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장애인 임금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최희철,김영미,김혜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in paid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specific aims of this study were fourfold: First,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 stability coefficients of job satisfac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 stability coefficients of life satisfaction.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lagged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Fourth,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lagged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in the future. Method: The data of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came from the 1st to 4th waves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PESD). The longitudinal stability coefficients of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re shown in the following. First, the previous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ubsequent job satisfaction. Second, the previous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ubsequent life satisfaction. Third, all cross-lagged effects of previous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were significant in the positive. Fourth, all cross-lagged effects of previous life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in the future were significant in the positiv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s reciprocal.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4가지였다. 첫째, 본 연구는 직무만족의 종단적 안정성 계수를 알아보았다. 둘째, 본 연구는 삶의 만족의 종단적 안정성 계수를 알아보았다. 셋째, 본 연구는 직무만족이 장래 삶의 만족에 미치는 교차지연 효과를 알아보았다. 넷째, 본 연구는 삶의 만족이 장래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대한 자료는 한국장애인 고용패널 2차웨이브 조사(PESD)의 1차년도에서 4차년도 자료에서 추출되었다.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두 변인의 종단적 안정성 계수와 교차지연 효과는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구조방정식 모형 즉,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구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하는 직무만족은 후행하는 직무만족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선행하는 삶의 만족은 후행하는 삶의 만족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선행하는 직무만족이 후행하는 삶의 만족에 대해 미치는 모든 교차지연 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선행하는 삶의 만족이 후행하는 직무만족에 대해 미치는 모든 교차지연 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가 일방향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순환적 관계에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아동의 스트레스와 공격성 간 종단관계 연구 -Cross-lagged Autoregressive Model의 적용-

        이주리 한국아동권리학회 2010 아동과 권리 Vol.14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aggression in children using data from a 5-year(2004, 2005, 2006, 2007, 2008). The participants were 2844 children (1524 boys, 1320 girls) taken from the KYPS 2004(4th grader)- 2008 (8th grader). Cross-lagged autoregressive analyses indicated that:(1) While stress in 4th grader influenced aggression in 5th grader, aggression in 6th grader influenced stress in 7th grader. (2) Stress and aggression reciprocally influenced in 5th grader-6th grader, and 7th grader-8th grader 본 연구에서는 5년 종단 자료를 사용하여 아동의 스트레스와 공격성 간의 인과관계 방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총 2844명(남학생 1524명, 여학생 1320명)으로 2004년도에 초등학교 4학년생들이었으며, 2008년에는 중학교 2학년이 되었다. 아동의 스트레스와 공격성간의 종단 자료를 Cross-lagged autoregressive modeling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의 스트레스가 5학년의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반면 초등학교 6학년 공격성이 중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중학교 1학년과 2학년에서는 공격성과 스트레스가 상호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5년 종단 자료를 사용하여 아동의 스트레스와 공격성 간의 인과관계 방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총 2844명(남학생 1524명, 여학생 1320명)으로 2004년도에 초등학교 4학년생들이었으며, 2008년에는 중학교 2학년이 되었다. 아동의 스트레스와 공격성간의 종단 자료를 Cross-lagged autoregressive modeling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의 스트레스가 5학년의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반면 초등학교 6학년 공격성이 중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중학교 1학년과 2학년에서는 공격성과 스트레스가 상호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청소년 비행과 일탈적 자아개념의 상호적 인과관계: 잠재 상태-특성 자기회귀 모델을 통한 재검증

        이은주,정익중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ttain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reciprocal effects of deviant self- concept and delinquent behaviors by applying a latent state-trait autoregressive modeling approach. Although traditional autoregressive cross-lagged (ARCL) modeling has been widely applied to test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structs, it could produce misspecified findings if there were trait-like processes involved in this relationship. The latent state-trait autoregressive(LST-AR) modeling was applied to control trait effects of deviant self-concept and to examine the reciprocal causal relations between the two constructs. Data were taken from a sample of 3,449 eighth graders who were followed annually for 5 years from the Korea Youth Panel Study. The combining LST-AR model with ARCL model substantiated the reciprocal effects of deviant self-concept and delinquent behaviors, even after the stable trait component of deviant self-concept was taken into account. The present findings shed lights on the reciprocal effects of behaviors (i.e., delinquency) and self‒concepts (i.e., deviant self-concept). Not only did behaviors change corresponding self-concept, but the ways adolescents perceived themselves influenced their behaviors.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델 (ARCL: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통해 검증된 청소년 비행과 일탈적 자아개념의 상호적 인과관계(이은주, 정익중, 2009)를 잠재 상태-특성 자기회귀 모델 (LST-AR: latent state-trait autoregressive model)의 적용을 통해 재검증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상호적 인과관계의 검증을 위해 ARCL 모델이 적용되지만, 일탈적 자아개념이 갖고 있는 특성적 요인의 변량을 통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행과의 상호적 영향을 분석하게 되면 비행이 일탈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해석이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LST-AR 모델을 통해 일탈적 자아개념의 안정적 특성 및 변동적 상태를 구분하고, 특성적 요인을 통제한 후 상태적 일탈자아와 비행의 상호적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에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중2에서 고3까지 5년 종단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일탈적 자아개념과 비행의 상호적 인과관계가 재검증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탈적 자아개념의 안정적 특성 및 변동적 상태 요인에 따라 비행과의 상호적 인과관계가 다를 수 있음도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상호적 인과관계의 연구에서 안정적 특성과 변동적 상태 요인의 구분에 대한 방법론적 의미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한국여자골프선수의 기술 요인과 경기력 요인 간의 인과성 검증

