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산업 클러스터와 항만도시재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부산 북항을 중심으로 -

        리윈장,양명인,전수아,어영호,최태영 한국항만경제학회 2022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8 No.1

        한국은 아시아의 대표적인 선진국로서 대외무역항로와 해양경제가 내륙국가에 비하여 절대적인 우위를 가진다. 사회 변화에 따라 원래의 항만지역은 다양한 원인으로, 일부 병폐가 점차 사람들의 사야를드러내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과 손상을 받는 것은 항만지역 해양산업 클러스터의 경제이율과 미래 발전 공간이다. 본 연구는 해양산업 클러스터와 항만도시재생 사이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정량분석 각도에서 재생디자인을 분석해 나가며 항만도시재생을 통하여 해양산업 클러스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필요성 및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세계적으로 잘 된항만도시 사례 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지 부산 북항의 현황을 맞춰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시 해양산업 클러스터와 항만도시재생의 데이터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사례조사와 실증분석의 결과를 보면 해양산업 클러스터와 항만도시재생 간 실제로 향상시키고 상호작용한 관계이다. 연구를 통해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을 디자인적, 환경적, 경제적 차원에서 추진하고 지역 발전의 우세를 찾을 동시에 부산지역 해양도시로서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느 나라나 항만도시든지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발전은 해양산업 클러스터의활성화를 촉진할 수밖에 없으며, 마찬가지로 항만지역이 어느 정도 발전하면 자연히 물리적 여건상 낙후되어 지역발전에 장애가 생기게 되는데, 항구도시의 재생을 통해 이 문제를 간단명료하게 해결할 수있다.

      •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항만도시재생 활성화 방안 연구

        김윤희,서종국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9

        국내 항만도시들은 개항과 더불어 국가산업을 이끌면서 급속히 발전해왔지만 해운환경의 변화로 도시 쇠퇴화가 진행되면 서 최근 항만도시재생 사업을 추진중에 있으나 다양한 문제점들이 도출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해외에서 추진된 항만도시재생의 사례를 분석하여 성공요인을 도출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여건에 적합한 항만도시재생 활성화 정책을 제 안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기반 항만 도시재생 사례 연구

        황재희,강창우,김예림 국토연구원 2023 국토연구 Vol.118 No.-

        본 연구는 항만도시의 기능·공간 전환 과정을 이론적으로 재구성하고, 문화공간 조성을 통한 항만 도시재생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항만과 도시 성장의관계와 도시디자인 이론을 연계하여 문화기반 도시재생의 등장 배경을 고찰한다. 지역자산과 도시재생, 수변재생 요인을 종합하여 분석체계를 정립하고, 벤쿠버 그랜빌 아일랜드와 함부르크 하펜시티 사례를분석한다. 분석 결과, 이들 도시는 쇠퇴한 항만 배후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오픈스페이스로 전환함으로써항만 수변공간을 문화자본을 생산․소비하는 공공장소로 활용하고 있다. 그랜빌 아일랜드는 공업용 배후부지를 시민의 접근성이 높은 문화·엔터테인먼트의허브로 재생했다. 하펜시티는 항만 일대의 낙후된 부두·창고 지역을 수변 문화기반의 고밀도 복합도시로변모시켰다. 이러한 연구는 항만 배후단지의 위계적구조와 워터프론트 개발 등을 다룬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지니며, 도시디자인과 문화자본을 연계한 항만도시의 공간적 전환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s cases of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as applied to the functional and spatial transitions of port cities. It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rts and urban growth, and connects urban design theories together to investigate the emergence of culture-based urban regeneration. It establishes an analytical framework by synthesizing prior research on local assets, urban regeneration, and waterfront redevelopment. As a case study, the waterfront renewal projects of Granville Island in Vancouver and HafenCity in Hamburg are analyzed based on port city attributes and urban design perspectiv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se port city regeneration projects converted restricted port spaces into open public spaces. Waterfront regeneration of port cities focused on the spatial transition into public space, thereby sharing and consuming the intangible cultural values surrounding the waterfront. It differs from the traditional use of port areas, which was production-based — mainly concerning physical production and the economy — and closed to civilian access. Both cities have improved accessibility to their declining post-industrial port areas, transforming them into public spaces that produce and consume cultural capital. Granville Island successfully revitalized its industrial hinterland into a hub of culture and entertainment with high accessibility for citizens. HafenCity transformed the dilapidated dock and warehouse areas of the port into a high-density mixed-use area with waterfront cultural resources. This research presents a distinctive approach from existing studies that focus on hierarchical structures and waterfront developments in port hinterlands, offering valuable insight

