 성장세 가운데 국내 환경기업은 BOT 방식을 통한 환경산업의 중국진출이라는 측면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 시장은 2000년 이후 중국기업들의 급성장과 동시에 많은 해외기업이 후퇴한 결과 소수해외기업의 시장 독점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해외기업의 시장탈피 현상과 관련하여 해외기업의 중국 수처리 BOT시장 참여의사결정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주요 시장참여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국내건설기업의 관점에서 개별요인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정수익 금지조항 발효 및 낮은 물 사용료와 같은 수익 불확실성과 관련된 요인들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BOT사업에서 EPC업체 선정시 경쟁입찰의 의무화와 건설법인의 설립 의무화 등도 주요 영향변수로 조사되었다. 후자가 문제시 되는 원인은 현지의 대표적 다국적 전문 수처리 기업은 BOT사업 모델을 투자를 수반한 운영사업으로 인식하는 반면에 국내기업은 대다수 시장후퇴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해외 BOT 진출시 EPG사업 수주를 통한 조기 투자회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 정부는 본 연구결과물을 근거로 중국내 중장기 수처리시설 수요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장경쟁률 향상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국내기업은 중국내 수처리 BOT시장 진입시 주요 의사결정 판단기준과 사업 참여의사결정 시스템 개정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다. China water market has huge potential for increased use of BOT mode and one of the most attractive markets of doing business. However, the current China water BOT market shows that many foreign companies are retreating from the market while Chinese water companies fast growing. From the view no domestic companies have track records in China BOT water market, the research identified twenty market access barriers in terms of construction laws, regulations, BOT-related policy and the recent market situation. These are evaluated based on interview results with 10 professionals direct or indirect having a China water BOT experience. All the factors are found to be highly influential to foreign company's decision on the market participation. Among those, no fixed return policy and low water price, difficulty in water price adjustment and approval, and no government guarantees, all directly related to the project viability and under the control of government, were the most critical factors, implying government's role is the key in increasing the market competition by attracting more foreign participation on the market. In addition, new construction law regulating foreign EPC contractor's construction work, namely Decree 113, and requirement of applying competitive bidding in selecting EPC contractor in a BOT project are also considered signigicant barriers on foreign participation, which contradicts international norm and therefore necessitates an adjustment on current decision process in domestic companies.

      • KCI등재

        인공지능 컨택센터(AICC) 보이스봇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관한 연구

        김효정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6

        The popularity and adoption of voice bots have been driven almost entirely by their use in service contact center areas, as they can reduce wait times and interact with customers in real time. Voice bots thus enhance the online customer experience and improve customer service. This study examined the antecedent variables of satisfaction with and loyalty to voice bots. We employed a hierarchical service quality model based on an online survey of 310 voice bot users aged 20-40 who had experience dealing with a voice bot at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ntact center within the last year. SPSS 28.0 and Amos 23.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rvice environment qua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with the voice bot. Second, service outcome quality and service interaction quality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satisfaction with the voice bot. Third, trust in the voice bo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with the voice bot. Fourth, satisfaction with the voice bot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loyalty to the voice bot. These results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voice bot users at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ntact center environment and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voice bot services.

      • KCI등재

        DNS 싱크홀 적용을 통한 악성봇 피해방지 기법 및 효과

        김영백(Young Baek Kim),이동련(Dong-Ryun Lee),최중섭(Joongsup Choi),염흥열(Heung-Youl Youm)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1

        악성봇은 해커에 의해 원격 조정되어 명령에 의해 스팸메일 발송, DDoS 공격 등의 악성행위를 수행하는 웜/바이러스 이다. 악성봇은 이전의 웜/바이러스와 달리 금전적인 이득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감염사실을 피해자가 인지하기 쉽지 않아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는 해커의 명령을 전달하는 명령/제어 서버의 차단이 필요하다. 이 중 악성봇 DNS 싱크홀 기법이 국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봇 대응 시스템으로, 본 논문의 목적은 이 방식의 효과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1년 이상의 장기간 동안 악성봇 및 Botnet 을 관찰하여 Bot 감염 PC의 감염 지속시간, Bot 명령/제어 서버의 특성 등을 파악하고, 악성봇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인 악성봇 DNS 싱크홀의 적용 결과를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웜샘플 분석 툴을 이용하여 자동 분석체계를 구축하였고, 이를 시스템화 하였다. 또한, 분석을 통해 현재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봇 대응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Bot is a kind of worm/virus that is remotely controlled by a herder. Bot can be used to launch distributed denial-of-service(DDoS) attacks or send spam e-mails etc. Launching cyber attacks using malicious Bots is motivated by increased monetary gain which is not the objective of worm/viru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infected user to detect this infection of Botnet which becomes more serious problems. This is why botnet is a dangerous, malicious program. The Bot DNS Sinkhole is a domestic bot mitigation scheme which will be proved in this paper as one of an efficient ways to prevent malicious activities caused by bots and command/control servers. In this paper, we analysis botnet activities over more than one-year period, including Bot's lifetime, Bot command/control server's characterizing. And we analysis more efficient ways to prevent botnet activities. We have showed that DNS sinkhole scheme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Bot mitigation schemes.

