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임숙경,조용하 한국성인교육학회 200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여성성인학습자의 참여성과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고, 여성성인학습자의 학습자 특성, 참여하고 있는 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수준, 학습참여도가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학습자의 참여동기수준 및 학습참여도가 학습자 특성과 교육기관특성을 어떻게 매개하여 참여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밝힘으로써 참여성과와 관련된 영향요인들을 구조분석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첫째,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여성성인학습자들의 참여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으로 학습자특성, 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수준, 학습참여도 모두 중요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성과를 설명하는 변인의 총효과는 교육기관특성, 참여동기수준, 학습참여도, 학습자특성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phased effects and outcomes of the female adult learn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and to explore the propos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ive latent variables. The statistical method of this study was employed the SPSS 14.0 program for windows and AMOS 6.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results of model fitness showed that the hypothetical model generally fit into empirical data. To confirm the validity, the hypothetical model was compared a degree of fitness the competing model of a complete mediation model. Second, four predictor variables contribute to explain the learning outcomes perceived by female adult learners in lifelong learning. Third, a series of path analyses revealed that institutional factors, motivational levels of participants, the extent of learning participation, learner's characteristics had the significant effects on participation outcomes of female adult learners.

      • KCI등재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A Study on Effective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s

        김규동,고유정,최고은,박인우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1

        본 논문은 교수자의 적극적인 역할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을 의미하는 교수실재감을 투입 요 인으로, 학습자의 학습 참여도와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을 과정 요인으로, 학업 성취 도를 결과 요인으로 하는 구조적 관계를 밝힘과 동시에 설정된 모형의 적합성 여부를 검증 하여 보다 설명력 높은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서울 시내에 위치 한 S사이버대학교 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구조적 관 계 분석을 위해 여러 가지 적합도 지수를 제공하는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 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실재감은 학습자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교 수실재감이 높을수록 학습자참여도 활발하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자참여는 학 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교수-학습 활동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는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있었다. 셋째, 교수실재감은 학습자-교수 자 간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교수실재감은 학습자참여를 매개로 하여 학습자- 교수자 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 째,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높은 수 준의 상호작용은 학업성취도를 높여 학습자의 성공적인 학습에 기여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 보다 나은 모형을 구성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advent of e-learing utilizing the digital media and the interne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E-learning can be conceptualized as a teaching-learning activity based mainly on the network and the internet environment. However, e-learning is creating limited educational effects compare with its potential capability. This is because e-learning which should be a two-way communication is being provided as a one-way and instructor-oriented communication. Fundamentally, self-dirrected learning should be located at the core of e-learning setting and interaction is an important aspect which facilitates self-directed learning. In order to enhance this interaction, two elements should be combined - the instructor's active role to lead teaching-learning activity and the learner's open attitude to participate voluntarily in teaching-learning activit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opose more explainable model by verifying fit index.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208 students of S Cyber University in Seoul where all classes were offered by e-learning. Questionnairs were made to answer for only one class and students were supposed to respond to the survey by selecting one out of several classes they have take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09. Amos 7.