      • KCI우수등재

        항만배후지역의 거주성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 시나리오 도출 - 부산광역시 동구와 남구를 대상으로 -

        황선아,김종구,신은호 대한토목학회 201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7 No.6

        The harbor back area is not a planned space, but rather a space created by harbor space development. For this reason, the residentialenvironment in the area behind the port has been very poor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Recently, the redevelopment has been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of the port space.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port space is limited to the port space, and there is still little preparation for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port area. In this study, the degree of decline of the port area was diagnosed and analyzed for the purpose of deriving urban regeneration scenarios to improve the residentialenvironment of port - backed areas. The urban regeneration factor to improve the livability of the port - backed area, which has been declining since then, was derived, and the scenarios in which each factor was applied were constructed. 항만 배후지역은 역사적으로 계획된 공간이기 보다는 항만공간 개발에 의해 밀려나듯이 만들어진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항만배후지역의 거주환경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매우 열악한 실정이며, 최근 항만공간의 기능 변화에 따라 재개발 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 항만공간 개발은 항만공간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여전히 항만 배후지역의 거주환경 개선에 대한 대비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항만배후지역의 거주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재생 시나리오 도출을 위하여 항만 배후지역의 쇠퇴정도를 진단, 분석하였다. 이후 쇠퇴화가 진행되고 있는 항만 배후지역의 거주성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 요소를 도출하고, 각 요소가 적용된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 KCI등재

        연안경관 개선을 위한 항만재생 방안 - 부산항의 항만기능 재편을 중심으로 -

        배경완 ( Bae Kyungwan ),하경준 ( Ha Gyoung-jun ),박형준 ( Park Hyung-jun ),정주철 ( Jung Ju-chul ) 한국경관학회 2017 한국경관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부산항의 노후한 항만기능 및 경관을 복원하고 항만과 배후지역 간 갈등 해결을 통한 조화로운 미항 조성을 위한 단기(항만기능 재편) 및 장기적인(미항 기본구상)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부산항의 배후지역은 항만과 함께 발전하여 그와 관련된 산업과 항만을 이용하는 선박, 선박과 관련된 산업시설이 주거지와 공존하고 있다. 그러나 항만시설 노후화 및 관련시설의 부정적 영향이 도시민들의 민원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항만 공간에 대한 새로운 가치창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미항조성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항으로서 중요한 요인인 경관을 중심으로 배후지와 항만이 조화롭게 공존하기 위한 기능재편 방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부산항의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미항 조성에 있어서 부정적인 시설의 현황 및 주변지역과의 갈등문제를 파악하였다. 둘째, 경관개선을 위한 항만기능의 공간 재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조사(인터뷰, 설문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셋째, 부산항이 겪고 있는 문제를 비슷하게 경험한 해외 항만재생 사례(문헌고찰, 현지답사, 인터뷰)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부산항을 미항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예부선 및 선박수리 시설에 대한 관리 및 이전이 선행되어야 하며, 장기적 비전과 계획수립을 통해 이전 부지 및 이전 이후 유휴지에 대한 단계적인 개발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old port functions and landscapes of Busan Port and to find a harmonious port of harbors through resolving conflicts between ports and hinterland. The hinterland of Busan Port is developed along with the harbor, and industrial facilities related to ships and vessels coexist with the residence. However, the deterioration of port facilities and the negative impacts of related facilities have led to the complaints of urban residents, and the increase in demand for new value creation in the port space has led to interest and necessity for beautiful port.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ways to coexist harmoniously with the port and hinterland focusing on the landscap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ort.