      • KCI등재후보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BOT-2) 단축형을 사용한 학령전기 아동의 운동능력에 대한 연구

        홍기훈,김도연,강혜빈,박태영,윤은정,이지영,정혜림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6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4 No.1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as a pilot study on standardizing BOT-2 by using an assessment criteria linked to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BOTMP) short form for the children with preschool years(4-6 year old) in South Korea. Methods : A total of 81 children aged 4-6 in Busan and Gimha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evaluated by using BOT-2 SF. It provides the average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about the abilities of praxis along wit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nd has the verification of gender differences by using independent t-test and using ANOVA for discrepancies in the abilities of praxis.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ce difference in the total raw score between four and five (p=.000), the items on fine motor accuracy between five and six year olds (p=.014). Girls showed higher scores than boys in fine motor accuracy, fine motor integration and balance (p=.022, p=.006, p=.031). Also, mean raw scores of 4 and 5 year olds (p=.007, =.000), and the all age group's standard scores were higher than the age in American children who were the participants of BOT-2.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ed the average of each item with regard to the ability of motor praxis about the children of preschool ages and showed the dissimilarity in the ability of motor praxis between age and gender, also betwee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nd American children who were participants of BOT-2. The research could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to standardize BOT-2 SF for korean preschoolers. 목적 :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운동 적합성 검사(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BOT-2) 단축형을 사용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운동 능력을 제시하고, BOT-2의 표준화를 위한 선행 연구로서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부산과 김해의 만 4세∼6세 8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BOT-2 단축형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운동능력을평가하였다. 기술 통계분석을 사용하여 운동능력의 평균값, 표준편차를 제시하였고, 성별과 나이에 따른 운동능력의 차이는 독립 t 검정과 분산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만 4세와 5세간 원점수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 .000), 만 5세와 6세간의 미세운동 정확성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14). 미세운동정확성, 미세운동 통합, 균형 항목에서 여자의 평균이 높았다(p = .022, p = .006, p = .031). BOT-2 개발 대상 아동에 비해 4세와 5세 아동은 높은 원점수 평균을 나타내었고(p = .007, p = .000), 전 연령에서 높은 표준 점수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전 학령기 아동의 운동능력에 대한 각 항목의 평균을 제시하였고, 나이와 성별에 따른 운동능력의차이를 발견하였다. 학령전기 아동으로 연령이 제한되어 일반화의 한계가 있으나 BOT-2 단축형 학령전기 아동규준 데이터를 제공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An Implementation of CRMBot as a Tool for a Market Share

        Jung-min Choi(최정민),Ki-duk Kwon(권기덕),Byoung-soo Lee(이병수) 한국정보기술학회 2008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6 No.5

        Most of ERP and CRM have focused on traditional functions. However, there have been revolutionary market changes based on the rapid developments of e-Commerce, e-Business and the Internet, and the competitiveness of a company is actively strengthened through improving customer or partner relationships and the business processes of companies during projecting e-Business. CRM is a kind of marketing process to form, maintain and strengthen mutual interests between companies and customers to keep present customers and to elevate the values of customers to companies. Because this goal is achiev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various and numerous customers, it needs customer information systems, and is related to management categories such as manufacturing, distribution, marketing, and business decisions. In Multi-Bot systems, Bots are ‘computer programs operating cooperatively in distributed environments.’ A feature of Multi-Bots is sharing capacities and information among several Bots, and their functions are easily extensible. Multi-Bots have a problem in discussing and cooperating with each other in complex operational environments. Consequently, the Bot system of this paper is based on BDI architecture. Bots do the most basic moving, talking and working technologies. The moving from a grid model to a cell was regarded as the movement of a Bot. The position includ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Bot. To find the shortest distance, A* algorism was used. FIPA suggested ACL (Agent Communication Language) based on Communicative Act Theory. This research focused on research results, and literature, due to the special feature of this research. Therefore, there are some suggestions. Integrating the functions of ANS to DF, can reduce message exchanges due to simplified processes, and makes it possible for application Bots to communicate efficiently. The ‘request message’ forms, sent to the two mediating Bots, DF and AMS, are defined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do practical research about ERP packages and e-Business related functions. Secondly, the present status of e-Business related network security, payment systems and web-based sales, etc. shall be investigated. Thirdly, practical researches to verify thi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by more excellent resear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