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re were a few fit index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mos 7.0 program output. It was found that teaching pres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perceived interaction in e-learning environment. Also, teaching presence influences positively on learners' perceived interaction through learner participation as a mediator. Moreover, this learners' perceived participation affect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a positive way. Therefore,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instructor which requires teaching presence and learner participation should be guaranteed in order to have a high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교사 · 학습자 간 상호작용 매개 효과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참여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관관,조천미,이미향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2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실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참여도를 향상시키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학습 태도와 학습 참여 간의 상관을 알아보고,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학습 참여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고에서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일반적 요인에 따른 학습 태도, 교사와 학습자 상호작용, 학습 참여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 연령, 학습 기간, TOPIK 등급에 따른 교사와 학습자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국인 학습자의 TOPIK 등급, 학습 태도가 학습 참여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특히 학습 태도가 학습 참여에 정(+)적인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학습자의 학습 태도, 교사와 학습자 상호작용 및 학습 참여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교사와 중국인 학습자의 상호작용 매개 효과를 PROCESS를 통해 분석한 결과, 교사와 학습자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태도가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쳐, 매개 효과가 43.77%, 직접 효과가 56.23%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교사와 학습자 상호작용의 매개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므로 교실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한국어 교실에서 상호작용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 평생학습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효영 한국성인교육학회 201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2 No.1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circles. As the influencing factors, person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social factor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learner competence factors were set and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basic data and implications that can activate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 lifelong learning circles. For this purpose, 1,302 adult learners of 61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Learner participation group is higher than non - participation group in terms of learner type, duration of lifelong learning, perception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academic and social interaction with instructor and learner, community participation and learner competence. First, the personal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the first lifelong learning circle are the type of adult learners and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Second, the environmental factors are the existence of lifelong learning cities, the characteristics of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number of teachers and lecturers, and the number of classrooms. Third, social factors are social relations among learner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learner competence. Community involvement and learner competency factors are community involvement, self - directed learning, problem - solving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 proposed a plan to exp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circles. In other words, it is the continu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and improvement of learning environment, development of self-resilience and capacity of community residents, and practice of result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circle. These include ways to positively impact the lifelong learning of the community and the lives of learn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and activation of lifelong learning circles in the community. 본 연구는 평생학습 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영향요인으로서 개인요인, 환경요인, 사회적요인, 지역사회참여와 학습자 역량 요인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 목적은 지역사회 평생학습동아리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61개의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 1,302명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logistic regression)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 유형, 평생학습 참여기간, 평생교육 정책 인지 정도, 평생교육기관 경영특성,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 학문적․사회적 상호작용, 지역사회참여와 학습자 역량 면에서 평생학습동아리 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요인별로 정리하면, 첫째 평생학습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은 성인학습자의 유형, 평생학습 참여기간이다. 둘째 환경 요인은 평생학습도시 여부, 평생교육기관 경영특성, 교육기관 교․강사 수, 강의실 수이다. 셋째 사회적 요인은 학습자 간 사회적 관계, 지역사회참여와 학습자 역량이다. 지역사회참여와 학습자 역량 요인은 지역사회 친목조직 참여,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동아리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즉 학습 참여 지속과 학습 환경의 제고, 지역사회 주민의 자생력 및 역량 개발, 학습동아리 참여의 결과의 실천 등으로서 지역사회 평생학습과 학습자 개인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안 등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평생학습동아리 참여 및 활성화뿐만 아니라 평생학습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학습자 자율성 향상 건축 전공 수업 모델 연구