      • 항만도시재생의 특성과 활성화 방안

        전소라,정봉현 한국지역개발학회 2018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6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선도사업, 도시재생뉴딜 시범사업, 항만재개발사업의 대상지로 선정된 목포시 원도심의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바탕으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포시 원도심은 일제강점기 전국에서 4번째로 조성된 목포항의 발달과 함께 배후지역으로써 크게 성장하였으나, 식민지 산업구조의 붕괴, 산업기반 형성 실패, 육로수송체계 확대, 외곽지역 집중 개발 등으로 쇠퇴일로를 걷고 있다. 현재 원도심을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이해관계자간 소통 단절로 인한 갈등 심화, 사업을 이끌 전문인력의 부족, 사업의 차별성 확보 실패, 항만가치 및 특성결여, 하드웨어 집중 개발 등으로 장기적인 발전에 한계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협력 · 협업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제고하고, 둘째, 공동체적인 학습으로 사회통합을 구현해야 한다. 셋째, 장소성을 기반으로 차별성을 획득하고, 지역적 여건에 맞는 사업추진이 요구된다. 넷째, 항만공간에 지역자산과 아이디어를 결합해 새로운 기능을 부여해야 하며, 다섯째, 지속가능한 성장시스템 조장을 원칙으로 단기이익과 무관하게 실현되어야 한다. 여섯째, 기존 실패사업에 대한 분석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사전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쇠퇴항만 재생사업 분석을 통한 수변공간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이양우,곽희종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5 No.2

        본 연구는 항만도시의 노후화된 수변공간을 경쟁력 있는 도시환경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통영(봉 평지구)의 도시재생사업과 부산(북항)의 항만재개발사업의 계획을 분석하여 수변공간의 계획특 징을 파악하고 경쟁력 제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사례연구를 통해 활성화 방안에 대한 분석의 틀과 시사점을 도출한 다음, 도시재생과 항만재개발 사업계획을 비교분석하여 수변공간계획의 특성과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째, ‘접근성’ 향상방안이다. 배후지역과의 일체적 활성화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가로 및 수로 정비가 필요하며, 수변지역으로의 접근성 보완은 방파제 활용으로도 가능하다. 수상교통을 활용한 마리나 도입도 광역적 접근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정체성’ 확립방안이다. 항만의 입지적 특성을 살려 자연환경과 기능을 상실한 산업공간을 활용한 문화공간 재생은 가장 경쟁력 있는 기능공간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화공간이 지역특성 및 역사적 자산과 연계되면 도시 정체성이 한층 강화 된다. 셋째 ‘상징성’ 강화방안이다. 랜드마크가 기존의 지역자산과 결부되는 경우 정체성이 한층 강화된다. 기존 자원을 활용하여 상징성을 강화하기에 한계가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랜드마크 조성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Tongyeong (Bongpyeong district) and the port redevelopment project in Busan (North Por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front space and seek ways to enhance competitiveness. The research method derived the framework and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of the revitalization plan through the case study, and then presented improvement methods for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waterfront space plan in the port regeneration project in Korea.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measure to improve 'accessibility'. In order to enhance integrated activation with the background area, street and waterway maintenance is necessary, and supplementation of accessibility to the waterfront area can also be made by using breakwaters. Secondly, it is a way of establishing 'identity'. Based 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ort with a good natural environment, cultural space regeneration using industrial space that has lost its function is becoming the most competitive functional space in the city. When these cultural spaces are link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assets, urban identity is further strengthened. Third, it is a measure to strengthen 'symbolism'. If landmarks are linked to existing local assets, their identity will be further strengthened. If there is a limit to strengthening symbolism by utilizing existing resources,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 new landmark.