        이준우(Lee, Jun-Woo),최영철(Choi, Young-Chyul),정희정(Jung, Tchae-Won) 한국체육과학회 2015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4 No.6

        This research established Korean female golfers’ causality between the technical factor and the athletic performance factor by apply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o do this, based on the data related to the athletic performance index for three years of 99 Korean female major tournament golfers, th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the autoregressive effects and the technical factor and the athletic performance factor according to the lapse of time were analyzed using AMOS 18.0 and SPSS 18.0,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Korean female golfers’ technical factor and athletic performance factor were found to be stable as time passes, so autoregressive effects existed. However,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ical factor and the athletic performance factor, it was found that the cross-lagged effects did not exist. Accordingly, Korean female golfers’ technical factor and athletic performance factor have mutually independent relationships every year, so the importance of diverse training-based self-control should be emphasized. Particularly, changes in the players’ level of athletic performance are affected by the other realms rather than the technical aspect, so the conclusion that the coaches and the players need to tak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was obtained.

      • KCI등재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초기 청소년의 학교유대감과 우울의 종단관계 검증

        정현희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2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onnectedness and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156 students from K elementary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initially in the 5th grade, were surveyed on school connectedness and depression at 3 different time points(1 year apart). Autoregressive cross-lagged analysis revealed that early adolescents' prior school connectedness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depression level one year later, while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ediction was not significant.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cross-lagged relationship between early adolescents' school connectedness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onnectedness and depression is unidirectional in both boys and girls.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전환기에 놓여있는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학교유대감과 우울의 인과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D광역시에 소재한 K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1년 간격으로 3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차~3차년도 설문조사에 모두 참여한 15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학교유대감은 이후 시점의 우울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우울이 이후 시점의 학교유대감에 미치는 역방향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학교유대감과 우울의 종단관계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학교유대감과 우울의 종단관계가 성별에 관계없이 학교유대감이 우울에 선행하는 일방향적 관계를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초기 우울의 예방과 개입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개방과 부모인지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최정아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knowledge and adolescent disclosure of early adolescent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here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across time in ways that prior parental knowledge leads to subsequent parental knowledge and adolescent disclosure, and vice versa. In addition, the potential moderating effect of adolescent gender in the relations among constructs using multigroup analysis. The data of 2,844 adolescents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of 4th graders who were followed for 5 year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uggested that both prior parental knowledge and adolescent disclosure had significant effects on subsequent parental knowledge and adolescent disclosure respectively. Although prior parental knowledge didn't affect subsequent adolescent disclosure, prior adolescent disclosure affected subsequent parental knowledge. In addition,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among constructs. These results imply that improving adolescent disclosure is required to reinforce parental knowledge. 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기의 부모인지와 자기개방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밝히고자 이 두 변인들에 대한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구성하고 한국청소년패널(KYPS) 초등학교 4학년 1~5차년도 데이터에 대하여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 초기 청소년기의 이전 시점의 부모인지와 자기개방은 이후 시점의 부모인지 및 자기개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안정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전 시점의 부모인지는 이후 시점의 자기개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이전 시점의 자기개방은 이후 시점의 부모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연구모형의 경로에서의 유의한 성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초기 청소년기의 부모인지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서 청소년 자기개방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함의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