        정성희(Cheong Sung Hui),김주연(Kim Ju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는 공과대학 실내건축학 전공 재료학 수업에서 학습자 특징 및 교과목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한 ‘학습자 자율성 향상을 위한 실내건축학 전공 수업 모델’(이하 자율성 향상 모델) 적용 후 (1) 학습자 참여형 자율성 향상 모델 구성 요소(이하 자율성 향상 모델 구성요소), 학습자 (2) 수업 참여 활동 인식(이하 참여 인식), (3) 수업참여 관심과 선호도(이하 참여 선호도), (4) 자율적 수업 참여 의지(이하 수업 참여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서울소재 한 남녀공학 종합대학 실내건축 전공 재료학 교과를 수강하는 1개 분반 23명의 대학생에게 16주간의 수업을 통해 본 연구를 적용하였다. 정규성검정(NormalQ-Q Plot)을 통해 정규분포를 확인한 후 위 4개 영역관련 인식 및 선호도 변화 측정을 위한 t-검정 및 사전․사후 설문 결과 기술 통계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고 그 결과 수업 참여 인식, 선호도, 수업 참여 의지 사후 설문 점수 향상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많은 학생 수를 대상으로 실시하지 못하여 건축전공 전반을 위한 학생 참여형 수업 모델 효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진다. 하지만 현 대학 교육의 대세적 흐름인 학생 참여형, 학생 주도형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이상적 숫자(30명 미만)를 토대로 플립러닝에 응용할 수 있는 학생 참여형 수업 모델을 제시한 의의를 지닌다. 또한 건축 관련 참여형 수업 모델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므로 학습자 요구와 상호작용을 반영한 자율성 향상 모델 연구가 확산되도록 향후 연구를 제언할 것이다. This study purported to present learner-autonomy improvement teaching model(here after learner-autonomy model) in construction major areas. Moreover, this paper examined learners (1) perceptions about class-activity-participations (2) interests and preferences for learner-autonomy model, and (3)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lass activities. A total of 23 participants who were enrolled at the subject of Materials for interior design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completed a pre-post perception and preference- analysis - questionnaire (hereafter PPAQ). This instrument contained three domains (e.g., perceptions about class-activity participations, preferences for learner-autonomy model an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se activities). The PPAQ results portray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fond of this teaching model and they were interested in doing class-activities. Additionally, they were aware of learner autonomy and class participations positively with strong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ven though this study revealed the limitations of presenting a few number of participants, it resulted in presenting a learner-autonomy improvement teaching model. Moreover, this study implied that the success of this model was contingent upon reflecting learners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subjects. With relevant number of participants,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study other factors, which may improve learners’ motivation to study major area and interests in participating in class activities.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아이디어와 실제 맥락에의 참여: 수학 수업에서의 한 가지 해석

        박진희 ( Jin-hee Park ),조현영 ( Hyun-young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4

        최근 역량의 함양이 학교교육의 핵심 과제로 부각되고 학습자들의 참여와 능동적 학습이 강조됨에 따라 학습자 중심 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와 노력들이 가중되고 있다. ‘학습자 중심’이라는 아이디어에는 다양한 의도와 관점이 있을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학습자의 맥락을 교수자의 맥락에 최대한 근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략으로 학습자의 참여를 어떻게 조직하고 운영할 것인가가 핵심적인 사안이다. 이에 ‘참여’는 학습자 중심 교육에서 중요한 교수학습의 원리로 제시되기도 한다. 한편, 학생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상대적으로 정형화되고 구조화되어 있는 교과 수업에서 참여형 설계는 제한적일 수 있다. 수학 교과도 그러한 수업 중 한 예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수업 사례를 통해 학습자와 교수자가 경험하는 실제 맥락이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 그리고 학생들이 실제 맥락에 참여하는 과정이 어떻게 교과지식의 경험으로 연계되는지 되짚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참여과정에서 어떻게 교수자가 기대치 않은 다른 맥락을 만들어 내는지 그리고 그러한 맥락에의 참여가 어떻게 학습으로 연계되는지 보여줄 것이다. ‘참여’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참여로서의 학습이 갖는 의미를 확장하고, 나아가 참여형 수업 설계에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learner-centered learning has become more popular as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has become a core task of educators. “'Learner-centered” learning is a key issue in learning how to manage learners’ participation as a strategy for bringing the learner’s context as close as possible to the context of the teacher. However, some teachers who have implemented a participatory class format have doubted whether the students sufficiently experience the knowledge teachers intend to convey. Therefore,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in the everyday lessons of learners, and we tried to reflect on what learners experienced through them. We also looked at how participation becomes a learner-centered learning experien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xts of both learners and teachers.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class participation scenes showed in a deeper way why all the learners in the class were unable to reach the learning outcomes expected by the teacher, or the learners were creating different, unexpected learning contex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nother interpretation of participation will expand the meaning of learning and participation and suggest new implications for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design.