      • KCI우수등재

        항만도시재생 기록화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권도균,장우권 한국문헌정보학회 202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사업의 시대적 배경에 맞춰, 도시 중에서 항만도시를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을 효과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기록화 요소를 개발하는데 있다. 기록화 요소를 개발하기 위해 도시재생법, 항만관련법, 도시재생 관련 연구 등에서 지리적 정보, 산업정보, 법적 행정적 변화 등 8개 분야에서 기록화 해야 할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시재생과 관련된 전문가 20여명을 대상으로 도시재생법, 항만관련법, 관련 연구 등에서 도출한 요소에 대한 의견을 묻는 델파이(Delphi)조사를 3회에 걸쳐 실시하고 32개의 최종요소를 도출하였다. 선정된 각 영역별 기록화 요소는 지리적 정보(6), 비물질적 정보(4), 환경정비(5), 산업․경제적 1․2차 산업(2), 산업․경제적 3차 산업(3), 변화사항(6), 구성원 참여(4), 지역내 법․행정적 체계(2) 등이다. 또한 항만도시재생 기록화 요소를 지방자치단체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게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ocumentation elements that can effectively recor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ing on port cities, in line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order to develop recording elements, elements that need to be recorded were derived from eight fields, including geographical information, industrial information, and legal and administrative changes, from the Urban Regeneration Act, Port-related Act, and Urban Regeneration-related research.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targeting 20 expert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to gather their opinions on elements derived from the Urban Regeneration Act, Port-related Act, and related research, and 32 final elements were derived. The recording elements for each selected area are geographical information(6), immaterial information(4), environmental maintenance(5), industrial and economic primary and secondary industries(2), and industrial and economic tertiary industries(3), changes(6), member participation(4), local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s(2).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documentation elements to local government records management experts was verified.

      • KCI등재

        항만 배후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 항만재개발사업과 배후도시재생 관련법을 중심으로

        정재훈(Jung, Jae-Hun),김민재(Kim, Min-Jae) 도시정책학회 2021 도시부동산연구 Vol.12 No.2

        Ports are very important in Korea s topography. However, the decline of ports and hinterland is emerging as a big problem due to socio-economic changes.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raised from two aspects. First, it is to closely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current issues of the port redevelopment project. Second, it examines the institutional necessity of urban regeneration, which is behind the decline along with ports. In this study, three strategies were presented against the background of successful port re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irst, the introduction of a comprehensive project management system that oversees the port redevelopment project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 from behind. Second, 4 specific ways to link the background area were presented. Finally, we present indicators and methodologies for estimating project performance.

      • KCI등재

        선진국 항만재개발과 도시재생사업의 경험과 정책적 시사점

        진영환 한국지역학회 2015 지역연구 Vol.31 No.1

        This paper examines port re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f foreign advanced countries and investigates policy implications to apply to Korean port cities. Busan and Incheon have started to redevelop old port facilities located near old city centers and they have been faced several problems. Significant findings are found from the experiences of Inner Harbor in Baltimore, Darling Harbor in Sydney, Hafencity in Hamburg, Eastern Dockland in Amsterdam and Minatomirai 21 in Yokohama etc. At first, port and city have to be integrated to an unique regeneration project in order to solve the spatially disconnected problems originated from separate development in the initial stage. Preservation of historical regional assets is highly recommended to characterize its own value which is emphasized in the age of post modernism. Accurate and consistent design guidelines of port cities are stressed to build high standard cities. In the perspective of investigating a new business model, anchor facilities and place marketing strategies are introduced to induce more people to the place specially in the beginning stage. In addition, creative financing methods and competent implementing bodies are emphasized to running the projects stably regardless of real estate market status.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산업화시대에 조성되었던 항만들이 노후화되면서 1970년대부터 항만재개발과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들어서서 부산북항 재개발사업을 시작으로 인천내항의 시민개방과 함께 재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사업은 항만과 도시의 재개발이 통합적으로 추진되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역사성과 장소성의 훼손, 부동산시장 의존형 사업구조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유럽, 미국 등의 성공적인 항만도시 재생사업을 살펴본 결과,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항만과 배후도시를 하나의 패캐지로 한 통합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항만도시 특유의 역사적 지역자산을 최대한 보전, 활용하고 정교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서 수준 높은 수변도시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안정적인 사업의 추진을 위해서 앵커시설의 유치, 장소 판촉, 재원조달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 도입 등이 정책적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