        일 자유의지와 일의 의미의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종단관계

        김나래,이기학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5

        The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olition and meaning of work through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longitudinal data which estimated 208 workers (in two-month intervals for three times) were analyzed.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that measuring work volition and meaning of work.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ork volition and meaningful work of workers are consistent and autoregressive variables, as time passes. Second, As time went by, work volition of the previous period predicted next period’s meaning of work at significant level. In other words, it was appeared that work volition of the first period affects the meaning of work in the second period, and the work volition of the second period affects the meaning of work in the third period. On the other hand, since meaning of work did not predict work vol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has been found to be unidirectional. These were not reciprocal as only work volition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meaningful work over time.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본 연구에서는 일 자유의지와 일의 의미의 종단적 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 lagged model)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개월 간격으로 3차례 측정한 국내 직장인 208명(남 103명, 여 105명)의 종단 자료가 연구분석에 활용되었다. 설문은 일 자유의지 그리고 일의 의미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의 일 자유의지와 일에서의 의미 경험은 시간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앞선 시기의 일 자유의지는 다음 시기의 일의 의미를 유의한 수준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차 시기의 일 자유의지는 2차 시기의 일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며, 2차 시기의 일 자유의지가 3차 시기의 일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의 의미는 일 자유의지를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두 변인 간 관계가 일방향성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비롯한 추후 연구를 위한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상담 초기 작업동맹과 상담성과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윤정숙,유성경,홍세희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상담초기 작업동맹과 상담성과 사이의 종단적 상호영향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담을 받고 있는 내담자 35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종단자료 중 초기 3회기의 작업동맹과 내담자 증상수준으로 측정된 상담성과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의 회기의 변화에 따른 변화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작업동맹과 상담성과 간 관계에서 1회기의 작업동맹이 2회기의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2회기 상담성과가 3회기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작업동맹과 상담성과 상호영향력에 대한 논의와 추후 연구에 대한 과제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alliance and outcome. Autoregressive Cross- lagged Model (ARCL) was performed to test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structs. Results show that, first, result of the stability coefficient, reflecting the autoregressive coefficients of each variable, show that working alliance and outcome were significantly stable over time. Second, result of the cross-lagged coefficient, reflecting the cross-lagged causal effect of working alliance on outcome, show that working alliance (W1)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utcome (O2) and the outcome (O2)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orking alliance (W3).

      • KCI등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한 아동의 행복감과 수면시간 간의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검증

        최경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Verification of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Children’s Happiness and Sleep Time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Kyungil Choi Abstract: To prepare measures to improve happiness by having sufficient sleep time of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among happiness and sleep time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is study used Wave 8, 9 and 10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d participants were 1,362 children who answered all questions during three waves. To perform these analysis SPSS 21.0 and AMOS 18.0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vious happiness and sleep time had significant effect on subsequent happiness and sleep time respectively. Second, although the previous happiness had an impact on the subsequent sleep time, there were not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sleep time. Based on results,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were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happiness that helps children get enough sleep time. Key Words: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Children, Happiness, Sleep Tim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한 아동의 행복감과 수면시간 간의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검증최 경 일* 요약: 아동이 충분한 수면시간을 가짐으로써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여 아동의 행복감과 수면시간 간의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자료 중 8, 9, 10차년도 설문에 모두 참여한 1,362명의 자료를 SPSS 21.0과 AMOS 18.0을 활용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행복감과 수면시간은 이후 시점의 행복감과 수면시간에 각각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행복감이 이후 시점의 수면시간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상호 간에 종단적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이 충분한 수면을 이루는데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서 행복감 증진을 위한 방법을 부모관계와 학교생활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핵심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아동, 행복감, 수면시간,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 접수일: 2022년 3월 3일, 수정일: 2022년 3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Professor, Halla Univ., Email: kichoi@halla.ac.kr)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건강지각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가 신체능력지각과 신체활동 참여수준에 미치는 영향

        서은철,김태형 한국특수체육학회 202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2 No.1

        이 연구는 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건강지각 사이의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가 신체능력지각과 신체활동 참여수준을 설명하는지를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자료 및 표본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 5, 7, 8차연도 자료를 이용하였고, 지체장애인 2,050명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하였고, 분석 프로그램은 Amos 23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아존중감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적이지만, 건강지각은 시점의 변화에 따라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건강지각은 상호 쌍방관계를 형성하였고, 이때의 교차지연 효과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동일하였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건강지각은 이후 시점의 신체능력지각을 정적으로 설명하였고, 이때 영향력의 효과는 동일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건강지각은 이후 시점의 신체활동 참여수준을 정적으로 설명하였고, 경로의 효과 역시 동일하였다. 넷째, 신체능력지각은 동일 시점의 신체활동 참여수준을 정적으로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health perception of disabled people explains their perception of physical ability and level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Data and samples used were data from the 5th, 7th, and 8th years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responses of 2,050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method was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nd Amos 23 was used as the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elf-esteem was stable over time, but health perception had a greater effect depending on the change in time. Second, self-esteem and health percep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ach other, and the cross-lagged effect was the same over time. Third, self-esteem and health perception statically explained the perception of physical ability at a later point in time, and the effect of influence at this time was the same. In addition, self-esteem and health perception statically explained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t a later point in time, and the path effect was also the same. Fourth, perception of physical ability statically explained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