      • KCI등재

        경제활동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참여 요인 분석

        전혜숙 한국성인교육학회 200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2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affecting factors of the working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adult education. Data from the ALL(Adult Literacy and Life-Skills) survey(2004) o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were re-analysed. Data of 338 persons whom were economically active and have had experienced adult education were derived from 5,506 origin data and used for the study. According to the gender analysis, the situation of working adult learners were different by sex. Women were in poor condition than men regarding to wage, status and educational length. Both of women and men showed motives for career development rather than individual development. 38.5% of the working adult learners participated in formal learning and 13.4% of them participated in non-formal learning and 80% of them participated in informal learning in 12 months. 88.3% of formal learning participants said that the reason for participating was career development. Also, 80.4% of non-formal learning participants showed a similar response. The even factors that were related to participation were age and final educational degree. Usage of fundamental competency as paper work and number work had positive relation to educational participation. And usage of ITC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had negative relation to it. It shows that someone who are good at ITC skill participate in adult education less and someone who are poor in problem solving participate in adult education more.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활동 성인남녀의 평생학습 참여 실태 및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경제활동 참가 성인학습자의 사회경제적 배경, 평생학습 유형별 참가 요인 및 관련 요인들 간의 영향력, 그리고 기초능력의 사회적 활용이 평생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4년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한 직업기초능력조사(ALL)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전체 5,506명의 자료 중 평생교육경험이 있으며 경제활동상태인 성인학습자 338명을 추출하여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경제활동참가 성인학습자의 사회적 배경을 성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고용지위 교육연수, 연소득이 낮았으나 학습참여 비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평생교육 참여 동기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직무관련 참여 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경제활동참가 성인의 최근 12개월 내의 평생학습 참여율을 분석한 결과 정규교육을 포함한 형식학습 참여는 38.5%로 매우 높았으며 준형식학습 참여율은 13.4%로 낮게 나타났다. 경제활동참가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참여는 80% 이상이 직무/경력개발관련 교육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경제활동참가 성인학습자의 참여에 일관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과 최종학력이었으며 그 외에는 희망하는 교육 종류 수, 사회단체 가입 수, 자원봉사참여수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기초능력의 활용여부는 문서 활용도, 수 활용도에 따라 평생학습참여에 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업무에서의 정보통신기기 활용도는 평생학습참여와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 KCI등재

        청소년교육학 전공 성인학습자의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 삶의 질과 학습성과의 관계

        신미정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ceding factors related to the learning which affects the quality of life for the adult learners majoring in the youth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ccordingly, this study was to check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 style and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the adult learners majoring in youth education on the quality of between the learner characteristic style and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investigative study as an object of 679 adult learners who majored in the youth education from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s on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adult learners' learning outcom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Second, the adult learners' learner characteristic style and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had positive direct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 Third, the adult learners' learner characteristic style and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did not have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the adult learners' learner characteristic style and learning participation on the quality of life mediated by the adult learners' learning outcomes, both the learner characteristic style and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were analyz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mediated by the learning outcomes. Lastly,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in these research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교육학 전공 성인학습자들의 평생학습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방안으로 성인학습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관련 선행요인을 확인하고,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기관을 대표하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청소년교육학을 전공하고 있는 679명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 삶의 질과 학습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는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자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는 학습성과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자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는 삶의 질에 직접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를 매개로 하여 성인학습자의 학습자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 결과 학습자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 모두 학습성과를 매개로 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추후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 활용 학습에서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참여행동, 학습성과 간의 관계 분석연구

        김소영 한국교육방법학회 2014 교육방법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활용 학습에서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 참여행동, 학습성과 간의 체계적인 관계를 설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소셜미디어 활용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으로 성격, 자기조절학습능력, 인식론적 신념을 고려하였으며, 사회적 특성인 참여행동으로는 참여수준, 참여빈도, 참여반응도를, 학습성과로는 학업성취도, 학습환경만족도, 학습자동기수준을 포함하였다. 수도권 소재 대학 교양강좌 4개 분반 소속 총 106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특성, 10주간의 페이스북 활동을 통한 참여행동, 학습성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정준상관분석결과, 자기조절학습 능력 중 행동조절은 소셜미디어 학습에서 참여수준에 대하여, 동기조절은 참여빈도에 대하여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낮은 참여수준은 낮은 학업성취도와, 낮은 참여빈도는 낮은 학습자 동기수준과, 그리고 높은 참여반응도는 긍정적인 학습환경만족도와 연관이 있었다. 심리적 특성에서는 외향성과 동기조절, 인지조절, 학습능력에 대한 믿음이 학습환경 만족도와 관계가 있었으며, 행동조절, 학습속도에 대한 믿음은 학업성취도에 대하여, 그리고 지식의 불확실성에 대한 믿음은 학습자 동기 수준과 체계적인 정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교육에서의 소셜미디어 활용 학습에 있어 학습자의 성격, 자기조절학습능력, 인식론적 신념이 참여행동과 학습성과에 체계적인 영향을 갖고 있으며 학습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과 참여행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ystematically explain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ers' psychological factors, participatory behaviors, and learning outcomes within social media learn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personality, self-regulations, and epistemological beliefs were considered as psychological factors; the level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other students reactions on participation were included as participatory behaviors; motivation, satisfaction on social network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included as learning outcome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otal 106 college students who took the general education course across four different classes. The results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uggested that the increase of behavior regulation wa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participatory leve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was related to participatory frequency. As the tendency of motivational regulation was stronger,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social learning environment was increased; as the belief of learning ability was stronger,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social learning environment was decreased; as the participatory level was decreased, achievement level was decreased as wel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told that the instructors and the instructional designers should more focus on the learn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ory behaviors in the use of social network learning environment for higher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공공 쟁점 사회과 토론학습에서 소극적 참여자의 정치적 효능감 증진 효과

        오연주(Oh Yeon Ju)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4

        본 연구는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 수업 구현의 장애 중의 하나가 토론과정에서 발언을 하지 않는 소극적 참여자의 학습 효과에 대한 현장의 불확실성 혹은 불안에서 기인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공공쟁점 토론학습에서 소극적 참여자의 정치적 효능감 효과에 초점을 두어 그 효과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소극적 참여 집단과 다른 참여 양태를 보이는 집단들의 정치적 효능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를 수집하여, 이를 일원분산분석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 쟁점 토론학습은 정치적 효능감 증진 효과가 있으며, 소극적 참여 학습자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높은 정치적 효능감 증진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공공 쟁점 토론학습 참여는 내재적 효능감 증진 효과가 나타났으며, 소극적 참여 학습자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내재적 효능감 증진 효과가 낮다고 할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공공 쟁점 토론학습은 외재적 효능감 증진 효과가 나타났으며, 다른 집단에 비하여 소극적 참여 학습자 집단은 지속적으로 높은 외재적 효능감을 보이고 있었다. 소극적 참여 양태를 가진 학습자가 포함된 다양한 참여 양태를 가진 학습자로 구성된 사회과 교실 특성이 공공 쟁점 토론학습의 핵심 장애로 인식되는 것은 과도한 우려일 수 있다. One of the core obstacles on public issues discussion is social studies teachers’ anxiety which silent student scarcely learns in classroom discussion. This study explores to compare the political efficacy of different participating attitude groups. It was implemented the five weeks discussion program, the participant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number of their comments. This study was analyzed the effect of political efficacy of those groups with One-way ANOVA. The conclusion is followed. First, ‘The Silent Participant Group’ have more effective on political efficacy than other groups’, the program of public issues discussion make those participant students positive political efficacy. Second, it is no difference latent efficacy effect between ‘The Silent Participant Group’ and the other groups. And the program of public issues discussion have positive latent efficacy effect on those participant students. Last, ‘The Silent Participant Group’ keep higher extent efficacy and the program of public issues discussion have positive extent efficacy effect on those participant students. It is overstatement to be considered various attitude of participating students as a obstacle because ‘The Silent Participant Group’ have taken a good political efficacy effect depended on their peer’s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